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영선,손혜영,정혜경,이선영 梨花女子大學校 醫科大學 醫科學硏究所 2002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5 No.2
목적 : 혈변은 임상의가 접하게 되는 흔한 증상으로 대장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환의 증상이나 외래를 찾은 환자는 간헐적이고 경미한 출혈양 때문에 치핵 등의 양성병변으로 간과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평가가 어렵다. 이에 저자들은 혈변을 이유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과 질병양상을 분석하고 임상의의 문진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병을 선별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7월부터 1999년 7월까지 혈변을 이유로 이화여자 대학교부속 목동병원 내과 외래를 방문한 환자에서 활동성 출혈의 증거가 없는 65명(남자 35명, 여자 30명, 평균연령 43 11세)을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문진은 설문지를 통해 혈변의 양상과 혈변 양, 혈변의 빈도, 혈변 발생 후 내원까지의 기간, 배변 습관의 변화, 체중감소, 아스피린이나 NSAID복용여부, 치질 병력, 대장암의 과거력 등을 조사하였다. 대장암, 1㎝ 이상의 용종,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 및 활동성 장결핵 등을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환으로 분류하였다. 내시경위사가 환자를 통한 문진 소견으로 혈변의 원인이 치핵이나 치열 등의 양성 직장 항문 질환으로 생각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장내시경 검사 결과 치핵이나 치열 27예, 용종 16예, 정상 10예, 급성 장염 및 비특이성 장염 8예, 악성종양양 7예, 궤양성 대장염 및 장결핵이 7예로 진단되었다. 대장암 등의 중요질환은 총 17예로 26.2%를 차지하였다. 배변습관의 변화나, 체중감소, 복통, 혈변의 기간 및 대변과 혈액이 섞이는 출혈 양상을 비교하였을 때 내시경 소견에 따른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없었다. 환자를 통한 문진으로 내시경의사가 치핵이나 치열로 생각하는 경우는 35예(53.8%)였고 이중 실제로 내시경 검사에서 치핵과 치열은 23예(65.7%)였다. 그 외 질환으로 악성 종양이 2예(5.7%), 1㎝ 이상의 용종이 2예(5.7%), 활동성 궤양성 대장염이 1예(2.9%)로 나타났다. 결론 : 혈변을 이유로 외래를 방문한 환자에서 대장암은 10.8%를 차지하였고, 환자를 통한 문진과 신체검진 소견만으로 임상적으로 중요한 질환을 선별하기 어려워 원인규명과 치료를 하기 위해 정확한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clinical observation of outpatient who showed hematochezia, and to determine whether specific clinical symptoms associated with hematochezia were predictive of important gastrointestinal pathology. Methods : P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ly 1998 to July 1999 with sixty-five outpatients(35 males and 30 females with mean age, 43±11 years) who had no evidence of recent bleeding. Patients were interviewed by questionnaires about the amount and frequency of bleeding, change in bowel habits, weight loss, usage of aspirin/NSAIDs, and family history, prior gastrointestinal pathologic illness before colonoscopy. Based on this information, endoscopist were asked to predict whether the bleeding was from a benign perianal or other lesion. "Important gastrointestinal pathology" was defined as carcinoma, adenomas more than 1㎝, active ulcerative colitis, and active tuberculosis by colonoscopy. Results : Colonoscopic findings were as follows : 27 cases of benign anorectal lesion ; 16 cases of polyps, 10 cases of normal ; 8 cases of acute colitis and nonspecific colitis ; 7 cases of coloerctal cancer, 7 cases of ulcerative colitis and intestinal tuberculosis ; and other cases. "Important gastrointestinal pathology" was 17 cases. Variables including duration, type and frequency of bleeding, weight loss and change in bowel habit did not predict the colonoscopic diagnosis. Of the 35 patients diagnosed clinically by endoscopist to begin anorectal lesion alone, 18 patients were found to have benign anorectal lesion, 2 patients had cancer, 2 patient had polyp(bigger than 1㎝), and 1 patient had ulcerative colitis. Conclusion : In outpatients with hematochezia, the incidence of colon cancer was 10.8%. Clinicians were unable to distinguish significant colonic lesions by history. Therefore accurate diagnostic workup is needed for this group of patients.
김영선,최선숙 우리말학회 2016 우리말연구 Vol.44 No.-
한국어 조사 ‘-에’는 일본어 ‘-に’와 기능적 의미가 흡사하다. 그러나 ‘-에’는 문맥적으로 다양한 의미적 기능을 가진다는 점에서 일본 인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어려운 학습 항목으로 인식되어 왔다. 본고에서 는 일본인 학습자가 경험하는 ‘-에’의 오류 예를 분석하고 오류 유형에 따라서 격조사 ‘-에’의 효율적인 학습 방안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 에’의 오류는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유형과 발달 과정에 따른 오류 유형 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모국어의 의한 오류 유형은 생략과 대치 오류로 나눌 수 있었으며, 발달 과정에 의한 오류 유형은 대치와 누락, 첨가 오류 로 나눌 수 있었다. 모국어에 의한 오류는 일본어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양국어의 문법적 차이를 분명히 제시할 필요가 있었으며 발달 과정에 따 른 오류는 오류의 원인이 개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발생할 때마다 수시로 지적하여 교정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혼합 완효성 질소 비료의 처리 후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질소 흡수 및 지상부 생육
김영선,이창은,김도형,이긍주 한국잔디학회 2019 Weed & Turfgrass Science Vol.8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slow release nitrogen (N) fertilizer (SRF) blending isobutylidene diurea (IBDU), crotonylidene diurea (CDU) and methylene urea (MU) on growth, quality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 non-fertilizer (NF), control fertilizer (CF), SRF-1 (IBDU 12%, CDU 12%, MU 36%), and SRF-2 (IBDU 5%, CDU 5%, MU 15%). As applied SRF, visual quality, shoot length, clipping yield, T/R ratio, N content and N uptake of creeping bentgrass was not significant to CF. Total chlorophyll content of SRF-2 increased by17 % than that of CF. Amount of N uptake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visual quality, total chlorophyll content, clipping yield, and uptake of phosphorus and potassium (P<0.0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pplication of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 blending with IBDU, CDU and MU improved chlorophyll content of creeping bentgrass by prompting N uptake. 본 연구는 IBDU, CDU 및 MU가 혼합된 완효성 질소 비료(SRF)의 처리에 따른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 품질 및 초장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처리구는 무비구(NF), 대조구(CF), 완효성 질소 비료 처리구 1 (SRF-1; IBDU 12%, CDU 12%, MU 36%) 및 처리구 2 (SRF-2; IBDU 5%, CDU 5%, MU 15%)로 설정되었다. CF와 비교하였을 때, SRF의처리 시 잔디의 가시적 품질, 초장, 예지물량, T/R율, 질소 함량 및 흡수량 등은 대조구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SRF-2의 총 엽록소 함량은 대조구보다 약 17% 증가하였다. 질소 흡수량과의 상관관계 조사에서 잔디의가시적 품질, 총 엽록소 함량, 예지물량 및 인과 칼륨의 흡수량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 <0.01). 이들 결과를 종합할 때, IBDU, CDU 및 MU를 혼합하여 제형화한 완효성 질소 비료의 시비는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질소 흡수를 촉진하여 잔디 잎의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영선,최용훈,김지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whether the Project based Learning effectiveness by enhancing students’individu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is linked students’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compare and research th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students’learning activities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project based learning, we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hich was selected four classes of 9th grade at a middle school with each class made up of 28-31 female students for 10 weeks. Before this experimental project, they had never had the Project based Learning in their class. After selecting four classes, Project-based Learning in which students carry out their projects was put into the experimental groups, while traditional lecture method was put into the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project-based learning, we found how improved grades in English through the grades comparison including writing descriptive test and recognized the awareness of the Project-based Learning. Project based learning was tend to present to b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English achievement than traditional lecture method even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ce. This results mean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using Project-based Learning presented more expressive power and confidence by planning and analyzing capabilities. 본 연구는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개인 활동 및 팀 활동이 강화되어 영어 학습 향상을 이끌어내는지를 관찰하고 비교 분석하여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와 개선점을 제시하고자한다. 프로젝트 수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 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비교 연구하기 위해서 학급당 28명-31명으로 구성된 중학교 4개 반 1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10주간 진행하였다. 실험 전에는 프로젝트 수업 경험이 전혀 없는 4개 학급을 선정한 뒤, 2개 학급은 학생활동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실시하는 실험 반으로 2개 학급은 학생들의 활동을 최소화한 전통적인 수업형태인 교사 위주의 강의 수업으로 진행하는 비교 반으로 나누었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받는 실험반 학급은 교과 융합의 형태와 영어교과 단독 형태로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 적용 전과 후의 서술형 쓰기를 포함한 시험을 통해 영어 성적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비교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인식은 ‘모둠별 활동 상황 평가지’와 ‘프로젝트 수업 소감문’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쓰기를 포함한 실험 전 평가와 실험 후 평가에서 프로젝트 학습법으로 수업한 집단과 강의 수업으로만 진행된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 및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프로젝트 학습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젝트 수업 과정에서 개인 간의 협력활동이 팀 활동에 유효함을 경험한 학생들의 적극적인 인식 변화 때문이며 이것으로 인해 쓰기에 대한 태도와 적극성도 높아졌으며 주제에 대한 계획과 분석 능력을 통한 결과 도출에 대한 표현 능력과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김영선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1 No.-
모국어에 의해 목표어가 간섭을 받는 현상은 일반적이다. 그러나 어떠한 적극적인 자극이 주어지지 않으면 모국어와 관련된 규칙은 목표 어의 간섭을 받는데, 이 과정에서 모국어와 관련된 규칙은 손실(loss)을 입으며 그 결과 오류가 발생한다. 이 글의 목표는 현재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이민자 1.5 세대를 대상으로 ‘XVC(C)][(C)VX’ 환경의 발음 과정에서 어떠한 오류가 발생하며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살피는 데 있다. 이 과정 에서 확보한 오류형들은 영어와 한국어 사이의 음절 구조나 배열 조건의 차이에서 오는 간섭 현상뿐만 아니라 음절말 자음과 관련된 한국어 음운 규칙의 손실(loss)에서 비롯된 것으로, 화자는 정확한 표면형을 얻기 위하 여 #-첨가 규칙, 자음 말소 규칙, 양음절화 규칙 등과 같은 중간 규칙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전략적 사실은 미국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발음 교육이나 영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 과정에서 우선 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학습 내용을 암시하고 있다.
복부비만관리 대상자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및 우울감에 대한 연구
김영선,이현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ppearance stress,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of women receiving abdominal obesity control through a hospital. Methods: The subjects were 146 women who underwent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at K hospital in Yangsan. The questionnaire period was from June 1, 2017 to June 31, 2017. Results: The subjects' self - esteem was high, appearance stress and obesity stress were intermediate, depression was low. Depression of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quality, who managed a period of ages, birth number of body experience, the average sleep time, the quality of sleep. Self - este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tress,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appearance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besity stress and depression, obesity str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Depression influenced the appearance stress and self esteem by 49.3%. Conclusion: Therefore, management of abdominal obesity should be encouraged by psychological needs as well as external management purposes. 본 연구는 일 병원을 통해 복부비만관리를 받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자아존중감, 외모스트레스, 비만스트레스 및 우울감을 알아보고자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양산소재 K병원에서 복부비만관리를 받는 여성 14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6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의 자아존중감은 높은 정도, 외모 스트레스와 비만 스트레스는 중간 정도, 우울감은 낮은 정도의 점수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감의 차이는 연령대, 출산횟수 체형만족도, 평균수면시간, 수면의 질, 관리 받은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외모스트레스, 비만스트레스, 우울감과는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외모스트레스는 비만스트레스, 우울감과는 정 상관관계, 비만스트레스는 우울감과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외모스트레스가 49.3%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외적인 관리목적뿐만 아니라 심리적 정신적인 필요에 의해 복부비만관리가 더욱 권장 될 거라 사료된다.
김영선,정성애,이강문,박수정,김태오,최창환,김현건,문원,문창모,송혜경,Soo-Young Na,양석균 대한장연구학회 2017 Intestinal Research Vol.15 No.3
Background/Aims: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s a chronic disabling gastrointestinal disorder that diminishes thequality of life of the affected individuals. Limited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the impact of IBD on the daily life of Koreans. Methods: Self-administered, computer-aided, internet-bas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members of a Korean patientorganization for IBD from March to April 2013,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Intestinal Diseases. Results: A totalof 599 patients with IBD (387 with Crohn’s disease [CD] and 212 with ulcerative colitis [UC]) were enrolled. The majority of patients(81%) expressed feelings of fatigue, weakness, and being worn out in their daily lives during times of flare; this percentagewas reduced to 61% during remission. Respondents were absent from work or school for an average period of 18 days becauseof illness, within the first 6 months; the majority of respondents (64%) felt stressed about their absence. Forty-six percent of therespondents reported having received unfair comments at work, or having suffered discrimination. Forty-seven percent of therespondents felt that IBD had negatively affected their income and earnings. Compared with patients with UC, those with CDreported a more frequent negative impact of IBD on work, or more economic burde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61%)reported that IBD had prevented them from making or keeping friends. Conclusions: IBD significantly impacts daily life, includingwork, edu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Treatment that addresses the full spectrum of life of a patient would be moreeff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