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 - 질적 연구방법의 유용성 제고를 위한 논의 -

        강철희,김미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5 No.-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사회복지학에 대한 유용성을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사회복지학』에 실린 학술논문 538편을 연구 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학은 양적 연구방법에의 과도한 편향이 매우 극심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이 되면서 이러한 한계가 지적되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엄밀성 측면에서 볼 때 방법의 적절성과 수준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의 동향 분석과 함께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특성과 유형을 정리하면서 한국 사회복지학과 질적 연구방법의 적합성(fitness) 즉 ‘질적 연구방법이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 유용성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의 양적 연구방법에 편향된 상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현상의 본질과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방법론이나 패러다임에 얽매이지 않고 사회과학의 많은 연구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and discuss util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broadening and deepening social welfare knowledge body in Korea. First, this paper examines research methods of 538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from the volume one in 1979 to the volume 51 in 2002. It has the following results: (1) non-empirical research articles were dominant in the 1980s; (2) empirical research articles have been dominant since the middle of the 1990s; and (3) research articles utilizing qualitative methods have appeared rarely since the end of the 1990s. Second,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ethno-graphic approach, narrative inquiry etc.)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rd, this paper discusses (1) fitness between practice in social welfare disciplin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2) util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broadening and deepening knowledge body of Korean social welfare. In discussing the fitness, this paper focuses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ts with the needs of social welfare discipline regarding broadening and deepening our understandings about social phenomena related to practice,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ts the needs of social welfare discipline regarding developing endogenous knowledge. In discussing the utilities, this paper focuses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an be more properly utilized for social welfare research because there are coincidences in basic assumptions and perspectives of bo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Finally, this paper highlights that 'many ways of knowing' exist in social science and it should be considered more sincerely in the arena of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in order to more solidly develop the knowledge body of social welfare and practice in Korea.

      • KCI등재후보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와 지속;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홍경준,송호근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5 No.-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를 주도해 온 거대한 두 가지의 물줄기, 즉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세계화의 확산이라는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복지 정책은 변화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득보장과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이루어진 변화를 통해 1990년 이후 전개된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양상을 가능하면 정확하게 묘사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1990년 이후 사회복지 정책 영역에 대한 투입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1998년에는 GDP 대비 11%선으로까지 사회복지비 지출 규모가 늘어났다. 둘째, 이러한 전환은 복지를 둘러싼 국가와 기업의 역할 재조정을 의미하며, 그것은 바로 ‘낙후된 국가-성장한 시장‘이라는 한국 사회복지체제의 중요한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셋째, 이러한 전환의 핵심적 내용은 소득보장제도의 발전으로 요약된다. 소득보장제도의 빈곤감소 효과와 불평등 완화 효과의 증대가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소득보장제도의 발전과는 대조적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은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다. 가족을 비롯한 공동체의 책임으로 남겨져 비상품화되어 있던 사회복지서비스 부문은 주로 기업에 위임되었던 소득보장 부문과는 대조적으로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1990년 이후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는 주목할 만한 것이었지만, 그것을 통해 체제의 변화까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Korean welfare regime during 1990s. Democracy, globalization and the financial crisis changed the landscape of Korean society as a whole and provided a catalyst for the change of the Korean welfare regime. In order to show how and what changed in Korean welfare regim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transformations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me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br/> The changed aspects are as follow: (1) The ratio of social expenditure to GDP has increased during 1990s and now stood at ten percent level. (2)Rather than backing up the company welfare, government strove to build and expand income maintenance devices for all citizens. (3) The poverty and inequality reduction effects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s are very weak in early 1990s, but they are gradually getting stronger impact on poverty and inequality. <br/> But, there are also continuance. (1) In spite of the relative development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s, social welfare services are still poorly designed as before. (2) The expenditure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s shows sharp contrast to income maintenance programs and lagged behind the other OECD countries. (3)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 sector employment are also not so salient. In 2002, social service employment is only at close to 2.5 per cent of the total employment. <br/> Accordingly, korean welfare regime is now characterized by a model which is to curb poverty and inequality by engaging in direct government provision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s, but refrain from expanding social service by relying on net welfare which encourage the provision of services within the family. A implication of our analysis is that the expansion of social welfare Korea saw after 1997 was not really an regime shift. According to the arguments of Peter Hall, first and second order changes in policy do not automatically lead to third order changes which imply regime shift. Policy changes which occurred during 1990s was not accompanied by a shift in policy paradigms. Family dependency in welfare is not yet changed.

      • KCI등재후보

        이혼 및 별거(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미국의 사회안전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윤홍식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3 No.-

        최근 가족해체의 급격한 증가는 한국사회에 모자가정의 빈곤화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사회에서 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에 대한 사회정책의 가시적 대응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가족구조의 변화 즉, 이혼 및 별거 등으로 야기되는 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으로서 사회안정망의 역할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현실적으로 한국에서 종단적 자료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미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미국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한국적 함의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미국사회에서 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의 주된 원인인 가족해체로 인하여 많은 수의 모자가정이 새로운 빈곤층으로 편입되고 있는 현실에 반해 이에 대한 사회안전망의 역할의 부재를 지적할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모자가정의 긴급한 요구에 대한 공공부조 개입의 지체 낮은 급여수준, 불충분한 아동양육비 수준 등과 같은 부적절하고 비효율적인 사회안전망으로 인해 모자가정의 빈곤화가 가족해체이후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국의 실패가 한국에 주는 함의는 모자가정 빈곤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사회구조적 접근과 함께 가족해체로 요인을 고려하여 해체가족을 위한 사회안전망의 수립이 요구된다 하겠다.

      • KCI등재

        한국과 일본 巫 물질문화의 유사성에 대한 소고 - 신장대와 오누사 및 금줄과 시메나와를 중심으로 -

        조정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0 石堂論叢 Vol.0 No.78

        The origin of Korean and Japanese culture may be found in shamanism (巫). Shamanism has been inherited as superficial Moo-sog (巫俗) in Korea under spreading of high religions like as Buddhism, Confucianism, and so on. However, in Japan, shamanism has been inherited as national religion Shindo (神道, しんとう, しんどう). Just as Buddhism and Confucianism were passed on to Japan from the Korean Peninsula, it may be assumed that Korean shamanism was also passed on to Japan during exchanges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academic world, it was suggested that there has been the existence of ‘Hata Clan (秦氏) coming over to Japan,’ and that a maternal ancestor of the Japanese emperor worshiped as gods in Shindo was Baekje people. Also there is a study that looked at Matsuri (祭り, まつり) and Korean shamanistic ritual (Kut), which are rituals in the same context. However research on its propagation or mutual influence is insufficient, and there are very few studies comparing Korean shamanism and Shindo. The main reason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n particular both Korean shamanistic rituals and Matsuris emphasize the originality of each region. In this regard, Japanese records for Japanese shamanism and Shindo are older than domestic records for Korean shamanism. Although it is argued that Japan has been handed down a lot of culture through the geographically adjacent Korean Peninsula, arguments on the spread of Korean shamanistic culture to Japan are lacking. Therefore, in this paper as a basic search, noticed that Hata Clan (秦氏) founded the origin jinja (Shinto shrine) of the Inari deity (稲荷神), which is believed in about 32,000 jinjaes (神社) out of about 100,000 jinjaes, and has served as chief priest since AD ​​711. When ‘Shilla-related people Hata Clan (秦氏)’ was to disseminate rice cultivation and weaving techniques by relocating to Japan to escape ‘the constant war between Silla and Goguryeo and between Silla and Baekje’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Silla ruling classes’, it was possible that the Korean shamanistic folkway was also introduced directly or indirectly to Japan. From this point of view, in this paper, the similarity between geumjul (禁-line) and shimenawa (注連繩) that differentiate holy ground is discussed, and also the one between shinzangdae (神將-stick) and ōnusa (大幣) that are widely used in Korean and Japanese shamanistic events. According to this paper, shinzangdae & ōnusa and geumjul(禁-line) & shimenawa (注連繩) that have widely been used in Korean shamanism and Shindo, had been spread in the period of rice farming and jute (麻) delivery from Korea to Japan by the doraein (渡來人) who crossed over to Japan from Korea. Follow-up studies for this are needed in various ways. 한국과 일본 문화의 시원은 무(巫)에서 찾을 수 있다. 무(巫)는 불교, 유교, 기독교와 같은 고등종교의 전파 속에서도 면면히 이어져 한국에서는 무속으로, 일본에서는 신도(神道)로 남아 있다. 불교와 유교가 한반도에서 일본에 전해진 것처럼, 무(巫) 문화도 도래인(渡來人)에 의해 한반도에서 일본에 전해졌으리라 짐작할 수 있으나 이를 밝힌 연구는 없다시피 하다. 다만, 신라계 도래인 하타씨의 존재가 학계에서 인정되고 있으며, 신도에서 신으로 신앙되는 천황의 조상 모계가 백제 인이라는 주장이 있었고, 신령에게 제사를 지내는 마쓰리(마츠리, 祭り, まつり)와 한국 굿을 같은 맥락에서 조망한 연구가 있으나, 그 전파나 상호간 영향을 탐색한 연구는 미진하다. 한국의 무(巫)와 일본의 신도(神道)를 각각 고유한 것으로 조망할 뿐 그 관계를 비교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 주된 원인은 한국의 무(巫) 의식이나 일본 신도(神道)의 마쓰리가 지역별 시원을 강조해온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 무(巫)에 대한 일본 기록은 한국 무(巫)에 대한 국내 기록보다 역사가 오래되었고, 한국 무(巫) 문화의 일본 전파에 대한 논증은 없다시피 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하타(秦)씨가 10만 여개의 일본 신사 중 3만 2천여 개의 신사에서 신앙되는 이나리 신(稲荷神)의 본산을 창건하여 서기 711년 이래 신직을 맡아 제사를 관장해오는 점에 주목하여, 신라와 고구려 및 신라와 백제의 끊임없는 전란과 신라 지배층간의 갈등을 피해 일본으로 이주한 신라계 하타씨가 일본에 정착하여 벼농사, 양잠, 직조 기술 등을 전파할 때 무(巫) 습속도 직간접적으로 일본에 전래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과 일본의 무(巫) 의식과 행사에서 두루 사용되는 신장대(神將대)와 오누사(大幣) 및 금줄(禁줄)과 시메나와(注連繩)의 전파를 파악하는 기초적인 탐색을 하였다. 한국의 금줄과 일본의 시메나와를 외적인 모양과 기능 및 벼농사 전래와 도래인(渡來人)의 일본 이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한국의 신장대와 일본의 오누사 역시 외적인 모양과 기능 및 마지(麻紙)의 일본 전래와 도래인(渡來人)의 제사 주관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오누사와 시메나와는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전파된 물질문화로 볼 수 있으나 이를 다양한 관점에서 실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에 관한 반성적 고찰

        김미옥(Kim, Mi-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4

        이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 경향을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향후 과제를 제시할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이를 위해 첫째, 그동안 한국 사회복지실천연구에 대한 비판적 논의들을 정리하였고, 둘째, ‘한국 사회복지학’ 학술지에 게재된(1998~2014)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사회복지학’에는 총 874 편의 연구가 17년 동안 게재되었고, 이중 사회복지실천연구가 16.6%(145편), 실천과 관련된 경험적 연 구가 40.5%(363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복지실천논문 145편에 대해 세부 분석결과, 연구주 제별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가 26.2%, 사회복지사가 29%, 척도개발이 20.0% 등의 순으로 나타났 다. 사회복지사에 관한 연구는 2007년 이후 증가양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업성은 교수가 84.6%로 압도적으로 많았고, 실무자는 8.6%에 불과하였다. 2006년 이후 공동연구비율이 현저히 높아지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단독연구는 44.8%로 낮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셋째, 사회복지실천 전공교수 8명을 개별인터뷰 한 결과, 현재 실천연구는 경계, 위기, 그리고 혼돈사이에 서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사회복지실천연구가 위기와 기회 사이에 선 것으로 평가하며, 연구 환경, 실천현장, 한국적 사회복지학의 재구성에 대한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articles on social work practice and discuss tasks of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in broadening and deepening social welfare knowledge body in Korea. First, this paper arranges critical discussion and results on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since the dawn of history in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Second, this paper examines 874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from the volume one in 1998 to the volume 66(4) in 2014. The appearance rate of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was 16.6%(145 articles), and empirical research in relation to social work practice was 40.5%(363 articles). Among 145 articles, 8.6% were practitioners, and the rest of them were in the position of professors. In addition, 26.2% were researches on program effectiveness, and 29.0% were researches on social worker. Third, this paper was interviewed 8 professors who majored social work practice. They evaluate the present states of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as positioning to boundary, crisis and confus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 tasks of Korean social work practice research in order to more solidly develop the knowledge body of social work practice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