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18F]FDG PET을 이용한 강박증 환자에서 뇌 포도당 대사의 이상에 관한 연구

        권준수,이동우,이재성,최정임,이동수,정준기,조맹제,이명철,류인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강박증에 대한 기능적 뇌영상 연구들에서 강박증 환자들의 안와전두엽과 미상핵의 대사율 증가 소견이 비교적 일과되게 발표되어 왔으며, 전두-피질하 회로의 이상이라는 이론이 수립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른 구분없이 시행된 연구였고, 영상분석 방법에 있어서도 관심영역 방법을 이용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강박증의 유병기간에 따라 환자군을 구분하여 PET 영상소견을 분석함으로써 유병 기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으며, 둘째, 강바증 환자의 포도당 양전자방출 단층촬영(18-Fluor-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FDG-PET) 영상분석에 통계적 매개변수 지도법(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 SPM)을 이용함으로써 강박증의 병인기전 및 강박증상과 뇌기능 간의 관계를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구조적 면담도구(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 : SCID-IV)를 적용하여 진단된 12명의 강박증 환자들과 10명의 정상 대조군에 대해 FDG-PET을 촬영하여 SPM으로 분석하였다. PET 촬영 전 적어도 4주 동안에는 약물복용을 하지 않은 상태였다. 결과: 1) 환자군과 대조군의 비교 : 강박증 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양측 두정 영역의 대사율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며(P<0.01). 대사증가를 보인 영역은 없었다. 강박증의 유병기간이 10년 이상인 만성강박증 환자 4명은 양측 안와전두엽에서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였으며(P<0.01), 양측 두정영역에서 유의한 대사감소 소견을 보였다 (P<0.01), 유병기간이 10년 이하인 환자에서는 전체 환자군의 분석에서와 마찬가지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대사증가 소견을 보인 영역은 없었으며, 양측 두정엽 부위에서 유 의한 대사 감소 소견을 보였다.(P<0.01). 2) 강박증상의 심각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 우측 두정엽의 대사율은 강박장애 척도 점수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양측 시상 영역의 대사율은 예일-브라운 강박장애 척도의 강박장애척도 점수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01)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결과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보고된 안와전두엽의 대사 증가 소견이 강박증의 만성화로 인해 나타나는 2차적 장애이며, 두정엽의 대사 저하가 보다 1차적인 장애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Baxter가 수립한 전두-피질하 회로 이론은 두정엽의 이상을 포함하는 전두-두정엽 복합체 이론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Functional imaging studies 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subjects have repeatedly reported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s and caudate nucleus, resulting in the "frontal-subcortical" circuit abnormality theory. Limitations of the previous studies to date include little consideration for the duration of illness, and the use of regions of interest methods, as an image analysis method. Our study objectives are 1) to include the duration of illness as an important study variable, and 2) to use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 method in order to tap relations between the brain function and the psychopathology and symptoms of OCD. Methods: The [18] 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FDG-PET) scans of OCD subjects and normal comparison subjects, as diagnosed by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DSM-IV(SCID-IV), were analyzed using SPM. Results: 1) Comparison of OCD and control groups : OCD subjec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metabolism in both parietal lobes and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in comparison to comparison subjects(p.<0.01). four OCD subjects with the illness duration of 10 years or longer, had significantly increased metabolism in both orbitofrontal lobes<p<0.01). OCD subjects whose illness duration is shorter than 10 years didn't have any areas of increased metabolism and had significantly decreased parietal lobe metabolism, as in the analyses of all subjects(p<0.01). 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reas and symptom severity : Metabolism of both thalamic s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Y-BOCS) scores(p<0.01). Metabolism of right parietal area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 lation with Y-BOCS scores(p<0.01). Conclusions: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d metabolism in orbitofrontal lobe, previously rported, may be a secondary phenomenon due to the extended illness dur- ation and that decreased metabolism in the parietal lobes are primary abnormality in OCD subjects. Thus Baxter's fronto-subcortical circuit theory should be extended into "fronto-pari-etal" complex theory, which includes the parietal lobes.

      • 자동차 선오염원 확산 모델 CAL3QHCR 소개 및 국내 적용에 관한 연구

        구윤서,정필수,김아름,이임학 안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1 自然科學硏究 Vol.8 No.-

        현재 우리나라의 환경영향평가에서 약 40%이상이 도로건설환경영향평가를 차지하고 있다. 도로환경영향평가에서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도로주변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주로 CALINE3를 이용한다. 그러나 CALINE3는 기상 data의 입력이 특정조건의 1시간 기상자료만 입력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CALINE3의 단점을 보완해 기상 data를 1시간 간격의 1년 data로서 입력할 수 있으며 교차로의 해석이 가능한 CAL3QHCR모델로 소개하고 국내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도로환경영향평가에서 많이 사용하는 CALINE3를 이용하여 계산한 CO농도와 실제 1년 기상자료를 입력하여 CAL3QHCR로 계산한 CO농도를 비교 분석 한 결과 CAL3QHCR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 이유는 실제 기상현상은 CALINE3를 이용한 영향평가에서 쓰이는 악조건의 기상자료 보다 낮은 풍속 및 안정한 대기 상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CAL3QHCR을 이용하여 교차로를 해석한 결과, 도로 중심부에서 교차로를 고려하였을 경우가 최고 농도 8.2ppm으로 교차로를 고려하지 않고 모델링한 결과보다 3배정도 높게 나타났다.

      • 흰쥐 척수 손상후 Parvalbumin과 Calbindin D-28K 함유신경세포에 관한 면역세포화학적 연구

        김종중,정윤영,임유택,박상수,박영란,김현곤,문정석 조선대학교 부설 의학연구소 2002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7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d the distribution of the two calcium-binding proteins immunoreactive neurons, parvalbumin immunoreactiv (PV-IR) and calbindin D-28K immunoreactive (CB-IR) neurons in the spinal cord after tran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complete spinal cord injury (SCI), and right and left spinal cord hemisection). SCI was produced by cutting the spinal cord use blades 11 with scalpel handles. Results: In this experiment, CB-IR neurons were mainly found in many pyramidal cells distributed in the brain stem and spinal cord of rats. PV-IR Neurons were demonstrated in all lamina of the gray matter of the spinal cord. These immunoreactive cells had the highest density in the layer I and II of dorsal horn and several nuclei of the ventral horn of the all the segments of the spinal cord. CB-IR neuropil labeling was strongly noted in all the segments of the spinal cord. In contrast PV-IR neurons were different in distribution, size and morphology in the spinal cord. The number of PV-IR neurons were greater than in the spinal cord compared with the CB-IR neurons. CB-IR and PV-IR somata were round, oval, spindle and polygonal in shape, and were unipolar, bipolar, multipolar and horizontal in types. The diameters of the somata of the PV-IR and CB-IR neurons were 40-50 ㎛, respectively. Also dendrites of PV-IR and CB-IR neurons were densely arrayed in network.

      • 개심술(開心術)의 임상적 고찰 : 치험 200예 200 Cases

        최형호,서홍주,임영혁,김정중,배대양,이석기,임진수 조선대학교 부설 의학연구소 2002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7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Two hundred cases of the open heart surgery due to congenital and acquired heart disease were done using the cardiopulmonary bypas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1980 to June, 2001. Material and Methods: The number of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132 cases. 68 cases were acquired heart disease. 'The age of the congenital heart disease was from 22 days to 45 years. In the acquired heart disease, the age was from 14 to 72 years. Result: Congenital heart disease consisted of 113 congenital acyanotic heart disease, 19 congenital cyanotic heart disease. Corrective operation was done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with 4. 5 % operative mortality. Of 68 cases acquired heart disease, 44 patients were valvular heart disease, 3 cardiac tumors, 9 ischemic heart diseases, 12 aortic dissections and etc. The operative mortality was 13%. Conclusio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ppeared in 68 cases and the complications were wound infection, occipital alopecia, low cardiac output syndrome, arrhythmia, septicemia etc. The mortality after open heart surgery was 15 cases and the causes of death were low cardiac output syndrome, septicemia, respiratory failure and left ventricle rupture.

      • 폐모세포종 : 1례보고 A Case Report

        최영호,서홍주,임영혁,김정중,박성강,이석기,임진수,김은규 조선대학교 2001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6 No.2

        Pulmonary blastoma is a very rare primary neoplasm of the lung. We experienced a case of pulmonary blastoma in a 40 years old man. The mediobasal segmentectomy of the right lower lobe was performed. The patient was discharge on the postoperative days 6. There is no evidence of recurrence or metastasis on followup study during 7 months period after operation.

      • KCI등재후보

        건강보험에서 5인 미만 사업장의 직장보험 편입 효과 평가와 정책 방향

        송명섭,김창보,고수경,임정수,박지연 한국사회보장학회 2002 사회보장연구 Vol.18 No.2

        본 논문은 건강보험공단이 2001년 「월 이후 추진하고 있는 5인 미만 사려장의 직장보험 편입을 평가하고 향후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5인 미만 사업장의 직장보험 편입은 보험 가입자의 보험료 부과의 형평성을 제고하고, 영세사업장 노동자들의 보험료 부담을 경감시키며 건강보험재정 안정 효과를 위한 것이다. 2001년 7월 이후 12월 31일까지 직장보험으로 신규편입한 대상자는 모두 약 64만명이었으나 편입이전지역보험 대상자는 약 53만명, 직장보험 대상자는 약 10만명이었다. 또한 동일 기간동안 직장보험으로 편입된 사업장은 모두 88,751개였다. 편입 전후 개인별 보험료 수준 변화를 살펴보면 보험료 부과대상 중 77.6%는 본인이 부담해야 할 보험료가 감소하였다. 대신 사업주의 보험료 부담은 상대적으로 늘어났다. 한편 2001년 7월 이후 12월까지 직장보험 편입으로 건강보험의 재정은 약 19,530백만원의 재정절감효과가 있었다. 직장보험은 7,331백만원의 보험료 수입 증가가 발생하였으며, 지역보험은 12,199백만원의 재정절감 효과가 있었다. 향후 5인 미만 사업장의 직장보험 편입이 원만히 추진되기 위해서는 피부양자 인정기준의 개선과 영세사업장 사업주의 보험료 부담을 경감시켜주기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사회적으로는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사회보장 적용 확대를 위한 노력이 동시에 추구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coverage of small companies with less than 5 persons by Corporate Insurance since July 2001 and of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 This coverage expansion by Corporate Insurance was intended for improving equity level of contribution imposition, alleviating financial burden of employees and achieving financial stability of health insurance. While, from July 2001 to December, the number of newly covered beneficiaries was about 642 thousand persons, the number of Regional beneficiaries before the new coverage expansion by Corporate Insurance was 533 thousand persons. And the number of Corporate Insurance beneficiaries before the coverage expansion was 101 thousand persons. For the same period, the number of companies by the new coverage expansion of Corporate Insurance was 88,751. Before and after the expansion, taking into account changes of individual contribution levels, payment share levels of contribution were reduced to the 77.6% of the beneficiaries newly covered by Corporate Insurance. Instead, payment share level of contribution of employers was increased more than before. And 19,530 million won was increased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Expenditure. 7,331million won was increased in Corporate Insurance revenue. Expenditure reduction effect of 12,199 million won was able to be obtained in Regional Insurance. In order to implement successfully the coverage expansion by Corporate Insurance in times ahead, employers' contribution share should be reduced, when considering low profitability levels of small companies.

      • KCI등재

        민들레 잎과 뿌리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유경미,김세희,장정화,황인경,김경임,김성수,김영찬 한국조리과학회 200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1 No.1

        In order to develop a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with natural food applications, the effects of dandelion leaves and roots powder content on the physical,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ulggidduk were examined. Dandelion powders of leaves and roots at 0, 1, 2 and 3% were added to the dandelion sulgidduk. In the dandelion roots powder in sulgidduk, the color intensity of L values and the values and moisture content decreased however, the sensory color intensity, dandelion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dandelion powder content. The sensory overall acceptability indicated the dandelion roots powder content at 3% had the highest overall and flavor scores. As the dandelion leaves content was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s, lightness,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of sulggidduk decreased, while the sensory color intensity, sensory hardness, hardness of texture properties and dandelion flavor increased. The addition at 1% of the dandelion leaves powder content with the dandelion sulggidduk and the addition at 3% of the dandelion roots powder content with the dandelion sulggidduk show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 KCI등재후보

        제조업 근로자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자율 신경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윤기정,하미나,김재용,이상윤,임형준,신애선,황승식,김정수,강대희,조수헌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3

        목적 : 자율신경계 활성도와 직무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주요 기전으로 자율 신경계 활성도, 특히 교감신경계의 활성화가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되고 이는 바, 이러한 자율신경계 활성도를 생리학적 지표(심박수 변동성; Heart rate variability, HRV) 및 생체시료(요중 카테콜아민)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들의 수준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천안시 소재 제조업체의 생산직 남성 근로자 145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면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동일한 근무조건(4조 3교대)로 한정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 설문조사(Karasek's Job Conten Questionnaire, JCQ)'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자율신경계 기능은 심박수 변동성과 요중 카테콜아민(에피네프린, 노에피네프린, 도파민)을로 평가하였다. 시료 수집 및 심박수 변동성 측정은 자율신경계의 일주기 리듬을 고려하여 각 연구 대상자들에게 각 교대근무대별로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직무 만족도 설문조사(49문항)와 함께 인구학적 사항, 직업력, 과거병력, 흡연, 음주력 등에 대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직무 만족도 설문조사에 의해 평가된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직무긴장모형(job strain model)에 의한 4개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연구 대상자들은 저긴장 집단(low strain) 24명, 고긴장 집단(high strain) 32명, 수동적 집단 65명, 능동적 집단 20명으로 분포하였다. 직무긴장모형 4개 집단간의 심박수 변동성 및 요중 카테콜아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심박수 변동성중 특히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기전으로 제시되는 교감신경계의 활성을 나타내는 저주파 변동성도 4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value=0.71). 하지만, 직무기간을 사분위수로 나눈 후 직무 기간이 가장 짧은 군(직무기간<48.5개월, N=28)을 대상으로, 직무긴장모형의 4개 집단간의 저주파 변동성(교감신경 활성도 지시) 차이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간(between group) 동질성검정이 p-값 0.092의 유의확률을 나타내었다. 결론 : 자율신경계 활성도, 특히 심박수 변동성을 이용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평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제한적이긴 하지만, 근무기간이 짧은 군에서 저긴장 집단과 고긴장 집단간의 저주파 변동성의 차이를 보여 심박수 변동성이 잠재적인 생리적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ic nerve activity (i.e., heart rate variability and urinary catecholamines) and job stres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34 workers from a company producing consumer goods (i.e., diaper, paper towel) located in Cheonan, Korea. Job stress was assessed by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utonomic function was assessed by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urinary catecholamines (eponephrine, norepinephrine, and dopamine). Urine samplings, and measurings of HRV,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each shift. Information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evious job histories, past medical history, smoking and drinking were also collected.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nt HRV and urinary catecholamines among the four groups, which were categorized by the Job Strain Model. When data were stratified by work duration, low field HRV was borderline sigificantly higher in the high strain group in individuals with a sgorter work duration (<48.5 months, N=28, p-value of 0.92 by analysis of variance). Conclusions: Neither HRV nor urinary catecholamin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tress, as assessed by the Karasek's JCQ. However, HRV seems to be a potential physiological incicator of jov stress only in the workers with a shorter work duration.

      • KCI등재후보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를 위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 : 고안 및 평가

        설희윤,김지량,권보란,목정하,이선희,곽임수,정진우,김정수,고옥배,조은희,김성순,신상숙,이상원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2

        목적 : 의료기관의 범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를 위한 훈련방법으로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 (hospital based tabletop exercise)의 유용성과 순응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탁상 훈련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병원의 주요의사결정권자 및 주요부서 대표자, 실무자 42명이 지휘부, 진료부, 지원부 3그룹으로 나뉘어 훈련에 참가하였다 탁상훈련의 시나리오는 의료기관의 자체 훈련을 위해서 고안하였으며 현재 동남아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1 인플루엔자가 국내에 처음으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3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훈련 평가는 훈련 전후에 각각 익명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훈련에 초청된 참여자 42명 중 37명(88%)이 실제 당일 훈련에 참여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전 시행한 설문에 27명(73%)이 응답하였다. 훈련 전 정가에서는 훈련을 통해 획득하고 싶은 지식이나 기술의 우선 순위를 물었으며,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대유행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 향상 22%, 병원 각 부서가 취해야 할 계획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지식 향상 19%, 지역사회 병원들 간의 상호협력을 향상시킬 전략 계발이 19%이었다. 그룹토의 동안에는 환자의 조기 발견 이후 대응에 대한 토론이 많았지만, 구체적인 부분이 미흡하였고, 대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후 시행한 설문에 21명(57%)이 응답하였다. 훈련 후 평가에서 탁상훈련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 81%가 만족하였다고 답변을 하였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유용했는가 대한 질문에도 86%가 유용했다고 답변하였다. 결론 : 탁상훈련은 의료기관의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에 효과적인 훈련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훈련을 통해 의료기관 내의 여러 부서들이 각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향후 토른 촉진, 구체적인 결과에 도달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 끼워넣기 개발, 적절한 시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compliance of a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in setting of pandemic influenza in hospitals. Materials and Methods : Tabletop exercise was hel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orty two hospital employe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The scenario for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was designed. It consisted of three modules, which simulated the influx and outbreak of H5N1 influenza that was epidemic in Southeast Asia. Pre-, post-exercise surveys were completed by anonymous questions. Results : Thirty-seven (88%) of 42 invited participants attended exercise. AII members of th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ancillary services group participated. But, only 77% members of the clinical services group participated. In pre-exercise survey, priorities of eight goals regard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exercise were inquired., The highest priorities pointed out by the respondents were "Increase the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22%),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optimal communication among employees within specific department" (19%)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ed coordination between facilities within the health system" (19%). Twenty-one (57%) of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t-exercise surveys. At post-exercise surveys, 81%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tabletop exercise was extremely or very useful, 86% of the participants also stated that it increased their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Conclusion : Tabletop exercise is an effective modality for increasing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in hospitals, and this method is useful for guiding preparedness activities within the hospital environment.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hod of discussion, questionnaire, duration of exercise and injection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