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의 인식을 바탕으로 한 대학건축물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홍성민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3

        건축에서의 상징성에 대한 논의는 기호나 의미의 전달이나 과거 문화의 해석 측면 뿐 아니라 그 문화를 구성하는 공동체 구성원의 공동체성의 유지 및 강화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현대 건축에서 공동체성의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대상 건축물로 역사적으로 도시 공동체에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주었던 대학 건축물을 선정하고 대학 건축물의 주사용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건축물의 상징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고 문제점 및 특성을 도출하여 대학 건축물 계획 시 활용함으로서 상징성의 강화를 통해 공동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사용되고자 한다. 현대 대학 건축물은 전통건축물이나 종교건축물처럼 명확한 형태 상징요소를 가지지 못하므로 상징성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은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어휘로 표현되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정량적인 리커트 척도 등의 접근방법으로는 그 다양성을 담아내기 힘들 것으로 보아 본 논문에서는 대학 건축물 사용자의 주관적인 응답을 유도하는 설문을 실시하고, 자연어 어휘 분석을 하는 정성적인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외부 방문객에 대해서는 도서관, 정문 등이 그 자체 용도로 대학을 상징한다고 보고 있으며 첨단 이미지의 멋있고 새로운 모습을 상징성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내부 구성원에 대해서는 광장, 휴게공간, 체육관 등이 대학을 상징한다고 보고 있으며 추억이 있고 친근하고 소속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상징성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건축물이 가지는 상징성에 대한 사옹자의 인식을 자연언어를 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추후 상징성을 고려한 대학 건축물 설계에 참고할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제주의 이타미 준 건축에 나타난 지역성 구현에 관한 연구

        김형준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2

        건축에서 지역성은 다루기 힘든 주제 중 하나이다. 제주의 경우 건축의 지역성은 제주건축계에서 오랜 기간 다루어진 주제였으며, 다양한 논의와 세미나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에도 불구하고 제주건축의 지역성은 일반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에 남긴 이타미 준의 건축을 통해 제주의 지역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타미 준이 제주에 남긴 여섯 개의 건축물을 분석하였다. 또한 2007년부터 현재까지 5회 이상의 현장답사와 현장분석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이타미 준이 구현한 지역성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타미 준이 지역성에 대해 깊은 사유와 성찰을 한 건축가였다는 점에서 그가 남긴 제주의 건축은 유무형의 지역성을 담고 있었다. 이타미 준의 건축 사유, 제주라는 독특한 환경, 현장답사와 분석 결과, 그가 구현한 지역성은 의미와 현상이 아닌 중합적 지역성과 가치적 지역성으로 나타났다. 중합적 지역성은 건축의 의미와 현상이 복합적으로 구현된 지역성을 뜻하고, 가치적 지역성은 제주의 고유 풍경처럼 그 지역만 가지고 있는 고유 가치에 대한 존중과 배려를 통해 구현된 지역성이라 할 수 있다. A Locality is one of the tough topic to discuss in architecture. The architects in Jeju made various seminars and discussions but the locality of Jeju is still staying in general level even this subject has been arised from old day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considering locality in Jeju through researching buildings which Itami Jun built in Jeju. This research started by site survey and analysis building sites for 6 buildings which Itami Jun left in Jeju, this research conducted over 5 times since 2007 for now. Through these researches, analyzed how Itamu Jun realized and implemented locality by his buildings. Considering the point that Itami Jun was an architect with deep consideration of locality, his architecture subsumes the locality of tangibility and intangibility. With analysis of his architectural thinking, unique environment of Jeju and in site survey, the locality which he realized turned up as the form of superimposed and valued locality, not as meanings and phenomenon. Superimposed locality refers to the complex of architectural meanings and phenomenon implemented in locality, and valued locality stands for unique value which has implemented through the respect and consideration only those areas have, such as original landscape of Jeju.

      • KCI우수등재

        도시 및 건축 분야의 국내 전통시장 연구 동향 분석

        이다니엘,안대환 대한건축학회 202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전통시장 연구를 분석하고 우리나라 전통시장 연구의 전반적인 현황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5개의 학회 (①대한건축학회, ②대한건축학회지연합회, ③한국농촌건축학회, ④한국도시설계학회, ⑤한국주거학회) 속 도시, 건축적인 접근법을 통한 80건의 전통시장 논문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인 ‘RISS(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를 이용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삼는 80건의 논문들을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 목적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2014년 이후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전통시장 연구는 감소하고 있어 지금보다 더 많은 관심과 발전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후에도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지금까지는 도시공간 특성 연구와 전통시장 공간 및 시설요소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 왔지만, 앞으로는 전통시장을 통한 도시재생과 활성화에 대한 연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3) 물리적 측면에 대한 연구가 초기에 주를 이루다가 이후, 비물리적 측면을 집중한 전통시장 연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넘어서 전통시장의 다양한 방법과 인식을 함께 고려하는 연구가 더 필요하다. (4) 지금까지 전통시장 연구는 상설시장에 집중되어 왔으며, 정기시장을 다루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왔다.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정기시장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 및 건축 분야의 전통시장 연구의 방향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raditional market research in the urban and architectural fields,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in Korea. The study reviews80 traditional market papers from five academic institutes,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m based on research topics, subjects, methods, andpurposes. Since 2014, research in these sectors has declined, necessitating renewed attention. Despite the recent decrease, steady growth isanticipated in the coming years. While past research focused on the el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space, there's an emerging shifttoward exploring urban regeneration and revitalization through traditional markets. Recognition of both physical and non-physical aspects isincreasing, highlighting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search methods and perspectives. Notably, there's a growing emphasis on permanentmarkets, with a decline in research on regular markets, indicating the necessity for more research in this area. This study providesfundamental insights into the evolving landscape of traditional market research in urban and architectural contexts.

      • KCI우수등재

        경골목조틀 전단벽이 삽입된 중목구조 골조의 수평 거동성능 평가

        권용현,양원직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1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건설 산업 분야에서는 친환경 및 재활용 가능한 자재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그 대안으로 목재를 사용한 건설 산업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목재를 사용한 목구조 건축물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접합부 및 집성목의 개발을 통해 국내 내화성능 기준을 충족하는 5층 이상의 건축물을 축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산림청의 조사 결과 건축 허가 통 계건수에 따르면 최근 20년 동안 국내 목구조 건축물의 건축 허가 건수는 10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건축산업에서 목구조 건축물의 착공 수는 증가하고 있다. 반면, 최근 2016년 및 2017년에 경주·포항지역에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소규모 건축물 등 민가 건축물에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2017년 이후 건축물의 구조 안전 확인 대상 건축물의 범위는 확대되는 법이 개정되었다. 그러나, 산림청에서는 목구조 건축물의 경우 설계 경험 및 전문인력의 부족의 이유로 해당 법 시행에 대하여 유예를 건의하였으며, 목구조 건축물의 구조 안전 확인 대상 범위는 3층 이상, 연면적 500m2 이상으로 예외 조항이 포함된 상태로 법이 개정되었다. 이는 국내 목구조 건축물의 경우 대부분 2층 이하의 단 독주택으로 구조 안전 확인 대상 건축물 범위 밖에 위치 해있어 구조 안전 확인에 대한 사각지대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소규모 건축 목구조[KDS 42 50 10]에서 중목구조의 경우 수직 하중은 기둥-보 골조로 지지하며, 기둥-보 모멘트 골조의 수평 저항성능이 부족한 경우 수평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두께 11mm 이상 구조용 합판 또는 구조용 OSB합판이 설치된 경골목조틀 전단 벽을 설치해야 하며 전단 벽체의 길이 및 배치에 대한 제 한을 둔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소규모 건축 목구조 [KDS 42 50 10] 기준에 따라 설계된 소규모 목구조 건축 물은 수평하중에 대한 저항성능을 평가함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소규모 건축 목구조[KDS 42 50 10]에 의거하여 설계된 중목구조 건축물의 골조 시험체를 제작하여 수평 저항에 대한 거동성능을 정적 반복 가력 실험을 통해 평가하며, 중목구조 건축물의 수평 저항 요소 인 기둥-보 골조 및 경골목조틀 전단벽에 대한 실험을 계획한다. 시험체는 순수 경골목조틀 전단 벽체, 중목구조 건축물의 순수 기둥-보 골조 및 경골목조틀 전단벽이 삽 입된 골조의 3가지에 대해서 실험한다. 시험체별 수평거동 성능은 하중-변위 곡선을 통해 최대 내력, 최대 변위, 강성 및 에너지 특성을 분석하여, 구조 안전 확인을 위한 해석에 필요한 수평 거동 특성을 실험을 통해 파악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y using wood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joint connections of column-beam andlaminated wood, wooden structures have met the standards for constructing buildings with five or more floors. However, most woodenstructures in Korea are two-story or less buildings that are not subject to structural safety confirmation. This is a limitation of domestic woodstructure construction technology, which lacks professional manpower and design experience, and indicates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designof wood structure building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of wooden structure buildings against horizontal force areidentified through experim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rame resists the vertical load and the wall resists the horizontal loadin the heavy-wood structure building.

      • KCI등재
      • KCI등재

        북한의 ‘건축예술론’에 대한 비평적 연구 - 남북한 건축교류에 대비한 북한건축의 이해를 위한 배경 분석 -

        신규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6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8 No.5

        건축분야의 남북교류를 위해서는 북한의 건축에 대한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지식과 분석이 필요하며 그 기반으로서 북한건축에 대한 자료의 다양한 비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건축예술론 책자가 가지는 개념체계와 그 주변의 맥락적인 의미에 대한 비평적 분석을 통하여 북한건축의 개념적 체계를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기존의 문헌을 조사 분석하는 것으로 먼저 접근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북한의 ‘건축예술론’을 중심으로 북한건축의 개념적 흐름을 최근의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남북한 간의 건축교류 준비는 필수적이다. 2) 북한의 현실에 대한 합리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3) 북한의 ‘건축예술론’이 가지는 의도와 그 결과로서의 건축물에 대한 의미 분석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The knowledge and analysis of North Korean architecture are required in detail to prepare South and North architectural exchange in near future. Therefore, critical review of North Korean architectural philosophy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erform contextual and background analysis of the book named ‘About the architecture’ to investigate hidden political background of the North Korean architecture. The conclusions are achieved as followings : 1) The preparation of architectural exchange is indispensible. 2) Reasonabl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n reality is essential. 3) The book of ‘About the architecture’represents the political propaganda of DPRK’s socialist regime which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conceptually in backgr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