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리네졸리드와 반코마이신을 교대로 투여하여 치료한 지속성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균혈증 1예

        김낙현,김문석,장은선,강유민,김가연,장희창,박완범,김의종,김남중,오명돈 대한감염학회 2009 감염과 화학요법 Vol.41 No.6

        Persiste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is frequently defined as bacteremia persisting for ≥7 days despite proper antibiotic therapy. Its treatment includes removal of all infection foci and proper antibiotic therapy. Vancomycin remains the antibiotic of choice in MRSA bacteremia. Alternative agents, linezolid or daptomycin, are available, but a consensus regarding management of persistent MRSA bacteremia on vancomycin failure is still lacking. We report a case of a 60-year-old male who received thoracoabdominal aorta replacement operation due to dissecting aneurysm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aorta. Surgical site infection and bacteremia caused by MRSA occured, and wound debridement operations were performe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vancomycin in therapeutic doses but MRSA bacteremia persisted for 168 days in a row. Although the inserted aortic graft was the most probable source of persistent bacteremia, surgical removal was impossible. Linezolid was administered as an alternative antibiotic but had to be discontinued from time to time due to thrombocytopenia induced by this agent. In the end, MRSA bacteremia was successfully managed by alternating vancomycin-linezolid therapy.

      • 7개 대학 병원에서 조사한 지역사회 폐렴의 원인균

        정문현,김성민,강문원,최희정,정희진,이경원,한성우,송재훈,신형식,김의종,최강원,김민자,박승철,배현주,정윤섭,김준명,백경란,신완식,이규만,김양리 대한감염학회 1997 감염 Vol.29 No.5

        목 적 : 폐렴은 많이 발생하면서 사망률이 크게 줄지 않는 질환이며, 이를 적절히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균의 상대적 빈도, 기저 질환에 따른 변화, 항균제 내성률, 사망에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야 한다. 원인균의 빈도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고 국내에서는 항균제 내성률이 높아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폐렴을 치료하기 위한 경험적 항균제 선택에 도움이 되기 위해 서울 소재 6개 대학 병원과 천안의 1개 대학 병원이 참여하여 위의 사항들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방 법 : 1995년에 내과에 입원했던 16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퇴원 진단명이 폐렴 또는 폐결핵인 병록지을 찾았고, 이중에서 병원 감염을 제외하였다. 특이도를 높이기 위해, 이들 중에서 호흡기 증상이 있고 발열이나 저체온이 있으면서 흉부 X-선에서 이상 음영이 있는 환자만을 대상으로 했다. 폐결핵은 위의 기준에 입원 초기에 항균제 치료를 하고 입원 7일 이후에야 항결핵제가 투여된 경우만을 폐렴의 원인균으로 하였다. 혈액 배양에서 양성, 객담에서 항상균이나 M. tuberculosis가 증명된 경우, 혈청학적으로 항체가가 4배 이상 증가된 경우, 조직에서 원인균이 진단된 경우는 확정(definitive) 원인균으로 하였고, 객담에서 배양된 균이 그람 도말과 일치할때, 항결액제에 대한 반응으로 진단한 폐결핵, 단일 항체가 양성이고 이에 대해 항균제를 사용했을 때는 가능(probable) 원인균으로 정의하였다. 다세균 감염균은 각각 다 른 원인균으로 처리하였다. 임상 조사와 함께 임상병리과에서 S. pneumoniae, H. influenzae, M. catarrhalis, mycoplasma, 항상균에 대해 검사 의뢰 건수, 배양 양성수, 항균제 감수성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폐렴의 증례 정의에 부합하지 않은 135명과 폐결핵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230명을 제외하고 남은 246명의 평균 나이는 58.2세이고 남성이 142명(58.2%) 이었고, 71%의 환자에서 기저 질환이 있었다. 진단 방법의 시행 횟수는 혈액 배양 77.6%, 혈청 검사 18.3%, 기관지경 검사는 4.1%였고, 세균의 항원 검사를 한 예는 없었다. 원인균이 밝혀진 예는 77명(31.3%)이었다. 다세균 감염이 4명에서 있었고, 원인균의 상대적 빈도는 결핵 20명(확정 17, 가능 3: 6개 병원 자료), 폐렴구균 18(확정8 가능 10)명과 폐렴구균이 아닌 Streptococcus 3명 (모두 확정), H. influenzae 11명(모두 가능), 그람음성간균 11명(확정 7, 가능 4) (K. pneumoniae 8건), Mycoplasma 5명(확정 1, 가능 4), S. aureus 4명(확정 2, 가능 2), mucormycosis 1명(확정)이었다. 평균 입원 기간은 19일이고, 중환자실 입원률과 인공 호흡기 사용율은 각각 18%와 9.3%였다. 사망률은 13.8%였고 사망까지 평균 기간은 14.6일 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저체온과 빈호흡이었다. 임상병리과에서 배양되었던 모든 폐렴구균의 Penicillin 내성률은 서울 3개 병원에서 82-88%, 천안에서 72%였다. 폐렴 환자의 혈액에서 배양된 7주는 모두 Penicillin에 감수성이 있었다. K. pneumoniae 8주 모두 cefotaxime과 gentamicin에 감수성을 보였다. 결 론 : 후향적 조사이고 병원마다 원인균 진단에 차이가 있지만, 원인이 밝혀진 경우에는 결핵과 폐렴균이 흔하였고, 무균 부위에서 배양된 폐렴구균의 항균제 내성률은 낮았다.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가 많고, 혈청검사로 진단되는 원인균이 드물며, 분리균주가 적어 항균제 내성 정도를 추정하기 어려워, 이를 밝히기 위한 전향적 조사가 필요하다. Background : Community-acquired pneumonia (CAP)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mortality and morbidity, but its management is still challenging. The limitation of diagnostic methods to identify etiologic agents rapidly make it necessary to use empiric antibiotics in almost all patients, and furthermore the discovery of new respiratory pathogens and the emergence of antibiotic-resistant organisms pose difficulties to the selection of an empiric regimen. To clarify the factors necessary for the optimal choice of empirical antibiotics, such as the frequency of etiologic agents, the attributable rates to death and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in the community, six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and one university hospital in Cheonan were participating in this study. Methods : medical records of adults (>15 years of age) hospitalized for CAP or pulmonary tuberculosis between April 1995 and March 1996, were reviewed. Patients who satisfied all of the following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study: (1) fever or hypothermia; (2) respiratory symptoms; and (3) pulmonary infiltrates on chest roentgenogram. To exclude cases of pulmonary tuberculosis whose roentgenographic features were so typical that it could be easily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pneumonia, two additional criteria were required for inclusion: antibiotic treatment during the first week of hospital admission and initiation of anti-tuberculosis medications thereafter. Organisms isolated from sterile body sites, acid-fast bacilli or Mycobacterium tuberculosis isolated from sputum, pathogens diagnosed by a 4-fold rising titer of antibodies to “atypical”pathogens, or pathogens revealed by histopathology were defined as definitive cause of pneumonia; isolates from sputum withcompatible Gram stain, pathogens diagnosed by a single diagnostic titer plus use of a specific antimicrobial agent, or tuberculosis diagnosed by clinucal response to anti- tuberculosis medications were considered probable cause of pneumonia. The records of the clinical microbiology were reviewed for isolates of S. pneumoniae, H. influenzae, M. catarrhalis, Mycobacterium or acid-fast bacilli, and Mycoplasma. Then the frequency of these agents,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of resiratory pathogens from all body sites, and their clinical significance were evaluated. Results: After excluding 365 patients (230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135 with CAP) who were screened for inclusion but did not meet the inclusion criteria,246 person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ir mean age was 58.2 years old with slight male predominance (58.2%), and 171(71%) patients had underlying illnesses. Blood cultures were performed on 191 (77.6%) patients and serologic tests on 44(18.3%) patients. The etiologic agents were identified in 31.3%, and the list of individual agents, in decreasing order, was pulmonary tuberculosis (17 definite and 3 probable: data of six hospitals), S. pneumoniae (8 definite and 10 probable), non-pneumococci (3 definite), aerobic gram-negative bacilli (7 definite and 4 probable), Haemophilus spp. (11 probable), mycoplasma (1 definite and 4 probable), polymicrobial infections (2 definite and 2 probable: E. coli and S. agalactiae, M. tuberculosis and S. aureus, S. pneumoniae and H. influenzae and A. baumannii and K. pneumonias), S. aureus (2 definite and 2 probable) , and mucormycosis (1 definite). Among gram-negative bacilli,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agent (8isolates). therates of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and of using assisted ventilation were 18% and 9.3%, respectively. The mortality was 13.8%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hypothermia and tachypnea were associated with death. Hospital stay averaged 19 days. Susceptible rates of S. pneumoniae isolated from all body sites to penicillin ranged from 8% to 28% but seven isolated from blood of patients with pneumonia were susceptible to penicillin. Also all 8 isolated of k> pneumoniae from patients with pneumonia were susceptible to cefotaxime and gentamicin. Conclusion: In Korea, in addition to S. pneumoniae, M. tuberculosis is an important agent causing community-acquired pneumonia. The low incidence of etiologic diagnosis is probably related to infrequent requesting of test "atypical" pathogens and does not represent the true incidence of infections by "atypical" pathogens, which well be answered by a prospective study.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of major respiratory pathogens from sterile body sites are low, however, because of a small number of the isolates this result needs confirmation by a nationwide surveilla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 KCI등재후보

        국내 다기관에서 조사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빈도와 임상적 특성

        송진수,최평균,송경호,조재현,김성한,방지환,이창섭,박경화,박경운,신수,최희정,김의석,김동민,이미숙,박완범,김남중,오명돈,김의종,김홍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목적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CA-MRSA 감염증에 대한 증례보고만 있을 뿐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CA-MRSA의 빈도, 감염증의 임상적 양상,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7개 병원에서 MRSA가 분리된 환자의 명단을 파악한 후 의무기록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외래나 응급실에서 혹은 입원 후 72시간 이내에 균주가 분리되고 MRSA 획득과 관련된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CA-MRSA로 정의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임상적 의미에 따라 원인병원체(pathogen), 집락화(colonizer), 미결정(undetermined)으로 분류하였다. Penicillin과 oxacillin을 제외하고 3개 이상의 다른 계열 항균제에 내성이면 다제내성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동안 총 3,251주의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MRSA는 1,900주(58.4%)였다. MRSA 가운데 CA-MRSA는 114주(6.0%) 였으며, 이들이 분리된 부위는 귀(62주), 비뇨기계(14주), 피부 및 연부조직(11주), 호흡기계(10주), 혈액(3주) 등이었다. CA-MRSA 균주 가운데 집락균은 22주, 원인병원체는 22주였으며, 나머지 균주에 대해서는 그 임상적 의미를 결정할 수 없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73균주 중 47주(64.4%)는 다제내성이었다. CA-MRSA 감염증 22예 중 피부 및 연부조직 감염(9예)과 중이염/외이도염(9예)이 가장 흔하였다. 침습적 감염증(invasive infection)은 4명(원발성 균혈증 3예, 감염성 관절염 1예)에서 확인되었지만, CA-MRSA 감염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 병원내 감염증에서는 MRSA가 심각한 문제이지만, 아직까지 지역사회 감염증에서 CA-MRSA는 흔하지 않았다.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has emerged in patients who do not have the established risk factors.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RSA (CA-MRSA). Material and Methods :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 databases of 7 hospitals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patients from whom MRSA was isola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July 2005. Only one isolate per patient was enrolled. In order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MRSA acquisition, the medical records an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atabases were reviewed. CA-MRSA was defined as MRSA isolated from patient without established risk factors. We analyzed patient demographics,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Results : Of total 3,251 S. aureus isolates, 1900 (58.4%) were MRSAs. Of the MRSA isolates, 114 (6.0%) were CA-MRSA. Of 114 CA-MRSA isolates, 22 (19.3%) were colonizers, 22 (19.3%) were pathogens,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maining 70 (61.4%) could not be determined. Median age of the 22 patients with CA-MRSA disease was 47 years. Nine patients ha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9 ear infections, 3 bacteremia, 1 septic arthritis. Seven patients had underlying medical disease. None died of the CA-MRSA infections. Of the 73 isolates of CA-MRSA, 47 (64.4%) were resistant to more than 3 classes of antibiotics besides β-lactams. Conclusion : Although MRSA is highly prevalent among hospital-associated S. aureus infection, CA-MRSA infections are not common.

      • 주요 임상분리센균에 대한 moxifloxacin과 ciprofloxacin의 최소억제농도

        김의종,김하영,이상원 대한화학요법학회 1999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7 No.4

        목적 : Moxifloxacin에 대한 국내 임상 분리 균주의 감수성 여부를 팡가하기 위하여 임상 환자에서 흔히 분리되는 통성 혐기성 세균을 대상으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 항생제로는 ciprofloxacin을 사용하여 그 결과와 서로 비교하였다. 방법 : 시험 균종은 1999년 서울대학교병원 임상병리과로 세균배양이 의뢰된 혈액, 객담, 소변 등 임상 검체에서 분리한 균주로서 임상 환자에서 흔히 분리되는 통성 혐기성 세균 총 507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미국임상검사표준화협회(NCCLS)에서 권장하는 방법에 따라 S. pneumoniae와 H. influenzae를 제외한 모든 균종은 한천희석법으로 MIC를 측정하였으며, S. pneumoniae와 H. influenzae는 microdilution broth법으로 MIC를 측정하였다. 결과 : Staphylococcus spp.와 Enterococcus spp.에서 moxifloxacin에 대한 MIC가 ciprofloxacin에 대한 MIC보다 전반적으로 낮았다. PSSP의 경우 moxifloxacin에 대한 MIC가 cirpofloxacin의 MIC보다 4-8배 낮았다. PRSP의 경우 moxifloxacin에 대한 MIC는 2㎍/㎖인 한 균주를 제외하고는 모든 균주가 0.06-0.125㎍/㎖으로 감수성이었다. Ciprofloxacin에 대해 감수성을 보인 PRSP의 moxifloxacin에 대한 MIC는 ciprofloxacin의 MIC보다 4-8배 낮았다. E. coli, K. pneumoniae와 E. cloacae에서는 ciprofloxacin의 MIC가 moxifloxacin보다 낮았다. P. aeruginosa의 moxifloxacin에 대한 MIC가 ciprofloxacin의 경우보다 4-8배 높았다. A. baumanii와 S. maltophilia의 moxifloxacin에 대한 MIC가 ciprofloxacin의 경우보다 2-8배 낮았다. H. influenzae의 moxifloxacin에 대한 MIC_(90)는 0.015㎍/㎖ 이하이었고, ciprofloxacin에 대한 MIC도 이하 동일한 결과가 관찰되었다. 결론 : Ciprofloxacin은 Enterobacteriaceae와 Pseudomonas spp.에 대하여 항균력이 높고, moxifloxacin은 페니실린 내성 유무에 관계없이 S. pneumoniae에 대하여 항균력이 뛰어나다. 우리 나라에서 moxifloxacin을 사용한 후, S. pneumoniae에 대한 moxifloxacin의 MIC 분포가 내성 쪽으로 기울어지는 지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facultative an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patients were determined for the in vitro susceptibility of Korean clinical isolates against moxifloxacin and compared with MICs of ciprofloxacin. Methods: Total 507 strains isolated from blood, sputum, or urine of pati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1999 were examined by agar dilution or microdilution broth method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of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Results: The MICs of moxifloxacin against Staphylococcus spp. and Enterococcus spp. were lower than those of ciprofloxacin. For penicillin-susceptible S. pneumoniae moxifloxacin showed 4 to 8-fold lower MIC than ciprofloxacin. All of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were susceptible to moxifloxacin (MICs 0.06-0.125 ㎍/㎖). except one strain (MIC 2 ㎍/㎖). The MICs of moxifloxacin against ciprofloxacin-susceptible.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were 4 to 8-fold lower than those of ciprofloxacin. Against E. coil. K. pneumoniae. and E. cloacae. MICs of ciprofloxacin were lower than those of moxifloxacin. Against P. aeruginosa, moxifloxacin was less active than ciprofloxacin. Moxifloxacin was 2 to 8-fold more active than ciprofloxacin against A. baumanii and S. maltophilia. Against H. influenzae. moxifloxacin (MIG_(90) ≤0.015㎍/㎖) was moxifloxacin was as active as ciprofloxacin. Conclusion: Moxifloxacin was more active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especially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Ciprofloxacin was more active against Enterobacteriaceae and P. aeniginosa. The continuous monitoring for the change of susceptibility of moxifloxacin against S. pneumoniae is needed after using moxifloxacin in Korea.

      • X-관련성 만성육아종성질환의 진단을 위한 PMA-activated NBT 검사

        김중곤,조한익,오흥범,김의종,최강원 대한감염학회 1996 감염 Vol.28 No.1

        목적 : Activated NBT 검사는 만성육아종성질환을 선별하는 검사이다. 활성제로 PMA를 사용하면 X-linked CGD의 경우 보인자를 감별할 수 있다. 방법 : CGD의 가족력을 부인하는 정상인 30명을 대상으로 PMA activated NBT 슬라이드 검사를 실시하여, 정상대조에서의 formazan 형성율을 보았으며, 동일 검사를 CGD가 강력히 의심되는 환자와 그 가족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 정상대조 30명 전원에서 98% 이상의 formazan 형성세포가 관찰되었다. 환자에게 실시한 결과 세환자 모두에서 0%의 결과를 보였다. 환자의 어머니에서는 각각 57, 70, 67%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세 환자는 X-관련성 만성육아종성질환이라는 진단을 내릴 수 있었다. PMA activated NBT 슬라이드 검사는 시행하기가 쉽고 재현성이 좋으므로, 어러 검사실에서 소아기 면역결핍증을 선별하는 검사의 하나로 시행되는게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Background :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CGD) is uncommon inherited disorder in which phagocytic cells fail to produce antimicrobial superoxide(O₂) due to NADPH oxidase deficiency. This disease can be easily screened by activated nitroblue tetrazolium(NBT) test. In case of X-linked CGD, carriers also can be detected. Methods : PMA(phorbol myristate acetate) activated NBT test was performed as previously described. Test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30 normal persons who denied family history mimicking CGD. Test was also applied to the three strongly suspected cases of CGD. Two of the cases were 12 year old boy and 7 year old boy, who suffered from many infectious diseases since 6 month old and 4 month old, respectively. The other remaining case was 22 year old man who suffered from many infectious diseases since 6 year old, but now relatively in health compared to the other two cases. Results : More than 98% formazan formation was observed in all normal controls. No formazan positive cell was shown in all of the three patients. However, applied to the mothers, the test revealed 57%, 70%, 67% positive cells, respectively. Conclusion:X-linked transmission of CGD could be determined with the results of PMA activated NBT slide test. This test can be easily performed. It would be better to do this test routinely as one of the tests for the screening of the immmunodeficiency syndrome in childhood.

      • Agrobacterium tumefaciens 를 이용한 高等學校 生物에서의 形質轉換實驗 model

        김정민,윤의수,김종균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5 과학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무균 배양한 담배 잎에 새로운 유전자가 도입되 토양 세균을 감염시켜 도입된 유전자가 발현된 새로운 형질 전환체를 얻어내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학생들이 생물 교과 실험에서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실험 Model을 작성하였다. 토양세균인 Agrobacterium tumefacines LBA4404W(pAL4404)에 E.coli pBI121이 가지고 있는 항 Km과 GUS활성 유전자 부분을 E.coli HB121(pRK2013)의 도움을 받아 도입시켜 새로운 균주인 Agrobacterium tumefacines LBA4404(pAL4404+pBI 121)을 만들어 냈다. 이 균주를 무균 배양한 Nicotiana tabacum cv. Wisconsin38.에 감염시켜 새로운 형질 전환체를 발현시키는 실험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BI121 유전자가 들어있는 Agrobacterium tumefacines LBA4404(pAL4404+pBI 121)에 감염된 담배 잎에서는 항생제인 Km이 첨가된 배지에서 새로운 형질 전환체가 왕성하게 발생되어 조직이 유리화된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pBI121유전자가 들어있지 않은 야생형의 Agrobacterium tumefacines LBA4404W (pAL4404)에 감염된 담배잎은 Km이 들어있는 배지에서 배양해 본 결과 형질전환체의 발생이 상당히 더디고 미미하였다. 이는 항 Km인자가 들어있는 pBI121에 감염되지 않았다는 증거이다. 3. GUS활성검사를 해 본 결과 pBI121 유전자가 들어있는 형질 전환체의 조직 은 전체가 파란 색으로 염색된 모습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이것은 GUS 활성인자가 포함된 pBI121이 들어있는 토양세균에 감염되었다는 증거이다. 4. pBI121유전자가 들어 있지 않은 형질전환체에서는 GUS활성 검사 결과 파란색으로 염색된 부분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아 GUS활성 인자를 갖고 있는 pBI121유전자가 들어 있는 토양세균에 감염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을 토대로 하여 고등학교 학생들이 생물 실험 시간에 직접 유전자를 도입하여 형질전환체를 배양해 내는 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험 모델을 작성하였다. 특히 학생 중심 탐구 학습 실험 모델과 과학 영재반 중심의 실험 모델을 제시하여 특별활동 시간 등을 활용한 학생 스스로의 실험 수행을 유도하여 그 동안 멀게만 느껴왔던 유전 분야와 조직 배양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흥미 그리고 자신감을 함양할 수 있게 하였다. 새롭게 개편될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유전학 및 조직 배양에 관한 분야가 보다 많이 다루어져 이 분야의 발전과 함께 더 나아가 유전학의 응용분야인 유전공학의 발전에 대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하여 본다. Gene transfer to Nicotiana tabcum was done by using the vector systems based on the bacterium Agrobacerium tumefacins. pBI121, containing kanamycin resistance gene and β-glucuronidase gene, was transferred to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w which contained pAL4404 plasmid by conjugation-proficient helper plasimd. pAL4404 plasmid has vir region whose functions are responsible for transfer and integration of T-DNA into the plant genome. And then Nicotiana tabcum was infected with A. tumefacins LBA4404. In recombinant selection procedures kanamycin resistant transformant plant cells were detected and they show β-glucuronidase activity. These indicated that pBI121 DNA was integrated into the plant genome.

      • 페넴계 항생제 faropenem의 주요 임상분리세균에 대한 항균력

        김재석,심영숙,김의종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4

        목적 : Faropenem에 대한 국내 임상 분리 균주의 감수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임상 환자에서 흔히 분리되는 통성 혐기성 세균을 대상으로 최소억제농도(MIC_)를 측정하였으며, 대조항생제로는 amoxicillin과 cefaclor를 사용하여 그 결과와 서로 비교하였다. 방법 : 시험 균종은 2000년과 2001년 서울대학교병원 임상병리과로 세균배양이 의뢰된 혈액, 객담, 소변 등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균주로서 임상환자에서 흔히 분리되는 통성 혐기성 세균 총 523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미국 임상검사표준화협회(NCCLS)에서 권장하는 방법에 따라 S. pneumoniae를 제외한 모든 균종은 한천희석법으로 MIC를 측정하였으며, S. pneumoniae는 microdilution broth법으로 MIC를 측정하였다. 결과 : Faropenem의 MIC는 전반적으로 비교약제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았다. E. coli, K. pneumoniae에 대한 MIC_(90)는 각각 1㎍/mL, 2㎍/mL이었으며, E. aerogenes, C. freundii, M. morganii는 4㎍/mL, E. cloacae는 8㎍/mL의 결과를 보였다. S. marcescens, A. baumanni의 MIC_(90)은 16㎍/mL, 32㎍/mL를 보였으며, P. aeruginosa와 S. maltophilia에서는 64㎍/mL 이상으로서 항균력이 없었다. S. aureus와 S. epidermidis에서는 메티실린 내성인 경우는 MIC_(90)이 64㎍/mL이상, 8㎍/mL이었다. 메티실린 감수성인 경우 0.125㎍/mL와 0.125㎍/mL이었다. E. faecalis와 E. faecium의 경우 MIC_(90)은 모두 64㎍/mL 이상을 보였으나, E. faecalis의 경우 MIC_(90)이 1㎍/mL로서 항생제 내성인 균주가 일부 포함되어 MIC_(90)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S. pneumoniae의 경우 MIC_(90)은 0.5㎍/mL이었다. 결론 : Faropenem은 E. coli, K. pneumoniae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대조항생제에 비해 faropenem의 Enterobacteriacae에 대한 항균력은 높았다. 앞으로 faropenem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경구용 제재로 사용할 경우 약력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of facultative anaerobic bacteria isolated from several kinds of specimens of patients were determined for the in vitro susceptibility against the new oral penem, faropenern and compared with MICs of amoxicillin and cefaclor in Korea. Methods : Total 523 strains isolated from blood, sputum, or urine of patien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2000 and 2001 were examined by agar dilution or microdilution broth method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of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Results : In general, the MICs of faropenem against major clinical isolates were lower than those of amoxicillin and cefaclor. MIC data showed that faropenern was active against Escherichia coli (MIC_(90)= 1㎍/mL) and Klebsiella pneumoniae (MIC_(90) = 2㎍/mL). The MICwS of Enterobacter aerogenes, Citrobacter freundii, Morganella morganii were 4 ㎍/mL. The MIC_(90)s of Enterobacter cloacae, Serratia marcescens, and Acinetobacter baumannii were relatively raised, 8 ㎍/mL, 16 ㎍/mL, and 32 ㎍/mL, respectively. Faropenem was not active against P. aeniginosa and S. maltophilia (MIC≥64 ㎍/mL). Although for MRSA MICs were high (MIC_(90)>64 ㎍/mL) compared with those for MRSE (MIC_(90) = 8 ㎍/mL), faropenern was active against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i (MIC_(90) = 0.125 ug/nmL). For Enterococcus faecalis and Enterococcus faecium, the MIC_(90)s were > 64 ㎍/mL. However, MICs of E. faecalis (MIC_(90) = 1 ㎍/mL) seems to be overestimated by including some resistant strains. The MIC_(90) of faropenern against S. pneumoniae was 0.5 ㎍/mL Conclusions : Faropenem was more active against E. coli, K. pneumoniae, and S. pneumoniae than reference drugs. The in vitro activity of faropenern was in many cases superior to those of amoxicillin and cefaclor. Pharmacokinetic study is needed, especially for the use of faropenern as an oral drug.

      • KCI등재
      • 企業 消費者專擔部署의 政策參與度에 관한 硏究

        金容子,金鍾義 淑明女子大學校 1988 論文集 Vol.28 N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find participation reality degree of business policy decision by 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 in business, (2) to investigate association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rticipation degree of business policy decision by 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 in business using selected variables. The data for this study 1were the sample of 110 businesses. Frequency, percentage, and chi-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samp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ing. It is very low participation degree of business policy decision by 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 in business. The association factors are: (1) If the goal of consumer affair department has to prevent consumer problems: (2) If the goal of the department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ducts through consumer input; (3) If the goal of the department has to promote selling; (4) If the head of the department has power to influence the present of the business; (5) If the characteristic of the department is to communicate with consumer or to protect the consumer; (6) If the president of the business has positive attitude toward consumerism; (7) If the members relating to business have positive attitude on consumerism; and (8) If the president of the business is interested in the work of the department. According to finding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unction of the department of consumer affairs is cosmetic mode in our country. The department should be involved in various business policy, because the department is very close to consumer and knows the consumer's problems, need, and des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