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심미적 디자인의 감각포만이 지각된 가치와 제품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은미,전주언 한국상품학회 2019 商品學硏究 Vol.37 No.5
기업이 전략적으로 구축한 심미적 디자인은 경쟁사가 모방할 수 없는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창출하기 때문에 많은 기업들로부터 관심을 받아 오고 있다. 무차별적으로 노출되는 마케팅 자극들 사이에서 심미적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자사 제품의 인지도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오고 있다. 하지만 전주언, 이은미 (2019)는 심미적 디자인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심미적 디자인의 반복적인 노출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감각포만이 발견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논의가 부족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그들은 심미적 디자인 제품의 반복 사용으로 인해 초기에 경험했던 감각적 즐거움에 익숙해지고 피로감을 느낌으로써 싫증이 발생하는 과정을 감각포만으로 개념화했다. 그리고 감각포만을 설명하는 구성개념으로 익숙함, 감각피로 그리고 싫증을 발견했으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항목을 개발했다. 하지만 해당 연구를 고찰하면 개발된 측정항목의 타당성 측면에서 한계가 발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심미적 디자인으로부터 유발되는 감각포만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포만의 구성개념들이 감각포만을 충분히 반영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개념 타당성을 검증했다. 둘째, 감각포만을 경험한 소비자들의 행동을 예측하는 예측 타당성을 검증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해 심미적 디자인으로부터 유발된 감각포만을 경험한 소비자들은 해당 제품의 지각된 가치를 낮게 평가해 결국 다른 제품으로 전환하려는 의도가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따라서 심미적 디자인을 강조하는 기업은 소비자들의 감각포만을 늦추기 위해 제품 노출을 통제하고 감각포만을 망각시킬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구축의 필요성을 실무 관점에서 제안할 수 있다. Sensory satiation is a important issue in current marketing environment. Sensory satiation refers to the drop in the sensory pleasure are evoked by repeated aesthetic design. Jeon and Lee (2019) distinguished several sensory satiation dimensions and constructed a sensory satiation scale that includes three dimensions. This research show that the scale is reliable, valid, and distinct from other constructs. The empirical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found that sensory satiation construct includes three dimensions: satiation, sensory fatigue, and accustomedness. Second, sensory satiation including satiation, sensory fatigue, and accustomedness influences perceived value negatively. Finally, this research demonstrates sensory satiation affects product switch intent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perceived valu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ontribute to develop differences between sensory satia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marketing management.
염산 독세핀 외용제의 피부 전달 시스템을 위한 제제 설계 및 평가
이은미,김정수,경기열,이계원,지웅길 忠南大學校 生命科學硏究院 醫藥品開發硏究所 2006 藥學論文集 Vol.21 No.-
Doxepin hydrochloride(Dox) is a dibenzoxepin-derivative tricyclic antidepressant and used topically for the short-term relief of moderately severe pruritus associated with atopy dermatitis. Dox topical emulsion(or liposome) formulations were evaluated with respect to their rheological properities, permeation through excised skin of hairless mouse and in vitro/in vivo accumulation in the skin. The apparent viscosity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lycerin and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phosphatidylcholine(PC). The permeation rate of formulation increas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PC and showed no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of formulations. Amount of accumulated drug in the excised skin of hairless mouse was decreased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glycerin, but increased according to PC concentration.
이은미,김승환 한국체육학회 2024 한국체육학회지 Vol.63 No.1
본 연구는 수영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점의 철학적이고 개념적인 분석과 논리전개가 필요한 상황임을 고려하여, 이를 위한선행과제로서 수영 리터러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수영 리터러시의 구성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교수, 현장연구자, 수영 지도자, 수영선수 등으로 이루어진 자문위원 16명을 대상으로 수영 리터러시의 개념과 구성요인에 대해 7회의 델파이조사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영 리터러시의 개념은수중 및 수상에서 스스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자신과 타인을 구하는 활동을 이해하며, 때론 경쟁을 통해 기록 및 동작에 도전하고 성취하는 총체적 신체활동 및 교육활동이자 삶을 향유하는 능력으로 정의되었다. 둘째, 수영 리터러시의 구성요인에서 수영은 생존수영, 생활체육수영, 엘리트수영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각 분류별 주요집단은 학생과 지도자, 참여자와 지도자, 선수와 지도자로 분류되었다. 넷째, 분류별 구성요인은 각 집단별 3개씩 18개와 공통요인 3개인 총 21개가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형태의 수영 교육 현장에서 각각의 목적과 내용에 대한 체계 확립 및 교육 방향 정립에도움을 줄 것이며 학교체육과 생활체육, 그리고 엘리트체육의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이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 유관기관, 학교 등에서 정책적이고 실질적인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s the need for a philosophical and conceptual analysis with a new perspective on swimming education. As a preliminary task for this purpose, we aim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wimming literacy and derive the components. To achieve this goal, we conducted seven rounds of Delphi surveys with a panel of 16 advisory members, including university professors, field researchers, swimming instructors, and swimmers, to explor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swimming literacy.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swimming literacy is defined as the holistic ability to move freely in and on the water, understand activities involving self-rescue and the rescue of others, occasionally challenge oneself through competition in records and movements, and enjoy life through comprehensive physical and educational activities. Second, within the components of swimming literacy, swimming was classified into survival swimming, recreational sports swimming, and elite swimming. Third, the primary groups for each classification were categorized as students and instructors, participants and instructors, and athletes and instructors. Fourth, a total of 21 factors were derived, with 18 factors specific to each group (three factors for each subgroup) and three common fact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various forms of swimming education in different contexts, aligning with their respective purposes and contents. Additio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hool sports, recreational sports, and elite sport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will provid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entral government agencies, local authorities, relevant institutions, and schools.
모바일 쇼핑 향상: 베트남 모바일 앱 경험에서의 신뢰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이은미,레 티 늉 사회혁신기업연구원 2024 혁신기업연구 Vol.9 No.1
모바일 쇼핑은 전 세계 전자 상거래에서 중요한 부분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매년 모바일 전자 상거래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모바일 쇼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베트남 모바일 전자상거래 시장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와 모바일 쇼핑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에 대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용자 경험, 온라인 고객 리뷰 그리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자인이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결국 모바일 쇼핑의 구매의도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비자들의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SNS) 광고에 대한 태도는 모바일 쇼핑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급성장하는 베트남 모바일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학술적인 탐구와 실무적인 적용 모두에 중요하고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Mobile shopping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part of the global e-commerce landscape. Given the growing prominence of the mobile e-commerce sector in Vietnam, conducting research this market is both timely and pertinent. Hence,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trust in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and their intent to make mobile shopping purchases. The results show that user experience, online customer review and mobile application design significantly impact on trust in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subsequently, influencing purchase intention. However, it's noteworthy that attitudes towards social networking site (SNS) advertising do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mobile shopping applications. The discoveries from this study carry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oth academic inquiry and practical application within the burgeoning Vietnam mobile e-commerce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