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의진단명과 진단요건의 표준화 연구 III : 3차년도 연구결과 보고

        최선미,양기상,최승훈,박경모,박종현,심범상,김성우,노석선,이인선,정진홍,이진용,김달래,임형호,김윤범,박성식,송태원,김종우,이승기,최윤정,신순식 한국한의학연구원 1997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3 No.1

        The diagnostic requirements were suggested and explained regarding the systems of differentiation of symptoms and signs in the third year study of standard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terms and conditions used for diagnosis in oriental medicine. The systems were as follows : - analyzing and differentiating of epidemic febrile disease - analyzing and differentiating in accordance with the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based on four-type recognition - differentiation of disease according to pathological changes of Chong and Ren channels - standards for diagnosis of women's disease - standards for diagnosis of children's disease - standards for diagnosis of motor and sensor disturbance (-muscle. born, joint, etc.) - standards for diagnosis of neuropsychiatric disease - standards for diagnosis of five sense organ disease - standards for diagnosis of external disease The indivisual diagnosis pattern was arranged by the diagnostic requirements in the following order : another name, notion of diagnosis pattern, index of differentiation of symptoms and signs, the main point of diagnosis, analysis of diagnosis pattern, discrimination of diagnosis pattern, prognosis, a way of curing a disease, prescription, herbs in common use, disease appearing the diagnosis pattern, documents. The standards for diagnosis of each disease was arranged by the diagnostic requirements in the following order : another name, notion of disease, the main point of diagnosis, analyzing and differentiating of disease, analysis of disease, discrimination of disease, prognosis, a way of curing and prescription of disease, disease in western medicine appearing the disease in oriental medicine, documents.

      • 한국 청소년에서 혈청 Adiponectin 농도와 비만도와의 상관관계

        김현아,이형숙,김철식,안철우,정윤석,이관우,허갑범,김대중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5

        연구배경: Adiponectin은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분비되는 adipocytokine이다. 아직 adiponectin 과 소아 비만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보고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혈청 adiponectin농도와 비만도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과의 상관관계를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4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소재의 한 중학교에서 12∼15세의 무작위 선발된 164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지방을 측정하고 체질량지수를 계산하였다. 또한 공복채혈을 통하여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및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고 혈청 adiponectin 농도는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혈청 adiponectin 농도에 따라 삼등분하여 저 adiponectin군, 중간 adiponectin군, 고 adiponectin군으로 나누고 각 군간에 신체계측치 및 임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저 adiponectin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의미있게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저 adiponectin군에서 공복혈당 및 공복혈청 인슐린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HOMA-IR 값도 높게 나타났다. 저 adiponectin군에서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치는 높게, 그리고 HDL 콜레스테롤치는 낮게 나타났다. 다변량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혈청 adiponectin농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허리둘레와 성별로 나타났다. 결론: 소아에서도 성인과 마찬가지로 혈청 adiponectin농도와 복부비만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들과의 강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사춘기 성호르몬의 변화가 adiponectin에 미치는 영향 및 소아비만의 치료에 따른 adiponectin의 변화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Adiponectin is an adipocytokine that is highly specific to adipose tissue. In contrast to other adipocytokine, the adiponectin levels are decreased in obesity and/or type 2 diabetes. There are few studie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obesity in children. Thus, whether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are associated with adiposity in children was investigated. Methods: One hundred and sixty four subjects were selected from the participants in an ongoing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rth weight and insulin resistance in children. The current weights, heights, body fat percentages, waist circumferences, blood pressures, lipid profiles and insulin resistance, by the HOMA method, were measured in all the subjects.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a validated sandwich ELISA, using a human adiponectin-specific antibody. Results: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insulin resistance by HOMA and serum triglyceride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erum HDL cholesterol level.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in the boy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girls.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waist circumference and gender.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abdominal adiposity in children. However, further studies on independent gender differences on adiponectin are needed (J Kor Soc Endocrinol 18:473∼480, 2003).

      • KCI등재

        광원의 종류에 따른 콤포짓트레진의 중합도

        윤태호,이용근,임범순,김철위 대한치과기재학회 2001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28 No.1

        콤포짓트레진의 중합도와 속도는 광원의 종류와 광조사 시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현재 할로겐 램프를 중합에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전구의 수명이 짧고, 시간경과에 따라 광선의 출력이 감소하므로 중합도는 낮아져 물성이 감소하고 수복물이 실패할 가능성도 높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콤포짓트레진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LED (blue light emitting diode) 와 플라즈마 아크 기술이 소개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3 종의 광원(할로겐 램프, LED 및 플라즈마 아크) 에서 광조사시간을 달리하여 광에너지의 총량을 변화하는 조건으로 점주도가 서로 다른 3 종의 콤포짓트레진에서 깊이에 따른 중합도를 측정하여 각 광원의 효율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할로겐 램프, LED 및 플라즈마 아크 조사기로 광에너지 총량이 각각 8J/㎤와 16J/㎤ 이 되도록 중합하고 표면에서 1, 2, 3 및 4mm 위치에서 100㎛ 의 두께로 절단하였다. 시편 두께가 50~70㎛ 가 되도록 연마하고 FT-IR 로 표준기선법에 따라 중합직후의 중합도를 측정하였다. 중합방법 및 광조사 부위에서 깊이에 따른 평균 중합도를 계산하여 3 원 분산분석 및 Scheffe 의 방법에 따라 유의수준 0.05 에서 검정하였다. 이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재료, 깊이 및 광조사 시간 모두 전환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p〈0.01). 3 종 광원의 표층에서 1mm 깊이에서의 중합도는 저점도(RVN) 〉중점도(Z25) 〉응축형 콤포짓트레진(SRF) 순이었다(p〈0.05). 3종 광원의 중합도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p〉0.05). 3종의 조사광원 모두에서 광에너지 총량을 2배로 증가한 경우, 중합도는 2mm 깊이까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3mm 부터는 광에너지 총량 증가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 UV-TiO₂광촉매 반응기를 이용한 미생물의 살균효과

        김시욱,이정섭,정해광,박열,윤성명,유진철,이범규,이인화,박진열 조선대학교 환경공해연구소 1998 環境公害硏究 Vol.14 No.-

        UV-TiO_(2) 반응기를 이용하여 Escherichia coli와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의 살균효과를 측정하였다. 254 ㎚에서 최대 14 watt의 자외선 방출량을 내는 램프를 원형 Pyrex유리관 중앙에 설치하였고 TiO_(2)는 석영관에 박막증착(Thin Film Coating)된 형태와 슬러리 형태로 나누어 회분식으로 살균정도를 측정하였다. E. coli에 대한 살균력은 1.7× 10^(7) cells/㎖에 대해 5분간 자외선 조사를 하였을 경우 2.0× 10^(2) cells/㎖으로 감소하였고, 자외선 조사와 함께 슬러리 형태의 TiO_(2)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3.4× 10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TiO_(2)가 석영관에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7.6× 10^(2) cells/㎖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위와 같은 조건에 유리관 하부에서 기포를 주입후 11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시킨 경우에는 1.3× 10^(2)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슬러리 형태의 TiO_(2)를 첨가하였을 경우에는 1× 100 cells/㎖으로, 자외선 조사와 함께 TiO_(2)가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7.9× 10 cells/㎖을 나타내었다. 결국 UV-TiO_(2) 반응기에 사용되는 TiO_(2)가 슬러리 형태일 때 최대 살균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기포가 첨가되었을때는 오히려 살균에 장애를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석영관에 박막증착된 경우에는 기포가 첨가되는 것이 살균에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The killing effect of UV-TiO_(2) photocatalytic system on the Escherichia coli DH5-慣 and Aspergillus oryzae var. oryzae (KCTC 6095) was studied. The UV lamp which emits maximum 14 watts at 254 nm was set on the center of pyrex round glass tube. Two types of TiO_(2), one of which is slurry and another which is thin film coated form, were used to determine the killing effect. When UV was irradiated to 1.7 * 10^(5) cells/??of E. coli for 11 min, the living cell number decreased to 4.0 * 1.0^(0) cells/?? The effect of UV system together with slurried TiO_(2) was less than 1 cells/?? whereas that of UV-coated TiO_(2) system decreased to 7.1 * 10^(3) cells/?? To study the effect of bubble on the killing of microorganisms, air was bubbled to the bottom of glass tube. When 1.7 * 10^(5) cells/??were exposed to UV for 11 min in combination with air bubble, the living cell number decreased to 1.3 x 10^(2) cells/?? In the same condition except the addition of slurried TiO_(2), the living cells were 1 * 10^(2) cells/?? However, more cells could be killed by the system which consists of UV, coated TiO_(2), and air bubble (7.9 * 10^(1) cells/??.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UV-slurried system is the most effective one, but its killing effect is not stimulated by air bubble. However, bubbling was very effective in the UV-coated TiO_(2) system.

      • 공동주택의 에너지 절약 및 공기환경개선을 위한 열교환기의 성능평가

        김범석,정용호,박병윤,손장열 대한건축학회 2003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3 No.1

        This study was aimed to suggest the appropriate residential heat and moisture recovery ventilation systems(HRVs) in order to maintain an acceptable indoor air quality for the climatic conditions of Korea. This study was developed from experimental data on HRV Performance specifications and HVAC system. Results show that total heat exchangers of rotary type is applied on HVAC system that is possible to conserve energy and improve indoor air qualit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광중합형 글라스 아이오노머 시멘트의 개발에 관한 연구

        김철위,윤수한,임범순 대한치과기재학회 1998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25 No.1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xperimental light-activated glass ionomer cement change of glass components such as aluminum, fluorine, calcium, and strontium. To reinforce the glass ionomer cement, additions of metallic powder, ceramic powder, and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 to glass ionomer cements were performed. Radiopacity, comprehensive strength, bond strength, fracture toughness, sloubility, and cytotoxicity of the various experimental glass ionomer cements were investigated. From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Experimental light-activated glass ionomer cement showed similar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o commercial glass ionomer cement. Radiopacity, resistance of solubility, fracture thoughness, and compressive strength of the experimental cement were superior to those of commercial cements, but bond strength and biocompatibility of the experimental cement were inferior to commercial cements. 2. Addition of amalgam powder to light-activated glass ionomer cement resulted in the lower compressive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but addition of aluminium powder resulted in the enhanced the fracture toughness. 3. Addition of alumina powder (Al₂O₃) could enhanc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racture toughness of the glass ionomer cement without sacrificing of the esthetic property. 4. Physical mixing light-activated glass ionomer cement with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 could enhanced the physical properties except for bond strength.

      • 아바타 모션 편집기를 통한 상위레벨 모션의 생성에 관한 연구

        김가영,김재경,최윤철,임순범 숙명여자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3 자연과학논문집 Vol.- No.14

        최근 3D 가상환경에서 아바타를 활용한 분야가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아바타를 이용함으로써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의 관심을 쉽게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아바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가장 중유한 분야 중 하나가 아바타 모션 생성기법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바타 상위레벨 모션을 생성하기 위한 편집기 시스템을 제안하고, 상위레벨 모션간의 조합 규칙을 제정하여 모션 조합 시 발생될수 있는 모호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Recently, avartar has taken a lot of attention in the various fields of 3D artificial circumstance. The use of avatar has advantages of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and easy attraction of users. To provide the services using avatar, the methods for motion gener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n this paper. We develope an avatar motion editing system for high-level motion creation and suggest composition rule to solve the ambiguous problem that could by arose from the process of motion composition.

      • KCI등재

        잠재적 간성혼수 환자의 인지기능과 양성자 자기공명분광 소견과의 상관관계

        김성윤,정범석,서동완,이정희,이 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신경인지기능 장애 정도와 기저 핵이나 두정엽 백질부에서의 자기공명분광 (proton MRS)으로 측정한 양성자 함유 화합물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판 웩슬러 지능 검사(KWIS) 중 토막짜기나 기호 바꾸기, 그리고 번호잇기 검사를 적용하여 잠재성 간성혼수로 정의된 18명의 간경변 환자를 대상군으로 하고 20명의 정상인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복합주의력과 시각 정보 분석능력 측정을 위해 Vienna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 중, Cognitrone 검사. 미세 협응 운동능력을 위해 Grooved pegboard 검사를 적용하였단 1.5 Tesla 임상용 자기공명 촬영기를 이용해 자기공련명 분광을 얻었으며 두정엽 백질부와 기저핵의 각각 2×2×2cm3 vocel에서의 myoinositol(ml), N-acetyl-L-aspartate(NAA). creative(Cr), choline(Cho) 등의 농도를 측정하고 Cr 농도에 대한 상대적 농도비율을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1)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기저핵과 두정엽 백질부에서 Cho/cr 및 ml/Cr 비가 감소하였다. 2) 미세 협응 운동능력을 반영하는 Grooved pegboard 검사의 수행능력이 기저핵의 ml 및 두정엽 백질부의 Cho농도와 유의미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 -0.59. p<.05). 3) Cognitrone 검사 중 정반응하는데 걸리는 평균시간은 두정엽 백질부의 NAA와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r= -0.55, p<.05) . 결론 : 잠재성 간성혼수 환자들의 특정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는 양성자 자기공명분광법으로 측정한 기저핵 및 두정엽 백질부의 신경화학적 변화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신경화학적 변화가 잠재성 간성 혼수의 근본적 병리 생리인지 2차적 변화인지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질병의 경과에 따른 신경인지기능 및 양성자 자기공명분광 소견의 추적연구가 필요하며 비슷한 인지기능의 장애를 보이는 다른 신경퇴행성 질환과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0bjectiv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neurochemical changes of brain in SCHE patients and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the authors measured hydrogen containing neurochemicals in two brain regions using 1H MRS, and compared those changes with the level of cognitive performances such as attention, visual analysis, or fine motor function. Methods ; A total of patients with liver cirrohosis were defined as SCHE, for they performed poorly(out of 1 SD of normative data) in more than one neuropsychological tests conventionally used(digit symbol and block design tests in KWIS, trail making test A and B). They were further evaluated in attentional ability and efficacy of visual analysis using Cognitrone subtest in Vienna Neurocognitive Test battery. Fine motor coordination were also measured by Grooved Pegboard test. Patients and 20 nodal controls underwent proton MRS study. Proton containg neurochemirals , such as myoinositol(mI) , N-acetrl-L-aspartate(NAA) , creating (Cr) , choline(Cho) were measured from 2*2*2cm3 voxel of basal ganglia and parietal white matter using 1.5 tesla dinical MRI/MRS system. The ratios of above metabolites to Cr were analyzed. Results : 1) Patients with SCHE showed reductions in Cho/Cr and ml/Cr in both basal ganglia and parietal white matter compared to normal subjects. 2) Performance of Grooved Pegboard tes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ml level of basal gang1ia and with Cho level of parietal white matter(r= -0.59, p<.05). 3) Mean time of correct responses in Cognitrone test ske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NAA level of parietal white matter(r= -0.55, p<.05). Conclusion : Certain neurocognitive disturbances in SCHE patients seemed to be related with neurochemical changes in basal ganglia or parietal white matter. To further elucidate the relationship of focal biochemical changes and neurocognitive deficits in SCHE patients, however, fo11ow-up study according to the illness stage must be performed. Studies on other disorders showing similar cognitive deficit patterns would be help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