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국산 Lidocaine 알칼리화를 위한 Bicarbonate 혼합시 침전유발 최소량에 대한 고찰

        이선호,김현수,곽인숙,안원식,최관호,김광민,손민제 대한마취과학회 2000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39 No.5

        Background : When local anesthetics for regional anesthesia is used, usually small amounts of bicar-bonate are added for rapid onset. This addition gives the mixed solution a more alkaline pH. The following result is an increased unionized form of the local anesthetic and rapid penetration of the drug into tiissue. Unfortunately, no data about adequate mixing volumes of domestic lidocaine and bicarbonate is available. Methods : We examined six mixing pairs of two kinds of 2% lidocaines and three kinds of 8.4% bicarbonates for minimum volumes of bicarbonate to cause a precipitation of 2% 20 ml lidocaine. Results : The mean volumes of bicarbonate to cause precipitation were 1.54 ml for Kwang-Myung lidocaine with Kwang-Myung bicarbonate, 2.90 ml for Kwang-Myung lidocaine with Dae-Won bicarbonate, 2.73 ml for Kwang-Myung lidocaine with Je-Il bicarbonate, 0.97 ml for Je-Il lidocaine with Kwang-Myung bicarbonate, 1.26ml for Je-Il lidocaine with Dae-Won bicarbonate and 1.39 ml for Je-Il lidocaine with Je-Il bicarbonate. Conclusions : We conclude that the Kwang-Myung lidocaine and the Je-Il lidocaine could cause precipitation when mixing with a smaller bicarbonate volume than foreign textbook recommended. (Korean J Anesthesiol 2000; 39: 726-729)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고빌리루빈혈증을 동반한 자가면역성 간염 1례

        서영범,김성욱,장재식,강혁주,이중현,윤병구,김욱년,이광헌,이구,유석동,양창헌,이정호,이영현,이창우,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자가면역성 간염은 대개 만성 경과를 가지며, 혈중 자가면역항체와 혈청 글로불린치의 상승, 그리고 조직학적으로 괴사 염증성 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아직 정확한 병인이 밝혀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발병연령은 대개 젊은 영자(15-25세)에서 호발한다. 이 질환은 급성 간염의 임상경과를 보일 수 있으나, 심한 급성 간염이나 전격성 간염으로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 경우 아주 나쁜 예후를 보인다고 한다. 치료는 자가면역성 간염 임상 경과의 다양성이나 병인, 병리기전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대개 steroid 치료에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개 80%의 관해율을 나타내며 궁극적으로 간경변으로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저자들은 58세 남자에서 발생한 급성의 경과를 가지고 심한 황달을 동반한 자가면역성 간염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utoimmune hepatitis (AIH) is a chronic necroinflammatory liver disorder of unknown cause associated with circulating autoantibodies and a high serum globulin level. The age of onset of AIH show a peak between the age of 15 and 25 years. AIH can develop and be manifested as acute hepatitis, but severe form of acute hepatitis or fulminant hepatic failure has a poor prognosis. Although AIH is likely to progress from chronic active hepatitis to cirrhosis, steroid therapy can control the disease activity, prolong surviva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and defer liver transplantation. In the present report we describe a 58-year-old man who admitted because of progressive jaundice and fatigue. He was diagnosed with AIH from laboratory test result showing positivity for antinuclear antibodies, anti-smooth muscle antibodies, and negativity for hepatitis viral markers and from liver biopsy. Steroid therapy, oral administration of prednisolone,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ver function test. Following liver biopsy 6 months after onset shows markedly improved necroinflammatory activity.

      • KCI등재후보

        저항을 이용한 프로판-공기 혼합가스의 점화한계 개선에 관한 연구

        이춘하,오종용,옥경재,지승욱,이광식,심광렬 한국화재소방학회 2004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8 No.1

        본 논문은 IEC형 불꽃점화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저압 유도회로의 최소 점화한계를 프로판-공기 5.25 Vol.%의 혼합 가스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구하였으며, 또한 유도회로의 인덕턴스 L에 안전소자로서 저항을 병렬접속하였을 경우 프로판-공기 5.25 Vol.%의 혼합 가스에 대한 점화한계 개선효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최소 점화한계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좌우되었다 또한,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너지는 인덕턴스에 우선 축적되고. 그 초과분의 에너지가 폭발성 가스의 점화원으로 작용하였다. 점화한계 개선효과는 인덕턴스가 300 mH일 때, 최고 330%의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인덕턴스가 클수록 점화한계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병렬로 접속한 저항의 크기가 적을수록 점화한계 개선 효과가 크다. 본 연구결과는 본질안전 방폭형 전기기기의 연구개발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들 기기의 방폭성능에 대한 시험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minimum ignition limits for propane-air 5.25 Vol.% mixture gases in low voltage inductive circiuts. The improved effects on the ignition limit are studied by parallel safety components(resistors) for propane-air 5.25 Vol.% mixture gas in low voltage inductive circuits. The experimental devices used in this test are the IEC type spark ignition test apparatus. The minimum ignition limits are controlled by the values of current in inductive circuit. Energy supplied from elect source is first accumulated at the inductance, it's extra energy is working as ignition source of the explosive gas. The improved effects on the ignition limit are respectively obtained as the maximum rising rate of 330% by composing parallel circuits between inductance and resistor as compared with disconnecting inductance with the safety components. The more values of inductance increase the higher improved effects of ignition limit rise. The less values of resistor the higher improved effects of ignition limit ris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sult can be used for not only data for researches and development of intrinsically safe explosion-proof machines which are applied equipment and detectors used in dangerous areas but also for datum for its equipment tests.

      • Reynolds Number 변화에 따른 방전형식의 제어와 Ozone 생성

        이동인,이광식,오재열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3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1 No.1

        This paper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sparkover discharge in flowing air ranging from 0[m/s] to 30[m/s] under the non-uniform fields gap. The quantities of ozone generation are measured for various electrodes forms (needle-needle electrode, needle-rod electrode, rod-rod electrode) on the constant Reynolds Number(Re). Some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discharge pattern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Reynolds number. The quantities of ozone generation at each corona forms are described as follows glow corona(g.c)<brush corona(b.c)<streamer corona(s.c). The quantities of ozone generation rapidly increases to 2[cm] and decreased over 2.5[cm] in case of various electrode gaps 1, 1.5, 2 and 2.5[cm] with constant Re.

      • KCI등재
      • Mastoparan B의 항균 활성 및 용혈 작용에 미치는 소수성도와 양친매성의 영향

        이봉헌,김광호,장태식,박남규,박장수,강신원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8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14 No.-

        Tetradecapeptide인 Mastoparan B(MP B)와 이의〔Ala〕-MP B유도체들을 합성하고 항균 활성 및 용혈 작용을 측정하여 MP B의 활성에 미치는 소수성도(hydrophobicity)와 양친매성(amphiphilicity)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P B와 소수성도가 MP B 보다 큰〔Ala^2〕-,〔Ala^4〕-MP B유도체가 큰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소수성도가 MP B보다 작은〔Ala^6〕-MP B유도체의 활성은 MP B와 비슷하거나 작게 나타나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일수록 항균활성을 크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MP B보다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인〔Ala^9〕-MP B는 Ala에 의한 Trp의 치환때문에 MP B보다 작은 활성을 나타내었다.용혈 활성 측정 결과 MP B보다 소수성도가 큰〔Ala^2〕-,〔Ala^4〕-MP B유도체가 각각100.0%와 69.4%로써 용혈 작용을 크게 나타냈으나, 소수성도가 작은〔Ala^6〕-MP B유도체는 6.1%로써 가장 작은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고 Trp대신 Ala으로 치환한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인〔Ala^9〕-MP B는 MP B보다 작은 26.0%의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용혈 작용은 소수성도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양친매성이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Tetradecapeptide.Mastoparan B(MP B)and its〔Ala^2 〕-,〔Ala^4〕-,〔Ala^6〕-,〔Ala^9〕-MP B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nd then their antibacterical and hemolitic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ophobicity and ampiphilicity on the MP B-induced those activities. MP B and more hydrophobic〔Ala^2 〕-,〔Ala^4〕-MP B showed stronger antibacterical activity and less hydrophobic〔Ala^6〕-MP B than MP B did similar or weaker activity, so more hydrophobic〔Ala〕-MP B derivative had stronger activity. But more hydrophobic〔Ala^9〕-MP B than MP B showed weaker activity because of its Trp subsitution by Ala. On the other hand,〔Ala^2 〕-and〔Ala^4〕-MP B showed 100.0% and 69.4% hemoiytic activity, but〔Ala^6〕-MP B did the weakwst activity(6.1%)and〔Ala^9〕-MP B, weaker activity(26.0%) than MP B.Therefore, more hydrophobic〔Ala〕-MP B derviative had stronger activity and the effect of ampiphilicity on the activity was wea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