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천성 결손치에 관한 임상적 연구

        정해경,양연미,김재곤,백병주,정진우,김하나,김미아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2

        The congenital missing of teeth is common, which takes place since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re not allowed in that tooth bud fail to start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cidence rate, number, and missing part of congenital missing teeth, and to study whether a person who has missing teeth has other abnormality of teeth or not. For this study, 1,520 subjects(aged 2.9~17) who had visited pediatric dentist department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in 2 years were examined with an panoramic radiograph ; exempting third molar missing state.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1. 8.88% among total subjects show missing teeth ; male 9.05%, female 8.64% 2. The most frequently missing permanent teeth were the mandibular second premolars(22.3%). The most frequently missing primary teeth are mandibular lateral incisors(50%). 3. 43.3% patients have one permanent missing tooth, 34.3% have two, and 10.4% have more than six, respectively. In primary teeth, 86.7% patients have one missing tooth, and 13.3% have two missing teeth. 4. 18 patients(13.3%) have missing teeth as well as hyperdontia, while some patients have microdont, ectopic eruption, and fusion teeth. 치아의 선천성 결손은 치배의 발육이 시작되지 못하여 치아의 증식, 분화가 일어나지 못함으로서 발생하는 흔한 치아의 발육 이상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결손치의 발생률, 결손치의 수, 발생부위와 결손치 환자에게서 나타난 다른 치아이상의 발생여부를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전북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파노라마를 촬영한 1,520명의 환자(2.9~17세)를 대상으로 제 3 대구치를 제외한 선천성 결손치의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1,520명 중 총 8.88%에서 결손치가 관찰되었으며, 남자가 9.05%, 여자가 8.64%에서 결손치가 관찰되었다. 2. 총 350개의 영구 결손치 중 하악 제 2 소구치가 22.3%로 가장 발생률이 높았고, 하악 측절치, 상악 제 2 소구치, 하악 중절치, 상악 측절치 순이었다. 또한 총 18개의 유치 결손치 중 하악 유측절치가 가장 높은 발생률(50%)을 보였다. 3. 1개의 영구치 결손치를 가지는 환자는 43.3%, 2개는 34.3%, 3개는 6,7%, 4개는 1.5%, 5개는 3.7%, 6개 이상은 10.4%이었다. 또한 유치 결손치의 수는 1개는 86.7%, 2개는 13.3%이었다. 4. 결손치가 있는 환자 중 과잉치를 가지는 환자는 18명(13.3%)이 있었으며, 왜소치, 이소맹출, 융합치 등의 치아이상을 지닌 환자도 관찰되었다.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새만금 단벌기 목재에너지림 식재 포플러 묘목의 생육특성 및 바이오매스 생산량

        우수영 ( Su Young Woo ),이성한 ( Seong Han Lee ),제선미 ( Sun Mi Je ),곽명자 ( Myung Ja Kwak ),유하나 ( Ha Na You ),여진기 ( Jin Kie Yeo ),전병환 ( Byoung Hwan Cheo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새만금 간척지 배후도시용 유보용지를 이용하여 2012년에 조성된 포플러 단벌기 바이오매스 생산림을 대상으로 식재 시 대절처리에 따른 묘목의 생육특성과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성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식재 2년차 목재에너지림 포플러 묘목의 총 수고와 직경은 무대절처리구(347.8cm/19.5mm)와 1m 대절 처리구(324.5cm/18mm)에서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지제부 대절처리구(259.8cm/15.1mm)에서 가장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식재 이후 2년간 순수고생장량에 있어서는 1m 대절 처리구가 241.4cm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무대절 처리구(212.7cm) 및 지제부대절 처리구(181.6cm) 순으로 나타났다. 2년 동안의 지상부 목질계 바이오매스 생산량을 추산한 결과, 무대절 처리구(약 4.3ton/ha)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m 대절 처리구(약 4.0ton/ha) 및 지제부 대절 처리구(약 2.6ton/ha) 순으로 나타났다. 고사율의 경우 1m 대절 처리구가 약 10.0%로 무대절 처리구(26.2%) 및 지제부 대절 처리구(30.1%)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수관활력도 및 잎 피해도 역시 가장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합적으로 식재 후 2년 간 지상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총 생산량은 무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추산되었으나 간척지 환경을 고려한 적응지수는 1m 대절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 and wood biomass production for a short rotation coppice plantation with differently coppiced poplar established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in 2012. Total tree hight and DBH after two growing seasons were highest in non-coppiced plantation (347.8㎝/19.5㎜) followed by 1m hight-coppiced (324.5㎝/18㎜)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259.8㎝/15.1㎜). However, net growth of tree hight during the two growing seasons was highest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241.4㎝) followed by non-coppiced (212.7㎝)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181.6㎝). Above ground wood biomass production during the 2 years after plantation was estimated to be highest in non-coppiced plantation (about 4.3 ton/ha) followed by 1m hight-coppiced (about 4.0 ton/ha) and ground level-coppiced plantation (about 2.6 ton/ha). However,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survival rate, vitality of tree crown and degree of leaf injury was showed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Overall adaptability concerning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reclaimed land was also highest in 1m hight-coppiced plantation.

      • SCISCIESCOPUS
      • Preclinical evaluation of injectable sirolimus formulated with polymeric nanoparticle for cancer therapy

        Woo, Ha Na,Chung, Hye Kyung,Ju, Eun Jin,Jung, Joohee,Kang, Hye-Won,Lee, Sa-Won,Seo, Min-Hyo,Lee, Jin Seong,Lee, Jung Shin,Park, Heon Joo,Song, Si Yeol,Jeong, Seong-Yun,Choi, Eun Kyung Dove Medical Press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NANOMEDICINE Vol.7 No.-

        <P>Nanoparticles are useful delivery vehicles for promising drug candidates that face obstacles for clinical applicability. Sirolimus, an inhibitor of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has gained attention for targeted anticancer therapy, but its clinical application has been limited by its poor solubilit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nhance the feasibility of sirolimus for human cancer treatment. Polymeric nanoparticle (PNP)–sirolimus was developed as an injectable formulation and has been characteriz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Pharmacokinetic analysis revealed that PNP–sirolimus has prolonged circulation in the blood. In addition, PNP–sirolimus preserved the in vitro killing effect of free sirolimus against cancer cells, and intravenous administration displayed its potent in vivo anticancer efficacy in xenograft tumor mice. In addition, PNP–sirolimus enhanced the radiotherapeutic efficacy of sirolimus both in vitro and in vivo. Clinical application of PNP–sirolimus is a promising strategy for human cancer treatment.</P>

      • KCI등재

        해양칠게 혈림프로부터 렉틴의 분리 및 당 결합특성

        김하나(Ha Na Kim),정우혁(Woo Hyuk Chung),배찬영(Chan Hyung Bae),황광우(Kwang Woo Hwang),김하형(HaHyung Kim) 대한약학회 2006 약학회지 Vol.50 No.3

        A calcium-dependent sialic acid-binding lectin has been isolated by thyroglobulin-affinity chromatography from the coastal crab Macrophthalmus Japonicus. This lectin, Macrophthalmus Japonicus lectin (MJL), was eluted with 50mM Tris-HCl, 0.3M NaCl, 10mM EDTA, and the recovery yield from the crude protein extract was about 5.6%. The molecular weight of MJL was estimated as 65 kDa in SDS-PAGE both under reducing and non-reducing conditions. MJL induced an agglutination reaction in rabbit, rat, and mouse erythrocytes, but not in human ABO types. This activity was effectively inhibited by sialoglycoproteins such as fetuin, bovine submaxillary mucin, and thyroglobulin.

      • KCI등재

        활나물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우나리야(Na Ri Yah Woo),김태수(Tae Su Kim),박희운(Hee Woon Park),박춘근(Chun Geon Park),성하정(Ha Jeong Seong),고상범(Sang Beom Ko),정진우(Jin Woo Jung),강명화(Myung Hwa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9

        활나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잎, 줄기, 뿌리 및 종자의 부위별로 분리하여 methylen chloride와 ethanol 혼합용매에 의해 추출하였다. 활나물의 부위로 추출수율은 줄기 4.47%, 잎 3.95%, 종자 2.90%, 뿌리 2.67%의 순으로 줄기 부분의 추출수율이 가장 높았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잎 2.98, 뿌리 2.34, 종자 2.26, 줄기 2.11 ㎎/mL로 잎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SOD 유사활성은 잎 추출물의 활성이 86.27%로 가장 높았으며, 줄기와 뿌리 추출물은 각각 56.32, 50.29%이었으며, 종자 추출물은 경우 16.82%로 가장 낮았다. 잎, 줄기, 뿌리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보다 매우 높았다. 활나물 부위별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잎과 줄기 추출물에서 각각 16.87, 16.06%로 매우 높았으며, 뿌리 추출물과 종자 추출물이 각각 11.13, 9.31%로 tocopherol 9.28%보다 높았다. 활나물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hydroxy radical 소거활성은 잎 추출물에서 42.9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줄기, 종자, 뿌리 추출물은 각각 41.03, 37.80, 37.62%이었으며,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 32.38%이 가장 낮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종자 추출물의 hydrogen radical 소거능이 53.5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tocopherol의 53.81%와 비슷한 활성 수준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활나물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이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활나물은 천연항산화제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to develop the new functional food material by exploring natural antioxidant substances of Crotalaria sessiflora L. We compared antioxidative activity of potential antioxidant substances extracted from Crotalaria sessiflora L. The order of extract yield of Crotalaria sessiflora L. were stem>leaves> seed>root. Antioxidative activities of Crotalaria sessiflora L. were measured by total polyphenol contents, EDA (electron donating activity), SOD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hyd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ability. Total polyphenol acid content was much higher in leaves Ex than other extracts. And leaves Ex showed the most excellent antioxidative activity (86.27%) in terms of SOD-like activity. The EDA was ordered leaves Ex>stem Ex>seed Ex>root Ex. Hydroxy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the most effective in leaves Ex, and hydorogen peroxide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the highest in seed Ex. Therefore we could be certain that leaves Ex was the most effective in antioxidative activity from Crotalaria sessiflora 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