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매운맛 등급화 고추장으로 제조한 오이생채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
이인선,Lee, In-Seon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icy hot flavor rel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cumber salad prepared using spicy hot flavor graded gochujang that had been stored for 60 and 120 day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 of both the 60-day and 120-day fermented gochuja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p-200 sample (p<0.001). In contrast to the results on pH, the acidity of both the 60-day and 120-day fermented gochujang was found significantly lower in the cap-200 sample (p<0.001). Measurements of salin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ample with higher capsaicin content than in the sample with lower capsaicin content. The sugar content was found to be generally higher in the sample with the 120-day fermented gochujang than that with the 60-day fermented gochujang. Lightness (L) was higher in the sample with a lower capsaicin content than in the sample with a higher capsaicin content. The redness (a)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p-200 sample than in other samples (p<0.001). The values of the L, a, and b tended to be lower in the sample with the 60-day fermented gochujang than in the sample with the 120-day fermented gochujang. The hardness of the cucumber salad was found to be lowest in the 120-day fermented sample with the cap-200 gochujang, which had the highest capsaicin content (p<0.05).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cucumber salads showed that the spiciness was stronger with the higher capsaicin content (p<0.001), and approximately one-level higher than the spiciness rating of hot pepper. The results of a key ingredient analysis showed that the sample with high capsaicin content was classified as having a relatively hot spicy aroma and flavor, and strong stinging pain, and the sample with the low capsaicin content was classified as having a salty aroma and a dark appearance.
이인선,박혜경,이갑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1 慶北醫大誌 Vol.32 No.4
The dapD gene encodes Tetrahycrcdipicolinate N-Succinyltransferase which is the third enzyme of the diaminopimelate (DAP) and Lysine pathway. The gene was cloned through heterologous complementation using by genocmic library. Genomic library were constructed with chromosomal DNA of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 ATCC13869 and pBR322 DNA. The genomic library were used to transform the E. coli auxotrophic mutant (AT986). From the transformation, 4 of the transformants wer obtained. Through the 0.8%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ll of the transformants harboring a 3.6-kb Ba-mHI fragment. One of the recombinant plasmid was desiginated pLR 8 for following experiment. Southern hybridiz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is complementing gene is located on the chromosome of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 as a single copy gene.
이인선,Lee, In-Seon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3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vegetable pancake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barley flour. Methods: The pH level and spreadability of the batters as well as the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the vegetable pancake were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spreadability of batter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ubstitution amount of barley flour increased (p<0.001). The pH level of the batter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substitution amount of barley flour increased (p<0.001). Redness and yellowness increased as the substitution amount of barley flour increased. For texture, the sample groups with substituted barley flour showed high characteristics of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sample group with a high substitution amount of barley flour wa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high darkness, roasted grain aroma, bitterness, astringent, and chalkiness. Acceptance test found that the sample group with 15% barley flour received higher acceptance than the sample group with 0% barley flour in terms of col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nce. Conclusion: Acceptance test found that the sample group with 15% or 30% of barley flour had significantly higher or similar acceptance attributes than the sample group without barley flour,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vegetable pancake with barley flour.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대한 정신의학적 평가
이인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6 ISSUE PAPER Vol.2016 No.1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은 당사자들의 구술증언을 통해 알려져 왔는데, 본격적인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대한 분석이나 기록화 작업은 이뤄지지 못함. 이에 현재 생존자들의 인지 및 신체기능이 열악한 상태이기는 하나, 더 늦기 전에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등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대한 진단과 기록을 남기는 차원에서 정신의학과 교수와 임상심리사로 구성된 전문가들에 의한 진단과 평가를 실시하여 분석함. 2016년 5월 기준 생존자 38명 중 20명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를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PTSD, 우울증 등 심리사회적 후유증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됨. 또한 자살시도, 화병 등도 확인됨. 피해자의 자녀는 심리사회적 후유증의 세대전이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시도함. 소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는데 한계는 있으나, 피해자가 PTSD를 경험한 경우 자녀에게서도 정신의학적 질환이 나타남으로써 피해자의 심리사회적 후유증이 세대를 넘어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함. 피해자와 자녀 모두를 대상으로 심리사회적 후유증에 대한 지원과 이와 관련된 다각도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함.
베이지안 다변량 선형 모형을 이용한 청소년 패널 데이터 분석
이인선,이근백 한국통계학회 2022 응용통계연구 Vol.35 No.6
다변량 경시적 자료 분석은 반복 측정된 자료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올바르게 추정하면서 자료를 분석해야 한다. 경시적 연구에서는 다변량 경시적 자료가 주로 생성되지만, 기존 통계적 모형은 대부분 단변량으로 분석되어 다변량 경시적 자료에 존재하는 복잡한 상관관계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분산 행렬을 모형화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그 중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 수정된 콜레스키 블록분해와 초구분해를 살펴본다. 그리고 일반화 자기회귀모수 행렬이 가지는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하여 청소년 패널 데이터를 분석한다. 청소년 패널 데이터는 다변량 경시적 자료이며, 반응 변수로는 학교 적응도, 학업 성취도, 휴대전화 의존도를 고려한다. 자기 상관 구조와 혁신 표준 편차 구조를 달리 가정하여 여러 모형을 비교한다. 가장 적합한 모형에 대해 학교 적응도와 학업 성취도에 대해 모든 설명 변수가 유의미하며, 휴대전화 의존도가 반응 변수일 때사교육 시간을 제외한 모든 설명 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인선,김샛별,문찬수,정성모,정지예,김영삼,김세규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목적: 골다공증은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흔히 동반되는 질환이다. 중등도와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흔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반인을 대상으로 폐기능과 골밀도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조사한 연구가 없어, 한국인을 대표하는 자료를 이용하여 폐기능과 골밀도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시행된 제4기와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중, 폐기능검사와 골밀도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50세 이상 성인 4,50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중에너지 방사선흡수법을 통하여 대퇴골과 척추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dry rolling seal 방식의 폐활량측정기를 사용하여 폐기능검사를 시행하였다.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정하기 위해 남녀를 따로 구분한 후, 연령, 흡연력, BMI, PTH, 혈중 비타민 D농도, Alkaline phosphatase (ALP), 일일 칼슘 섭취량 및 인 섭취량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성적: 4,506명의 대상자 중 남성 2,102명(46.6%), 여성 2404명(53.4%)이었다. 남성의 평균 나이는 61.9세이고, 여성은 62.7세였으며, 여성 모두 폐경 후 상태였다. 상관분석결과 남성과 여성에서 골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인자는 연령, BMI, PTH, 일일 칼슘 섭취량 및 인 섭취량, ALP, FEV1/FVC 이었으며, 그 외에 남성에서는 FEV1 (%), 여성에서는 FVC(%)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 남성과 여성에서 연령, BMI, PTH와 골밀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FEV1, FVC, FEV1/FVC 와는 관련이 없었다. 결론: 한국 성인에서 폐기능 장애가 심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을 보정한 결과 폐기능과 골밀도 사이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는 연령이 높고 체질량지수가 낮기 때문에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인선,김동원,김지성,In-Seon Lee,Dongwon Kim,Ji-sung Kim 대한융합한의학회 2021 대한융합한의학회지 Vol.1 No.1
경혈과 경락학설은 침의 치료 효과를 설명하고 최선의 침 치료 전략을 세우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에서 요통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 경혈의 빈도를 알아보았다. PUMBED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manual acupuncture나 electro-acupuncture를 사용한 논문을 분석했다. 총 664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62편의 논문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수, 위중, 대장수, 곤륜, 환도, 아시혈, 관원수, 양릉천, 기해수, 요양관이었으며, 태계혈이 함께 조합되어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요통에 대한 침 치료 효과를 밝히기 위한 이전의 연구들에서 족태양방광경의 경혈들이 주로 사용된 것, 그리고 근위와 원위의 경혈이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경혈과 치료 효과 간의 상관 관계를 밝히고 경혈을 선정하고 조합하는 원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치료 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방법과 이용한 경혈에 대한 자세한 보고가 필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