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 - 질적 연구방법의 유용성 제고를 위한 논의 -
강철희,김미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5 No.-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분석과 고찰을 통하여 질적 연구방법의 사회복지학에 대한 유용성을 논의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의 가장 대표적인 학술지인 『한국사회복지학』에 실린 학술논문 538편을 연구 방법론에 초점을 두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사회복지학은 양적 연구방법에의 과도한 편향이 매우 극심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990년대 중반이 되면서 이러한 한계가 지적되어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는데, 엄밀성 측면에서 볼 때 방법의 적절성과 수준은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 사회복지학 연구방법론의 동향 분석과 함께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의 특성과 유형을 정리하면서 한국 사회복지학과 질적 연구방법의 적합성(fitness) 즉 ‘질적 연구방법이 왜 필요한가’ 그리고 ‘그 유용성은 무엇인가’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한국 사회복지학의 양적 연구방법에 편향된 상황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사회현상의 본질과 실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방법론이나 패러다임에 얽매이지 않고 사회과학의 많은 연구방법을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제시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and discuss util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broadening and deepening social welfare knowledge body in Korea. First, this paper examines research methods of 538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from the volume one in 1979 to the volume 51 in 2002. It has the following results: (1) non-empirical research articles were dominant in the 1980s; (2) empirical research articles have been dominant since the middle of the 1990s; and (3) research articles utilizing qualitative methods have appeared rarely since the end of the 1990s. Second,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ypes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ethno-graphic approach, narrative inquiry etc.)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rd, this paper discusses (1) fitness between practice in social welfare disciplin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2) utilitie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broadening and deepening knowledge body of Korean social welfare. In discussing the fitness, this paper focuses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ts with the needs of social welfare discipline regarding broadening and deepening our understandings about social phenomena related to practice, and (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ts the needs of social welfare discipline regarding developing endogenous knowledge. In discussing the utilities, this paper focuses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an be more properly utilized for social welfare research because there are coincidences in basic assumptions and perspectives of bo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social welfare practice. Finally, this paper highlights that 'many ways of knowing' exist in social science and it should be considered more sincerely in the arena of Korean social welfare research in order to more solidly develop the knowledge body of social welfare and practice in Korea.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와 지속;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홍경준,송호근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5 No.-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를 주도해 온 거대한 두 가지의 물줄기, 즉 민주주의의 공고화와 세계화의 확산이라는 흐름 속에서 한국 사회복지 정책은 변화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소득보장과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에서 이루어진 변화를 통해 1990년 이후 전개된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양상을 가능하면 정확하게 묘사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분석의 결과 다음과 같은 점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1990년 이후 사회복지 정책 영역에 대한 투입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1998년에는 GDP 대비 11%선으로까지 사회복지비 지출 규모가 늘어났다. 둘째, 이러한 전환은 복지를 둘러싼 국가와 기업의 역할 재조정을 의미하며, 그것은 바로 ‘낙후된 국가-성장한 시장‘이라는 한국 사회복지체제의 중요한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셋째, 이러한 전환의 핵심적 내용은 소득보장제도의 발전으로 요약된다. 소득보장제도의 빈곤감소 효과와 불평등 완화 효과의 증대가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소득보장제도의 발전과는 대조적으로 한국의 사회복지서비스 영역은 상대적으로 정체되어 있다. 가족을 비롯한 공동체의 책임으로 남겨져 비상품화되어 있던 사회복지서비스 부문은 주로 기업에 위임되었던 소득보장 부문과는 대조적으로 크게 변화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므로 1990년 이후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는 주목할 만한 것이었지만, 그것을 통해 체제의 변화까지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inuity and change of Korean welfare regime during 1990s. Democracy, globalization and the financial crisis changed the landscape of Korean society as a whole and provided a catalyst for the change of the Korean welfare regime. In order to show how and what changed in Korean welfare regim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transformations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me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br/> The changed aspects are as follow: (1) The ratio of social expenditure to GDP has increased during 1990s and now stood at ten percent level. (2)Rather than backing up the company welfare, government strove to build and expand income maintenance devices for all citizens. (3) The poverty and inequality reduction effects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s are very weak in early 1990s, but they are gradually getting stronger impact on poverty and inequality. <br/> But, there are also continuance. (1) In spite of the relative development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s, social welfare services are still poorly designed as before. (2) The expenditure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s shows sharp contrast to income maintenance programs and lagged behind the other OECD countries. (3) The expansion of social service sector employment are also not so salient. In 2002, social service employment is only at close to 2.5 per cent of the total employment. <br/> Accordingly, korean welfare regime is now characterized by a model which is to curb poverty and inequality by engaging in direct government provision of income maintenance programs, but refrain from expanding social service by relying on net welfare which encourage the provision of services within the family. A implication of our analysis is that the expansion of social welfare Korea saw after 1997 was not really an regime shift. According to the arguments of Peter Hall, first and second order changes in policy do not automatically lead to third order changes which imply regime shift. Policy changes which occurred during 1990s was not accompanied by a shift in policy paradigms. Family dependency in welfare is not yet changed.
문진영(Moon Jin-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유럽 국가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회적 배제 현상이 유럽 국가의 그것과 비교하여 어떠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볼 목적을 가지고 작성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장에서는 유럽에서 사회적 배제의 개념이 어떠한 정치적 맥락에서 발원하고 발전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사회적 배제에 대한 개념규정을 시도한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에스핑 안데르센(G. Esping-Andersen, 1990, 1999)의 복지레짐론과 실버(M. Silver, 1994)의 사회적 배제 파라다임을 비교하여 논의함으로써, 사회적 배제 현상에 대해서 복지레짐론이 어떠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한다. 본 연구의 본론에 해당되는 제4장은 2000년도부터 2007년까지 한국과 유럽 6개국(보수주의: 독일과 프랑스, 자유주의: 영국과 아일랜드, 사민주의: 스웨덴과 핀란드)의 사회적 배제 지표를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서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해석을 통해서 한국의 사회적 배제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를 정리하고, 정책적 함의를 구하고자 한다. This paper purports to comp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social exclusions in Korea with those in the European countries, notably Germany, France, Sweden, Finland, Ireland and U.K. For this purpose, chapter two examines political and social origins of social exclusion as an alternative concept to poverty or unemployment. Chapter three discusses social exclusion paradigms of Silver(1994) in reference to welfare regime theories of Esping-Andersen(1990). Subsequently chapter four, using two artificial social exclusion indicator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defines the basic nature of social exclusion of Korea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six European countries. Chapter five duly concludes that social exclusions in Korea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liberal countries (Ireland and U.K.) in that income indicators (poverty and inequality) of Korea are much worse, whereas unemployment rate is relatively low.
이혼 및 별거(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와 사회안전망의 역할:미국의 사회안전망의 대응과 한국적 함의
윤홍식 한국사회복지학회 2003 한국사회복지학 Vol.53 No.-
최근 가족해체의 급격한 증가는 한국사회에 모자가정의 빈곤화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한국사회에서 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에 대한 사회정책의 가시적 대응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가족구조의 변화 즉, 이혼 및 별거 등으로 야기되는 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응으로서 사회안정망의 역할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현실적으로 한국에서 종단적 자료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미국의 자료를 이용하여 미국 사회안전망의 역할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한국적 함의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미국사회에서 가족해체로 인한 모자가정의 빈곤화의 주된 원인인 가족해체로 인하여 많은 수의 모자가정이 새로운 빈곤층으로 편입되고 있는 현실에 반해 이에 대한 사회안전망의 역할의 부재를 지적할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모자가정의 긴급한 요구에 대한 공공부조 개입의 지체 낮은 급여수준, 불충분한 아동양육비 수준 등과 같은 부적절하고 비효율적인 사회안전망으로 인해 모자가정의 빈곤화가 가족해체이후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미국의 실패가 한국에 주는 함의는 모자가정 빈곤문제를 접근함에 있어 사회구조적 접근과 함께 가족해체로 요인을 고려하여 해체가족을 위한 사회안전망의 수립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성순(Lee, Sung-So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9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사회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결혼이민자와 그들의 가족 지원에 초점을 두고 있을 뿐 국내에 유입되는 다양한 유형의 이민자들을 한국 사회에 융합시키는데 있어서 미흡한 실정이다. 무엇보다도 소수집단들이 주류사회로의 적응과 사회통합에의 기여는 극히 제한적임을 알 수 있다. 100년 이상의 역사를 통하여 외국인근로자를 유입하고 그들을 활용하는 독일은 경제상황, 노동시장 동향, 사회상황 등을 고려하여 외국인근로자 정책을 보완하고 시행하는 등의 외국인력 도입 정책의 경험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그동안 시행되어 왔던 독일의 차별배제형 모델의 이민자 정책은 다문화주의의 모델 속에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갈등을 해소하고 다문화사회의 통합방안 모색한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단일민족주의를 고수했던 독일의 최근의 이민자 사회통합정책과 사회통합교육을 고찰하여 한국의 사회통합정책과 사회통합프로그램의 정착에 있어 기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Through a cross-country analysis of integration in Germany, the Republic of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integration of migrants is conceived in the respective national agendas and how integration policy is initiated and implemented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in each country.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tus and problem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in Korea · Germany and reviews o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managing in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immigrants. According to an analysis, serious problems dealing from an increasing number of foreigners, specially financial burden, increase of crime and unemployment rate as well as expenses of social welfare in local government have been assessed. Therefore, korean government try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for improving social unity through adequate education policy, cultural and educational policy for immigrants. Therefore, this paper has discussed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Korea · Germany for immigrants and then suggested prerequisite conditions in order to provide a this program. To make this social integration program success, a long-term strategy of the local government is needed. The citizen shall get in contact with foreigners to facilitate Integration. Immigrants should adapt to social Integration program, according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