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통사․의미 처리에 대한 행동반응 연구

        이선영,서지혜,정해권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ing of syntactic and semantic violation conditions in Korean based on a picture-sentence verification task by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depending on their proficiency levels. In the previous study (Lee, 2013), case-marking mismatch was treated as semantic violations. On the other hand, in this study, case-marking mismatch was manipulated as syntactic violation condition, while sematic violation condition was based on the meaning of the verbs. The results from 51 native speakers and intermediate- and high-level learners show that the native speakers judged the syntactic violation sentences faster but less accurate than the semantic violation sentences, but Chinese learners did not show any distinctive patterns between the syntactic and semantic conditions. Moreover, as the learners’ proficiency level increased, their behavioral patterns became similar to native speakers’. Th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as supporting evidence for the ‘shallow syntax hypothesis,’ which shows that learners are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ir Korean grammar and vocabulary capacities.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숙달도에 따라 한국어 문장의 통사적 처리와 의미적 처리가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 모어 화자와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기존 연구(이선영, 2013)에서 의미적 오류로 분류되었던 격조사 위반을 본 연구에서는 통사적 불일치로 보고, 동사 의미 위반을 새로이 의미적 불일치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중급, 고급 한국어 학습자 총 51명이 수행한 그림-문장 검증 과제를 바탕으로 실험 결과를 살펴보니 모어 화자는 통사적 처리를 의미적 처리보다 더 빠르지만 덜 정확하게 판단하였으나 중국인 학습자들은 이 둘 사이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하지만 제2언어 학습자는 숙달도가 높아지면서 모어 화자와 비슷해져 가는 양상을 보였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문법 및 어휘를 발달시켜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얕은 통사적 지식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되었다.

      • KCI등재

        중세국어의 조리동사와 그 의미

        이선영 한국어의미학회 2014 한국어 의미학 Vol.46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uisine verbs and their meanings in Middle Korean. Until now the studies on the cuisine verbs have been limited to Modern Korean. It is difficult to collect cuisine verbs in Middle Korean, because there are no Hangeul cookbooks in Middle Korean and very few data related to recipes. Cuisine verb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cutting verbs, mixing verbs and heating verbs. In Middle Korean the cutting verbs are Galda, Dihda, Sahalda etc. The mixing verbs are Damgada, Damada, Jamda, etc. The heating verbs are Goda, Gubda, Dalhida, etc. Characteristics of cuisine verbs in Middle Korean are as follows. First, some cuisine verbs in Middle Korean represented more detailed meaning than Modern Korean. Second, there were a lot of derived words in cuisine verbs. Third, ‘Jeonhada, Bsdarida, Malda, Jaeda’ had been used in Middle Korean. These features show the change of food culture in Korea.

      • KCI등재

        ‘맵다’의 意味 變化에 대한 短見

        이선영 진단학회 2015 진단학보 Vol.- No.125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semantic change of ‘maepda’(맵다) in Korean. In Contemporary Korean ‘maepda’ means ‘hot and spicy as chili pepper and mustard’. But chili peppers were introduced to Korea in the 17th century, so ‘maepda’ was probably used as different meanings from contemporary Korean ‘maepda’ before the 17th century. Actually ‘maeun sul’(운 술) and ‘maeun cho’(운 초) appeared often in Middle- Korean and Modern-Korean and they meant ‘strong liquor’ and ‘strong vinegar’. In those examples ‘maepda’ was used as meaning of ‘stronger or thicker in degree’. Since the 17th century, as chili peppers spread all over the country and it was used in cooking, it seemed that ‘maepda’ started to express the meaning of ‘spicy’. That is, ‘maepda’ was changed into taste-terms expressing attributes of food. And since then meaning of ‘stronger or thicker in degree’ was not used any longer. Also Contemporary Korean adverb ‘maeu’(매우) meaning ‘even stronger than normal’ is derived from ‘maepda’ in Middle Korean. ‘맵다’는 현대국어에서 [고추나 겨자와 같이 맛이 알알하다]란 의미를 나타내는 미각어로 쓰이고 있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자료를 검토한 결과, 현대국어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운 초’나 ‘운 술’과 같은 예가 많이 나타나는데 술이나 초는 혀가 알알할 정도로 매운 음식은 아니다. 당시의 여러 자료를 살펴본 결과, ‘다’는 액체류와 같이 나올 경우 현대국어에서의 의미와 달리 [원래의 정도보다 강하거나 진하다]란 의미로 해석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우리나라에 고추가 보급된 시기가 17세기 이후이고 그것이 음식에 보편적으로 쓰이게 된 것은 19세기 이후라는 사실도 ‘고추가 맵다’의 ‘맵다’ 의미가 중세국어에서 나타나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 준다. ‘꿀이 달다’의 ‘달다’나 ‘소금이 짜다’의 ‘짜다’를 보면, 꿀은 그 본래 속성이 단 것이고 달지 않은 꿀은 없다. 소금 역시 그 본래 속성이 짠 것이고 짜지 않은 소금은 없다. 반면 ‘매운 초’에서 ‘초’는 그 자체 속성이 매운 것이 아니고 농도가 진한 초를 매운 초라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다 고추가 우리나라가 보급된 이후에 ‘고추’의 속성이 ‘맵다’의 기본의미로 자리를 잡게 되고, ‘맵다’가 고추의 맛을 표현하는 형용사로 정착한 이후에는 농도의 진함을 나타내는 의미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되었다. 또한 현대국어 부사 ‘매우’의 의미인 [보통 정도보다 훨씬 더]도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다’에서 그 어원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무농약·유기재배 사과원에서 교미교란제를 이용한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

        이선영,최경희,도윤수,이순원,윤창만,김길하,Lee, Sun-Young,Choi, Kyung-Hee,Do, Yun-Su,Lee, Soon-Won,Yoon, Changmann,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2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의 방제를 위해 교미교란제 MD-IKR (Isomate-KR)과 MD-CR (Confuser-R)의 효과를 무농약 유기재배 사과원에서 평가하였고 관행방제 사과원과 비교하였다. 2011년 칠곡지역의 복숭아순나방에 대한 두 종의 교미교란제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99.8%였고, 상대적으로 청송지역의 교미저해율이 각각 99.8과 92.8%로 칠곡지역과 차이가 있었다. 2012년 칠곡지역의 교미저해율은 각각 92.4와 96.7%였다. 청송지역에서 교미저해율은 99.6%로 가장 높은 교미저해율을 보였다. 2011년 2012년의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교미저해율은 두 교미교란제 모두 100%로 높게 나타났다. 두 교미교란제는 복숭아순나방과 복숭아심식나방이 방제효과에 대하여 무방제구 대비 방제효과가 월등하였고, 관행방제와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성 없이 방제효과가 대등하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와 관행재배구의 새순과 과실피해율은 무방제구 대비 유의성있는 방제효과를 보였다. 두 종의 교미교란제 간에는 효력의 차이가 없어 MD-IKR이 MD-CR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icacy of mating disruptors MD-IKR (Isomate-KR) and MD-CR (Confuser-R) for controlling Grapholita molesta (Busck) and Carposina sasakii (Matsumura) was evaluated in non-chemical or organic apple orchards. For G. molesta,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in Chilgok was 99.8 and 99.8% (2011) and 92.4 and 96.7% (2012), respectively, showing different mating reduction values.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in Cheongsong was 99.1 and 92.8% (2011) and 99.6 and 99.6% (2012), respectively. For C. sasakii, the efficacy of MD-IKR and MD-CR was 100% at Chilgok and Cheongsong in 2011 and 2012. Evaluation of the shooting and fruit damage rates showed that the efficacy of the mating disruptors in controlling G. molesta and C. sasakii was better than that of the non-control.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ntrol difference between using the mating disruptors and the conventional control. No difference in the efficacy of the two mating disruptors was observed. We believe that MD-IKR could be an alternative to MD-CR.

      • KCI등재

        국어의 모순어에 대하여

        이선영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1 No.-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contronymy in Korean. A polysemy is a word with several, related meanings. But some polysemy have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together. We call this words the contronymy. For example 'Siwonhada' is used to express cold soup or hot soup. Which one among the opposite meanings the contronymy express depends on context. There are two types of Contronymy in Korean. The first type is the case that a word itself has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i.e. Jjochda, Chilchilmajda, Jjeolda, Seolsayag, Juchaeg. The second type is the case that it has the exactly opposite meaning when specific constituent of sentence is combined with it, i.e. Gogsigeul palda, Hagwoneul kkeunhda, Gugmuli Siwonhada, Jaliga Issda. The contronymy are caused by the vagueness of meaning, the meaning contagion, the results of diachronic change, the coexistence of cause and effect, and the existence of ellipsis components.

      • KCI우수등재

        외래어 신어의 몇 가지 양상

        이선영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7

        외래어는 우리 어휘 체계에서 이질적인 요소로 인식되기도 하나 우리말 의미의 빈자리를 메워주는 긍정적인 역할도 한다. 외래어 특히 영어에서 온 외래어는 최근 들어 그 쓰임이 예전에 비해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고유어나 한자어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경우도 적지 않게 확인된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새로운 단어 몇 개를 만드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혼성어의 형성처럼 우리말 어휘 체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신어에서 나타나는외래어의 사용 양상을 몇 가지 살펴보았다. 먼저 외래어 파생어를 보았는데, 신어 외래어 접사 가운데 영어 자립 형식이 국어에서 접사로 기능하는 경우, 영어 접사 유사 형태가 접사로 기능하는 경우, 영어 단어 일부가 절단된 형태로접사로 기능하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신어 외래어 어근, 신어 외래어혼성어와 약칭어를 검토하였다. 우리말에서 혼성어와 약칭어는 형태상 구별이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그 원인이 외래어 혼성어 형성 방식의 유입과 관련이있음을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