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학습장애 연구 경향 및 방향성에 대한 탐구

        강종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8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trend and direc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as one the types of dis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receive special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the recent studie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s special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research direc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on 24 articles that include a term ‘learning disabilities’ as a titl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 the studies related to a subject were a frequently studied theme among themes dealt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were many studies on mathematics among studies related to a subject. Second, studies on sociabilit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d lack of the studies that discuss bot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students. Third, research on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was seldom discussed, and the ident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also showed controversy.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contents to be studied in learning disabilities by considering the reality of learning disabilities studies. 본 연구는 국내에서 특수교육을 제공받고 있는 장애학생들의 장애유형 가운데 한 가지인 학습장애에 관한 연구 경향 및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의 연구 방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특수교육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학습장애의 최근 연구들에 대한 문헌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용어를 제목에 포함하고 있는 24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문헌검토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에서는 학습장애에서 다루어지는 주제들 가운데는 교과와 관련된 연구들이 가장 많았다. 하지만 교과와 관련된 연구들은 수학에 관한 연구들이 많았다. 둘째 학습장애 학생들에 대한 사회성 관련 연구들 가운데는 학습장애 학생들과 비장애학생들을 함께 다루는 연구들이 부족하였다. 셋째 학습장애에 대한 진단에 관한 연구는 잘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장애 진단 또한 논란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학습장애 연구의 현실을 고려함으로써 앞으로 학습장애에서 연구되어져야 할 내용들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Combined Effects of Container Volume and Fertilizer Level on Plant Growth,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utrient Uptake of Vinca Plant (Catharanthus roseus)

        강종구,천상욱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지 Vol.55 No.3

        The aim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active effects of container size and nutrient supply on plant growth, chlorophyll synthesis, transpiration, CO2 assimilation,water use efficiency (WUE), and nutrient uptake of vinca plant (Catharanthus roseus). A complete experiment utilizing four concentrations of fertilizer and three volumes of containers was conducted. As the container size was increased, the plant height, leaf area, and dry weight of vinca significantly increased regardless of fertilizer level. The leaf area and dry weight of vinca were highly sensitive to the container size. However, the chlorophyll contents of vinca 20 days after the transpla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decreasing container sizes and increasing fertilizer concentration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anspiration and CO2 assimilation occurred with the use of differentfertilizer solutions, but the highest values for transpiration and CO2 assimilation were in plants grown in the 15 cm-diameter containers. The highest water use efficiency was observed in the plants grown in 10 cm-containers with 4dS/m of fertiliz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UE values among container sizes with fertilizer concentrations of 0, 1, or 2 dS/m.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ent uptake was observed among the fertilizer levels or among the container sizes. However, at a fertilizer concentration of 4dS/m, the uptake of several nutrients, including N, P, K, Ca,Mg, B and Fe, was higher in small containers than in larger ones.

      • KCI등재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에 대한 연구 경향 및 지원 방향

        강종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how the studies related to education of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were conducted and tried to identify the direction to support the education of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South Ko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reviewed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lated to the education of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results of review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ere as follows. First, I could not find any study related to the education o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mong domestic literature. Second, the result of the review on foreign literature about the education of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howed that there were a few studies related to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hat these studies dealt with educational application, issues, and ot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undamental studies such as educational justification o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need to be addressed as well as the educational applications o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studies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ies on adul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need to discuss the studies on various topics as well as the studies on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국내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학습장애 성인교육과 관련된 국내 및 외국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국내 및 외국 문헌들에 대한 검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문헌들 가운데는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과 관련된 문헌을 찾을 수 없었다. 둘째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과 관련된 외국 문헌들에 대한 검토 결과 학습장애 성인들에 대한 연구들이 몇 편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연구들은 학습장애 성인들에 대한 교육적 적용과 논쟁 등을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에 있어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에 대한 적용과 함께 학습장애 성인들의 교육의 당위성과 같은 기초적인 연구들이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함께 학습장애 성인들에 대한 연구들은 교육에 대한 연구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들에 대한 연구들도 다룰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소득불균등 확대의 원인 분석

        강종구,박창귀,조윤제 한국은행 2012 經濟分析 Vol.18 No.1

        최근 들어 소득불균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소득불균등 확대가 사회통합을 저해하며 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저하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득불균등 확대 원인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보면 1인당 소득수준, 정부의 복지지출, 인플레이션, 무역개방, 기술진보 등이 소득불균등 변동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노동소득분배율, 인적자본의 형성, 자영업 및 비상근직 비중 등은 경제사회 구조와 관련하여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소득불균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에서 실증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고는 소득불균등에 대한 앞서 세 가지 요인의 영향을 국가별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아울러 본고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변수간 내생성 문제를 통제하여 엄밀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GMM을 활용하여 추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노동소득분배율과 교육수준의 상승은 소득불균등을 완화하며 자영업 및 비상근직 비중의 상승은 소득불균등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s over income inequality because an expansion of income inequality may hinder social integration, and eventually reduce potential economic growth. Previous studies show that income inequality is related to factors such as per capita income, government social expenditure, inflation, trade openness and technological advances. Although labor income share, human capital formation, ratios of self-employed and temporary worker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can influence income inequality, no previous studies have yet carried out an empirical examination on such variables. This paper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regarding the above mentioned three factors using country panel data. And this paper uses the system GMM method to draw conclusions by thoroughly addressing the endogenicity problem.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shows that a rise in the labor income share or the level of education reduces income inequality while a rise in the ratio of self-employed or that of temporary workers increases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학교급에 따른 다문화 장애학생들과 관련된 연구 특성 분석

        강종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researc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rade levels among studies related to domestic multicultural disabled students, and aimed to identify how these research characteristics imply the studies related to domestic multicultural disabled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the result of literature review showed the following things as research characteristics related to domestic multicultural disabled students. First, there were not so many studies according to specific grade level, and, in particular, there were no study that dealt with secondary grade level. Second, many studies were published since 2010 in terms of publication years. Thir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towards (preservice) teachers as research target. Finally, many studies were conducted b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investigation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This study shows that the studies on multicultural disabled students attending secondary school need to be conducted and that research methods related to multicultural disabled students need to use various research methods.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문화 장애학생들과 관련된 연구들 가운데 학교급에 따른 연구 특성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연구 특성들이 국내 다문화 장애학생들과 관련된 연구들에 시사하는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검토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문헌검토 결과는 국내 다문화 장애학생들과 관련된 연구 특성들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보여주었다. 첫째 특정 학교급에 따른 연구들은 많이 없었으며, 특히 중등 학교급만을 다루는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둘째 2010년 이후에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많은 연구들이 연구대상으로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행되어졌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문헌고찰과 설문조사를 통한 연구들이 많이 있었다.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장애학생들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다문화 장애학생과 관련된 연구들에 사용되는 연구방법들로 다양한 연구방법들이 사용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