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태준,오민아,이은경 한국교육사회학회 2016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Vol.2016 No.-
교육의 역할에 대한 국제사회의 주된 관심은 사회 진보를 위해 교육이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로 발전하고 있다(OECD, 2015; OECD, 2010). 과거 교육의 경제적 효용성에 대한 논 의가 활발하였다면, 이제는 한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에 기여하는 교육의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Kautz, Heckman, Diris, ter Weel, & Borghans, 2014; 김태준·홍영란·류성창·이광현·장 근영, 2012). 이러한 점에서는 비인지적 역량인 사회정서적 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Schultz, Ainley, & Jrailon, 2011; 김태준·오민아·이 은경, 2015).
체인-스토크스 호흡이 신경계 중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김태준,윤덕용,김정환,장종환 대한수면연구학회 2020 Journal of sleep medicine Vol.17 No.1
Objectives: Cheyne-Stokes respiration (CSR) is frequently found in critically ill patients and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However, CSR has not been evaluated in neurocritical patie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prognostic impact of CSR in neurocritical patients using biosignal big data obtained from intensive care unit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all patients who received neurocritical care at the tertiary hospital from January 2018 to December 2019. Clinical information and biosignal data of intensive care units were used and analyzed. The respiratory curve was visually assessed to determine whether CSR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were present, and a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obtain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Results: CSR was confirmed in 166 of 406 patients (40.9%). Patients with CSR were older, had a higher frequency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s well as heart failure, and had a poor outcome (modified Rankin scale ≥4).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justed for other variables, CSR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outcome with an odds ratio of 2.27 times higher (95% confidence interval 1.25–4.14, p=0.007). HRV analysis demonstrated that CSR and OSA had distinct autonomic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is study first revealed the substantial frequency of CSR in neurocritical patients and suggests that it can be used as a predictor of poor prognosis in neurocritical care.
김태준 동아시아문화학회 2005 동아시아 문화와 예술 Vol.2 No.-
100년 전 한반도를 에워싼 국제정세를 설명하는 용어가 세력균형이었으며 지금도 한반도에서는 주변강대국들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여전히 상호 협력과 견제를 하면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다. 남북관계에서 정치적인 면에서는 상당한 진전이 있지만 북한의 군사적 위협은 아직도 여전한 가운데 일본은 독도가 자국 영토라는 주장을 하고 있고 중국도 고구려사에 대한 왜곡된 해석을 하고 있다. 일본도 그동안 은밀하게 준비해 온 군사력을 바탕으로 어느새 군사강국으로 부상하여 유엔협력이라는 명분으로 곳곳에서 일장기를 휘날리고 있다. 아울러 냉전의 후유증으로부터 국력을 회복하면서 러시아가 또다시 한반도 주변을 가웃거리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이러한 주변국들의 활동을 분석하면서 많은 사람들은 러일전쟁 당시 한반도를 둘러 싼 국제 정세가 지금의 상황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당시 한반도와 만주를 둘러싸고 열강들의 각축전의 결정체인 러일전쟁을 통해 역사적 교훈을 도출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한국과 뉴질랜드 및 대만 청소년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과 교육적 환경과의 관계 비교연구
김태준,이은경,오민아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2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s critical in Korean civic education as Korea became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result of ICCS 2009, Korean youth showed high score in the knowledge aspect of global citizenship but low scores in attitude and action of global citizenship.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typ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mong Korea, New Zealand, and Taiwan. These are the countries that have been focused on multi-culture integration and education. The research utilized the ICCS 2009 data(Korean 5,254; New Zealand, 3,979; Taiwan, 5,167). Using cluster analysis on global citizenship, six types of global citizenship were classified; low-tolerance, offsite deficiency, domestic relations, global leader, resista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Korean youth occupied more portion of negative types than other countries. Compared with other New Zealand and Taiwan youth, Korean youth showed a small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t the civic knowledge, but the difference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types of global citizenship at school openness and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ocusing on a balance among knowledge, attitude, and action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ightening the policy to support the disadvantaged were suggested.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글로벌 시민성 함양과 글로벌 시민교육은 시민교육을 구성하는 핵심이다. ICCS 2009 결과를 보면, 한국의 글로벌 시민성은 지식적인 측면에서는 높았으나, 태도와 행동의 측면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 청소년들의 글로벌 시민성을 좀 더 깊이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글로벌 시민성을 그동안 다문화 사회의 통합과 교육에 초점을 두어온 뉴질랜드와 대만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 글로벌 시민교육의 특성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개국 청소년들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도출하고, 그들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이 교육환경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ICCS 2009 데이터(한국 5,254명, 뉴질랜드 3,979명, 대만 5,167명)를 대상으로 한 군집분석을 통해, 한국·뉴질랜드·대만 청소년들의 글로벌 시민성은 여섯 가지 유형(낮은 관용형, 소외·결핍형, 국내관계지향형, 글로벌리더형, 저항형, 국제관계지향형)으로 분류되었다. 한국 청소년들은 다른 두 국가에 비하여 긍정적인 유형보다 부정적 유형에 속하는 비율이 현저히 높았다. 한편 다른 나라에 비하여 한국은 인지적 교육환경에서는 긍정적 유형과 부정적 유형간의 차이가 작았지만 태도나 행동적 교육환경에서는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시민교육에서 지식과 태도가 균형을 이루는 교육이 필요하고 소외계층의 글로벌 시민교육을 지원하는 정책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