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교사의 정서적 자기이해 체험

        이영아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2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xperience a teacher had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as the teacher suffering from emotional difficulties in the school field came to understand himself by looking into his emotio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was based on Heidderger’s Dasein analysis and Gadamer’s educational hermeneutics, and van Manen’s experiential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rocedure were applied. Research participants was a teacher with 12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receiving at least 10 educational analyses and emotional counseling in advance. The specific research procedure included collection of data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denomination diary, and researcher’s study log and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existential of van Manen. Then, based on the extracted results, hermeneutic circulation and expansion were applied to reinterpret the result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experience were defined that the teacher who experienced emotional self-understanding chang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from self-confinement to self-opening. Furtherm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defined as dramatic change in existence over time, showing that the teacher who used to be stuck to the past was able to see students in new perspectives and encounter new experiences, after experiencing emotional self understand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 who lived as non-existent beings became aware of being in the world in the pres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emotional self-understanding. In the end, the teacher was able to find the meaning of life as “Being with I-You” to meet and grow together with students in respect and grown personality.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던 한 교사가 자신의 정서를 통해 자기이헤를 체험하게 되면서 궁극적으로 어떠한 체험을 하게 되고, 그 체험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배경은Heidderger의 현존재 분석과 Gadamer의 교육적 해석학을 토대로, van Manen의 체험 연구방법과 연구절차를 적용하여 살펴 보았다. 연구참여자는 12년 경력의 교사로 사전에 10회 이상의 교육분석과 정서중심 상담을 받은 후에 연구에 참여하였다..구체적으로 연구절차는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교단일지, 연구자의 연구 기록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van Manen의 실존체를 적용하여 체험의 내용을 분석하고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해석학적 순환과 확장을 통해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체험의 내용은 정서적 자기이해를 체험한 교사가 과거에서 현재로, 자기 폐쇄성에서 자기 개방성으로 변화하는 과정이 드러났다. 나아가 체험의 의미는 시간에 따른 존재의 역동적 변화로 나타났는데, 과거의 시간에 얽메여 살아가던 교사가 정서적으로 자기이해를 체험하면서 새롭게 학생들을 발견하고 진정한 만남을 경험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비본래적 존재로 살아가던 한 교사가 현존재로서 정서적 자기이해 체험을 통해 세계-내 존재됨을 인식하게 되고 마침내 공동체의 인간성인 ‘사이존재’로서 학생들과 인격적으로 만나고 함께 성장하는 삶의 의미를 찾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남녀 대학생에서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 주의초점의 매개효과와 주의전환의 조절효과

        이영아,이인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3

        Rejection sensitivity is related with a variety of psychological issu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ttentional focus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attentional shift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For these purposes, 489 college students (261 males and 228 females) completed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RSQ),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ACQ),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SIAS), Social Phobia Scale(SP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rejection sensitivity and performance anxiety which is a subtype of social anxiety were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However, relation direction and coeffici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oth genders showed a higher social anxiety scores of if they had a higher rejection sensitivity score. The subtypes of attentional control - attentional focusing and attentional shifting -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factors of attentional focus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of both gender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attentional focusing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social anxiety in both genders. The moderating factors of attentional shif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of both genders were investigated;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s of attentional shifting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not confirmed in this study. Rather, mediating effects of attentional shifting were seen in college students of both genders. These findings highlight attention processes that causes social anxiety.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variables that mediate or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ocial anxiety. The findings increase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attention processes that causes social anxiety. This study also provides various ways for decreasing the social anxiety.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rther planned studi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주의초점의 매개효과와 주의전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대학생 489명(남 261명, 여 228명)에게 거부민감성 척도(RSQ), 주의력 조절 척도(ACQ), 사회적 상호불안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 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하위유형인 수행불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성차가 발견되었는데, 여자가 남자보다 거부민감성과 수행불안이 더 높았다. 또한 남녀 모두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수행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주의조절척도의 하위요인인 주의초점과 주의전환은 거부민감성,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수행불안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보였다.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주의초점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주의초점이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수행불안에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주의전환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오히려 주의전환은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거부민감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이를 매개 혹은 조절하는 주의 변인들을 검증해 봄으로써, 사회불안을 유발하는주의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불안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여성의 완벽주의 성향과 우울에 미치는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영아 한국여성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6 No.4

        There are not a few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making headway in this area. Among such factors, perfectionism is deemed to be an important character variable vulnerable to depression.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s how a perfectionist attitude influences depression and attempts to verify if self-elasticity mediates the impact of perfectionism on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330 adult females over age 20 who live in Seoul and its suburbs in Kyeongki and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mprising 45 items regarding perfectionism, 37 on self-elasticity, and 20 on depression.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sub-variables of perfectionism, self-orientation, others- orientation, and social orientation, had effects on depression. There were also found to exist a mediating effect of self-elasticity on the relationships. In conclusion, perfectionism was shown to be a variable increasing depression, but the effect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a change in self-elasticity. This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decrease perfectionism in order to decrease depression, but increasing self-elasticity can also be an effective way of decreasing depression. There were a few limitations in this research which should be addressed.

      •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의 성공적 대처를 통한 도시 활성화 연구 : 대구 수성못 일대의 관광지 사업화를 중심으로

        이영아,박치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최근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이 사회 표면적으로 부각되면서 국내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은 관광 활성화 정책 시행에 앞서 사전에 대책 논의되어야 함이 드러나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논의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한정된 연구가 아닌 지역 사례 발굴을 통해 전국적으로 확장되어야만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 수성구에 위치한 수성못 의 개발 및 관광지화 사례를 통해 효과적으로 투어리스티피케이션을 방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주민과 관광객의 상생을 위해 주민을 위한 삶의 질 향상 정책을 시작으로 단계별 정책을 추진해온 수성못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도시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사례는 관광지 개발을 위해 관광 수요자 관점과 더불어 주민 관점에서의 정책 시행이 우선되어야 함을 도출하였으며, 단기적 계획이 아닌 연간 균형적 관광객 유치와 장기적 인프라구축을 통해 투어리스티피케이션에 충분이 대처할 수 있음을 드러내고 있다.

      • 과정-장르 중심 접근법을 활용한영어과 읽기-쓰기 능력 신장

        이영아 한국미래교육학회 2012 미래교육연구 Vol.2 No.1

        1. IntroductionThis study is theoretically based on the process-genre centered approach and investigates a new model of teaching-learning method which integrates reading and writing process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 This paper comes out of concerns about the current middle school classes, which have little emphasis on the use of English in written communication and over emphasis on the traditional belief, reading and writing are very different language skills. That requires a significant shifting our students' attention or their mode of learning from grammatical structures and the smaller texts to skeletons of genres and the larger texts. This will improve both students' performance of reading and teachers' credible frames in teaching writing. That is, the purpose of this teaching process is to achieve multi-level understanding of the reading materials and a sound basis for the writing of different genres. This approach allows student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urpose and form for a particular genre as they use the recursive processes of pre-writing, drafting, revision, and editing. Especially under the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circumstance like Korea, this approach is needed to promote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And there are many viewpoints of genre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the magnificent seven model, which has 7 factual genres of Recount, Narrative, Explanation, InformationalReport, Procedure, Discussion and Exposition, is selected because this can be included in the school curriculum and can be taught in middle school class. 2. The Application for the Model 1) Pre-Reading Activities (Genre Analysis)This section means activities that were done before the actual reading of the model text and analysis and language features of the genre are noted or projected on the board. Draw the genre skeleton with key words and phrases. And this stage can be omitted or shorten in other units with the same genre. 2) Reading Activities (Textbook Analysis) Text can be introduced by relating to the textbook and other intensive texts. Students could practice reading again with their teacher(or in pairs/groups), with lots of expression. And organize the genre skeleton while reading activity. Other texts can be organized in intensive course. 3) Post-Reading Activities (Comprehension Test) Review the previous page and answer the questions. This exercise is mainly made up of textbook contents and included bottom-up & top-down comprehension and controlled & guided writing. 4) Pre-Writing Activities (Joint Writing) Demonstrate the writing process such as getting ideas, organizing ideas, writing, revising and editing. And students could practice writing again with teacher(or in pairs/groups). Students can do any research they need to write on the topic(reading, discussing, Internet searching, etc.). 5) Writing Activities (Independent Writing & Revising) Encourage students to write without worrying about spelling, punctuation, etc. Students can use the Joint writing process to see examples of writing frame for the genre. And the writing at this stage is very annoying and teacher should make aware them that this process is necessary. 6) Post-Writing Activities a. Peer Editing & Teacher's Feedback -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work with each other to edit their work, before they take it to the teacher for final editing. b. Final Text and Reviewing - The way in which their works are published could depend on the purpose of the writing. 3. Conclusion I performed this application in 7th grade classes for two semesters in 2007. The result was relatively good. Students’ learning attitude such as self-confidence and positive-mind grew meaningful and learning performance in reading and writing expanded more than before this study. I believe this model or application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to the future classes and help us to teach English reading and writing effectively. And I want other teachers to study more useful graphic organizers or writing frames in addition to the genres and skeletons used in this study. 최근 교육과정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이 강조됨에 따라서 듣기, 말하기가 특히 강조되는 반면, 읽기와 쓰기 즉, 문자언어에 관한 학습능력 역시 같이 향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았고, 학교단위 수준에서 보면 오히려 부정적인 견해도 많았다. 이것은 알파벳, 단어, 문법, 구문, 독해로 이어지는 기존의 일반적인 상향식 학습의 폐해로 여겨지기 때문에, 문자언어에 미숙한 중학생이라 할지라도 텍스트 전체로부터 접근하는 하향식 읽기 방법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글의 전체적인 구조와 전개방식에 대해 배경지식을 가진다면 읽기가 훨씬 수월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쓰기의 경우에도 빈칸 채우기나 문장 단위의 통제되거나 유도된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실생활에 필요한 자유 작문 형태의 쓰기 학습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문제 역시 영어교사들이 자유 작문을 시도해 볼 신뢰성 있는 틀이나 형식이 없기 때문에 그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실제로 수업에서 적용키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을 학생과 교사 입장에서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 하에서 읽기와 쓰기를 체계적으로 연계시킨 좀 더 새로운 학습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었다. 본 논문은 비교적 최근의 이론인 과정-장르 중심 접근법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장르별로 텍스트의 전체적인 구조와 언어적 특징을 구별하고, 이것을 쉽게 도식화한 스켈레톤 다이어그램을 그려 봄으로써, 읽기와 쓰기에 동시에 효과적인 새로운 접근법을 구안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도시재생 논의에 대한 비판적 분석 2013~2018년 도시재생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영아 한국공간환경학회 2019 공간과 사회 Vol.29 No.3

        With the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in Korea, this paper considers the aims and strategies suggested for alternative urban regeneration in the debate.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discovering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Reviewing the research of 435 papers, the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physical and economic revitalization, residents’ and citizens’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urban regeneration as a social policy,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better urban regeneration policy. Furthermore, the aims of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economic, social and holistic perspectives. Despite there being an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as practice for post-neoliberal space, little research tries to connect the aims and strategies specifically suggested in the papers and the ways to prevent from gentrification. In order the lower class not to be swept from the area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s, such as affordable housing and safe public spaces, and the welfare of resident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본 논문은 도시재생 논의에서 바람직한 도시재생 방안으로 제시된 목표와 전략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기존 연구 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향후 도시재생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도시재생 관련 논문 435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연구 논문에서 강조하고 있는 전략을 4가지 범주(경제 활성화 전략, 주민 참여·시민사회 역량 강화와 거버넌스, 통합적 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관련 법 제도 개선, 사회정책으로서 도시재생)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전략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도시재생의 목표를 경제적, 사회적, 통합적 목표로 구분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도시재생 과정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탈신자유주의적이고 민주적인 공간 실현을 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를 강조하는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전략이나 목표가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도시재생과연결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대안적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통해 종국적으로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문제를 해결하고 거주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것과연결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 문화관광에서의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특성 연구

        이영아,박치완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2

        미셸 푸코가 제안한 개념인 헤테로토피아는 현실 속에 존재하는 유토피아라 간단히 정의될 수 있다. 하지만 헤테로토피아의 원리를 통해 그 이면을 들여다보면 긍정적 의미의 유토피아와 없는 공간 에서 찾아볼 수 있는 부정적 의미가 공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이 갖는 의미에 따라 현대 관광지(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같은 공간일지라도 주체의 의미부여에 따라 다른 헤테로토피아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관광지의 주요 주체인 관광 주체와 로컬 주체의 인식으로 공간 특성을 구분하였다. 결론적으로 관광 주체가 선별한 관광지는 일탈과 쾌락의 공간인 한시적인 헤테로토피아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반면 그 곳에 거주하는 로컬 주체에게는 타자를 위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에 강제적으로 도태되는 부정적인 의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