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大訥 盧相益의 亡命 意義 硏究 ―獨立有功者 指定과 관련하여―

        이은영 동양한문학회 2013 동양한문학연구 Vol.37 No.-

        This paper studies one of the persons who are treted in my thesis which was for exile Korean confusian intellectuals'general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in 20th century. So, I make clear that this paper studies based on writings about Sang-Iik Noh(盧相益), pen name: Daenool大訥, (1849~1941) who is one of my thesis' persons. Daenool was in government service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Due to the refusal of a Royal Bounty he has been jailed several times by Japanese government before and after the Gyeongsul Gukchi(Japan-Korea Annexation Treaty of 1910). He lived under surveillance by Japanese government after released from prison. At the end of the 1911 year Daenool who was more than 60 years old went into exile while avoiding surveillance just for avoiding Japanese people. As leaving many writings, he exposed Anti-Japanese spirit as his best resistance to Japan. After 1919, when his younger brother Sang-Jik Noh(pen name: Sonool小訥, 1855~1931) was imprisoned because of his signature on the Paris Jangseo, Daenool lived a life not free even more than before. Being pointed one who is related to war chest, he waived exile which continued more than 11 years and returned to Korea in 1922. After that, Daenool confined himself at home to cut off the world until to his death. This is one of the methods of resistance too to sever Japanese government. Despite he returned to Korea, his anti-Japanese spirit revealed by many writings, books and papers of Japanese government should be considered to be another independence movement different from the other actions by Independence patriots. This is why Daenool deserves acknowledge as independence patriot. 이 논문은 본인의 학위논문 이은영, 「20世紀 初 儒敎知識人의 亡命과 漢文學―西間島 亡命을 中心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이 20세기 초 망명 유교지식인들의 전반적인 한문학을 대상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당시 망명한 유교지식인을 개별적으로 서술하지 못한 점에 착안하여 연구된 논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학위논문 가운데 연구 대상자 중 한 사람인 大訥 盧相益(1849~1941) 관련 서술을 기저로 연구된 논문임을 앞서 밝혀둔다. 대눌은 구한말 관료 출신으로, 경술국치 전후 은사금 거부 등으로 일제에 의해 수차례 투옥된 일이 있다. 감옥에서 풀려난 후 일제로부터 요주의 인물로 지목되어 감시를 받으며 살던 대눌은 1911년 말 일제의 감시망을 피해 망명을 떠났다. 대눌이 환갑을 넘긴 나이로 망명을 떠난 이유는 한마디로 일본인을 피해서였다. 자신의 나이에 할 수 있는 일제에 대한 최고의 저항으로 망명을 떠난 대눌은 망명지에서 수많은 저술을 남기면서 항일정신을 드러내었다. 망명지에서도 끊임없이 일제의 감시를 받으며 살던 대눌은 1919년 동생 小訥 盧相稷(1855~1931)이 파리장서에 서명한 일로 구금된 후, 더더욱 자유롭지 못한 삶을 살았다. 그러던 1922년 군자금 모집 관련 인물로 지목되면서 대눌은 만 11년이 넘는 망명생활을 접고 급히 환국하였다. 그 후 대눌은 생을 마감할 때까지 두문불출하며 세상과 단절하며 살았다. 이는 대눌이 일제와의 단절을 꾀하기 위해 선택한 또 하나의 저항의식인 것이다. 대눌은 중간에 망명생활을 접고 환국하였지만 그가 망명지에서 남긴 수많은 작품과 저술, 그리고 일제의 문건들을 통해서 드러난 대눌의 항일정신은 다른 독립유공자들이 행동으로 보여준 독립운동과는 또 다른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눌 또한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아 마땅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희망증진 프로그램이 학습된 무기력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은영,김종훈,천성문 한국교육치료학회 2017 교육치료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희망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된 무기력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밝히기 위해 자아탄력성 척도와 학교적응 척도를 사전-사후 검사를 하여, 변인별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을 위해 SPSS / WIN 21.0를 활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희망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 참여 후 자아탄력성이 향상되었다. 둘째, 희망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계집단보다 학교적응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볼 때 희망증진 프로그램은 학습된 무기력 아동에게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 향상을 돕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hope enhancement program on the learned-helplessness of children – if it effects on their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Test for the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were performed in a pre and post desig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ovariance (ANCOVA)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using SPSS/ WIN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hope enhancement Program changed their ego-resilience to be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school adjustment more than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e program seems effective to improve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for the learned-helplessness of children.

      • KCI등재

        망명자 빅토르 위고 -격동의 19세기, 망명의 정치적 이용-

        이은영 한국프랑스사학회 2020 프랑스사연구 Vol.- No.42

        The example of Victor Hugo, who became one of the great symbols of opposition to Napoleon III during twenty years of exile, testifies to the role of exile as a period of political evolution in the 19th century. During his first years of exile (1851-1859), he became one of the spokesmen of the exiles, thanks to his literatures of exile, the installation in the Channel Islands and the attempts to put a brake by the emperor against the writer. In the 1860s, while the ‘liberal’ Empire allowed opponents to organize in France, the exile Hugo, who had refused the emperor’s amnesty in 1859, intervened in the cultural and political scene of France for the opposition. Thus, in the late 1860s, he was considered a formidable Republican rival to Napoleon III. After returning in 1870, Hugo became involved in politics, notably through the amnesty campaign of Communard, based on his exile experience. Hereby, he contributed, as a producer of republican integration, to the installation of the Third Republic. Thus, the evolution of a Hugo into a ‘great republican’ during his exile and his role in the 1870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exile was one of the decisive moments in political activists in the constantly tumultuous nineteenth century. 1851년 12월 보나파르트의 쿠데타 후 20여 년 동안의 망명을 거치면서 반보나파르트 저항의 상징이 된 빅토르 위고의 예는 혁명과 정치적 격변이 이어졌던 19세기, 망명이 정치적 활동가의 형성과 위상의 변화에 중요한 계기였음을 보여준다. 망명의 첫 10여 년(1851-1859) 동안 위고는 망명문학, 나폴레옹 3세의 견제, 채널제도 정착이라는 전략적 선택을 통해 국외 망명자들 가운데서도 제정에 대한 대표적인 저항자로 부상했다. 1860년대 통제가 보다 완화된 2제정의 사회적인 분위기 속에서, 위고는 망명지에서 국내의 반제정 저항을 촉진하기 위해 문화와 사회 부문을 통해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이로 인해 1860년대 말 위고는 나폴레옹 3세의 강력한 라이벌로 간주되었다. 1870년 2제정의 붕괴 후 귀국한 위고는 자신의 망명의 경험을 기반으로 코뮈나르 사면운동을 성공시킴으로써, 공화주의적 통합의 산파로 3공화국의 정착에 기여했다. 이렇게 위고가 망명동안 ‘위대한 공화주의자’로 성장하고 1870년대 동안 귀환 망명자로서 했던 역할을 통해서 볼 때, 정치적으로 불안정했던 19세기, 망명은 정치 활동가들에게 중요한 정치적 계기였고, 단절과 격리가 아닌 정치적인 형성과 성장의 과정이었다.

      • KCI등재

        고객감동과 구매의도, 고객생애가치와의 관계

        이은영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6 마케팅관리연구 Vol.21 No.3

        It has been more than 40 years since research on customer satisfaction has come into the spotlight in academia and in fields. But this spotlight has started to diminish since researches began to explore that ‘mere satisfaction’ is not enough and customer satisfaction does not always lead to positive consumer behavior and firm performance. Therefore, customer delight started to receive focus from practitioners and scholars. Despite this interest, little work on customer delight has been made and even the concept of customer delight was in confusion. This research draws two main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customer delight. First, this research is the first to quantify the incremental amount of customer lifetime value of delighted customers. Second, I categorized customer delight into customer delight with high surprise and customer delight with low surprise and quantified the incremental amount of customer lifetime value of surprisingly delighted customers. This research demonstrated the hypotheses with real coffee shop users and the results were that customer lifetime value was higher when there existed customer delight than when there was not customer delight (approximately 92,000 won). Also, customer delight with high surprise and low surprise was compared, resulting in higher customer lifetime value in delight with high surprise (approximately 113,000 won). In order to convince that customer delight is practically a different concept from customer satisfaction, I ran a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and revealed that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delight were both in increasing nonlinear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s, while only customer delight revealed an increasing nonlinear relationship with customer lifetime value. This research draws several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being the first to quantify the economic value of customer delight. 고객만족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40여 년 이상 학계 및 실무에서 이루어져온 가운데 ‘단순만족(mere satisfaction)’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과 함께 고객만족이 반드시 긍정적인 소비자 행동결과와 기업의 성과로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연구 주제가 고객감동(customer delight)인데, 학계 및 실무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고객감동에 관한 연구들은 현재까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고객감동에 대한 개념부터 혼재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객감동연구와 관련하여 두 가지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는데, 첫 번째는 고객감동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경제적 성과(고객생애가치)의 증가분이다. 두 번째는 고객감동을 놀라움이 높은 고객감동과 놀라움이 낮은 고객감동으로 분류하여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경제적 성과(고객생애가치)의 증가분이다. 본 연구는 실제 커피전문점 이용자를 대상으로 응답자의 개인적인 소비경험을 바탕으로 조사한 결과, 고객감동이 있을 때에 없을 때 보다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경제적 가치의 대리지표인 고객생애가치는 Rust et al.(2004)의 측정방법을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고객감동이 있을 때에 없을 때 보다 고객생애가치 또한 높게 나타났다(약 92,000원). 그리고 놀라움이 높은 고객감동의 경우에 놀라움이 낮을 때 보다 구매의도와 고객생애가치가 높게 나타났다(약 113,000원). 고객만족과 고객감동이 구매의도와 고객생애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다차항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객만족과 구매의도는 체증하는 비선형관계를 보인 반면, 고객생애가치와의 관계에서 고객감동만 체증하는 비선형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고객감동의 경제적 가치를 처음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고객만족과 비교하여 고객생애가치와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실무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 실현을 위한 환자의사결정도구(PtDAs) 연구

        이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1

        Shared decision making (SDM) is a collaborative process involving the patient and doctor in which possible treatments, information, and potential medical problems related to the patient’ condition can be considered. Encouraging patient involvement in SDM is increasingly common as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explicitly recognize the need for decisions to be guided by patients’ preferences. To support SDM, researchers have developed tools called patient decision aids (PtDAs). PtDAs are evidence-based tools designed to facilitate the SDM process. They have been developed as supplements in order to prepare patients for discussing treatment options with their doctors. This paper reviews the PtDAs for SDM process in medical decisions. 공동의사결정(shared decision making)은 환자에게 가능한 치료 방법 및 관련 사실을 제공하고 환자의 질병과 관련된 의학적 문제를 의사와 환자가 공동으로 고려하는 과정이다. 임상진료지침에서 환자의 선호에 따른 의사결정의 필요성이 명시되어 있는 바, 공동의사결정에 환자의 참여를 독려하는 경우가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공동의사결정을 뒷받침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환자의사결정지원도구(PtDAs)를 개발했다. PtDAs는 공동의사결정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된 근거 기반 도구이다. 공동의사결정 과정을 간소화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해, PtDAs는 임상의와 치료방법을 논의하기 전에 환자 스스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의료진과의 상담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에 대한 부가적인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의학적 의사결정으로써 공동의사결정을 실현하는 데 필수 요소인 PtDAs에 관해 살펴본다.

      • KCI등재

        간병살인 범죄의 특징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이은영,전연규 한국범죄심리학회 202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8 No.3

        The improvement in the living standard for the people and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healthcare technology have positive effects of extending our life expectancy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However, the extended life expectancy ultimately raises another issue of entrance into a super-aged society. South Korea currently implements a lot of welfare policies, which involve many different types of industrial facilities and leisure life, in preparation for aging society and the number of healthcare institutions, including long-term care centers for the elderly, is on the exponential increase. However, the South Korean society has no accurate statistics concerning the targets of caregiving and the caregivers and fails to identify institutionalized targets of caregiving, not to mention home-based caregiving. Amid the aging society, now is a moment that urgently requires national attention to the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of caregiving family as well as to aged patients. In particular, the cases of intra-family murder and suicide due to caregiving become serious social problems. There are several types and causes of murder related to caregiving and relevant statistics and social measures are very poor. In addition, intra-family murder and suicide related to caregiving are usually defined as homicide (Article 250 of the Criminal Law) or are just punished for parricide due to the murder of a lineal ascendant. This study aimed to divide the definitions of caregiving murder and analyze its characteristics and causes. Efforts were also made to review the problems of the current caregiving system and develop the methods of coping effectively with the crimes of caregiving murder through the support based on criminal policies and management. specific measures to manage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presented. Neglect measures are presented. 국민 생활수준 향상 및 눈부신 의료기술의 발전은 우리 생활에 기대수명 연장 및 윤택한 삶의 질을 선사한다는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결국 이러한 기대수명의 연장은 곧 초고령화 사회 진입이라는 또 다른 측면의 문제를 우리 사회에 던져주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각종 산업시설 및 여가 생활 등 많은 복지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노인요양전문 의료시설 등의 의료기관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 사회는 간병 대상자 및 간병인에 관한 정확한 통계가 없으며 가정 내 간병 뿐만 아니라 시설 간병대상자도 파악이 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고령 환자뿐만 아니라 이를 간병하는 가족의 신체적·정신적 문제에 대해서도 이제는 국가적 관심이 이제는 매우 필요한 때이다. 특히 간병으로 인한 가족 간의 살인 및 자살 사건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간병으로 인한 살인의 유형과 원인이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확한 통계 및 사회적 대책방안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간병으로 인한 가족 간의 살인 및 자살사건의 경우 보통 살인죄(형법 제250조)로만 규정하고 있거나 직계존속 살해로 인한 존속살해죄로만 처벌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간병살인의 정의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간병살인의 특징과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간병체제 시스템의 문제점 고찰해 보고 형사정책적 지원방안 및 관리운영상 지원방안을 통해 간병살인 범죄의 효과적인 대응방안에 대하여 모색하였다.

      • KCI등재

        선초 奏文을 통해 본 事大外交의 전략과 修辭

        이은영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4 No.-

        Jumoon(奏文) is a practical document ordered by the King to resolve diplomatic issues with China. Reputed writers of the time wrote the document by going through numerous discussions and reviews from writing, revision, and submission. Also, a variety of narration strategies were sought to induce practical accomplishments.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names of people, regions, and number were strived to be accurate, and detailed supporting materials were attached to prove the contents to ensure objectivity. By utilizing authoritative documents such as Chikseo(勅書) from Ming Dynasty, the power of persuasion was achieved without description in details of explanations. In addition, by applying aesthetic strategies by praising the emperor of Ming Dynasty, who was the decision-maker, or by humbly speaking of Joseon Dynasty, the writers indented to create the foundation for favorable acceptance while seeking for practical interests by implicitly connoting the contents within the polite expressions. These strategies are also applied when sending the Jumoon. By sending the Pyojeon(表箋), which was filled with rhetorics of justifications and toadyism, together with Jumoon, which contains practical contents, the intention was to strengthen the aesthetic effects while alleviating the sensitivity. Jumoon, which was created through these processes, provided the logic to rationalize military actions for securing the land, and there was actual diplomatic accomplishments such as reduced amount of presentations and tributes to the emperor and repatriation of abducted people. This is why Jumoon should not be demeaned as a degrading document by focusing too much on the “toadyism.” During the period when it was emergent to create the foundation of the dynasty while stabilizing the diplomatic relations, Jumoon was the means to balance between the cause and toadyism, as well as between the independence and practicality, through elaborately planned document seeking for the national interest. 본고는 明과의 안정적 관계가 시급하던 조선 초기, 외교 실무 문서 奏文을 대상으로 명분과 실리, 사대와 자주라는 양극의 가치 사이에서 문장이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 외교 현안을 해결하고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해 문장 구성과 표현에 있어서 어떠한 수사적 전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피기 위해 시도되었다. 奏文은 제후국의 임금이 중국의 황제에게 외교 현안에 대해 요청· 보고 · 해명 등의 내용을 담아 전하는 실무적 사대문서이다. 대제학을 비롯하여 당대의 명망 있는 문장가들이 글을 지었고, 제술부터 수정, 발송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논의와 검토 과정을 거쳤으며, 실제적인 성과를 이끌어 내기 위해 사안의 성격이나 정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서술 전략을 모색하였다.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해 인명 지명 숫자 등의 정보는 정확성을 기하였고, 내용을 증명하는 관련 자료를 소상히 첨부하여 객관성을 강화하였으며, 명나라 황제의 勅書를 적극 활용, 직접적인 언술이나 많은 설명 없이도 자료의 권위에 의해 설득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결정 주체인 명 황제를 추켜세우거나 자국을 낮추는 심미적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상대가 사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공손한 표현 속에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은근히 함축시키는 방식을 통해 실리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전략은 奏文을 전송하는 방식에도 적용되어, 名分과 事大를 표방하고 미사여구로 점철된 表箋과 실리적 내용을 담은 奏文을 함께 보냄으로써 심미적 효과는 강화하고 민감도는 완화시키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실제로 이렇게 만들어진 주문은 파저강 야인 정벌 및 4군6진의 개척 등 군사 행동을 합리화하는 논리를 제공하였고, 進獻 貢物의 축소, 被虜人의 刷還 등 외교적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奏文에서 ‘事大’라고 하는 한편의 의미만 읽고 굴욕적인 글로 매도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왕조의 기반 조성과 明과의 안정적 외교 관계가 시급했던 시기, 주문은 事大와 名分, 자주와 실리 사이에서 균형을 꾀하면서 국익을 위해 치밀하게 기획된 국가의 文章이기 때문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