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췌장염에 의한 가성낭종내에 생긴 가성동맥류 : 1례 보고

        오연희,이채경,김승현,이성우,양창현,이정호,이영현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6 東國論集 Vol.15 No.-

        만성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동맥류는 드문질환으로, 반복적으로 다량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 사망율이 높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다. 저자들은 38세 남자 환자에서 췌장염의 합병증으로 생긴 가성낭종내에서 발생한 가성동맥류 1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성 동맥류의 색혈류도플러상 낭종내에 양방향 흐름의 와류를 볼 수 있었다. Pancreatic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1 Case Department of Diagnostic Radiology and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DongGuk University Yeon Hee OH M.D., Chae Kyeong Lee M.D., Seoung Hyeon Kim M.D., Sung Woo Lee M.D., Chang Heon Yang M.D., Jung Ho Lee M.D., Young Hyun Lee M.D. Pseudoaneurysm from pancreatitis is uncommon, but it can cause recurrent and massive hemorrhage. Because of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the pseudoaneurysm is needed. We report a case of pseudoaneurysm within pseudocyst from pancreatitis. Color-flow Doppler sonography shows bidirectional flow and turbulent arterial flow, within anechoic mass.

      • 기종성 신우신염 1례

        이재욱,구정태,서정일,양창헌,이정호,이동철,이영현,이활,이경섭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7 東國論集 Vol.16 No.1

        기종성 신우신염은 주로 당뇨병환자나 폐쇄성 요로질환을 가진 환자에 발생하며 특징적으로 신실질 및 그 주위조직에 가스를 형성하면서 심한 조직괴사를 일으키는 매우 드문 급성 화농성 신감염으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이 질환은 1989년 Kelly와 MacCallum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래 외국문헌에 약 90례 정도가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28례가 보고되어 있다. 수액 및 전해질 보충, 인슐린 투여를 통한 적절한 혈당조절 및 항생제 투여등의 내과적 치료와 절개배농 및 신적출술등의 수술적 치료 방법이 있다. 내과적 치료로 가스의 감소가 없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야하므로 이 가스변화에 대한 추적관찰이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저자들은 당뇨병환자에서 발생한 기종성 신우신염 1례를 내과적 요법을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is rare, life-threatening infection of the renal parenchyma and perirenal tisseue. Thi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the production of intrarenal and perirenal gas and is frequently encountered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or urinary obstruc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emphysematouse pyelonephritis in a 62 years old women with poorly controlled diabetes mellitus who had been managed with medical theraphy. So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ferenced literatures.

      • SCIEKCI등재

        Predicting postoperative total calcium requirements after parathyroidectomy in secondary hyperparathyroidism

        ( Byung Heon Kang ),( Soon Young Hwang ),( Jeong Yeop Kim ),( Yu Ah Hong ),( Mi Yeon Jung ),( Eun Ah Lee ),( Ji Eun Lee3 ),( Jae Bok Lee ),( Gang Jee Ko ),( Heui Jung Pyo ),( Young Joo Kwon ) 대한내과학회 2015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30 No.6

        Background/Aims: To prevent hypocalcemia after parathyroidectomy (PTX), parenteral calcium is required in addition to oral calcitriol and calcium. After switching to oral calcium, patients can b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of PTX performed at a single Korean center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ed laboratory factors used to analyze the total amount of postoperative calcium required. Methods: We enrolled 91 hemodialysis patients undergoing PTX from November 2003 to December 2011. We collected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preoperatively, 12 and 48 hours postoperatively, at discharge, and 3 and 6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In total, 59 patients underwent PTX with autotransplantation (AT), 6 underwent total PTX without AT, 11 underwent subtotal PTX, and 15 underwent limited PTX. Total PTX without AT showed the lowest recurrence rate. At all postoperative time points, the mean levels of serum calcium, phosphorus, and intact parathyroid hormone (iPTH)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preoperative levels; however, alkaline phosphatase (ALP)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8 hours postoperatively to discharge (p < 0.001).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total amount of injected calcium during hospitaliza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reoperative ALP (p < 0.001), preoperative iPTH (p = 0.037), and Δphosphorus at 48 hours (p < 0.001). We developed an equation for estimating the total calcium requirement after PTX. Conclusions: Preoperative ALP, preoperative iPTH, and Δphosphorus at 48 hours may be significant factors in estimating the postoperative calcium requirement. The formula for postoperative calcium requirement after PTX may help to predict the duration of postoperative hospitalization.

      • 위의 유암종과 선종의 병발 1례

        장재식,강혁주,이중현,서영범,윤병구,김용섭,이구,서정일,양창헌,이창우,김정란,윤환중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0 東國醫學 Vol.7 No.-

        유암종은 전신에 퍼져 잇는 장크롬친화성 세포에서 기원하는데 위의 유암종은 비교적 드문 질환으로 모든 유암종의 1.9~2.2%에 해당하며 위에 발생하는 종양의 1% 미만에서 보고되고 있다. 유암종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면역조직화학검사에 의해서 진단되기 때문에 과거에는 드물게 발견되었으나 최근 내시경 기기 및 술기의 발전과 검사 빈도의 증가 및 면역조직화학검사의 발달로 진단율이 증가 추세에 있으며, 드물지만 유암종에서 선암과 공존하는 예들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심와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한 70세 남자 환자의 상부위장관내시경 검사에서 위체상부의 대만곡에서 0.4×0.4 cm 크기의 중간 함몰을 가진 Yamada 1형의 용종과 함께 전정부의 전벽에서 0.8×0.5 cm 크기의 융기된 점막 소견을 보여 조직학적으로 각각 위유암종 및 위선종임을 확진한 후 내시경적 용종 절제술로 치료한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Carcinoid tumors are arisen from enterochromaffin cells, which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body. These tumors are composed of variable numbers of cells that contain endocrine granules in their cytoplasm, which can be identified by immunohis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Gastric carcinoid tumors are relatively rare tumor, the reported incidence being 1.9~2.2% of all carcinoid tumors and less than 1% of all gastric tumors. Sometimes, composite carcinoid tumors and adenocarcinoma is reported. We experienced a case of the coincidence of carcinoid tumor and adenoma at the other site of the stomach in a 70 year old male patient. Gastrofiberscope showed 0.4×0.4 cm sized Yamada type I polyp with central depression on the greater curvature of the proximal body and 0.8×0.5 cm sized focal slightly elevated mucosa on the anterior wall of the antrum. The endoscopic biopsy specimens revealed carcinoid tumor and tubular adenoma with moderate atypism, respectively. The carcinoid tumor and adenoma were removed by endoscopic polypectomy. According to the follow-up gastrofiberoscopy after 7 month later, both lesions were nearly normal mucosa except whitish atrophic change after polypectomy.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치험한 식도 과립상 세포종 1례

        강혁주,김성욱,최석진,이중현,장재식,서영범,윤병구,박건욱,김성자,김용섭,강승완,이구,양창헌,이창우,김욱년,이광헌,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과립상 세포종은 Schwann 세포 기원으로 생각되며 인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과립상 세포종은 전신 어느 곳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주로 혀, 구강, 피부 혹은 유방 등에서 호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위장관에서는 식도에서 가장 호발하며 다음으로 위, 대장 순이다. 과립상 세포종은 대부분, 특히 위장관에서는 양성이며 소수의 악성 병변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수술 전의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립상 세포종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이다. 최근에 시도되는 치료방법들로는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용종절제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과립상 세포종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재발없이 경과 관찰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s, which occur infrequently, are probably of Schwann cell origin. They can occur almost anywhere in the body but usually affect the tongue, oral cavity, skin, or breasts and are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The esophagus i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ite, followed by the stomach and the colon. Granular cell tumors are generally benign, especi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ome malignant lesions have been reported. For this reason, and also becaus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the standard treatment for granular cell tumor has until now been surgical excision. In recent years, other therapeutic methods is endoscopic laser therapy (ELT), polypectiom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 which was diagnosed by an endoscopy and managed us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 KCI등재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 위치와 중합광원에 따른 Microtensile Bond Strength 비교 연구

        이현헌,장철호,김영재,김정욱,장기택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1

        이번 실험에서는 중합수축 응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유구치 I급 와동에서 와동벽의 위치와 중합광원의 변화에 의해 다르게 나타나는 응력의 차이를 microtensile bond strength (MTBS)를 이용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교합면 법랑질을 제거한 하악 제 2유구치 30개를 준비하여 I급 와동을 형성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3가지 중합광원: 할로겐 램프, 플라즈마,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10개씩 광중합하였다. 복합레진을 한꺼번에 충전 후 각각의 중합기로 광중합하였다. 동일 치아에서 각각 치수벽과 축벽의 MTBS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고 각 군을 중합광원과 와동벽 위치에 따라 할로겐 램프-축군, 할로겐 램프-치수벽군, 플라즈마-축벽군, 플라즈마-치수벽군, 발광다이오드-축벽군, 발광다이오드-치수벽군의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만능시험기에서 MTBS를 측정하고 파절편과 와동의 단면을 S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동일 중합광원에서 와동벽 간 비교는 T-test, 동일 와동벽에서 중합광원 간 비교는 One-way ANOVA와 Tukey's post hoc test를 이용하였고 Weibull 분포분석을 하였다. 동일 중합광원 군간 비교에서 모두 치수벽 시편의 접착강도가 축벽 시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 동일 와동벽 군간 비교에서 모두 중합광원에 따른 접착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축벽 시편이 치수벽 시편보다 낮은 Weibull 변수(m)를 나타내었고 SEM 관찰 결과 축벽 시편에서 보다 더 불균일한 접착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different kinds of curing lights can alter microtensile bond strength(MTBS) of class I cavity pulpal and axial wall specimens in primary molar. Thirty clean mandibular 2nd primary molar's occlusal enamel were removed and class I cavity, size of 2×4×2 mm was prepared. Dentin bonding agent was applied according to manufacturer' s manual. Each group was cured with Halogen Curing Unit, Plasma Curing Unit and LED Curing Unit. Composite resin was bulk filled and photo cured with same curing unit. MTBS specimens which size is 0.7×0.7×4 mm were prepared with low speed saw. Specimens were coded by their curing lights and wall positions (Halogen - Axial wall group, Halogen - Pulpal wall group, Plasma - Axial wall group, Plasma - Pulpal wall group, LED - Axial wall group, LED - Pulpal wall group). MTBS were tested at 1 mm/min cross Head spe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Fractured surface and bonding surface was observed with SEM. T-test between axial and pulpal specimens in each curing lights, one-way ANOVA among different curing light specimens in each wall positions were done. Weibull distribution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ean MTBS of pulpal wall specimen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axial wall specimens at each curing units(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TBS among three curing units at axial wall and pulpal wall. In Weibull distribution, pulpal wall specimens were more homogeneous than axial wall specimens.

      • XML 문성의 효율적인 미세 접근 제어 시스템을 위한 명시적 접근 권한 트리 생성 기법

        이헌길,강정모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3 産業技術硏究 Vol.23 No.A

        차세대 웹 문서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는 XML은 전자 상거래나 병원 관리 등과 같이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 분야는 XML 문서의 각 구성 요소 수준의 세밀한 액서스 제어를 요구한다. 따라서, 현재 XML 문서의 미세 접근 제어 기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제안된 XML 문서를 위한 미세 접근 제어 기법은 대부분 묵시적 권한 기법을 사용하여 상위 구성요소에 한번의 권한 부여로 하위 노드에 권한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지는 장점을 가지나. 각 구성 요소간의 권한을 체크하는 시간 오버헤드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권한을 체크하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XML 문서의 미세 접근 제어를 위한 명시적 권한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노드의 권한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접근 권한 트리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접근 권한 트리 모델을 사용하면, 권한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 오버헤드가 있지만, 권한 체크 시간을 감소시켜 사용자에게 보다 빠른 뷰를 제공할 수 있다.

      • 회복 에이전트 기반 결함 포용 시스템

        이화민,정순영,유헌창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2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5 No.2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결합 포용 기법에 멀티 에이전트의 개념을 도입하여 운영체제에 독립적인 에이전트틀 이용한 회복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복귀회복기법들은 운영체제의 관리하에서 결함 발생 시 회복에 관련된 동기화를 수행하는데, 이는 전체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의 회복을 담당할 회복 에이전트, 결함 포용 규칙과 정보를 유지 · 관리하는 정보 에이전트, 전체 에이전트간의 통신 기능을 담당할 조정 에이전트를 정의 및 설계하고 회복 에이전트를 이용한 회복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그리고 코바 환경에서 자바와 에이전트 통신 언어를 이용하여 제안한 회복 알고리즘을 실험하였다. 분산 컴퓨팅 시스템에서 회복 에이전트의 도입은 결함 발생 프로세스의 결합 회복 작업을 어플리케이션 계층과 독립적인 별도의 계층으로 계층화하여 결함 포용을 위한 메카니즘의 이식성증대 및 확장성 증대를 가져온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approach to rollback-recovery using multi-agent i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Previous rollback-recovery protocols are dependent on inherent communication and operating system, which causes a decline of computing performance i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By using multi-agent, we propose rollback-recovery protocol that is independent on operating system. We define three kinds of agent. One is a recovery agent that performs rollback-recovery protocol after a failure. Other is an information agent that constructs domain knowledge as a rule of fault tolerance and information during failure-free operation. The other is facilitator agent that controls the efficient communication between agents. Also we propose rollback-recovery protocol using multi-agent and simulated the proposed rollback-recovery protocol using JAVA and agent communication language in CORBA environment.

      • KCI등재

        급성심근경색증의 조기진단에 있어서 Myoglobin의 진단적 의의

        이정헌,김종근,정병천,서강석,박정배,조용근,류재근,전재은,채성철,박의현 大韓應急醫學會 1999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0 No.2

        Background: Exact and early dia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essential for the subsequent routine management of this frequent cardiovascular disease. Currently, AMI has been diagnosed using the combination of the history, electrocardiogram(ECG), and biochemical markers of myocardial necrosis. At present, many biochemical markers are used to diagnose AMI. In this study, the predictive values of serum myoglobin and creatine kinase-MB(CK-MB) were compar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Fifty-four consecutive patients who presented within 12 hours from onset of chest pain of presumed cardiac origin were enrolled into the study. Patients with trauma or renal failure were excluded. The serial serum myoglobin and CK-MB levels were obtained prospectively at admission and 2, 4, 6, 12, 24 and 48 hours after admission. We compare the levels of serum myoglobin and CK-MB within 2, 4, 6, 8, 10, 12, 24, and 48 hours after symptom onset respectively. And we compare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myoglobin and CK-MB. Results: using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a, 28 AMI patients were identified. Mean time from symptom onset to presentation was 4.1±1.3 hours. The predictive values of serum myoglobin were better than those of CK-MB within 6 hours after symptom onset. But, 6 hours after symptom onset, the predictive values of CK-MB were better than those of serum myoglobin. The false positive cases of serum myoglobin were 3-one was lung cancer with pleural effusion and the others were unstable angina. The false positive cases of CK-MB were 6-one case was viral myocarditis and the ohters were unstable angina. Conclusion: To compare the serum myoglobin and CK-MB in the diagnosis of AMI, serum myoglobin had better predictive values than CK-MB within 6 hours after symptom onset and useful in the early diagnosis of AMI. But, 6 hours after symptom onset, CK-MB had better predictive values than serum myoglobin and useful in following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