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마운틴 맨 유령의 현대적 귀환: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에 나타난 백인 남성성

        정진만 ( Jin Man Jeong ) 서울대학교 미국학연구소 2017 미국학 Vol.40 No.1

        This essay explores racism, male-centrism, and nationalism (un)covered in Alejandro Gonzalez Inarritu’s The Revenant, focusing on its way of invoking white masculinity. Portraying the hero, Hugh Glass, romantically as a white affectionate toward Native Americans and mixed-bloods, The Revenant is reticent in expressing the historical reality of Glass as an aggressive Indian fighter who contributed to westward expansion. Even worse, the film silently instills the long-lasted racist (mis)belief about Native Americans (plus mixed-bloods) as the ‘Vanishing People’ by making an unbridgeable distance between Glass and his Pawnee wife (and his mixed-blood son). This essay would allow us to see the film’s strategy forging white Americans’ masculine robustness within the levels of gender, race, and nation, where other racial and national groups are characterized as effeminate and immoral in a complex way.

      • 산삼 배양액 급여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진상근,김일석,송영민,허선진,박기훈,정기종,김동훈,노정만 진주산업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2006 산업과학기술연구소보 Vol.- No.13

        Berkshire를 이용하여 70일간 산삼 배양액 급여 시 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육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회분, pH, 가열감량, 콜레스테롤 함량, 육색, 조직감의 응집성과 검성,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보수력, 지방색 L^(*)값, 지방산 중 linoleic acid(18:2), arachidonic acid(20:4), 필수지방산의 함량, 아미노산 중 threon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histidine, lysine 및 총아미노산 함량은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감소하였다. 전단가, 조직감의 표면경도, 경도, 씹힘성, 지방산 중 stearic acid(18:0), oleic acid(18:1) 함량, 아미노산 중 serine, glycine, cystine, methionine, tyrosine 및 phenylalanine의 함량은 산삼 배양액의 급여에 의해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산삼 배양액의 급여는 돈육의 경도를 증가시키는 효과 외에 뚜렷한 이화학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급여된 산삼 배양액 내에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이 낮고, 급여수준이 낮은 결과로 사료되어진다. A total of 60 pigs (Berkshire)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CMG)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ork. About 60 kg pigs were randomly alloted into one of two experimental diet groups (C:commercial diet feed; T:commercial diet + 1 L CMG per day for 70days). Pigs were slaughtered at approximately 110 kg live weight, and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pork loin.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Water-holding capacity was decreased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while shear force was increased. However, pH, cooking loss and cholesterol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different treatments. In color, L^(*) of fat was decreased by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Brittleness, hard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In fatty acid, stearic acid (18:0) and oleic acid (18:1) were higher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whereas linoleic acid (18:2) and arachidonic acid (20:4)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In amino acid, serine, glycine, cystine, methionine, tyrosine and phenylalanine were higher in dietary artificial culture medium of wild ginsengs group, whereas threonine, glutamic acid, valine, isoleucine, leucine, histidine and lysine were higher in control group.

      • KCI등재

        효소에 의한 꿩고기 가수분해물의 제조

        정재홍,김기준,이규희,이석건,오만진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98 농업과학연구 Vol.25 No.1

        This studie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possibility of pheasant meat extracts treated with proteases. The crude protein, aminonitrogen, degree of hydrolysis, yield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pheasant meat extracts when it was treated with proteases at various temperature and reaction time were analyz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pheasant meat extracts processed in 130℃ were more than when it was done in 100℃, but the contents of aminonitrogen were not quite different between two processing temperature.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aminonitrogen when pheasant meat was hydrolyzed with protease NP and prozyme A. The yields of pheasant meat extracts, when pheasant meat were treated at 100℃ and 130℃, were from 2.24 to 7.10% and from 5.51 to 10.45%, respectively. And the yield of extraction depended on extraction temperature, kinds of enzyme, amount of enzyme, extraction time. The content of aminonitrogen in pheasant meat extracts treated with enzyme was much higher than any other treatments. And it depended on amount of enzyme, extraction time and temperature. The amount of the amino acids in pheasant meat extracts treated by protease NP were eminently higher than by heat at 100℃ or 130℃.

      • KCI등재

        인삼첨가 Long Life면의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

        정재홍,심창주,신영,권효진,이규희,오만진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2 No.5

        인삼이 밀가루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 성질과 파리노그래프에 의한 반죽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삼첨가 LL면의 조직감과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밀가루에 대하여 인삼을 5.0∼10% 첨가하여 LL면을 제조한 뒤 면의 조직 특성 분석 및 조리시험을 하고 관능검사를 하였다. 인삼을 첨가하면 아밀로그래프의 호화개시 온도를 3.1℃ 지연시켰으며, 최고 점도를 40B.U 감소시켰다. 파리노그래프의 흡수율은 1.2%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안정도는 인삼의 첨가로 2.0분 길게 측정되었다. Hunter L값은 인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Hunter a, b값은 반대로 측정되었다. 인삼첨가 LL면의 층밀림 압출력은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높아져 10.0%의 첨가는 대조구 18.65(㎏f)보다 2.3(㎏f) 높은 23.95(㎏f)로 측정되었으며, 경도도 대조구보다 5.4(㎏f) 높게 측정되었다. 인삼첨가 LL면의 무게 증가는 인삼의 첨가량이 증가할 때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부피 증가는 오히려 높게 나타나 조직이 다소 치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출량은 인삼량의 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다. 미생물은 인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줄어들어서 장기 저장이 가능하였다. 관능 검사 결과는 인삼첨가 LL면이 4.2 및 4.0으로 비교적 좋은 점수를 얻었다. 이같이 LL면 제조시 인삼 첨가량은 7.0%의 수준이 효과가 컸다. The influence of ginseng on the paste or gelatinization properties by amylograph and mixing properties by farinograph of wheat flour, and on quality properties, color, cooking quality,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reducing microbial population of LL (Long Life) noodles was studied. The contents of ginseng used were from 5% to 10% based on flour weight. The viscosity property of wheat flour with ginseng was increased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but the amylograph peak viscosity were decreased in vice versa. The farinograph absorption, stability and breakdown were increased by ginseng. The whiteness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The shear extrusion force and hardness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were shown much higher value than those of control. At cooking quality examination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weight of cooked LL noodles was decreased but volume was appeared in vice versa. Extraction amounts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during cooking were much smaller than those of control. Total counts of microorganism of LL noodles manufactured with ginseng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at 30℃. Sensory properties of cooked LL noodles which was manufactured with ginseng showed quite acceptable. Based on the cooking and sensory evaluation test, addition of 7.0% ginseng to wheat flour may be suitable for processing LL noodles.

      • [논문]강성토조 및 연성전단상자 시스템의 진동특성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김진만,류정호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7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6 No.-

        지반의 정적 또는 동적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종종 토조를 사용하여 모형실험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토조는 국내의 경우, 대부분 강성토조를 사용하고 있다. 강성토조는 정적인 모형실험 시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동적인 거동을 살펴보기 위해 진동대 또는 지오센트리퓨지를 이용할 시에는 양쪽의 토조벽이 지반의 동적거동을 구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반의 증폭현상이나 위상차를 반영하지 못하여 왜곡된 실험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성토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연성전단상자의 거동을 조사하였으며,수치해석을 이용하여 강성토조와 연성전단상자의 동적거동을 비교해보았다.

      • 대구지역 실내 외 공기중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조사에 관한 연구

        최진수,백성옥,김영민,박상곤,정점희,황승만 嶺南大學校 環境問題硏究所 1995 環境硏究 Vol.15 No.1

        최근 현대인의 실내거주시간이 일상생활시간의 8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크게 증가하면서 보건·위생학적 측면에서 실내공기질은 매우 중요한 관심사로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94년 8월의 여름철과 1994년 12월 ∼1995년 1월의 겨울철에 대구를 중심으로 가정집, 사무실, 식당과 같은 3가지 유형의 일반주거환경 중 실내·외 공기를 대상으로 실행되었다. 측정항목으로는 RSP, CO, CO₂, NO₂등의 주요 기준성 오염물질과 Bioaerosol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각 성분대상물질의 실내·외 농도는 실내거주환경 및 여름과 겨울, 두 계절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내·외 농도비교에서 RSP, CO, CO₂의 실내농도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실외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각 실내거주환경에 따른 실내·외의 농도는 가정, 사무실에 비하여 식당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실내·외 농도비 또한 식당에서 상대적으로 큰 값을 나타냈다. 여름과 겨울의 두 계절에 따른 RSP, CO, CO₂의 실내·외 농도는 여름철에 비하여 겨울철에 더욱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나 Bioaerosol의 실내·외 colony/plate는 여름철에 더욱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of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respirable suspended particulate (RSP), carbon monoxide (CO), carbon dioxide (CO₂), nitrogen dioxide (NO₂) and bioaerosol at homes, offices and restaurants in Taegu city.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of these pollutants were observed simultaneously from August 1994 for summer to January 1995 for winter.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Both in summer and in winter, the indoor concentrations of RSP, CO, and CO₂; were higher than the outdoor concentrations, the indoor concentrations of major air pollutants (RSP, CO, CO₂, NO₂) in restaurants were higher than those in homes and offices. 2. The indoor and outdoor concentrations of RSP, CO, and CO₂; in winte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summer, on the other hand. The CFU/plate of bioaerosol in winter was lower than that in summer.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door levels of air pollutants were affected by various indoor characteristics such as smoking, cooking, ventilation rate, winter heating systems, and behavioral activity of occupants.

      • KCI등재

        전자토모그래피의 정량적 분석에서 대물렌즈 조리개의 영향

        김진규,이상희,권희석,정종만,정원구,이수정,주형태,김윤중 韓國電子顯微鏡學會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4

        Electron tomography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 대물렌즈 조리개가 투과빔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Electron tomography에 도입되는 Beer’s law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투과빔은 시료의 기울기에 따른 mass thickness의 변화에 의한 효과만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므로 빔 경로상의 대물렌즈 조리개, 홀더 등에 의한 다른 효과는 제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물렌즈 조리개의 cut-off 효과를 120 kV TEM과 Quantifoil holey 카본 시료를 이용하여 상세히 평가하였다. 대물렌즈 조리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할 때, 30 μm 크기의 대물렌즈 조리개를 통과한 투과전자빔의 강도는 약 16.7%의 감소가 일어난다. 또한 55˚이상의 고경사각 기울기에서는 대물렌즈 조리개의 cut-off 효과에 의해 14.2%의 강도 감소가 추가적으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Electron tomography에서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이러한 대물렌즈 조리개의 영향을 고려해야만 한다. 또한 Beer’s law의 올바른 적용을 위해서는 일련의 기울기에 따른 2차원적 영상은 가능하면 대물렌즈 조리개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e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experimental factors on transmitted electron beam intensities for quantitative analysis in electron tomography.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Beer’s law in electron tomography, the transmitted beam intensity should reflect the net effect of mass properties on beam path. So, the any other effects of the objective aperture and the specimen holder on beam path should be removed. The cut-off effects of objective aperture were examined using Quantifoil holey carbon film and a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operated at 120 kV. The transmitted beam intensities with 30 μm objective aperture dropped about 16.7% compared to electron beam intensities without the objective aperture. Also, the additional losses of about 14.2% at high tilt angles were occurred by cut-off effects of the objective apertures. For the precise quantitative analysis in electron tomography, the effect of the objective aperture on transmitted electron beam intensities should be considered. It is desirable that 2-D tilt series images are obtained without the objective aperture for correct application of Bee’s law.

      • 토양 미생물인 Streptomyces tubercidicus에서 분리한 GTPcyclohydrolase Ⅰ 저해제

        한지만,김시욱,이인화,박열,정혜광,윤성명,유진철 조선대학교 약학연구소 1998 藥學硏究誌 Vol.19 No.1

        GTP cyclohydrolase I (EC 3.5.4.16) catalyzes the conversion of GTP to D-erythro-7,8-dihydroneopterin triphosphates and formic acid. and thus performs the first committing step in the biosynthesis of the pteridine moiety of folk acid in microorganisms and of tetrahydrobiopterin in higher animals. GTP cyclohydrolase I isolated from Streptomyces tubercidicus was inhibited by DL-6-methyl-5,6,7,8-tetrahydropterin and xanthopterin, and was not inhibited by tetrahydrofolic acid, pterin, pterin-6-carboxylic acid, biopterin, neopterin, ribofrav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cterial GTP cyclohydrolase I may be regulated by its metaboilic end product.

      • 일개 대학병원에서 일년간 분리된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의 임상 분자역학적 연구

        송진영,김창억,김성욱,우흥정,김미란,이규만,이란,장미화,정희진,김우주 대한화학요법학회 200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9 No.4

        목적 : 한강성심병원에서는 2000년 3월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이 처음 분리되어, 원내전파를 막기 위한 노력을 하였으나, 분리가 지속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좀더 자세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얻기 위해 본원에서 분리된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에 대한 임상분자 역학적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2000년 3월부터 2001년 2월까지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에서 분리된 장구균을 대상으로 디스크 확산법, 최소발육억제 농도등의 측정을 통해 반코마이신 내성여부를 확인하였으며,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을 대상으로 PFGE를 시행하여 형별 분석을 하였다. 결과 : 분리된 균주는 총 32균주로 모두 E. faecium이었다. 항생제 내성 검사 결과 모두 Van A형이었다. PFGE 결과 1a형이 8검체, 1b형이 5검체, 2a형이 4검체, 2b형이 4검체, 3a형이 2검체, 3b형이 5검체였고, 그 외 4, 5, 6형이 각각 1검체씩이었다. 총 32균주 중 56%(18/32)의 균주가 같은 시기, 같은 병실에서 동일한 PFGE 형을 보이면서 분리되었다. 결론 :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PFGE 분석 결과 여러 종류의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이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같은 기간, 같은 병실에서 분리된 균주의 PFGE 형이 같은 것이 상당수 있었다. 이는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원내 전파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의 전파의 발생 및 전파 방지를 위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감염관리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VRE) have been a rising problem worldwide. In March 2000, VRE was first isolated from a patient in Hangang Sacred Heart hospital. Although efforts to prevent transmission of VRE were performed, isolations continued. So molecular epidemiological study of VRE was done. Method :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MIC) to vancomycin and teicoplanin, and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PFGE) pattern of VRE isolated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1 were evaluated. Results : 32 VRE were isolated. All of the VRE were Enterococcus faecium and showed Van A resistance phenotype. We found out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VRE isolated during same period and in same room, were same PFGE patterns. (18 cases/ 32 isolates= 56%)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spread of VRE of same PFGE patterns. It suggests the nosocomial spreads of V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