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SDPA 모뎀용 동기추적회로의 설계 및 성능분석

        양연실,박형래 한국항행학회 2003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7 No.1

        본 논문에서는 3GPP HSDPA 모뎀용 비동기식 동기추적회로를 설계하고, 설계된 동기추적회로에 대하여 정상상태 지터 분산과 타이밍 에러의 과도응답 특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AWGN 환경에서의 지터 분산을 펄스성형 필터, 타이밍 오프셋, 신호 대 잡음비, 루프 대역폭에 대한 식으로 유도하였으며, 과도응답특성 또한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끝으로 설계된 동기추적회로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non-coherent code tracking loop is designed for 3GPP HSDPA MODEM and its performance is analyzed in terms of steady-state jitter variance and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s. Analytical closed-form formula for steady-state jitter variance is first derived for AWGN environments as a function of pulse-shaping filter, timing offset, signal-to-interference ratio, and loop bandwidth. Also obtained is the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 of a tracking loop.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tracking loop is confirmed by computer simulations.

      • KCI등재

        신규간호사와 프리셉터가 인지하는 프리셉터의 교수효율성 비교

        김지양,김영선,김춘실,박현숙,신미영,윤연숙,조유숙,박미미,유문숙 한국간호과학회 간호행정학회 2009 간호행정학회지 Vol.15 No.2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eceptors and new graduate nurses on their perception of preceptor teaching effectivenes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90 new nurses and 90 preceptors who worked in A medical cent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1 to September 30, 2008.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urvey was don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Results: New nurses' perception (4.07±.44) of the preceptor teaching effective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ception of the preceptors (3.57±.37). Fifty five percent of new graduate nurses reported a lack of coherence in the preceptor's practice guidelines. For 5 causal factors classified on the teaching effectiveness, the factor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ability' showed the highest score, but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 got lowest score for both group. Preceptor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have enough time to teach well because of their heavy workload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ceptors need appropriate compensation and education opportunities, and new graduate nurses need consistent education by the teaching profession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ive preceptors full charge of the preceptorship. Also,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interpersonal and communication skill for preceptors and new nurses.

      • KCI등재후보

        간호교육 성과 측정 도구의 탐색

        이향련 ( Lee Hyang Yeon1 ),오가실 ( Oh Ka Sil2 ),안양희 ( Ahn Yang Heui3 ),이숙자 ( Lee Sook Ja4 ),김인자 ( Kim Inja5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간호학과 졸업생들의 간호교육 성과 측정 도구를 규명하기 위하여 시행한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전문직관, 지도력,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는 도구들을 탐색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규명하였다.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한 지지적 의사소통 능력 측정 도구의 경우 신뢰도가 Cronbach’s=.78로 비교적 신뢰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당도에서는 수렴타당도로 본의사소통 능력과의 상관계수가 .24 (p<.001), 구성타당도로 본집단타당도에서는 다른 학년에 비하여 4학년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높아 의사소통을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아직 이 도구를 사용한 논문을 찾을 수 없었으나 대인관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정확하고 정직하게 의사를 전달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의사소통하는 사람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보존하는 것을 측정하는(Whetten & Cameron, (1998) 본 도구는 인간관계를 중요시하는 간호학의 전인적 간호를 증진시키는 특징이 포함되어 있어 간호학 교육 성과를 측정하는 도구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또한 수렴타당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한 의사소통 측정도구보다 문항수가 적어 효율성도 높다. 지금까지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을 측정한 연구들도 면접을 통한 질적인 자료로 측정하거나(LeBlanc et al., 2009),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Rosenzweig et al., 2008; Yoo & Yoo, 2001)로 측정하고 있어 효율적이면서 객관적인 도구로써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전문직관은 신뢰도가 Cronbach’s a=.8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로 본 Yeun 등(2005)이 개발한 간호전문직관과의 상관계수도 .23으로 유의하였고, 구성타당도를 보기위한 집단 비교법에서는 4학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학년은 2학년으로 나타나 간호학 교육 성과도구로 채택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항목이 19개로 구성되어 있어 효율성 측면에서 볼 때 Yeun 등(2005)의 도구보다 활용성이 높다. 특히 주위 다른 사람들과 비교하여 자신의 태도를 측정하고 있어 일반적인 간호사에 대한 의견을 묻는 Yeun등(2005)의 도구에 비하여 개인적인 전문직관을 더 민감하게 측정할 것으로 생각한다. 지도력은 신뢰도가 Cronbach’s α=.94로 가장 높았으며 수렴타당도로 본 지도력 도구와의 상관계수도 .1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구성타당도로 본 집단비교에서는 4학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학년은 2학년이었다. 문항수가 40문항으로 다소 긴 편이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기는 하나 간호 실무에서 4년제 학부 학생의 지도력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도구라는 점에서 활용할 가치가 있다. 비판적 사고를 측정하기 위하여 선택한 Yoon (2004)의 도구는 신뢰도가 Cronbach’s α=.87로 상당히 높은 편이고, 집단비교법에서도 4학년이 다른 학년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아 구성타당도도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그런데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비판적 사고 기술 도구와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지 않아 수렴 타당도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는 몇 가지로 해석할 수 있는데 첫째는 비판적 사고 기술과 비판적 사고 성향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즉 Yoon (2004)의 도구는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하는 도구이고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는 비판적 사고 기술을 측정하는 도구이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해석은 비판적 사고 기술과 사고 성향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다는연구 결과가 뒷받침한다(Raymond, Rachel, & Jenny, 2002). 그러나 두 개념간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어(Profetto-Mcgrath, 2003) 이 두 개념 간의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더 필요하다. 두 번째는 비판적 사고 성향을 측정하는 Yoon (2004)의 도구는 정답이 존재하지 않으나 비판적 사고 기술을 측정하는 도구는 정답이 있는 도구인데 자료를 수집할때 이를 설명하지 않고 측정하여 두 도구의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성향을 측정하는 것과 달리 정답이 있다고 하는 경우는 본인의 생각과 다르더라도 비판적 사고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을 선택할 수 있으나 정답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설령 비판적 사고 기술에 해당하는 내용이라고 판단하더라도 본인의 성향과는 다르기 때문에 다른 내용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성향과 기술이라는 특성이 다른 측면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성향은 Likert 척도로 기술은 이분법으로 측정한 것도 상관관계를 떨어뜨린 이유로 보인다. 세 번째는 Yoon (2004)의 도구는 이미 몇 연구에서 사용하여 왔으나 아직도 더 검증이 필요하고,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도구도 신뢰도가 낮아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작업이 더 필요함을 나타낸다고도 볼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도구인 Facione과 Facione (1994)이 개발한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CTDI)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75문항으로 긴 편이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사용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므로 비경제적인 측면이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규명한 네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간호교육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비판적 사고 측정 도구는 수렴 타당도가 낮게 나와 비판적 기술과 성향을 구분하여 측정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evaluate outcome measurement scales of nursing education such as communication, professionalism, leadership, and critical thinking. Methods: A methodological study design was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Survey was done to the students (n=407) enrolled in baccalaureate nursing schools.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e tried to include all grades of students.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and group comparison were us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s. Results: All scales were reliable and valid. Only convergent validity of the scale to measure critical thinking was relatively low. It suggested that critical thinking skill and disposition might be measured separately. Also it was inefficient to measure the nursing education outcomes with separate scales.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 new integrative scale to measure nursing education outcomes. Also it is necessary to set the norm of nursing students to evaluate nursing education outcomes for the quality control of nursing education.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KCI등재

        An Efficient Adaptive Polarization-Space-Time Domain Radar Target Detection Algorithm

        Yang, Yeon-Sil,Lee, Sang-Ho,Yoon, Sang-Sik,Park, Hyung-Rae 한국항행학회 2002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6 No.2

        본 논문에서는 자음과 간섭신호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편파영역에서의 레이다 신호처리 알고리즘과 공간 및 시간영역에서의 레이다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효율적으로 결합하는 문제에 관해 고찰한다. 대부분의 직렬결합 방식들은 성능이 제한적이므로 3차원, 즉, 편파, 공간, 및 시간영역에서 동시에 레이다 신호를 검출하는 적응 알고리즘에 초점을 맞춘다. 공간 및 시간 영역의 알고리즘을 3차원으로 단순 확장한 알고리즘과 달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신호의 편파 파라미터에 대한 필터 뱅크가 불필요하다. 제안된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을 신호검출 확률과 오경보 확률에 의해 유도하고 신호의 편파정보를 이용하지 않거나 편파정보를 안다고 가장하는 알고리즘들과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of combining adaptive polarization processing and space-time processing for further performance improvement of radar target detection in clutter and jammer environments. Since the most straightforward cascade combinations have quite limited performance improvement potentials. we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daptive processing in the joing polarization-space-time domain. Unlike a direct extension of some existing space-time processing algorithms to the joint domain, the processing algorithm developed in this paper does not need a potentially costly polarization filter bank to cover the unknown target polarization parameter. The performance of the new algorithm is derived and evaluated in terms of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and the probability of false alarm, and it is compared with other algorithms that do not utilize the polarization information or assume that the target polarization is known.

      • KCI등재후보

        내관[P6] 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의 오심과 구토, 식욕부진에 미치는 영향

        성연실 ( Seong Yeon Sil ),조의영 ( Cho Eui Young ),이영숙 ( Lee Young Suk ),양혜림 ( Yang Hey Lim ),이화정 ( Lee Hwa Ju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0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6 No.1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 환자에게 오심과 구토를 완화시켜 궁극적으로 식욕부진을 완화시키기 위해 그 효과를 검증하고, 비침습적이고 새로운 간호중재로서 발전시키며, 항암화학요법으로 인해 고통받는 폐암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시도되었다. 다양한 외생변수를 통제하기 위해 2차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상자로 한정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내관지압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에서는 내관지압과 자가 내관지압을 실시한 후 조사를 실시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시차 설계를 이용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총 대상자(60명) 중 남자가 여자보다 42명으로 많았으며, 흡연을 하는 사람도 31명으로 많아, 일반적으로 폐암에서 남자 환자가 많고, 흡연은 폐암을 유발하는 위험한 요소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상자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군으로 대조군과 실험군 대상자를 각각 30명씩 확보하였는데 본 연구 자들의 경험에서 보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대상자들은 항암 화학요법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인 상태가 악화되어 오심과 구토, 식욕부진이 심해짐을 관찰할 수 있어서 본 연구에서는 2차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군으로 한정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항암제 치료 프로토콜의 종류는 다양했으며,Cisplan (Neoplatin)+Campto 병합요법이 대조군(60%)과 실험군(33.3%)에서 가장 많았다. 항암제 중 고용량의 cisplan은 진토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오심, 구토를 유발하는 정도가 중 정도(Level 5)로 효과적인 오심, 구토에 대한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의 90% 이상이 구토를 유발하는 제제에 속한다(Kim, 2002). 그러나 본 대상 의료기관은 항암화학요법 중 고용량의 Cisplan을 받는 모든 환자에게 치료제로 항상 진토제를 사용하므로 연구 대상자들도 오심과 구토의 발생이 심하지 않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Kim (2002)이 사용한 내관지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는 당일 아침부터 매 식사 30분 전에서 1시간 전 내관지압을 실시하였다. 선행 연구들의 문헌고칠 결과 오심과 구토 조절을 위해 적용한 내관 지압들은 지압 방법, 처치 횟수, 시점 등이 다양하며, 지압 교과서 에서는 지압을 할 때 수직압과 지속압의 원칙에 의해 1번에 3-5초 동안 실시하나 특정한 효과를 위하여 7초 정도의 지속압을 가하고, 2-3초간 정지한다고 제시하였다(East-West Nurs-ing Research Institute, 2000. Kim (2002)의 연구에서는 수직압을 가하고 난 후 손가락을 계속 붙인 채로 2초간 서서히 누르고, 4초간 일정한 압력을 주며, 2초간 서서히 힘을 늦추어 떼어 총 8초간의 지속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내관지압 실시 횟수는 Shin (2002)이 수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위암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20명)에게는 일상적인 상례간호를 제공하고, 실험군(20명)에게는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용 교재와 실습을 통한 지압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항암화학요법제가 투여되는 5일 동안 매일 항암제 투여 직전, 점심 식사 전, 저녁 식사 전에 5분 동안 연구자가 직접 내관지압을 하였고, 이외의 시간에 오심, 구토를 경험할 때마다 환자와 보호자가 내관 부위를 5분간 지압하도록 하였는데 실험군에게 주어진 지압의 중재 크기가 같음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연구 간호사들에게 실험처치(내관지압)를 교육시키기 위해 내관지압에 대한 프로토콜을 개인에게 제공 후 익히도록 하였고, 동영상을 제작하여 컨퍼런스에서 발표 후 실습하도록 하여 간호사별 행위를 측정하였고, 동영상을 컴퓨터에 저장해 놓고 수시로 보고 익히도록 하였다. 그리고 보호자와 환자에게는 내관지압 방법에 대해 교육하고 보호자와 환자가 스스로 실시해 보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 교정하고 재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정확한 처치를 퇴원 후에 실천할 수 있도록 하였다. Kim (2002)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폐암환자 대조군, 실험 군이 동일한 그룹으로 10명에게 적용한 내관지압은 대조군에서는 placebo 지압을 시행하고, 실험군에서는 점심과 저녁 식사 30분에서 1시간 전 오른쪽, 왼쪽 각 5분간 내관지압을 시행 한 연구에서는 오심, 구토가 아침에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배 제해 버리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고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군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는 날 아침식전부터 내관지압을 시작하여 퇴원하는 날 아침 식사 전까지 매끼 30분에서 1시간 전 총 10분간 내관지압을 시행하여 오류를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퇴원 후 오심과 구토 및 식욕 부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보호자와 환자에게 교육하여 퇴원 후 해피콜(추후 모니터링)로 자가 내관지압을 실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실시 유무나 시간이나 절차에 대한 정확성을 보장 할 수 없었다는 한계점이 있다. Kim (2002)의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실시하기 전 환 자들의 오심과 구토에 대한 측정을 하였는데 본 연구는 항암화 학요법의 주기가 3-4주 간격으로 2차 항암요법을 받기위해 입원한 대상자는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회복된 후 입원함으로써 내관 지압 중재 전 오심, 구토와 식욕부진에 대한 초기 사정을 실시하지 않았다. 이는 오심, 구토와 식욕부진에 대한 동질성을 보장할 수 없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추후에는 중재 전 오심, 구토와 식욕부진에 대한 초기 사정을 실시하여 오심, 구토와 식욕부진이 있는 대상자만을 선택하여 실시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겠다.본 연구에서 퇴원일 메스꺼움 시간과 오심, 메스꺼움 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도구의 합으로 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퇴원 일주 후 자가 내관지압을 실시한 후 조사한 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는 추후 자가 내관지압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모니터링 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Yang, Kwon과 Kim (2001)의 연구에서 식욕부진은 항암제 투여기간보다는 퇴원하여 다음 입원 전까지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나 가정에서 영양 상태를 회복시킬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만든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대조군에서 퇴원시 평균 31.17점, 퇴원 일주 후 평균 28.60점으로 다른 연구와 결과가 일치하지 않아 추후 반복연구가 필요하겠다. 또 한 식욕부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관지압을 시행한 실험군에서 퇴원 시 식욕부진이 29.83점이 퇴원 일주일 후 32.40점으로 증가되어 내관지압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에서 식욕 부진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는 환자와 보호자에 의해 실시된 자가 내관지압의 실시 유무를 모니터할 수 없었고, 대상자가 정확한 시간과 절차를 지키지 않았을 수 있이 내관지압실시 시 힘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였으리라 예상되며 다양한 방법으로 중재를 보완할 필요가 있겠다.Kim (2002)의 연구에서 대조군과 실험군 간 모든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는 결과를 내 놓았으나, Shin (2007)은 월경증후군 환자에서 내관지압을 시행한 연구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퇴원 일주일 후 오심과 구토, 식욕부진에 대한 차이를 비교하여 검정을 실시하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내관지압의 효과를 입증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대부분의 항목에서 처치 주 점수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추후 반복 연구가 필요하며, 내관지압을 간호중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처치 방법, 측정 방법 등을 보완한 상태에서 추후 반복 연구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of lung cancer patients on chemotherapy.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of lung cancer patients on chemotherapy. The participants were 60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a hospital for chemotherapy from February 1 to October 28, 2009. Th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n=30) or experimental group (n=3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ann- Whitney test Results: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experi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n the day of discharge from the hospital. However, the levels of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ven days after the discharge. Conclusions: Nei-Guan acupressure is effective in decreasing nausea, vomiting and anorexia of the patients with lung cancer on chemotherapy on the on the day of the discharge while the effectiveness is not certain 7 days after the discharge.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ese findings.

      • SCIE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a Methyl Jasmonate Specific Esterase in Arabidopsis

        Koo, Yeon Jong,Yoon, Eun Sil,Seo, Jun Sung,Kim, Ju-Kon,Choi, Yang Do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Biological Chemistr 201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6 No.1

        Methyl jasmonate (MeJA)-specific methyl esterase of Arabidopsis (AtMJE) was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AtMJE has high substrate specificity to MeJA compared to other related substrates, methyl indole-3-acetate (MeIAA) and methyl salicylate (MeSA). Through enzyme kinetics analysis, we found AtMJE has similar level of substrate affinity to JA carboxyl methyltransferase (AtJMT). However, AtMJE has 10 times lower catalytic efficiency than AtJMT at low substrate concentrations. AtMJE gene expression was suppressed for 2 h after MeJA treatment, even though its expression recovered and was induced to maximum level within 8 h after treatment. AtMJE overexpressing plants (AtMJEox) showed enhanced MeJA methyl esterase activity demonstrating esterase activity of AtMJE in vivo. AtMJEox plants responded differentially to JA and MeJA in root growth. MeJA in the media could be a source for more JA production in AtMJEox plants, which resulted in root growth inhibition. In contrast, AtMJEox plants grown on JA containing media showed similar root growth inhibition as wild-type. These results show that AtMJE functions in altering JA/MeJA ratios in Arabidopsis and increased JA, because the conversion of MeJA to JA enhances JA responsive gene expression.

      • KCI우수등재

        유아의 문식성과 컴퓨터로 쓰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양연임(Yeon Yim Yang),김영실(Young Sil Kim) 한국아동학회 2001 아동학회지 Vol.22 No.2

        This study explored the linkage between literacy and writing with a computer in three-to five-year-old children. The 57 subjects were closely observed as they produced written language forms using the word processing program, Araeha Hangul. Stages of writing with a computer were developed to assess the children`s computer-writing. While writing with a computer, children invented letters, words, and sentences in an experimental and playful way. Children`s writing with computer improved with age.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riting with a computer and writing with a pencil. In this way, computer writing was found to be part of written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혼외관계를 사유로 하는 이혼에 관한 연구 : 드라마「부부클리닉 : 사랑과 전쟁」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양옥경(Yang Ok-Kyung),이기연(Lee Ki-Yeon),박지영(Park Ji-Young),이현영(Lee Hyun-Young),김은실(Kim Eun-Sil)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3

        정서적 유대가 점차 중요시되는 부부관계에서 혼외관계는 부부간 정서적 유대와 신뢰를 흔드는 치명적인 이혼사유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혼외관계의 상황과 이로 인한 이혼의 현상을 드라마가 어떻게 담고 있는지 내용분석을 하였다. 최초로 이혼을 소재로 다룬 주간 드라마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30회분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드라마에 등장하는 부부는 혼외관계 자체뿐 아니라 부부관계의 질을 결정하는 정서 및 의사소통 문제가 내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가부장적인 남편과 의존적인 아내라는 전통적인 부부관계의 설정이 가장 자주 등장하였다. 혼외관계의 대상은 결혼 전 애인이 가장 많았으며, 혼외관계유형으로는 남편에게는 '불만족한 결혼생활의 파기수단'이나 '만족한 결혼생활에서의 활력추구'가, 아내에게는 '불만족한 결혼생활에서의 일시도피나 유지수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러한 혼외관계는 부부 모두에게서 '결혼유지기간 6-10년'인 때에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 동안 사회복지 실천 대상에서 간과되었던 중산층 부부에 대한 사회복지적 재규정 및 새로운 가족개입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가족의 일상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환경속 개인'이라는 사회복지의 핵심영역을 묘사하고 있는 '드라마'를 사회복지 연구에서의 대안적 영역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등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V drama describes divorce process by the reas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in the drama. To explore this subject, 30 drama synopses delineating extramarital relationship were analyzed.<br/>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couples ha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he couples relationship was described traditionally patriarchal: husbands showed their authorities and wives showed dependency on their husbands. The partner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were the lovers before current marriage. The pattern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included 'intention to look for vitality despite satisfying current marriage' for the husbands and 'intention to avoid dissatisfied current marriage temporally' or 'to maintain marriage despite<br/> dissatisfaction' for the wives. For those who married 6 years and longer, more extramarital relationship was accepted as a terminator of the marriage. And in many cases, the divorce dose not mean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extramarital partner but to collapse of trust in partner.<br/> The results imply that the social work needs to be more sensitive to middle-class couple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problems. This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cou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