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상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14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41 No.1
대한소아치과학회 주관으로 제 24회 세계소아치과학회가 2013년 6월 12일~15일 서울 코엑스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다. 이번 학술대회의 주제는“New visions in Pediatric Dentistry”로 세계 67개국에서 1,855명이 참석하여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하는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85명의 연자가 초청되었으며 일반 연재도 700여편이 발표되어 학술적으로도 풍성한수확을 거두었다. 이번 대회는 한국의 지리적 여건과 북한의 미사일 발사 위협에 따른 좋지 못한 여건에서도 943명의 외국인인 참석하여, 그동안의 한국 소아치과학회의 국제무대에서의 높은 위상을 보여주었다. 또한 저개발 국가에서도 100여명이 참석하여 국가간소아치과의사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참석자들은 그 양과 질 면에서 학술프로그램을 매우 높게 평가하였다. 이와함께 각종 사교행사에도 많이 참석하여 한국의 따뜻한 환대와 전통과 현대가 아우러진 문화, 그리고 음식을 마음껏 즐겼다. 대한소아치과학회는 이번 세계학회를 통해 우리 학회의 높은 학문적, 임상적 수준, 유구한 전통, 탄탄한 조직력을 세계에알리게 되었다. 이번 세계학회의 성과가 여기서 끝나지 않고 이를 통하여 앞으로 우리 회원, 교수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국제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hosted the 24th IAPD Congress in Seoul, Korea on June 12-15,2013. The main theme of the congress was the“ New visions in Pediatric Dentistry”A total number of 1,855 participants, including exhibitors and press from 67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24th IAPD Congress. The scientific program consists of 85 invited lectures, 126 oral presentations, and 553poster presentations. 46 companies and organizations have supported and participated in Seoul IAPD Congress. Overall the congress was a success in terms of high attendance rate from 67 countries over the world. Considering the fact that Korea is located in the far-east, the number of overseas delegates(943) are remarkable. Also it is desirable to have over 100 delegates from developing countries which eventually aim tocollaborate worldwide. The scientific program covered a variety of topics and many of the delegates stayed in the session room untilthe last day of the congress. Although it could have been more beneficial to allot more time for each speaker todiscuss further, the program fit the Congress theme“ New Visions for Paediatric Dentistry”. All social event tickets were sold out early and it attracted participants with interesting program enablingparticipants to interact and exchange ideas outside of the meeting.
최근 8년간(2001-2008)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진료현황 및 수익분포 변화에 대한 조사
손유진,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7 No.1
The practice pattern of pediatric dentistry in the university dental hospital has been changing for the last several decades, due to socioeconomic changes, developments in dental materials and increasing number of private pediatric dental clin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nging patterns of pediatric dental treatment in th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for pediatric dentistry. Patient distribution and practice trends were reviewed based on the 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records of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2001 to 2008.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tients increased up to 2005 and decreased in 2006, and has remained constant up to 2008. 2. The proportion of preventive and orthodontic treatment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restorative and pulpal treatment decreased. 3. In restorative treatment, amalgam restoration decreased and resin restoration increased. 4. Frequency of sedation decreased in 2006, 2007 and increased in 2008. 5. Frequency of general anesthesia increased up to 2008. 소아치과 전문 지역 의원의 증가, 소아치과에 대한 보호자의 인식 변화, 치의학의 발전, 소아치과 진료 범주의 확대 등에 의해 최근 소아치과의 진료 양상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대학병원 소아치과 및 소아치과 전문 지역 의원의 진료분담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1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모든 초진 및 재진 환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종합의료정보시스템(OCS)을 통하여 1년간의 외래환자집계 및 수가코드별 진료 행위 건수 및 수익 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내원환자의 수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대체로 증가하다 2006년에 감소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2006년도와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2. 2001년에는 예방치료가 6.84%, 수복치료가 49.96%, 치수치료가 9.64%, 외과치료가 10.78%, 교정치료가 22.78%를 차지하였으나, 2008년에는 예방치료가 15.40%, 수복치료가 28.97%, 치수치료가 3.28%, 외과치료가 14.83%, 교정치료가 37.52%를 차지하여 수복치료와 치수치료의 비율은 감소하고 예방치료와 교정치료는 증가하였다. 3. 수복치료의 비율에 있어서 아말감과 글라스 아이오노머 수복 및 기성금관수복의 비율은 감소하였고, 레진의 비율은 증가하였다. 4. 진정요법하 치과치료는 2005년까지 증가하다 2006년, 2007년에는 감소하였고, 2008년에 다시 증가하였다. 5. 전신마취하 치과치료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어린이의 치과치료시 약물에 의한 진정요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안소연,최병재,곽지윤,강정완,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2 No.3
진정요법은 소아치과에서 사용하는 보상, 속박, 체계적 탈감작법(말-시범-시행), 친밀감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는 환자의 반응이 개선되지 않아 일반적인 치과치료가 불가능할 때 사용하는 행동조절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진정요법을 이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그 기준이나 방법들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미국소아치과학회의 진정요법에 관한 기준이 있기는 하지만 국내의 상황이 미국과 다르므로 한국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소아치과에서의 진정요법 현황에 대한 실태를 조사, 그 결과를 정리하여 향후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진정요법에 대한 임상 기준을 정하는데 기여하고자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73명을 대상으로 진정요법 사용 실태에 관한 설문지를 발송하여 이 중 회신을 한 220명의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응답자의 약 66%가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진정요법에 관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볼 때, 국내 소아치과에서 진정요법의 사용빈도가 증가하였다. 2. 진정요법으로 치료를 결정 하게 된 요인은 행동조절, 치료내용과 양, 보호자의 요구, 내원횟수, 전신질환의 순서이었다. 3. 진정요법으로 치료받는 환자의 연령은 만 3세가 가장 많았고, 만 4-5세, 만 2세 미만, 만 6-10세, 만 10세 이상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4. 진정요법 시 chloral hydrate는 60-70mg/kg, hydroxyzine은 10-40mg/kg(25mg/kg)을 사용하고 있었고, 경구 투여가 가장 선호하는 약물투여 경로였다. 5. 진정요법 시 사용하는 환자감시 방법은 피부나 손톱색 둥의 관찰을 포함한 환자 평가와 맥박 산소측정기(pulse oximeter)를 통한 환자감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진정요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약 56%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Sometimes the dentists encounter a child who can not be treated with traditional behavior management techniques (for example, reward, restraint, Tell-Show-Do, familialization). In such a case, the dentists use sedation technique. Recently, in Korea, the use of sedation by pediatric dentists is increased. But, the guideline and survey of sedation is very insufficient. Now, we need a survey of sedation practice in Korea. We carried out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bout sedation with a questionaire to pediatric dentists in Korea.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s 1. Six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use sedative agents in their practice. In this study, using sedation shows an increase as compared with the past. 2. Determinative factors of using sedation were orderly behavior management, number of visiting, guidian's opinion, amount of treatment, general condition. 3. Distribution of ages in patients sedated with agents was orderly 3 years, 4-5 years, under 2 years, 6-10 years, more than 10 years. 4. Particular sedative drugs were chloral hydrate 60-70mg/kg, hydroxyzine 10-40mg/kg(25mg/kg), and oral route was the most favorable route. 5. Observation of skin and nail color, pulse oximeter were the most frequently utillized monitoring method during sedation. 6. Only fifty six percent of pediatric dentists comple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urse.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개념과 응용 : CONCEPTS AND APPLICATIONS
이광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6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3 No.2
연구 목적은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응용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정의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치과 진료에서 최고의 과학적 연구근거를 소아치과의사의 임상 기술, 그리고 어린이 환자 및 그 보육자의 가치와 통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실행 방법을 조사하였고,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최신 결론을 선별하여 주제별로 정리하였으며, 근거중심 소아치과학 연구의 기본이 되는 체계적 고찰과 임상진료지침의 연구방법을 분석하고, 개별 연구 방법으로서 무작위 대조 시험 등을 조사하였다.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이 발전하기 위한 기본 방향으로서,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공감대 형성, 근거중심 소아치과학의 방법에 대한 교육, 소아치과학 문헌의 전산화, 체계적 고찰과 임상진료지침의 지속적 연구 개발 및 보급, 우리나라 소아치과학 근거의 생성, 소아치과 진료환경의 사회적 요인 개선 등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an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methods of it. The difinition of the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was suggested as 'the integration of the best scientific research evidence with the professional expertise of pediatric dentist and the value of pediatric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in dental practice for the child and adolescent'. The methods of practising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were investigated, the recent conclusions of the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were summarized by topics, the research methods of systemic review and clinical prctice guidlines were analyzed, and the individual research methods a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re investigated. The author proposed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and consensus of the necessity of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education about the evidence-based pediatric dentistry, computerization of all published articles of Korean pediatrtic dentistry, continuing research and popularization of systemic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guidlines, production of Korea's own evidences of pediatric dentistry, and the improvement of soical environment of pediatric practice.
소아치과 전문의 인력 현황 및 공급 적정성에 관한 연구 – 급여 진료 항목을 기준으로
임여원,채용권,이고은,남옥형,이효설,최성철,김미선 대한소아치과학회 2023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50 No.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evaluate the adequacy of pediatric dentist supply and demand, and find out the perception of all pediatric dentists on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and policy establishment.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pediatric dentists. The questionnaire was subdivid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number of dental treatments and working days per year’, ‘proportion of covered services’, ‘perceptions of supply and demand of pediatric dentists’. Through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and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current state of pediatric dentists, the number of claims for covered services, and the decrease in births per year were investigated. Dental clinics claiming to be pediatric dentistry reached half of all medical institutions, but only 3.78% of pediatric dentists actually worked. 61.36% of all pediatric dentists we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showing a national imbalance. Although the popul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ave continuously decreased over the past 20 years, the number of NHIS-covered services has shown a continuous increase. Over the past 10 years, the optimal supply of pediatric dentists has been maintained at around 4,000. According to the analysis, 92.15% of pediatric dentist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and support measures at the government lev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demand estimation method for pediatric dentistry specialist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치과 전문의 인력 현황을 파악하고 만 19세 미만 환자의 연간 치과 이용량과 소아치과의사의 진료 생산성을 바탕으로 소아치과 전문의 인력 공급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며 향후 정책 수립을 위한 의견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소아치과의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적인 특성’, ‘연간 진료 횟수 및 근무 일수’, ‘급여진료 비율’, ‘전문의 수급 인식’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대한소아치과학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통계포털을 통해 소아치과의사 현황 및 진료 청구 횟수, 연간 출생아 수 감소 등을 조사하였다. 진료과목을 소아치과로 표방하는 치과는 전체 의료기관의 절반에 달했지만 실제 소아치과 의사가 근무하는 곳은 3.78%에 불과했다. 전체 소아치과의사의 61.36%가 수도권에 집중된 지역적 불균형을 보였다. 지난 20년 동안 소아청소년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했지만, 급여 진료 청구 횟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소아치과 전문의 적정 공급량은 4,000명 내외로 유지되었다. 소아치과 의사의 92.15%가 정부 차원의 정책 마련과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가 향후 소아치과 전문의 수요예측 방법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채종균,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영재 대한소아치과학회 2020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47 No.1
The number of pediatric dental clinic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dentistry and changes in public awareness of professional dental care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us of pediatric dental clinics in Korea in several respects, including regional distribution. There were 343 pediatric dental clinics (1.91%) among 17,917 dental clinics in Korea. 248 out of 343 private practitioners were board certified pediatric dentists. Of 248 board certified pediatric dentists, 25 displayed the specialty in their clinics’ name. Gyeonggi occupied largest share of the total pediatric dental clinics in Korea, followed by Seoul and Busan. Gangnam-gu occupied largest share of the total pediatric dental clinics in Seoul. Out of all pediatric dental clinics in Korea, 78.7% was run by only one dentist. 90.9% of pediatric dental clinics didn’t do night clinic on weekdays and 26.5% was open until after 15:00 on Saturday. 1956년 한국에 처음 소아치과학교실이 창설되었고, 1992년 한국 최초의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등장하였다. 치의학의 발전과 소아치과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로 인해 소아전문 치과의원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분포를 포함한 여러 측면에서 한국의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현황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에 17,917개의 치과의원 중 소아전문 치과의원은 343개이고, 1.91%를 차지하였다. 343명의 소아전문 치과의원 개원의 중 248 명이 소아치과 전문의였다. 소아치과 전문의 248명 중 25명이 전문의를 표방하여 개원하고 있었다. 16개의 시도 중 경기도에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가장 많았고, 33.5%를 차지하였다. 서울과 부산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의 25개 구 중에서는 강남구에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가장 많았고, 유소년 10만명당 소아전문 치과의원 수도 강남구에서 제일 높았다.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90.9%는 평일 야간진료를하지 않았고, 26.5%는 토요일에 15시 이후에 문을 닫았다.
국민건강보험에 대한 소아치과 의사들의 요구와 인식 조사
김윤형,채용권,이고은,김미선,남옥형,최성철,이효설 대한소아치과학회 2022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49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perception of pediatric dentists regarding dental health insurance (DHI) system in Korea. Online surveys were sent to the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KAPD), and the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survey, consisting of 41 questions, was subdivided into ‘general background of the respondents’, ‘the awareness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and DHI’, ‘the awareness on DHI pertaining to pediatric dentistry’, ‘issues that need improvement on DHI pertaining to pediatric dentistry’, ‘DHI claims’, and ‘the roles of KAPD in DHI’. In total, 302 responded, with a response rate of 28.9%. Excluding 2 questionnaires with insufficient answers, a total of 300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ediatric dentists thought that the coverage of DHI was not as sufficient compared to that of NHI, but were expecting its scope to broaden in the future. The satisfaction rate was higher in pit and fissure sealant and composite resin filling than in caries-detect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Pediatric dentists considered permanent tooth composite resin filling (65.7%) needed an increase in insurance copayment, while topical fluoride application (74.7%) to require insurance coverage. DHI claims were generally handled by dental hygienists and/or nursing assistants. Approximately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have had experiences on appealing for insurance denials. Lastly, pediatric dentists generally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s providing information for the DHI.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sound dataset for the DHI policy development concerning pediatric dentistry. 이 연구의 목적은 치과건강보험에 대한 소아치과 의사의 인식과 견해를 조사하는 것이다.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문항 수는 41문항이며, 문항은 6개의 항목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 ‘국민건강 보험과 치과건강보험’, ‘소아치과 영역의 치과건강보험’, ‘소아치과와 관련된 치과건강보험 제도 개선점’, ‘치과건강보험청구’, ‘치과건강보험과 관련한 대한소아치과학회 역할’으로 이루어졌다. 총 302명이 응답하였고, 응답률은 28.9%였다. 기록이 미비한 2명을 제외하고, 총 300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소아치과 의사들은 치면열구전색술, 광중합형 복합레진 충전에 정량광형광기 치아우식검사에 비해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p < 0.017). 소아치과 의사들은 보험수가 인상이 가장 필요한 항목은 영구치 복합레진 충전(65.7%), 보험급여가 가장 필요한 항목은 불소도포(74.7%)라 생각하였다. 치과건강보험 청구는 대체로 치과위생사 또는 간호조무사가 담당하였다. 소아치과 의사들은 학회에서 치과건강보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소아치과 영역 치과건강보험제도의 정책적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 내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의뢰 현황
주기훈,이제호,송제선,이효설 大韓小兒齒科學會 2014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4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협진 의뢰 현황에 대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소아치과로 의뢰되는전신질환 환자 실태를 파악하는 것이다. 2012년 한 해 동안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병원에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소아환자 중소아치과에 의뢰되어 실제 진료를 받았으며 그 기록이 온전한 391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전신질환명, 협진의뢰과, 협진주소, 치과적 진단명, 치과적 치료 내용, 사망여부로 분류하여 통계 분석하였으며 환자 정보의 수집은 연세의료원의 Clinical Data Retrieval System을 이용하였다. 총 288명의 환자(M:F=166:122)가 소아치과로 의뢰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5.9세였다. 재활의학과에서 129건(33.1%), 소아혈액종양내과에서 80건(20.5%), 소아심장과에서 51건(13.0%), 소아신경과에서 44건(11.3%)이 의뢰되었다. 협진주소는 기본 구강검진(156cases, 39.7%), 치아우식증(55cases, 14.0%), 수술 전 검진(50cases, 12.8%)순으로 많았으며 이 외에도 구강통증, 외상, 치아동요도, 교정치료, 자해로 인한 외상, obturator 제작 등 다양한 주소로 의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협진 의뢰된 환자의 절반 가량은 특별한 치료없이 구강검사만을 시행하였으며(193건, 49%), 보존치료 및 예방치료는 각각 63건, 60건으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신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의 소아치과 의뢰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구강검진을 포함한 다양한 주소로 의뢰됨이 확인되었으며 재활의학과 및 소아혈액종양내과에서 가장 많은 의뢰가 이루어졌다. 의뢰된 환자의 치과적 진단명은 치아우식증이 가장 많았고이에 대한 비침습적이고 예방적 치과치료가 주로 이루어졌다. 입원환자의 전신건강관리와도 밀접한 구강질환 예방 및 처치를위하여 치과협진이 독려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의사 및 보호자의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dental consultation of pediatric inpatients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dentistry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391 dental consultations at Yonsei University SeveranceHospital referred to pediatric dentistry in the year 201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Consultations were categorizedaccording to patients’gender, age, chief complaint, referred department and diagnosis. 288 patients (166males and 122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5.9 were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129cases (33.1%) from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80 cases (20.5%) from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51 cases (13.0%) from Pediatric Cardiology, and 44 cases (11.3%) from Pediatric Neurology. Chiefcomplaints were ranked from oral examination (39.7%), dental caries (14.0%), pre-operative evaluation(12.8%) and others (33.5%); including oral pain, trauma, tooth mobility, orthodontic treatment, self-injury,fabrication of obturator and etc. Dental consultations should be encouraged as dental care and treatment couldaffect the control of systemic diseases of admitted patients. Pediatric inpatients have been referred to pediatricdentistry for not only comprehensive oral exam but also various chief complaints. The most frequent dental diagnosismade and treatment performed were dental caries and non-invasive/preventive care respectively.
김성희,김영종,김신,정태성 大韓小兒齒科學會 2012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9 No.3
유아기에서의 적절한 우식 치료는 장기간의 향상된 구강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치아 우식증, 외상 또는 발육성 결함 존재시 유전치의 수복치료가 필요하며 기능과 심미, 발음 면에서 올바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여 러 가능한 수복 방법 및 재료 선택에 있어 적절한 술식을 선택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치과의사마다 치료 결정 여부 및 술식 선택에 있어 다양한 기준을 갖고 있다. 본 연구 조사는 유전치 우식 치료와 관련하여 소아치과 의사와 일반치과 의사를 대상으로 치료 결정 여부 및 수복 방법, 그 리고 재료 선택을 알아보고자 설문 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기 우식 치료에 있어서 소아치과 의사는 예방 치료의 빈도가 높은데에 비해, 일반치과 의사는 수복치료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2. 수복재의 선택 기준으로는 양군 모두에서 조작성을 가장 높게 꼽았다. 3. 전치부 심미 수복의 경우 소아치과 의사는 전부 피개법을, 일반 치과의사는 일부 수복법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았다. 4. 상아질 우식을 보이는 치아를 치료하지 않는 잔여수명에 관하여, 소아치과의사는 평균 2.0년, 일반 치과의사는 1.2년을 기준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생리적 치근 흡수를 보이는 치아에 대한 수복치료에 있어서, 소아치과 의사는 치근 흡수가 없거나 치근 길이가 67.6 ± 10.9% 이상 남은 경우, 일반 치과의사는 치근 길이가 62.2 ± 10.0% 이상 남은 경우에 치료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상아질 우식증을 가진 만 1세 유아에 대하여, 소아치과 의사의 84%, 일반치과 의사의 52%가 예방치료를 먼저 시행하 였으며, 일반치과 의사의 41%는 소아치과로 의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ildren usually have varying degree of caries in primary anterior teeth, and treatment planning for each case prescribed by each dentist can also be varied.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eferred treatment method and restorative materials between general dentists and pediatric dentists in regard to the treatment of primary incisors. The questionnaires, composed of 18 questions were sent to 45 general dentists and 50 pediatric dentists. Among which 30 and 31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respectivel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rate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the teeth with initial caries without cavitation, general dentists showed the tendency to prefer restorative treatment(30%) or observation without any treatment(42%), whereas pediatric dentists prefer preventive treatment(76%). 2. The primary factor in choosing restorative materials by both groups was its manipulativeness. 3. For anterior esthetic restoration, general dentists seldom use the full-coverage restoration(13%) but resin restoration(75%), whereas pediatric dentists frequently used full-coverage crow(64%). 4. In the treatment of dentinal caries, pediatric dentist did not perform the treatment lesser than 2.0 years before the exfoliation (compared to 1.2 years of general dentist). 5. In the treatment of 1 year children, both pediatric and general dentists tend to select preventive procedure as first choice of treatment(84%, 52%). When treating primary incisor caries, it is shown that pediatric dentists are more interested in restorative/preventive treatment than general dentists are.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의 치과 병의원 등록상호명에 대한 조사 연구
심연수,김아현,안소연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7 No.4
We examined the pattern of brand naming for dental clinics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in 551 members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The results follows: 1. Brand naming depending on the sex showed that the clinical subspeciality was 33.4% and the name of people or regional location was 31.7% in male members. In female members, the clinical subspeciality was 49% and a feeling of affinity was 29.9% (p<0.05). 2. Brand naming using the name of people and regional loc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year of graduation, the period before the 1960s was 66.7% the 1960s was 62.5% the 1970s was 68.8% and the 1980s was 46.5%. That is, these periods accounted for the most part. During the 1990s, however, brand naming based on the clinical subspeciality accounted for 52.2%. After the 2000s, it accounted for 59.8% (p<0.05). 3. In Seoul, Pusan and Kyounggi Province, brand naming based on the clinical speciality accounted for the most part. In other areas, the name of people and regional location, as well as a feeling of affinity, was the most prevalant (p<0.05). To summarize, there was a variability in the pattern of brand naming for dental clinics in association with the sex, schools and year of graduation and the regional location. 본 연구는 치과 등록상호명을 적절히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2009년 대한소아치과학회 회원 551명의 치과병의원명을 통해 그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으며,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성별에 따른 치과 등록상호명을 보면 남자는‘전문과목’33.4%, ‘인명/지명’유형 31.7%의 순으로 많았으며, 여자는 ‘전문과목’49%,‘ 친근감’유형 29.9% 순으로 조사되었다(p<0.05). 2.‘ 인명/지명’의 유형이 졸업년대를 기준으로 볼 때 1960년대 이전은 66.7%, 1960년대는 62.5%, 1970년대는 68.8%, 1980년대는 46.5%로 대부분을 차치하였으나, 1990년대는‘전문과목’유형이 52.2%, 2000년 이후는 59.8%로 졸업 년대에 따라 치과 등록상호명에 차이가 있었다(p<0.05). 3. 서울과 부산 및 경기도는‘전문과목’유형의 등록상호명이 가장 많았고, 그 이외의 도시는‘친근감’및‘인명/지명’의 유형이 가장 많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009년 현재 대한소아치과학회원의 치과 병의원 등록상호명은 성별, 졸업년도, 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