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urgical technique for single-port laparoscopy in huge ovarian tumors: SW Kim`s technique and comparison to laparotomy

        ( Jeong Sook Kim ),( In Ok Lee ),( Kyung Jin Eoh ),( Young Shin Chung ),( Inha Lee ),( Jung-yun Lee ),( Eun Ji Nam ),( Sunghoon Kim ),( Young Tae Kim ),( Sang Wun Kim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60 No.2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 method to remove huge ovarian tumors (≥15 cm) intact with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and to compare the surgical outcomes with those of laparotomy. Methods Medical record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SPLS (n=21) with SW Kim`s technique using a specially designed 30×30-cm2-sized 3XL LapBag or laparotomy (n=22) for a huge ovarian tumor from December 2008 to May 2016. Perioperativ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Results In 19/21 (90.5%) patients, SPLS was successfully performed without any tumor spillage or conversion to multi-port laparoscopy or laparotom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umor diameter and total operation time, between both groups. Th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than for the laparotomy group (median, 2 [1 to 5] vs. 4 [3 to 17] days; P<0.001). The number of postoperative general diet build-up days was also significantly shorter for the SPLS group (median, 1 [1 to 4] vs. 3 [2 to 16] days; P<0.001).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score was lower in the SPLS group (median, 2.0 [0 to 8] vs. 4.0 [0 to 8]; P=0.045).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was used less in the SPLS group (61.9% vs. 100%). Conclusion SPLS was successful in removing most large ovarian tumors without rupture and showed quicker recovery and less immediate post-operative pain in comparison to laparotomy. SPLS using SW Kim`s technique could be a feasible solution to removing huge ovarian tumors.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별 음란물 접촉실태와 성 갈등에 대한 연구

        차남현 ( Nam Hyun Cha ),왕명자 ( Wang Myoung Ja ),유경희 ( Kyung Hui Yu ),김정아 ( Jeong Ah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 대상 아동 952명중 ‘음란물에 대해 들어본 경험이 있다`` 고 응답한 남아는 63. 2%,(288명) 이고 여아는 60.5% (300명)이지만,‘음란물에 접촉한 경험’이 있다 ``에는 남아 34.4% (l57명), 여아27.4% (l36명)가 응답하여,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에 대하여 들어본 경험은 있지만, 접촉한 경험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초등 아동을 연구한 Kim과 woo (2001), Kim (2002)과 Kang (2004)이 음란물 접촉자율을 각각 20.3%, 28.6%, 30%로 보고한 선행연구 결과보다 더 높은 퍼센트를 나타내었다. 처음 음란물을 접촉한 시기는 ``5학년 때’가 남가 아동 39.5%, 여아 44.1%로 가장 많았고, ``4학년 이전’도 남아 31.8% , 여아 30.9% 로서, 음란물을 첫 접촉한 시기가 4학년 이전 16.8%(Kim,2002) , 19.8% (Oh, 2003)라는 선행연구에 비하면, 본 연구 대상 아동의 ``4학년 이전’ 음란물 접촉 비율이 또한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초등학교 아동들이 상업적인 성에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매스미디어의 광범위성, 대중성, 능동성, 동시성의 특성을 고려한다면 앞으로 음란물 접촉을 및 저학년 접촉빈도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 접촉한 음란물 유형에 대한 복수응답 결과,‘컴퓨터를 통해 음란물을 보았다``는 남아 82.8%(l30명), 여아 90.4% (l23명)로 가장 빈도가 높은 접촉유형이고’ 다른 음란 접촉 유형은 비슷한 빈도 분포를 나타내었다. 컴퓨터를 통한 음란물에 초등학교 아동이 쉽게 접촉하고 있음을 지적한 선행연구 (Yom, Yun, & Lee, 2002; Hong, 2003; Kang, 2004)의 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 사용인구가 급증하고, 학교나 주택가 주변 PC방이 즐비 하면서 음란물들을 더욱 쉽게 볼 수 있게 된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에 대해, Kim과 woo (2001), Park(2001)는 연구에서 컴퓨터 음란물 차단프로그램의 설치가 각각 19.4%, 13.3%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사실 컴퓨터 매체를 이용한 인터넷 음란물은 대중성과 동시성 등의 특성이 있어 미성년자의 접근이 쉽고 광범위하게 노출이 될 수 있는 반면,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과 대책이 매우 부족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인터넷 음란물에 대해 정부에서는 청소년보호법 이 실효성을 거둘 수 있도록 규제 및 처벌을 더욱 엄격하게 하고, 음란물 차단 프로그램의 설치를 강화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음란물에 접촉하는 동기는``우연히`` 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남아 51.6%, 여아 53.7%) ‘스팸메일’을 통해서, 친구 및 형제’의 권유로,‘호기심``으로 직접 찾아봄순으되 남녀 등 모두 우연히 접하는 경우가 많았다.‘스팸메일’을 통해사는 남아보다 여아가 접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 청 (2005)에서 제시한 청소년 음란물 사이트 접속경로로 우연히 (남이 32.7%, 여아 35.5%), 친구나 선후배 소개로 (남아 31.5%, 여아 11.7%), 일부러 음란물 검색 (남아 20.9%, 여아 6.9%), 스팸메일 (남아 6.5%, 여아 14.8%)과 순서가 일부 일치함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아동이 무엇보다 우연히 음란물을 접하는 경우가 많은 결과는 포르노 사이트의 무차별적 음란물 배포에 대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이 무방비 상태로 노출 되어 있으며, 현재 이를 차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설치의 미흡을 의미하는 것이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빈도는 ‘거의 안보거나 특정 싸이클이 없다. (남아 73.7%, 여아 87. 2%)는 응답이 많았고)거의 매일 보는, 남아는 4.5%, 여아는 0.7%였다. 이는 통계청 (2005) 의 청소년음란사이트 이용경험 조사에서 ‘한번도 없음’(남아 24. 5%, 여아 70.6%), ‘일년에 l-2회, 접촉히는 남아가 l5.8%, 여아 8.5%,‘한달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26.8%, 여아 4.8%, ‘일주일에 l- 2회’ 접촉하는 남아 l5,9%, 여아 1.9% 라는 결과에서 제시하듯이, 대부분 이동은 음란물에 접촉하지 않고 있으나, 음란물 접촉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기간은·15분 미만이 남아 86.8%, 여아 96.2%로 가장 많았고, 15분 이상’은 남아 l3.2%, 여아 3.8%로 대부분의 아동은 음란물 접촉시간이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수이기는 하나 정기적으로 음란물에 접촉하는 아동에 대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음란물을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아동일수록 학습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음은 물론, 성과 관련된 반응에 있어서 보다 쉽게 자극 받고 충동을 일으키며, 그 충동을 실제 행동으로 옮길 가능성이 크고 (oh, 2003), 중독성이 강하며, 성에 대해 비하하는 태도와 행위, 충동조절 능력 저하, 폭력적이 거나 모욕적인 성행위를 선호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정부와 학교당국, 부모님의 음란물에의 적극적이 고 효과적 인 대처 방안이 시급하다. 음란물과 접촉하는 장소는 자기 집이 (남아 68,8%, 여아 81.5%) 가장 않았고 친구집(남아 16.0%, 여아 7.6%), PC방 (남아 4,2%, 여아 5.9%), 학교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통계청 (2005)에서 보고한 6-l4세 어린이가 이용하는 인터넷 장소로 가정 90.5%, PC방 빛 게임방 25. 8%, 학교 18.2%라는 결과와 순위가 일치 하고 있다. 따라서 음란물 접촉이 가장 많다고 응답 한 가정에서 부모의 음란물을 방지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공개적으로 아이들과 PC를 공유하는 방을 마련하고 음란물 차단 시스템을 PC에 설치하며, 수시로 관심 있게 보는 사이트 및 정보를 확인,대화하고 컴퓨터 이용시간을 제한하여 아이들의 건전한 컴퓨티 이용문화를 형성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음란물 접촉 이유는 ‘우연히’가 가장 많았고 (남아 35.7%, 여아 57.3%), 남아는 ‘호기심’때문에,‘스팸메일,을 열어보다가,‘친구``가 권해서,‘재미, 스트레스 해소와 성충동’ 때문이라고 답했고, 여아는 ‘스팸메일’ 윤 열어보다가,‘호기심’ 때문에,‘친구’가 권해서,‘재미,스트레스 해소’ 위해,‘성충동과 성적지식’을 얻기 위해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의도적인 접촉보다 비의도적인 접촉이 많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져 다행스럽긴 하나, 음란물은 처음 접했을 경우 충격적이지만, 호기심을 가지고 접하면서 무뎌지고 점차 더 자극적인 음란물을 경험하고자 하며 모방행동으로까지 발전되는 특성이 있다고 한다. 초·중 아동을 대 상으로 한 Hong(2003)의 연구에서 음란물 경험 후 실제로 ‘모방행동을 해 본적이 있다’ 에 11.l%가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절대 간과해서논 안 될 문제이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은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이 높은 반면, 긍정적이거나 충동적 반응에 대한 응답율은 저조하였다. 부정적인 반응은 ‘부끄럽고 창피하다’가 (남아31.51%, 여아 32.05%)가장 많았고, 남아는 ‘죄책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혐오감’을, 여아는 ‘혐오감’, ‘내가 이상한건가 하는 생각’, ‘죄책감’ 순으로 반응하였다. 음란물 접촉 후 반응이 긍정적 반응보다는 부정적 반응에 대한 응답이 많은 것을 볼 때, 음란물 접촉아동은 음란물을 통해 성이 아름답고 신성한 것이 아닌 은밀하고 부끄러운 것으로 인식되 왜곡된 성의식을 가지게 되며, 혼란과 갈등을 겪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결과는 선행연구(Kang, 2004; Kim, 2004; oh, 2003; Kim, 2002)에서도 지적하고 있다. 성 갈등은 남녀 아동 모두 음란물에 접촉한 아동이 접촉하지 않은 아동보다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음란물 접촉후 아동간의 성 갈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성별에 따른 성 갈등은 차이가 없었다. 음란물에 노출될수록 중독성이 강하여 성 정체성이 확립되어야 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에게 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쉬우므로 음란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서구에서는 영상매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screening)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Tv에 V-chiP을 설치해 부모나 성인의 감독 없이 영상매체에 근접하지 못하게 한다 (Cho & Kim, 2004). 우리나라는 아직 그러한 방지책이 실질적으로 이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무조건 음란물을 못보게 막으려 시도하기 보다는 아동에게 음란물에 대한 비평능력을 심어주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성교육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Gruer와 Grube(2000)의하면, 얼마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지 아무런 비판없이 무분별하게 청소년이 음란물에 접하 면,음란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었으나, 실제로 성교육을 통해 청소년이 올바른 성 지식 습득하였을 때 성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하였고,음란물의 영향을 더 적게 받고, 직접적인 성행동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woo, Kim과 Park (2001) 은 중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교육이 컴퓨터와 비디오 음란물 접촉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연구를 한 결과,성 교육 후 실험군은 성교육을 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음란물 접촉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고’ 컴퓨터를 통한 원조교제에 대한 의식점수가 높았으며, 음란물 접촉빈도가 적었다고 하면서 음란물에 대한 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 부모나 교사인 어른들의 입장에서 고려된 보수적이고 전 근대적인 성교육방법 과 내용만을 고수하여 무조건적으로 음란물 접촉을 막는 것보다는, 아동이 올바른 성의식을 확립하여 스스로 볼 수 있는 것과 보지 않아야 할 것을 구별할 수 있는 비판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성교육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아동들 스스로가 성행동의 주체로서 음란물 공해에서도 자신 있게 맞설 수 있는 성숙한 자아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무차별적인 대중매체로부터 아동들을 보호하는 시스템의 조기 구축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of elementary school boys and girls and to confirm responses after that, and to compare the feeling of sexual conflict between the boys and girls. Methods: The subjects were 952 5th and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in four city areas(456 boys, 496 girls). Data collection was via questionnaires Results: Except several pupils(34.4% of boys, 27.4% of girls), most of subjects of the study had no contact with pornographs. The response after the contact with pornographs was feeling of shame the most, which was a negative reaction. The sexual conflict appeared more in pupils who had contact with pornographs than in those who had not boys(t=3.84, p<.000), girls(t3.96, p<.000),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the conflict between boys and girl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We would like to suggest that a sound control system must be prepared and a development of programs related to sexual education and promotion of ability fighting against them that can release their impulse of sex.

      • KCI등재

        뇌혈류 측정 기기의 개발

        김정래,김정열,김덕원,남문현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89 의공학회지 Vol.10 No.1

        In this paper, principles of Rheoencephalography(REG) was described and REG was designed and developed. Using the developed instrument, REG waveforms of the left and right brain, REG waveform changes by posture, were observed. It was found that REG waveforms could be observed noninvasively. REG can be easily applied for testing the effect of various drugs related to CBF(Cerebral blood flow) since it is quite senaitive to the relative changes of CBF. Various cerebral diseases can be diagnosed by analyzing the REG waveforms. The area of restricted cerebral blood vessels can be located by arranging the appropriate electrode configuration.

      • Sheehan 증후군 발생한 Torsades de Pointes

        김승환,김남호,김용철,최준호,박은미,이상재,이은미,유남진,윤경호,오석규,정진원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1

        재발하는 심실 빈맥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Sheehan 증후군을 진단하였고, 적절한 호르몬 보충 치료 후 심전도 이상이 정상으로 회복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orsades de Pointes is a form of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that is associated with prolongation of QT intervals, characterized by QRS complexes of progressively changing ampulitude and cyclic length, giving the appearance of oscillations around the baseline. A 77 years-old woman was presented with hypotention and arrhythmia. Twenty four-hour ECG showed typical episodes of torsades de pointes with QT prolongation. This arrhythmia was controlled by isoproterenol and magnesium infusion, but it was not disappeared. She was diagnosed as Sheehan's syndrome by past history, anterior pituitary stimulation test and empty sella on CT scan. After hormone replacement treatment, Prolonged QT interval was normalized and polymorphic ventricular tachycardia has not recurred. We report a case of torsades de pointes associated with Sheehan's syndrome

      • SCOPUSKCI등재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

        남기덕,김영설,박철영,오승준,김덕윤,우정택,김성운,양인명,김진우,최영길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인슐린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질환의 주요한 위험 인자로 성호르몬과 상호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성과는 달리 남성에서는 연령과 인슐린저항성에 따른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저자등은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산인과 비교해서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를 측정하고 연령에 따른 변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대상 환자 모두에서 연령과 체질량지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과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유리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고, 혈중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면역방사계측측정법(immunoradiometric assay)을 이용해서 측정하였다(Diagnostic System Laoratories, Wbster, TX, USA). 결과:1)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글로불린은 104.1±35.0 vs 25.7±3.5 mole×10??로 의미 있게 높았으나(p<0.001),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13.7±9.5 vs 13.6±6.5 ng/dL로 차이가 없었다. 2)연령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40로 중등고의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p<0.001),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0.11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과 유리 테스토스테론 사이의 상관 계수는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0.08,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0.17로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연령과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에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와 정상 대조군 남성에서 혈중 인슐린 농도, 유리 테스토스테론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 결론: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 농도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차이가 없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성호르몬 결합 글로블린이 제2형 당뇨병 남성 환자에서 정상 남성에 비해 증가 폭이 의미있게 컸으며, 유리 테스토스테론은 변화가 없었다. Background: Insulin resistance i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indicating that insulin lowers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and there is invers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s in women. However, in men, a limited number of studies are available to explain the effect of sex hormone on age and insulin.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free testosterone, hormone-binding globulin and age in type 2 diabetic men and control subjects. Method: Age, body mass index,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blood sugar, an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examined on 89 type 2 diabetic men and 47 control subjects. The free testosterone level was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 (Radioimmunoassay). The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also measured by commercially available double-antibody system(Immunoradiometric assay). Results: 1) Sex hormone-binding globulin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free testosterone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2) Sex hormone-binding globuli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r=0.4, p <0.001)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Sex hormone-binding globulin and free testosterone were not correlated with age in control sujects. 3) Fre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serum insulin concentration after adjusting for age and body mass index. Conclusions: We observed increase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 in diabetes man, and was a positively related to ag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 insulin resistance, testosterone, and sex hormone-binding globulin concentrations(J Kor Diabetes Asso 24:699~707,2000).

      • KCI등재

        유명산의 식물상 및 산림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김흥식,김인수,홍금희,김남영,박광서,김정유,박완근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2003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9 No.-

        2002년 3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유명산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산림군락구조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이 98과 331속 570종 1아종 81변종 4품종 2교잡종으로 총 658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0과 14속 13종 2변종 1교잡종 총 16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9과 10속 11종 총 11종류, 귀화식물은 12과 22속 28종 총 28종류로 나타났다. 산림군락은 신갈나무-철쭉군목,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소나무-산거울군락, 잣나무-주름조개풀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 싸리-신갈나무군락으로 전체 1군목, 1군단, 6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Yumyeong from March, 2002 to October, 2003. As a result of that, the vascular plants were 98 families, 331 genera, 570 species. 1 subspecies, 81 varieties, 4 formae, 2 hybrid, 658 taxa in all. Korean endemic plants were 10 families, 14 genera, 13 species, 2 variaties, 1 hybrid. 16 taxa in all ;,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9 families, 10 genera. 11 species, 11 taxa in all ; naturalized plants were 12 families, 22 genera, 28 species, 28 taxa in all.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 6 communities :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Carex humilis var.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B. Oplismenus undulatifolius - Pinus koraiensis Community C. Fraxinius rhynchophyll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D. Cornus controvers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E. Quercus variabi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F. Lespedeza bicolor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 나트륨-물 반응 사고 중/후반기 거동특성 연구

        정지영,어재혁,정경채,김병호,김종만,김태준,박남국 한국공업화학회 2003 응용화학 Vol.7 No.1

        Generally, the analysis of a sodium-water reaction (SWR) is classified by two major events. One is the very initial stage of peak pressure and shock wave propagation caused by the reaction itself, and the other is the bulk motion including the mass transfer phase in the quasi-steady state of the reaction period during several second or minute orders after leak initiation. The system dynamic response during a sodium-water reaction event shows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initial stage and the long-term perio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later phase of a SWR event. the code SELPSTA (Sodium-water reaction Event Later Phase System Transient Analyzer) has been developed and the desing and construction of the test facility has been made.

      • KCI등재

        임피던스 방법을 이용한 뇌혈류량 측정기기의 개발(Ⅰ)

        김덕원,김정래,송철규,김정열,남문현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89 의공학회지 Vol.10 No.1

        In this study, Rheoencephalography(REG) was designed and constructed. Using the constructed instrument cerebral blood flow(CBF) of left and right brain, CBF change by posture, and reproducibility were studied. Followings are important results. Relative CBF could be measured noninvasively and continuously. Since reproducibility of the constructed REG was found to be quite high (4 %), the accuracy of the instrument itself was proved. REG can be easily applied for testing the effect of drugs for the patients with cerebral vessel diseases since it is quite sensitive to the relative changes of CBF. Various cerebral diseases can be diagnosed by analyzing the REG waveforms. The area of restricted cerebral blood vessels can be located by arranging the electrode configuration.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standard techniques of measuring CBF are needed to verify the accuracy of REG. Further studies on optimal electrode configuration and various artifacts are also necessary.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