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독교 교양과 영성 ― 인공지능 시대에 참-인간 형성을 위한 대안
김인수 한국기독교학회 202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32 No.-
본 연구는 인공지능 시대에 기독교 교양에서 영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않음을 살핀다. 나아가 기독교 교양교육에서 영성적 측면이 강화될 것을 요청하는데, 인공지능 시대에서 인간다움을 신장할 수 있는 길을 영성에서 찾은까닭이다. 달리 말해 기독교 교양에서 영성의 중요성을 재고하는 것이 본 논문의 진의(眞意)다. 이를 위해 먼저 인공지능 시대의 특징은 무엇인지 알아본후, 기독교 교양교육의 대상자에 해당하는 Z/알파 세대를 이해한다. 한편 기독교 영성의 독특함은 무엇인지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인공지능 시대에 기독교영성의 함의 혹은 효용을 파악한다. 초월-통합, 실천적 차원을 강조하는 기독교영성은 인공지능 시대/세대의 독특함과 유사한데, 이는 하나님 형상에 기반한기독교 교양이 역설하는 차원과 맥을 같이한다. 이 연구의 결론에서 기독교교양의 영성적 측면이 인공지능 시대에 인간을 참되게 형성하고자 할 때 대안이됨을 논증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the Christian liberal arts in the age of AI. Furthermore, it calls for strengthening the spiritual dimension in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because it is in spirituality that we can find a way to enhance our humanity in the age of AI. In other words, the true intention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in Christian liberal arts. To do so, I first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 era and then understand Generation Z/Alpha, the target audience of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On the other hand, by identifying the uniqueness of Christian spirituality, the implications or utility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the age of AI are identified. Christian spirituality, with its emphasis on transcendence, union with God, integration of life, and practi- cality, is unique to the AI era/generation, which aligns with the God- image-based dimensions of Christian liberal arts. Therefore, in con- clusion, it will be argued that the spiritual dimension of Christian lib- eral arts is an alternative to authentically forming and shaping human beings in the age of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