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세포암의 고주파 열치료 후 천자침 경로를 통한 전이 1례

        조영완,박석주,진한영,김준영,이재익,강명주,박정하,윤정희,박성재,지삼룡,이연재,이상혁,설상영 인제대학교 2006 仁濟醫學 Vol.27 No.-

        Radiofrequency ablation(RFA), as a form of minimally invasive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has become an important treatment modality. Because of limitation of surgery, RFA has become standard 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in some situations. But there are some complications of RFA such as bleeding, infection, hematoma, adjacent organ thermal damage including intestinal perforation, needle track seeding, and so on. There are few reports in the literature that systematically evaluate the incidence of needle tract seeding and its associated risk factors. And only 2 cases of needle tract seeding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RFA were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case of needle tract seeding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RFA.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치험한 식도 과립상 세포종 1례

        강혁주,김성욱,최석진,이중현,장재식,서영범,윤병구,박건욱,김성자,김용섭,강승완,이구,양창헌,이창우,김욱년,이광헌,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과립상 세포종은 Schwann 세포 기원으로 생각되며 인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과립상 세포종은 전신 어느 곳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주로 혀, 구강, 피부 혹은 유방 등에서 호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위장관에서는 식도에서 가장 호발하며 다음으로 위, 대장 순이다. 과립상 세포종은 대부분, 특히 위장관에서는 양성이며 소수의 악성 병변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수술 전의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립상 세포종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이다. 최근에 시도되는 치료방법들로는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용종절제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과립상 세포종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재발없이 경과 관찰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s, which occur infrequently, are probably of Schwann cell origin. They can occur almost anywhere in the body but usually affect the tongue, oral cavity, skin, or breasts and are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The esophagus i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ite, followed by the stomach and the colon. Granular cell tumors are generally benign, especi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ome malignant lesions have been reported. For this reason, and also becaus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the standard treatment for granular cell tumor has until now been surgical excision. In recent years, other therapeutic methods is endoscopic laser therapy (ELT), polypectiom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 which was diagnosed by an endoscopy and managed us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 녹동균 세포외막 단백질 백신 CFC-1-101의 안정성 및 면역원성 검토 : 임상 제 Ⅰ/Ⅱa상 시험

        장인진,김익상,유경상,임동석,김형기,신상구,장우현,박완제,이나경,정상보,안동호,조양제,안보영,이윤하,김영지,남성우,김현수 대한감염학회 1998 감염 Vol.30 No.3

        목적 : 제일제당에서는 녹농균의 세포외막 단밸질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백신인 CFC-101을 개발하였으며, 동물시험에서 이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녹농균 백신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하는 동시에 인체 접종시의 최적 투여 용량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 I/Ⅱa상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방법 : 건강한 성인 남자를 피험자로 선별하여 각 용량군에 백신투여자 6명, 위약투여자 2명을 배정하였다. 백신 투여군은 0.25mg, 0.5mg 또는 1.0mg 용량의 녹농균 백신을 7일 간격으로 3회에 걸쳐 근육주사 하였으며, 위약 투여군에게는 세포외막 단백질을 제외한 동일한 성분을 투여하였다. 백신접종 후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반응의 발생여부를 관찰하고, 혈액시료를 체취하여 백신의 역가와 유효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녹농균 백신 CFC-101은 모든 접종자에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 또한 0.5mg 과 1.0mg 백신 투여군에서는 100%의 항체양전율을 나타내었다. 생성된 항체는 녹농균 세포외막단백질에 특이성을 보였고, 녹농균 감염에 대해 방어효능이 있었다. 결론 : 이와같은 결과로부터 이 녹농균 백신은 인체에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으며, 높은 항체 생성능으로 감염방어 효능을 보이고 0.5mg과 1.0mg이 최적용량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We developed a Pseudomonas aeruginosa outer membrane protein(OMP) vaccine CFC-101, and the prophylactic efficacy of which has been demonstrated in animal models. In order to evaluate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the P. aeruginosa vaccine, we carried out a phase I/Ⅱa clinical trial in healthy male volunteers. Methods : Groups of eight volunteers, including two placebo subjects, were vaccinated intramuscularly with three doses of 0.25, 0.5 or 1.0 mg of the vaccine at one week intervals. Sings of systemic and local reactions observed after vaccination were recorded for each vaccinee for 5 days. Physi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days 0, 1, 7, 8, 14, 15, 21, and 42, and clinical laboratory tests were done on days 0, 3, and 21. Blood samples for assay of serum antibody levels were obtained up to 42 days after the first vaccination. Results : The vaccine was generally well tolerated by all vaccinees, showing no significant side effects. In the three dosage groups, all vaccinees, except one receiving the 0.25 mg dose, showed significant elevation in serum IgG antibody titers against the vaccine proteins, indicating 100% seroconversion in 0.5 and 1.0 mg groups. The human antibodies induced by the vaccine were specific for P. aeruginosa OMPs, 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precipitation assays. The capacity of the human antisera to enhance opsonophagocytic killing activity by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and to confer protection against P. aeruginosa infections indicates that the antibodies elicited by the vaccine have protective efficacy.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P. aeruginosa OMP vaccine is safe and effective for human use and its optimal dose to be 0.5 or 1.0 mg.

      • 바터 팽대부에 생긴 유암종 1예

        강명주,지삼룡,박석주,이재익,조영완,김준영,박성재,박은택,이연재,이상혁,설상영,배상균 인제대학교 2006 仁濟醫學 Vol.27 No.-

        Carcinoid tumors have been reported in a wide range of organs but most commonly involve the lungs, bronchi and gastrointestinal tract. With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ppendix is the most common location for carcinoid, followed by the distal small intestine, the rectum, and the stomach. Among these, primary involvement of the ampulla of Vater is extremely rare. We report a case of carcinoid tumor of ampulla of Vater. A 62-year-old man presented with epigastric soreness. Gastroduodenal endoscopy showed hyperemic bulging mass on ampulla of Vater and diagnosed as carcinoid tumor by histologic finding, with immunohistochemical study. In ^(111)In-octreoscan, tumor had regional lymph node metastasis, but no evidence of distant metastasis. Pancreatoduoden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was performed.

      • 구조화된 평가척도와 신경심리검사를 이용한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주관적 증상 연구

        이종범,김오룡,김진성,서완석,배대석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 손상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주관적인 증상의 정도와 관련한 인구동태학적 요인, 뇌 손상의 특성, 신경심리학적 평가결과 및 MMPI 성적을 비교한 뒤 주관적인 정신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정도와의 일치정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99년 3월 1일부터 2003년 8월 31까지 두부외상 후 정신과적인 증상을 나타내어 진료를 받았거나 자문이 의뢰된 경우 및 후유장애 평가를 위해 내원한 환자 498명 중 배제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18세 이상 성인 281명에게 SCL-90-R, K-WAIS, K-MAS, K-BNT 및 MMPI를 실시하였다. 주관적 정신과적 증상 정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자는 SCL-90-R의 표출증상의 문항당 평균점수를 바탕으로 주관적인 정신과적 증상이 경미한 집단(minimal distress group), 경한 집단(mild distress group), 증등도 집단(moderate distress group), 심한 집단(severe distress group)으로 구분하고, SCL-90-R을 수행하지 못한 집단을 불능집단(failed group)으로 구분하여 그 성적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SCL-90-R을 비롯한 신경심리검사 및 MMPI를 온전히 수행한 18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 정도를 비교하여 주관적 증상의 정도와 추정된 장애정도가 일치하는 집단(no difference group),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비해 추정된 장애정도가 심한 집단(faking good group) 그리고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비해 추정된 장애정도가 약한 집단(faking bad group)으로 구분하여 성적을 비교하였다. 첫 번째,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따라 SCL-90-R의 성적을 비교한 결과에서, 주관적 증상의 정도에 따라 SCL-90-R의 하위척도 및 전체지표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주관적 증상과 추정된 손상정도의 일치정도에 따른 구분에서도 각 집단 간에 하위척도 및 전체지표에서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지만 공포불안 척도의 점수가 다른 척도 점수에 비해 높은 프로파일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두 번째, 주관적인 증상의 정도에 따라 신경심리검사 성적을 비교한 결과에서, 지능의 경우 주관적인 증상이 심할수록 사고 후 지능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증상을 과소평가한 집단은 차이가 없는 집단과 동일하거나 더 나은 지적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세 번째, 주관적인 증상정도에 따른 기억능력을 비교한 결과 주관적 증상이 심할수록 기억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관적인 증상을 과소평가한 집단의 수행이 다른 집단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판 이름대기 검사에서도 이와 동일한 수행성적을 보이고 있었다. 네 번째, MMPI에서는 주관적 증상의 정도 혹은 추정된 손상의 일치정도와는 상관없이 주관적 증상을 경미하게 호소하고 있는 집단을 제외하고는 외상성 뇌 손상 환자들이 기본적인 신경증적인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주관적 증상의 정도가 심할수록 정신병적 증상들을 주로 호소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성 뇌 손상의 주관적 증상이 심하던 그렇지 않던 혹은 추정된 손상정도의 일치여부와는 상관없이 이들이 신경증적인 증상을 공통적으로 경험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증상의 과대호소를 위하여 주로 정신증적 증상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외상성 뇌손상이 있은 뒤 인지적 기능수준이 나을수록 자신의 정신과적 증상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To search for the character of subjective symptom among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 we tri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and the character of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symptoms and suggested disability. The factor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characteristics of head trauma, the score of neuropsychological test and MMPI were compared for those subjective symptoms. Methods : SCL-90-R, K-WAIS, K-MAS, K-BNT and MMPI was conducted for 281 patients who are suitable for this study with age over 18, out of 498 patients who visited hospital for their psychiatric symptom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or disability evaluation after requesting consult from Mar 1, 1999 to Aug 31, 2003. Subject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positive symptom total in SCL-90-R as four groups such as minimal distress group to observe character depending on the subjective symptoms level. Mild distress group, moderate distress group, and severe distress group and compared with failed group which couldn't perform SCL-90-R. And 180 patients of all of tests conducted, were divided to the three groups such as no difference group, faking good group, and faking bad group by comparing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to suggested disability and assessed its results. Results : In the result of SCL-90-R depending on the subjective symptom level,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subscale and global index of SCL-90-R.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p<.001) in the division depending on the discrepancy between subjective symptoms and suggested disability on subscale and global index in each group. However, the score in phobic anxiety scale was high other than subscale score. The result of neuropsychological test depending on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represented more severe in subjective symptoms and lower in intelligence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But, even or better intellectual capability was possessed in faking good group by comparing to no difference group. Memory ability is reduced as subjective symptoms severe and faking good group was superior in its performance. The same result was shown in K-BNT. Regardless of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or discrepancy of the subjective symptoms between suggested disability,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except the group appealed minimal distress) experienced basic neurotic symptoms and they appealed psychotic symptoms as the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is severe in MMPI. Conclusion : In this research, All the patient commonly have experienced neurotic symptom weather the symptom of traumatic brain injury patients is severe or not. Psychotic symptoms was mainly used for the faking bad of symptom and proved that they underestimated their psychiatric symptoms with better cognitive function level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 퍼지 환경하에서 유연생산시스템 일정계획의 Pairwise 해법에 관한 연구

        이상완,신대혁,윤연근,박병주 동아대학교 공과대학부설 생산기술연구소 1996 生産技術硏究所硏究論文集 Vol.1 No.2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scheduling problem is a complex system and a NP-hard problem. Thus it is natural to look for heuristic method. Here, we consider the multi-part production scheduling problem in a FMS scheduring of altemative routings. The problem in more complex if the processing time is imprecision. It requires suitable method to deal with imprecision. Fuzzy set theory can be useful in modeling and solving scheduling problems with uncertain processing times. Lee-Ki fuzzy number comparison method will be used to compare processing times that evaluated under fuzziness. This study propose heuristic algorithm solving FMS scheduling problem under fuzzy environment. In this algorithm, the pairwise comparision method is used to find proper alternative routing. On the basis of the proposed method, and example in presented.

      • 連續裝置의 Spare Parte 交換時期에 관한 考察

        李相玩,河正鎭,李永正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4 大學院論文集 Vol.8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move non-productive and increase the operating time in plant which is very expensive and go into decay fastly. And expecially, it applies to the continuous process. As a result, it is seen that the initial failure of spare parts happen around 150 days and the chance failure around 240 days. Besides, by preventing the operator error which is, as follows; 1. handling and the capacity of the number of repairing persons 2. handling and repairing order 3. theadaptability of handling (Human Engineering) 4. the influence of repair it is believed that the safety and the use effectiveness of plant will be increased. Especially, it is though that because this study is possible to apply to all spare parts and kinds of mchinery, it is used more widely.

      • 우리나라 重要産業製品 流通構造의 近代化方案

        李相道,金正子,宋瑞日,李相玩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부설 한국자원개발연구소 1980 硏究報告 Vol.5 No.1

        It needs the distributive facilities to perform efficiently the construction of distribution center for the improvement plan of physical distribution structure. In view of promoting distributive modernization and physical distribution cost reduction, the establishment of optimum scale by intensity and concerning of transportation is persued. These efficient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center which can be organic combining facilities of a supplier and a demander are the urgent challenges. With a view to such distribution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centrate the presentation of algorithm in selecting the optimal location of distribution center to build model for systematization and to obtain basic data on the design of distribution system in the future.

      • 이행성 협심증 환자에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이정우,박형서,박용규,노상필,이유선,정승현,김보영,이재환,최시완,정진옥,성인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3 충남의대잡지 Vol.30 No.1

        목적 : 관상동맥의 경련에 의한 이형성 협심증환자에 있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의 결과는 매우 다양하다. 이에 저자들은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에서 관상동맥조영술상 이형성 협심증으로 확진된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연구하였다. 방법 : 1995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 흉통을 주소로 충남대학교병원 순환기 내과에 입원하여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관상동맥의 내경이 50% 미만의 협착이 있고, 에르고노빈(ergonovine) 유발검사도 이형성 협심증으로 진단을 받은 233명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83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의 판독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기전 심전도상 ST분절의 상승(5예)이나 하강(8예)이 있는 경우 EH한 T파의 역위(19예)가 있는 32명의 환자를 제외한 총 1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부하는 Marquette사의 case 15 답차를 이용하였고, Bruce protocol에 따라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최대로 실시하였으며 각 stage 및 운동후의 혈압을 측정하고 12 유도 심전도를 기록하였다. 결과 : 1) 임상적 특성 - 내원시 임상 상은 안정형 협심증이 39예(25.8%), 불안정형 협심증이 103예(68.2%), 심근경색증이 9예(6.0%)이었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 양성 군과 음성군간에 있어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 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연축의 수 등을 조사하였는 바 어떠한 인자들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2)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시행 받은 151명의 환자중 음성인 경우는 134예(88.8%)이었고, 양성인 경우는 17예(11.2%)이었다. 양성 소견을 보인 환자들중 ST 분절의 상승이 4예(2.6%), ST 분절의 하강이 13예(8.6%)이었다. 3) 관상동맥조영술 - 관상동맥조영술상에서 혈관 경력 위치는 우관상동맥이 70예(46.1%), 좌전하동맥이 44예(28.9%), 좌회선동맥이 17예(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예중 Ⅱ, Ⅲ, aVF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 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V2-V4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2예중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전하행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난 예는 1예이었으며 다른 1예는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고, V5-V6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있었던 1예는 관상동맥조영술상에도 좌회선동맥에서 경련이 나타났다.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상 V5 또는 V6에서 ST 분절의 하강이 있엇던 13예중 6예(46.1%)는 관상동맥조영술상 우관상동맥에서 경련이 발생하였고, 3예(23.1%)는 좌전하행동맥에서, 1예(7.7%)는 좌회선동맥에서, 나머지 3예(23.1%)는 2개의 혈관이나 기타 분지에서 경련이 발생하였다. 결론 : 1) 이형성 협심증 환자는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에서 11.2%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이중 ST 분절의 상승은 2.6%이었고, ST 분절의 하강은 8.6%이었다. 2) 이형성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음성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이형성 협심증 환자중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ST 분절의 상승을 보이는 경우 다혈관 관상동맥질환이기 보다는 이형성 협심증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운동부하 심전도 검사 결과에 대한 당뇨병, 고혈압, 비만도, 총 혈청콜레스테롤치, 현재의 흡연여부, 병력상 운동시 흉통의 유무, 내원시 임상적 진단, 협착의 정도 등 어떠한 인자들도 3그룹(ST 분절의 상승, ST 분절의 하강, 음성)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5) ST 분절의 상승 부위와 관상동맥조영술상 관상동맥의 연축이 일어나는 혈관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다. No reports in the literature describe the results of exercise testings in a large number of patients with pure variant angina(coronary stenosis <50%) in Korea. In this report, We present the results of treadmil exercise testing in 151 patients with variant angina. 151 patients with angiographically proven coronary artery spasm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variant angina patients classified according to ST-segment response to exercise were analyzed. Of 151 patients underwent a treadmil exercise test, negative result was seen in 134 patients(88.8%) and positive result was in 17 patients(11.2%). Of 17 patients saw positive result,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was present in 4 patients(2.6%) and ST segment depression was seen in 13 patients(8.6%).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T segment response to exercise and the clinical variables(diabetes, hypertension, obesity, total cholesterol, current smoking, effort angina, clinical diagnosis, and degree of stenosis) assessed. Of 4 patients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treadmil exercise test, 1 patient with ST segment elevation in Ⅰ,Ⅲ,aVF had spasm in right coronary artery(100%) on coronary angiography, of 2 patients in V2-V4 had spasm in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in 1 patient(50%) and 1 patient in V5-V6 had spasm in left circumflex artery(100%). Positive treadmil exercise test was present in 11.2% of variant angina patient. If we have negative treadmil exercise result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may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If we have exercise-induced ST segment elevation in patients with clinical manifestation of unstable angina at admission, we have a suspicion of variant angina rather than multi-vessel disease. Our result suggest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ite of the ST segment elevation and the artery involved is quite g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