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정신과 폐쇄 병동 환경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변인 : 치료의 질적 향성을 위한 예비적 연구 The Preliminary Study for Promoting the Quality of Psychiatric Inpatient Treatment

        서정석,류은정,이상미,한미희,최귀순,손인기,남범우 건국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3 건국의과학학술지 Vol.13 No.-

        Purpose: IS prelminary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linical variables influencing on the ward atmosphere in psychiatric closed ward and to promote the quality of psychiatric inpatient treatment. Method: 41 psychiatric inpatients were selected in Chung-ju hospital, Konkuk university. Ward Atmosphere Scale(W AS) was used to evaluate patients' perception of ward milieu. WAS score were compared among subgroups with respect to the clinical variables such as duration of admission, frequency of admission, and diagnosis. Results: Significantly, patients who have hospitalized for 1 month to 2 months reported lower score of WAS and patients who have hospitalized for longer than 2 months reported higher score of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ed levels and WAS score was not significant. First admitted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core of WAS. Bipolar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f WAS and alcohol related patients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core of WAS. Conclusion: The 1st admitted patients, patients with alcohol problem and educated patients were had less satisfied with psychiatric closed ward. Thus, by considering these factors, more specified therapeutic approach and plan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후보

        일개 대학병원근무자들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순응도 관련요인

        정희진,손장욱,최선주,엄중식,우흥정,천병철,김우주,박승철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4

        목적 : 병원근무자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은 병원내에서 인플루엔자 전파를 막기위한 수단으로 적극 권장되고 있으나 매년 인플루엔자 백신을 접종하는 병원근무자들은 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본 연구는 병원근무자들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첫째, 백신 접종자에서의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계기를 알아보고 둘째, 인플루엔자 백신접종의 장애요인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에 목표가 있다. 재료 및 방법 : 서울 1개 대학병원의 병원종사자들을 대상으로 1999년 10월 1개월에 걸쳐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하도록 한 후 2000년 3월에 접종군과 비접종군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백신 접종군을 대상으로 백신접종의 동기(que to action), 비접종군을 대상으로는 접종에의 장애요인(barrier) 등을 조사하였다. 이 외에도 양군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에 대한 지식 척도,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기대되는 효과(benefit)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정답률을 조사하였다. 결과 : 1) 설문 조사에 응한 총 수는 309명으로 간호사가 60% 이상이었다. 백신접종군은 평균연령, 평균 근무연수가 비접정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으나 성별, 직종별 분포는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2)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의 필요성에 대한 지식정도에 있어 접종군의 934%가 그 필요성을 잘 인식하여 비접종군의 779%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예방 접종이 필요한 구체적 이유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접종군 113%, 비접종군 119%에 불과하였다. 3)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받은 의료인들의 행동계기는 ‘감염관리실의 홍보’와 ‘주위사람들의 권유’에 의한 경우가 26.9%, 21.6%로 가장 많았고 본인이나 가족, 친구들을 통한 일종의 감지된 위협 때문에 접종한 경우 31명(186%)의 순이었다. 4) 비접종자들에서 예방 접종을 시행치 않은 가장 흔한 이유는 ‘업무에 바쁘고 시간이 없어서’라는 항목이었으며(37.3%) 특히 의사 집단에서는 이러한 이유가 68.8%로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간호사나 기타 직종에 종사하는 직원들의 경우는 자신의 건강에 대한 확신이 30%내외에 달하였고 예방 접종 자체의 효과에 의문을 갖는 경우도 직종에 따라 6.3-29.7%에 달하였다. 결론 : 병원근무자에서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의 장애물(효과의 의문,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인플루엔자 백신의 필요성과 효과를 인식시키기 위한 교육과 함께 시간, 공간상의 제약을 배제할 수 있는 접근성의 문제를 해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In spite of yearly recalls, influenza immunization rate among healthcare workers (HCWs) remained low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non-compliance against influenza immunization and to analyze the barrier factors for the immunization.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March of 2000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We evaluated factors associated with acceptance of influenza vaccination and opinions regarding influenza prevention (knowledge about influenza vaccination efficacy, que to action in vaccinee, perceptible benefit, barrier to vaccination). Results : 309 completed questionnaires from HCWs were returned. Mean age and mean duration of work in hospital were higher and longer among vaccinee than non-vaccinee. Even though the necessity of influenza vaccination among HCWs were accepted well in vaccinee compared to nonvaccinee, the accurate reasons for vaccination were not quite understood among HCWs regardless of compliance. Vaccine campaign (30.8%) and advise from doctors (24.7%) were important for the promotion of vaccination among vaccinee. However, major reason for non-compliance among nursing staff and was mis-confidence that their bodies' self defense mechanisms would ward off infection (33.5%) and 'too busy to get injection' for doctors (65%).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regular education about perceptible benefits and wrong concerns about influenza vaccination among HCW's and easy accessibility to vaccination were important determinants to improve the influenza vaccination. On-site availability of a vaccination-nurse also proved to be important.

      • KCI등재

        만성질환자에서 인풀루엔자 예방 접종의 효능 분석 :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

        박승철,정희진,손장욱,최선주,엄중식,우흥정,천병철,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4

        목적: 인플루엔자는 예방접종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예방이 가능한 대표적인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미국이나 국내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지침에서 고령인구(50세 또는 65세 이상)와 그 외의 만성질환자들을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일차 대상자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만성질환자들에서의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능평가에 대한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며 국내에서의 만성질환의 분포가 외국의 그것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만성질환자들에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과 연관된 병원입원율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999년 11월-2000년 3월(5개월간) 서울 소재 2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만성질환자중 발열과 호흡기 증상이 있어 인플루엔자 또는 인플루엔자양 질환이 의심되거나 그로인한 만성질환의 악화로 추정되는 환자군과 이를 배제한 대조군을 중심으로 혈중 인플루엔자 항체가를 조사하였고 인플루엔자 백신접종력을 조사하였다. 결과의 해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한 환자 대조군 연구에서 2개 대학병원에서 1년간 조사한 결과 항체 검사에 기준하여 최종적으로 환자군 64명, 대조군 117명이 포함되었다. 환자군에서는 대부분이 호흡기질환(253%)과 심혈관계질환(313%)였던 반면에 대조군은 암(466%)이 가장 많았고 심혈관계질환과 호흡기계질환은 각각 134%, 60%로 낮았다. 또한 두군간에는 예방접종의 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때의 비차비(OR)은 0328로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의 입원 예방효능은 672%이었다. 결론 : 만성질환자, 특히 만성 심폐질환들에서의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불필요한 입원을 줄이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의료인들은 고위험군의 환자들에 대하여 인플루엔자 에방접종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실천하여야 하겠다. Background : Influenza is one of the preventable respiratory disease by annual vaccination. Elderly people and patients with chronic medical disease are the primary target for influenza vaccination according to ACIP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influenza vaccination affects hospitalization due to influenza like illness or it's related complications among chronic ill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for 5 months (Nov. 1999-Mar. 2000). Physicians from two-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were instructed to collect clinical data, sera from subjects presenting with a flu-like illness or flu-related exacerb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underlying diseases. We compared the vaccination history of case patients with contro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alculate the odd ratio and efficacy of influenza vaccination. Results : Hospitalization due to ILI (influenza like illness) or it's related complications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25.3%) and chronic cardiac disease (31.3%) compared to others. Influenza vaccination resulted in fewer hospitalization with ILI or ILI-related acute exacerbation of underlying disease in chronic ill patients (adjusted odd ratio, 0.328 [CI, 0.14 to 0.73]) during influenza seasons. Conclusion :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 influenza vaccination is associated with substantial health benefit including fewer hospitalization. Health care providers should take advantage of all opportunities to immunize these high-risk patients.

      • KCI등재

        고농도 니켈 침출액으로부터 Na-PC88A에 의한 Co, Mn 및 Zn의 분리에 관한 연구

        安鍾寬,朴慶鎬,孫廷秀,안재우 대한금속재료학회 2001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39 No.12

        Solvent extraction experiments for the separation of impurities from Ni-rich solution were carried out for manufacturing of high purity Ni compounds from acid leaching solution of spent Ni-Cd secondary battery. Synthesised and actual leaching solution were used as aqueous phases and PC88A saponified by sodium in kerosene were used as organic phases. The extraction order is Zn>Mn>Co>Ni and extraction percentage of metal ions was increased with an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of extractant, initial pH of aqueous phase and ratio of O/A The separation of Ni and other impurities was effectively accomplished at the condition of extraction stage = 1, O/A = 1, saponified percent 50%, initial pH 5.0, concentration of extractant 1.0M.

      • KCI등재

        다제내성 그람양성균에 대한 Linezolid(Zyvox^(�))의 시험관내 항균력 비교

        박대원,정희진,엄중식,황병연,김성범,이재갑,이연주,정혜원,정성주,박재형,이진수,손장욱,김우주,김민자,박승철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5

        배경 : MRSA, VRE, VRSA같은 다제 내성 그람 양성균의 등장에 따라 glycopeptide를 대체할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새로운 항생제인 linezolid라는 항생제가 개발되었다. Linezolid는 이전의 항생제와는 다른 새로운 계열의 oxazolidinone으로 경구 이용률이 우수하다. 원내 및 원외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 되고 있는 MRSA, VRE에 대한 적절한 경구용 항균제가 없는 국내에서 폐렴 및 피부 연조직 감염에서 경구용으로 사용해 볼 수 있는 약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대 구로 병원에서 분리된 MRSA, VRE 등을 대상으로 다른 여러 항균제와 비교한 linezolid의 시험관내 항균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연구대상은 1998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입원 및 외래를 통하여 피부 연조직 감염증 및 호흡기 감염증, 요로감염증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가검물로부터 분리된 MRSA 60균주, VRE 43균주, PRSP 25균주를 액체배지 또는 한천배지 희석법을 통하여 linezolid 및 기타 항균제에 대한 최소발육억제농도를 구하였다. 결과 : 실험에 사용한 S. aureus는 모두 MRSA였고 이들은 linezolid에 대해 MIC_(90) 2㎍/㎖(MIC 범위 1-2㎍/㎖), Enterococcus spp는 모두 VRE로 linezolid의 MIC_(90)은 2㎍/㎖로 MIC 범위는 1-4㎍/㎖였다. 한 개의 균주에서 MIC 4㎍/㎖로 중등도 감수성을 보였으나 MIC breakpoint가 (8㎍/㎖인 내성균주는 없고 모두 감수성을 보였다. S. pneumoniae의 경우 penicillin 내성이었고, linezolid MIC_(90) 1㎍/㎖ (MIC 범위 0.5-1㎍/㎖)로 전부 감수성을 보였다. 결론 : Linezolid는 MRSA를 위시한 VRE, PRSP 등의 다제 내성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우수한 시험관내 항균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The emergence of multi-drug resistant Gram-positive cocci, such as MRSA, VRE, and VRSA, necessitated to develop new antibiotics, which could replace the glycopeptide. As a result, a new antibiotics named linezolid was developed. Linezolid is different line of oxazolidinones with a good oral bioavailability, compared to other antibiotics. Since appropriate oral antibiotics are not presently available for MRSA, which is a major cause of nosocomial and community acquired infections, the introduction of linezolid will have favorable effect on treatment of infections such as pneumonia or skin infectio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biotic effect of linezolid on MRSA and VRE isolated from patients who were treated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Material and Methods : By using broth microdilution and agar dilution method we measured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ith sixty S. aureus, forty three Enterococcus spp., and twenty five S. pneumoniae isolates from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skin, soft tissue, respiratory, and urinary infections in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2. Results : All of S. aureus used in this study were MRSA, and MIG_(90) of linezolid was below 2 ㎍/㎖ (MIC ranged between 1-2 ㎍/㎖). All of Enterococcus spp. were VRE, and had MIG_(90) of 2 ㎍/㎖ (MIC ranged between 1 to 4 ㎍/㎖). One of the VRE showed intermediate susceptibility with MIC of 4 ㎍/㎖. However, none was resistant with MIC breakpoint above 8 ㎍/㎖. All of S. pneumoniae were resistant to penicillin, but they were susceptible to linezolid with MICao of 1 ㎍/㎖(MIC range 0.5-1㎍/㎖). Conclusion : In conclusions, linezolid has an excellent in vitro antibiotic effect on multi-drug resistant Gram-positive cocci, such as MRSA, PRSP, and VRE.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Gilbert damping in asymmetric MgO(Ta)/CoFeB/Ta(MgO) structures with perpendicular magnetic anisotropy

        Jeong-Woo Sohn,Hyon-Seok Song,Ji-Wan Kim,Il-Jae Shin,Byoung-Chul Min,유천열,Sung-Chul Shin 한국물리학회 2016 Current Applied Physics Vol.16 No.4

        We investigate the ultrafast magnetization dynamics of perpendicularly magnetized MgO/CoFeB/Ta and Ta/CoFeB/MgO stack structures using an all-optical time-resolved magneto-optical Kerr measurement technique. We find that the effective Gilbert damping parameter aeff converges to a low value of ~0.02 in the high external field regime, and it stays unchanged at ~0.02 regardless of the pump fluence. Two asymmetric stack structures of CoFeB show identical dynamic behavior and Gilbert damping, implying that the influence of the under and top interfaces is not distin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