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발 또는 일차 불응 미만 대 B세포 림프종에서 리툭시맵 병용 ESHAP의 이차요법: 국내 단일 기관 경험

        고옥배,김신,이대호,김상위,허주령,서철원 대한혈액학회 2007 Blood Research Vol.42 No.4

        배경: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전 관해 상태는 재발 혹은 1차 불응 미만형 대 B 세포 림프종(DLBCL) 환자의 이식 후 경과에 영향을 끼쳐, 일반적으로 완전 반응의 경우가 부분 반응의 경우보다 양호하다. 이 연구는 ESHAP 복합 요법에 Rituximab을 추가(R-ESHAP)하여 재발 혹은 1차 불응 DLBCL 환자의 완전 반응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방법: DLBCL 환자 등록 자료를 근거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결과: 한 가지 화학 요법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16명의 환자에게 R-ESHAP이 1∼6주기(중앙치 3주기) 시행되었다. 전체 반응률은 75% (완전 반응 50%, 부분 반응 25%)로 이는 ESHAP만 투여 받은 대조군의 31%에 비해 우월하였다(P=0.027). 독성은 허용할 만하였으며, 51치료 주기 중 2건의 발열 호중구 감소증이 있었다. R-ESHAP의 반응군 12예 중 7명이 BEAM 요법의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술을 시행받았다. 중앙 추적 기간 17개월에 중앙 생존 기간들에 도달하지 않았다.

      • KCI등재

        메틸렌 블루 용액에 의한 급성 식도점막 손상 1예

        고옥배,김도훈,강정민,정훈용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1 Clinical Endoscopy Vol.42 No.3

        Methylene blue (MB) based chromoendoscopy has been used for more than a decade to increase detection rates of specialized intestinal metaplasia, dysplasia, and esophageal adenocarcinoma. It is also used to detect anastomotic leakage after an operation. A 67-year-old man with no previous medical problems had complaints of jaundice and weight loss for 2 months. He was diagnosed with a Klatskin tumor and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An initial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was performed before the operation. No abnormality was observed in the esophagus. MB solution was infused via an L-tube to check for leakage in the anastomosis. Subepithelial hemorrhagic and edematous mucosal changes with friability and a bluish mucosal discoloration were noted 2 days later from the mid to lower esophagus on EGD. Nine months later, an EGD revealed an unremarkable esophageal mucosa. MB solution is considered safe; however, a large volume or high concentration of MB solution might be harmful.

      • KCI등재후보

        일차성 Streptococcus pneumoniae 균혈증에 동반된 흉부 하행 대동맥염 1예

        전민혁,고옥배,정우진,최영준,이정훈,최상호,김미나,김양수,우준희,류지소 대한감염학회 2005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37 No.5

        Bacterial aortitis is rare and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it usually leads to uncontrolled sepsis or catastrophic hemorrhage, ultimately, resulting in death. In the postantibiotic era, the dominant infecting organisms are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spp.. In spite of frequent pneumococcal bacteremia, vascular seeding is rare and there is only one published report in Korea. We describe a 77-year-old female with primary pneumococcal bacteremia followed by aortitis of the descending aorta,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by aneurysmectomy, wide excision of periaortic tissue, aortobiiliac bypass via prosthetic graft, and antibiotic therapy. 페렴구균에 의한 대동맥염은 국내에서 1예만 보고될 정도로 매우 드문 감염증이다. 저자들은 원발성의 폐렴구균혈증에 합병된 페렴구균 대동맥염 환자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일차성 Streptococcus pneumoniae 균혈증에 동반된 흉부 하행 대동맥염 1예

        전민혁,고옥배,정우진,최영준,이정훈,최상호,김미나,김양수,우준희,류지소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5

        페렴구균에 의한 대동맥염은 국내에서 1예만 보고될 정도로 매우 드문 감염증이다. 저자들은 원발성의 폐렴구균혈증에 합병된 페렴구균 대동맥염 환자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Bacterial aortitis is rare and without surgical intervention, it usually leads to uncontrolled sepsis or catastrophic hemorrhage, ultimately, resulting in death. In the postantibiotic era, the dominant infecting organisms are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spp.. In spite of frequent pneumococcal bacteremia, vascular seeding is rare and there is only one published report in Korea. We describe a 77-year-old female with primary pneumococcal bacteremia followed by aortitis of the descending aorta, which was successfully treated by aneurysmectomy, wide excision of periaortic tissue, aortobiiliac bypass via prosthetic graft, and antibiotic therapy.

      • KCI등재

        자가조혈모세포 이식술 후 예방적 항균제 사용 여부에 따른 감염 합병증 발생의 전향적 무작위 비교 관찰

        구동회,고옥배,김신,이대호,김상위,서철원 대한혈액학회 2006 Blood Research Vol.41 No.4

        배경: 자가 조혈모세포이식술 후 예방적 항균제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전향적 무작위 비교 관찰을 하였다.방법: 40명(비호지킨 림프종 12명, 다발골수종 20명)을 진단에 따라 층화 후예방적 항균제 투여 군(21명)과 대조군(19명)으로 무작위 배치하였다. 예방적 항균제 투여군은 씨프로플록사신 경구 500mg 매일 2회, 플루코나졸 경구 100mg 매일 2회, 아씨클로비아 경구 400mg 매 8시간 투여 받았다. 이는 고용량 화학 요법 시행 1일 전부터 시작하여 호중구 생착 혹은 감염증 발생 때까지 계속하였다. 결과: 대조군의 79% (15/19), 그리고 예방군 57% (12/21)에서 최소 1회 이상의 발열이 발생하여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미생물학적 또는 임상적으로 증명된 감염증은 대조군에서 4명(21%) 발생하였고 예방군에서는 없었으나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양 군 모두 사망, 침습적 진균증, 심각한 부작용 등은 없었다. 발열 기간, 치료적 항생제 투여 기간, 입원 기간도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Poor Outcomes for IgD Multiple Myeloma Patients Following High-Dose Melphalan and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 Single Center Experience

        정용필,김신,고옥배,구자은,이단비,박상형,박수정,김상위,서철원,이대호 대한의학회 2008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3 No.5

        Immunoglobulin (Ig) D multiple myeloma (MM) accounts for 2% of all MM cases and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compared with other MM subtyp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high-dose melphalan treatment and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SCT) on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IgD MM and patients with other MM subtypes. Between November 1998 and January 2005, a total of 77 patients with MM who underwent ASCT at the Asan Medical Cente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High-dose melphalan (total 200 mg/m2) was used as high-dose chemotherapy. The study population was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MM subtype: those with IgD MM; and those with other MM subtypes. A total of 8 patients with IgD MM were identified, accounting for about 10% of the study population. Thirty-six patients (47%) had IgG MM, 17 patients (22%) had IgA MM, and 16 patients (20%) had free light-chain MM. The two groups were similar in baseline characteristics. The median follow-up was 17 months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S) was 39 months. In the IgD MM group, median eventfree survival (EFS) and OS were 6.9 and 12 months, respectively. In the patients with other MM subtypes, median EFS and OS were 11.5 and 55.5 months (p=0.01, p<0.01), respectively. Multivariate analysis of all patients identified IgD subtype (p=0.002) and Southwest Oncology Group (SWOG) stage 2 or greater at the time of ASCT (p=0.01) as adverse prognostic factors for survival. In this small study at a single center in Korea, patients with IgD MM had poorer outcomes after ASCT than did patients with other MM subtypes.

      • KCI등재후보

        원발 위장관 미만 대 B세포 림프종의 임상상과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의 적용

        구자은 ( Ja Eun Koo ),고옥배 ( Ock Bae Ko ),이단비 ( Danbi Lee ),김은희 ( Eun Hee Kim ),정용필 ( Young Pill Chong ),김신 ( Shin Kim ),류민희 ( Min Hee Ryu ),강윤구 ( Yoon Koo Kang ),허주령 ( Jooryung Huh ),서철원 ( Cheolwon Suh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1

        목적: 한국에서 원발 림프절외 림프종의 빈도는 서양권에 비하여 높다고 알려져 있다. 원발 위장관 림프종은 림프절외 림프종의 가장 흔한 형태이지만, 국내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단일 기관의 원발 위장관 DLBCL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과 치료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 5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원발 위장관 DLBCL로 진단받은 76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임상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분석하다. 결과: 남성이 40명이였고, 중앙 연령은 53세(15-75세)였다. 위 림프종이 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소장, 회-맹장부위, 대장, 직장을 침범한 환자의 수는 각각 21, 1, 10, 2명이었으며 다발성으로 위장관을 침범한 환자는 4명이었다. 제 IIE병기가 3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제 IE 병기 24명, 제 IIIE병기 9명, 제 IVE병기 8명의 순이었다. 중앙 추적관찰기간은 25개월이었으며 5년 전체생존률은 61.4%, 5년 무사건생존률은 59.3%였다. B 증상 유무, 활동도, LDH 값, 병변의 위치는 생존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27명의 환자가 1차 치료로 수술을 받았는데, 1차 치료로 단독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들과 생존률의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장 림프종에서는 수술한 환자들이 수술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하여 EFS이 우수하였다(p=0.030). 연령(p=0.038), 성별(p=0.017), 병기(p=0.048), 림프절외 침범병소의 수(p=0.002)가 EFS에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IPI에 따른 3년 무사건생존률은 저위험군/저-중위험군/중-고위험군/고위험군에서 각각 78.4%/ 63.7%/ 30.0%/ 0%였다(p=0.002). 다변량 분석에서 IPI만 이 EFS에 대한 독립적 예후인자였다(p=0.002). 결론: 단일 기관의 원발 위장관 DLBCL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예후인자를 연구한 결과 IPI가 독립적이고 가 장 강력한 예후인자였다. Background: Primary gastrointestinal lymphoma is one of the most common extranodal lymphom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information on the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of patients with primary gastrointestina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at a single healthcare facility in Korea. Methods: Between May 1998 and December 2003, 76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patients at Asan Medical Center were identified and evaluated. Results: Male patients accounted for 40 cases. The median age was 53 years. A total of 38 patients had primary gastric DLBCL. With a median follow-up of 25 months, the five year overall survival (OS) rate was 61.4% and the five year event free survival (EFS) rate was 59.3%. B symptoms, performance status, LDH levels and involved sites did not affect survival. Twenty-seven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surgical resection did not demonstrate a difference in survival when compared to patients who did not undergo surgery. However, for intestinal lymphoma, primary surgical rese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FS (p=0.030). Age (p=0.038), sex (p=0.017), stage (p=0.048), and the number of extranodal sites (p=0.002)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EFS. The three year EFS rate for each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IPI) risk group was as follows: 78.4% for low risk, 63.7% for low-intermediate risk, 30.0% for high-intermediate risk and 0% for high risk (p=0.002). Cox multivariate analysis revealed that the IPI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EFS (p=0.002). Conclusions: Here we report on the unique pattern of clinical features of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from a single healthcare center in Korea. The IPI system had prognostic value for primary gastrointestinal DLBCL. (Korean J Med 72:11-19, 2007)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를 위한 의료기관 - 바탕 탁상훈련: 고안 및 평가

        설희윤,김지량,권보란,목정하,이선희,곽임수,정진우,김정수,고옥배,조은희,김성순,신상숙,이상원 대한감염학회 2008 Infection and Chemotherapy Vol.40 No.2

        Background :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compliance of a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in setting of pandemic influenza in hospitals. Materials and Methods : Tabletop exercise was hel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orty two hospital employe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The scenario for hospital- based tabletop exercise was designed. It consisted of three modules, which simulated the influx and outbreak of H5N1 influenza that was epidemic in Southeast Asia. Pre-, post-exercise surveys were completed by anonymous questions. Results : Thirty-seven (88%) of 42 invited participants attended exercise. All members of th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ancillary services group participated. But, only 77% members of the clinical services group participated. In pre-exercise survey, priorities of eight goals regard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exercise were inquired., The highest priorities pointed out by the respondents were "Increase the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22%),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optimal communication among employees within specific department"(19%)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ed coordination between facilities within the health system" (19%). Twenty- one (57%) of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t-exercise surveys. At post-exercise surveys, 81%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tabletop exercise was extremely or very useful, 86% of the participants also stated that it increased their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Conclusion : Tabletop exercise is an effective modality for increasing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in hospitals, and this method is useful for guiding preparedness activities within the hospital environment.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hod of discussion, questionnaire, duration of exercise and injection are needed. 목 적 : 의료기관의 범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를 위한 훈련방법으로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hospital based tabletop exercise)의 유용성과 순응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탁상 훈련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병원의 주요의사결정권자 및 주요부서 대표자, 실무자 42명이 지휘부, 진료부, 지원부 3그룹으로 나뉘어 훈련에 참가하였다 탁상훈련의 시나리오는 의료기관의 자체 훈련을 위해서 고안하였으며 현재 동남아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1 인플루엔자가 국내에 처음으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3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훈련 평가는 훈련 전후에 각각 익명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훈련에 초청된 참여자 42명 중 37명(88%)이 실제 당일 훈련에 참여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전 시행한 설문에 27명(73%)이 응답하였다. 훈련 전 평가에서는 훈련을 통해 획득하고 싶은 지식이나 기술의 우선 순위를 물었으며,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대유행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 향상 22%, 병원 각 부서가 취해야 할 계획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지식 향상 19%, 지역사회 병원들 간의 상호협력을 향상시킬 전략 계발이 19%이었다. 그룹토의 동안에는 환자의 조기 발견 이후 대응에 대한 토론이 많았지만, 구체적인 부분이 미흡하였고, 대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후 시행한 설문에 21명(57%)이 응답하였다. 훈련 후 평가에서 탁상훈련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 81%가 만족하였다고 답변을 하였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유용했는가 대한 질문에도 86%가 유용했다고 답변하였다. 결 론 : 탁상훈련은 의료기관의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에 효과적인 훈련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훈련을 통해 의료기관 내의 여러 부서들이 각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향후 토론 촉진, 구체적인 결과에 도달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 끼워넣기 개발, 적절한 시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를 위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 : 고안 및 평가

        설희윤,김지량,권보란,목정하,이선희,곽임수,정진우,김정수,고옥배,조은희,김성순,신상숙,이상원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2

        목적 : 의료기관의 범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를 위한 훈련방법으로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 (hospital based tabletop exercise)의 유용성과 순응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탁상 훈련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병원의 주요의사결정권자 및 주요부서 대표자, 실무자 42명이 지휘부, 진료부, 지원부 3그룹으로 나뉘어 훈련에 참가하였다 탁상훈련의 시나리오는 의료기관의 자체 훈련을 위해서 고안하였으며 현재 동남아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1 인플루엔자가 국내에 처음으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3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훈련 평가는 훈련 전후에 각각 익명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훈련에 초청된 참여자 42명 중 37명(88%)이 실제 당일 훈련에 참여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전 시행한 설문에 27명(73%)이 응답하였다. 훈련 전 정가에서는 훈련을 통해 획득하고 싶은 지식이나 기술의 우선 순위를 물었으며,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대유행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 향상 22%, 병원 각 부서가 취해야 할 계획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지식 향상 19%, 지역사회 병원들 간의 상호협력을 향상시킬 전략 계발이 19%이었다. 그룹토의 동안에는 환자의 조기 발견 이후 대응에 대한 토론이 많았지만, 구체적인 부분이 미흡하였고, 대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후 시행한 설문에 21명(57%)이 응답하였다. 훈련 후 평가에서 탁상훈련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 81%가 만족하였다고 답변을 하였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유용했는가 대한 질문에도 86%가 유용했다고 답변하였다. 결론 : 탁상훈련은 의료기관의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에 효과적인 훈련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훈련을 통해 의료기관 내의 여러 부서들이 각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향후 토른 촉진, 구체적인 결과에 도달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 끼워넣기 개발, 적절한 시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compliance of a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in setting of pandemic influenza in hospitals. Materials and Methods : Tabletop exercise was hel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orty two hospital employe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The scenario for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was designed. It consisted of three modules, which simulated the influx and outbreak of H5N1 influenza that was epidemic in Southeast Asia. Pre-, post-exercise surveys were completed by anonymous questions. Results : Thirty-seven (88%) of 42 invited participants attended exercise. AII members of th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ancillary services group participated. But, only 77% members of the clinical services group participated. In pre-exercise survey, priorities of eight goals regard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exercise were inquired., The highest priorities pointed out by the respondents were "Increase the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22%),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optimal communication among employees within specific department" (19%)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ed coordination between facilities within the health system" (19%). Twenty-one (57%) of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t-exercise surveys. At post-exercise surveys, 81%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tabletop exercise was extremely or very useful, 86% of the participants also stated that it increased their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Conclusion : Tabletop exercise is an effective modality for increasing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in hospitals, and this method is useful for guiding preparedness activities within the hospital environment.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hod of discussion, questionnaire, duration of exercise and injection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