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안-우울 환자에서 역기능 호흡

        손인기,남범우,홍정완,이재창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21 정신신체의학 Vol.29 No.2

        Objectives:Although dysfunctional breathing is a common symptom in general population and affects qualities of life, it is still underdiagnosed. There are some studies of prevalence of it in astma, but few studies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prevalence of it in anxiety and depressive disord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anxiety and depressed mood influence it. Methods:135 patients diagnosed with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and 124 controls were recruited. Nijmegen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dysfunctional breathing, and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was used. Results:The prevalence of 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was higher than that in control. In the linear regression model, anxiety accounted for 59.6% of dysfunctional breathing, but depressed mood did not. With covariate adjusted for anxiety, scores of 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were higher than in controls. Conclusions:Dysfunctional breathing in anxiety or depressive disorders is higher than that in control. Adjusting anxiety, its difference is still. Anxiety affects dysfunctional breathing, but depressed mood does not. 연구목적: 역기능호흡은 일반 외래 진료에서 흔히 마주치는 증상이며, 삶의 질에 영향을 주지만, 간과되는 경우가 흔하다. 천식과 같은 호흡기 장애에서 유병률은 조사가 되었지만, 불안-우울장애에서는 연구가 적다. 본 연구는 정신과 외래에 방문한 불안-우울장애에서 역기능호흡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불안과 우울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본 연구는 135명의 불안-우울장애 환자(불안장애 54명, 우울장애 81명)와 124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역기능호흡 평가는 Nijmegen 척도를 사용하였고, 불안-우울의 정도는 병원 우울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 과: 환자군에서 불안, 우울과 역기능호흡의 점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높았다.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역기능호흡의점수에 대하여 불안은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지만, 우울은 그렇지 않았다. 불안을 공변량으로 하여 비교하였을때에도, 환자군의 역기능호흡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결 론: 불안-우울장애환자들은 정상대조군보다 역기능호흡의 정도가 높다. 역기능호흡에 불안은 영향을 주지만, 우울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불안을 조정하였을 때도 역기능호흡의 정도는 불안-우울장애에서 정상대조군 보다 높다.

      • 의과대학생, 전공의, 전문의의 환자중심적 태도

        손인기,이종훈,조인희,남범우,박건욱,이광헌,사공정규,송창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2

        서 론: 의사환자관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전통적인 의사환자관계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저 자들은 한국의 의사 및 의과대학생들의 환자중심적 태도와 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을 조사하였다. 방 법: 전문의, 전공의, 임상실습 중인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작성토록 하였다. 인구학적자료, 의사환자관계강의 수강경험, 직무만족도, 환자-의사 지향성 척도, 한국판 권위주의척 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피험자가 작성토록 하였다. 결 과: 의과대학생, 전공의, 전문의 모두 권위적일수록 환자중심적 태도와 의미 있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 다. 의과대학생에서 직업만족도는 환자중심적 태도, 환자 의사 지향성 척도의 돌봄 소척도와 각각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사환자관계 강의를 수강하였다고 응답한 집단은 더 환자중심적 태도를 보 였다. 여자 전문의가 남자 전문의보다 돌봄 소척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여자 의사에서 자녀가 있는 경 우에 돌봄 소척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결 론: 상기 결과를 종합하면, 의과대학생과 의사의 권위주의적 성격경향은 의사중심적 태도와 상관이 있다. 의사환자관계에 대한 강의 수강 경험은 환자중심적 태도와 관련이 있다. 또한 직업만족도, 성별, 자녀 양육 경험 역시 특정 상황에서는 환자중심적 태도와 상관이 있을 수 있다. Introduction:The nature of doctor-patient relationship has changed.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patient centeredness and influencing variables in medical faculties, residents and medical students. Method:The subjects were 56 medical students, 62 residents and 103 faculties in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The sociodemographic data, frequency of receiving doctor-patient relationship lectures, the job satisfaction scale(JS), the patient practitioner orientation scale(PPOS),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scale(AP) were items assessed. Result:The AP were inversely correlated with total scores of the PPOS in medical students, residents, and faculties. The scores of JS were correlated with total scores, and the care subscale of the PPOS in medical students. The group received doctor-patient relationship lecture showed higher scores of the PPOS than unexposed group. Female faculties showed higher scores of the care subscale of the PPOS than male counterparts. The scores of care subscale of the PPOS of the women doctors who have children were higher than those who do not have children. Conclusion: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trait is correlated with the doctor/disease centeredness in medical students and doctors. The experience of learning about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patient centeredness. The job satisfaction, sex, and children bearing may be correlated with the patient centeredness under the certain circumstances

      • KCI등재
      • 스탠포드최면반응성척도를 이용한 최면감수성 연구

        손인기,이광헌,박희관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2000 東國論集 Vol.19 No.-

        Objectives : We conducted this study to evaluate normative data of the Korean version of Stanford Hypnotic Susceptibility Scale, Form A (SHSS). Methods : SHSS was translated into Korean under the permissions of Andre M. Weitzenhoffer and Ernest R. Hilgard and administered to 63 subjects (25.7±6.2 yr). Results : 1) The mean score of SHSS-K was 6.9±3.4. 2) A comparison of scores by age, sex, and body mass index(BMI) showed no difference. 3) Mixed-handed subjects (mean score = 10.2±2.4, n=5) were more hypnotizable than right-handed (mean score = 6.4±3.2, n=44)(p<0.05). 4) The internal consistency of SHSS-K is Cronbach's α=0.84. 5) Some Koreans (mean score = 6.9±3.4) were more hypnotizable than some Americans (mean score = 5.2±3.2)(p<0.05). Conclusion : It was concluded that SHSS-K was relatively reliable in this preliminary study and some Koreans were more hypnotizable than some Americans. Eventually we intend to gather norms on other groups of populations.

      • KCI등재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18 : 안정성과 내약성

        손인기,박원명,윤보현,전덕인,서정석,김원,이정구,우영섭,정종현,김문두,정영은,심세훈,송후림,민경준 대한우울조울병학회 2018 우울조울병 Vol.16 No.3

        Objectives : Treatment for bipolar disorder is often complicated by various clinical situations. We undertook a survey of expert opinions to facilitate clinical decisions in special situations such as weight gain, metabolic syndrome, hyperprolactinemia, genetic counseling, and treatment adherence. Methods : A written survey that asked treatment strategies related to safety and tolerability, was prepared focused on weight gain, antipsychotic related hyperprolactinemia, lamotrigine related skin rash, treatment non-adherence and genetic counseling. Sixty-one experts of the review committee completed the survey. Results : In the case of weight gain related to medications, experts preferred exercise and education for diet-control. First chosen medications were lamotrigine, aripiprazole and ziprasidone. Recommendations based on expert survey results for treatment of bipolar patients in other special situations are outlined. Conclusion : With limitation of expert opinions, authors hope that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make clinical decisions about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n complicated situations.

      • KCI등재후보

        기분장애 환자의 비만에 대한 약물치료

        손인기,이규항,Sohn, Inki,Lee, Kyu-Ha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4 정신신체의학 Vol.22 No.2

        기분장애에서 과체중과 비만의 문제가 일반인구보다 더 심각하고, 심혈관 치명률의 증가와 무관하지 않기 때문에 비만에 대한 치료가 필수적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비만에 대한 치료와 동일하게 생활습관교정과 같은 비약물치료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 같은 시도가 실패하는 경우에는 약물치료가 필요하다. 기분장애의 비만치료로 공식 승인된 약은 없다. 따라서 일반인구의 비만에 승인된 약을 처방하거나 여러 연구를 통해서 효과가 입증된 약을 처방하게 된다. 여러 치료 지침과 연구 등은 orlistat, metformin, topiramate와 bupropion 등이 효과적임을 지지한다.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overweight is increasing in mood disorder, and it is connected to an increased cardiovascular mortality. Because of them, treatment for obesity may be an essential part of mood disorder treatment. Similar to the general population,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such as correction of life habits should be considered first of all. If this approaches are fail,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obesity would be required as next step. Any drug for obesity is not approved officially in mood disorder. So approved drugs in general population, and drugs supported by several studies are prescribed in clinical settings. Several treatment guidelines for mood disorder and studies support that orlistat, metformin, topiramate and bupropion is effective and saf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플라세보의 정신과적 응용

        손인기,김임렬 대한정신약물학회 201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5 No.2

        As the placebo effect is inevitable in almost all types of treatment implemented in the context of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it would be a wise strategy to try to enhance the treatment effect by understanding its mechanism and applying it clinically. However, for various reasons there is resistance to therapeutical application of placebos. The main reason for this resistancecomes from the confusion about the concept of the placebo, and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lacebo response and the placebo effect and understand them clearly. Meta-analytical reviews of clinical studies showed that the placebo effect accounts for part of clinical effect of drugs. Authors reviewed meta-analytic studies dealing with the placebo effect on depression,sleep disorders, dementia, anxiety and addiction.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current state of placebo use and also the way to promote the placebo effect. 의사-환자 관계의 맥락에서 시행되는 모든 치료에는 플라세보 효과가 개입한다. 이때 플라세보 효과에는 플라세보를 투여해서 나타나는 심리생물학적 반응(플라세보 반응)과 다른 반응이 포함된다. 플라세보를 연구하고 응용하기 위해서는 플라세보 반응과 다른 반응을 구분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러 연구들에서 우울증, 수면장애와 불안장애의 치료에는 플라세보 효과가 개입하는 것이 입증되었으며, 항우울약물의 경우 그 효과의 75%까지 플라세보 효과로 설명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플라세보는 뇌의 보상(reward)과 연관되므로 중독물질에 대한 반응 역시 플라세보 효과의 영향을 받는다. 치매 치료 약물에 대한 반응과 치매의 진행 정도의 상관성을 조사한 연구를 통해서 전전두엽의 기능이 플라세보 효과와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약물 치료로서 플라세보를 사용하는 것에는 윤리적, 법적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의 효과가 실제 약물의 효과와 플라세보의 효과의 합이라고 한다면 플라세보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은 약물치료의 효과를 최대화한다는 점에서 가치 있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 긍정적 기대를 생성하거나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때 환자의 질병 경험을 잘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행될 치료가 어떻게 효과를 나타낼 것인지를 미리 설명하는 것, 비현실적인 기대를 피하는 것과 본질적인 변화가 서서히 나타나면서 결국에는 완전히 변할 것이라는 믿음을 주는 것과 함께 본인의 참여도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14: 안정성과 내약성

        손인기,김문두,이정구,윤보현,정종현,심세훈,우영섭,서정석,신영철,민경준,박원명,전덕인 대한정신약물학회 201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5 No.4

        ObjectivezzThe complexity of the treatment for bipolar disorder is often caused by the presence of side effects of various psychiatric medications. In particular, weight gain and metabolic syndrome are currently major concerns in the medication for bipolar disorders. Therefore, we undertook a survey of expert opinion to help make clinical decisions in these special situations. MethodszzA written survey which asked about treatment strategies in the safety and tolerability was prepared; 1) weight gain, 2) antipsychotic related hyperprolactinemia, 3) lamotrigine related skin rash, 4) treatment non-adherence, and 5) genetic counselling. Treatment options were scored using a 9-point scale for rating appropriateness of clinical decisions in some issues. In other issues, experts were asked to choose to determine the ranking of preferences on the list. Sixty-four experts of the review committee completed the survey. We classified the expert opinions about preferences by χ2 test. ResultszzExperts preferred behavioral and diet modification for weight gain, switching to prolactin-sparing-antipsychotics for antipsychotic-induced hyperprolactinemia, reducing dose of lamotrigene for its related benign skin rash, and prescribing once a day for treatment adherence.ConclusionzzWith the limitation of expert opinion, authors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make clinical decision about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in the complicated situations. 양극성 장애는 질환 자체의 신체질환 공존 위험성과 여러 치료 약물의 부작용의 가능성 때문에 치료 전략과 약물 선택에 고도의 전문가적 판단이 요구된다. 저자들은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임상 진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체중증가, 항정신병약물 관련 고프로락틴혈증, lamotrigine 관련 피부발진, 치료 비순응과 유전상담의 상황에 대하여 64명의 전문가들에게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이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한국판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14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가 다루었던 임상 상황들에 대한 임상연구나 치료지침은 양극성 장애의 다른 상황에 대한 것들보다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그러므로 본 치료지침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임상가의 경험과 개별 환자의 고유한 상황에 맞추어 적용되어야 한다.

      •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의 뇌파 생체되먹임 치료

        손인기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아동들은 정상집단과는 다른 뇌파 소견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생체되먹임 치료는 뇌파를 조절하는 훈련을 통해서 원하는 행동 상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자하는 치료법이다. 저자는 주요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여러 뇌파 생체되먹임 방법 중 주목할 만한 것은 SMR 훈련과 세타/베타 파 훈련으로 의미 있는 행동상의 변화가 나타났다. 그러나 정당한 치료법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실험군, 동질적 집단, 동일한 치료 프로토콜, 실험 대조군,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평가 방법과 추적 조사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ere are different EEG findings between ADHD and normal children. The EEG biofeedback is a treatment paradigm that draw desirable behavioral changes through EEG trainings. The scientific articles on biofeedback treatment were reviewed. SMR training and theta/beta training were more promising EEG biofeedback methods. Studies have reported behavioral gaines with these trainings. Future research into these approaches need to be for compensating methodological inadequacies and lack of sufficient follow-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