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wo New Records of Sepia (Doratosepion) kobiensis Holye, 1885 and S. tokioensis Ortmann, 1888

        Kim, Yeong-Hye,Lee, Dong-Woo,Choi, Kwang-Ho,Yeon, In-Ja,Kim, Young-Seop The Malacological Society of Korea 2004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0 No.2

        The true cuttlefishes genus Sepia (Doratosepion) Linne, 1758, characterized by shell thick, entirely calcareous, shell almost as long as mantle, was collected from the coastal of Dong-Am, Busan, Korea in April, 2004. The specimen agreed closely with description of Sepia (Doratosepion) kobiensis Hoyle, 1885 and S. tokioensis Ortmann, 1888. We herein described the species, being as the first record of S. kobiensis and tokioensis from the region. New Korean names are also provid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내 다기관에서 조사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빈도와 임상적 특성

        송진수,최평균,송경호,조재현,김성한,방지환,이창섭,박경화,박경운,신수,최희정,김의석,김동민,이미숙,박완범,김남중,오명돈,김의종,김홍빈,최강원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목적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획득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의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CA-MRSA 감염증에 대한 증례보고만 있을 뿐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결과가 없는 실정이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CA-MRSA의 빈도, 감염증의 임상적 양상, 분리된 균주의 항균제내성 양상을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7개 병원에서 MRSA가 분리된 환자의 명단을 파악한 후 의무기록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외래나 응급실에서 혹은 입원 후 72시간 이내에 균주가 분리되고 MRSA 획득과 관련된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CA-MRSA로 정의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임상적 의미에 따라 원인병원체(pathogen), 집락화(colonizer), 미결정(undetermined)으로 분류하였다. Penicillin과 oxacillin을 제외하고 3개 이상의 다른 계열 항균제에 내성이면 다제내성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 연구기간동안 총 3,251주의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 MRSA는 1,900주(58.4%)였다. MRSA 가운데 CA-MRSA는 114주(6.0%) 였으며, 이들이 분리된 부위는 귀(62주), 비뇨기계(14주), 피부 및 연부조직(11주), 호흡기계(10주), 혈액(3주) 등이었다. CA-MRSA 균주 가운데 집락균은 22주, 원인병원체는 22주였으며, 나머지 균주에 대해서는 그 임상적 의미를 결정할 수 없었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73균주 중 47주(64.4%)는 다제내성이었다. CA-MRSA 감염증 22예 중 피부 및 연부조직 감염(9예)과 중이염/외이도염(9예)이 가장 흔하였다. 침습적 감염증(invasive infection)은 4명(원발성 균혈증 3예, 감염성 관절염 1예)에서 확인되었지만, CA-MRSA 감염증으로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론 : 병원내 감염증에서는 MRSA가 심각한 문제이지만, 아직까지 지역사회 감염증에서 CA-MRSA는 흔하지 않았다. Background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nfection has emerged in patients who do not have the established risk factors. In Korea, little is known about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RSA (CA-MRSA). Material and Methods :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 databases of 7 hospitals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patients from whom MRSA was isolated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to July 2005. Only one isolate per patient was enrolled. In order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MRSA acquisition, the medical records an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databases were reviewed. CA-MRSA was defined as MRSA isolated from patient without established risk factors. We analyzed patient demographics, underlying medical conditions, characteristics of infec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profiles. Results : Of total 3,251 S. aureus isolates, 1900 (58.4%) were MRSAs. Of the MRSA isolates, 114 (6.0%) were CA-MRSA. Of 114 CA-MRSA isolates, 22 (19.3%) were colonizers, 22 (19.3%) were pathogens,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emaining 70 (61.4%) could not be determined. Median age of the 22 patients with CA-MRSA disease was 47 years. Nine patients had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9 ear infections, 3 bacteremia, 1 septic arthritis. Seven patients had underlying medical disease. None died of the CA-MRSA infections. Of the 73 isolates of CA-MRSA, 47 (64.4%) were resistant to more than 3 classes of antibiotics besides β-lactams. Conclusion : Although MRSA is highly prevalent among hospital-associated S. aureus infection, CA-MRSA infections are not common.

      • KCI등재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간전이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조사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의 1, 2상 임상시험

        최영민(Youngmin Choi),이형식(Hyung-Sik Lee),권혁찬(Hyuk-Chan Kwon),한상영(Sang-Young Han),최종철(Jong-Cheol Choi),정주섭(Ju-Seop Chung),김창원(Chang-Won Kim),김동원(Dong-Won Kim),강치덕(Chi-Duk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2

        목 적: 기존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간전이를 동반한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 치료의 독성과 반응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다발성 간전이가 동반된 대장암 환자들 중에서 항암화학 요법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 중 지원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임상 시험에 대하여 동아대학교병원과 부산대학교병원의 임상윤리심의위원회의 허가를 획득하였고, 동의서에 서명한 환자들을 임상 시험의 대상으로 등록하였다. 환자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수지상세포를 추출하여 배양하였다. 임상시험 일자에 맞추어서 6×106개의 수지상세포를 바이알(0.5 ml)에 넣어서 디씨백/아이알 주사를 만들었다.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는 2주 간격으로 간전이암조직에 3회 주사하고, 5주에 내약성 평가를 하였다. 내약성 평가를 통과한 환자에게는 8주에 4번째 수지상세포 면 역치료를 하였다. 병의 악화가 없거나 임상시험에 대한 환자의 동의 철회가 없는 경우에는 5, 6번째 수지상세포면역치료를 각각 12, 16주에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주사할 간전이암 부위에 주사하기 전일 및 당일에 4 Gy씩을 조사하였다. 내약성 평가는 3×106개의 수지상세포로부터 시작하여, 12×106개의 수지상세포까지 시행하였다. 내약성 평가의 최대 내성 용량으로 추가 임상시험을 하였다.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를 맞은 모든 환자들에서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4회 이상 주사를 맞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10주에 치료 반응을 평가하여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임상시험에 등록한 24명 중 22명에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시행하였다. 내성약 평가에는 14명이 등록하여 11명에서 평가를 완료하였다. 시험약과의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grade 3 이상의 약물반응으로 인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12×106개의 수지상세포를 내성용량으로 확인하였고, 내성용량인 12×106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이용하여 8명에서 추가로 시험을 하였다.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내성은 양호하였고, grade 3을 초과하는 치명적인 부작용은 발생되지 않았다. 4회 이상의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를 받은 환자가 17명이었고, 이 중의15명에서는 종양의 반응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성 평가이지만, 면역치료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방사선치료와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가 시행된 부위 외의 간전이암에서 반응도를 조사 하였다. 면역치료의 반응은 평가가 이루어진 환자들에서 정지성 병변이 4명, 진행성 병변이 11명 이었다. 결 론: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와 병행한 방사선치료는 이론적으로 국소 및 전신 제어에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매우 진행된 직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은 없었다는 결과와 4예에서의 정지성 병변의 관찰을 보고한다. 수지상세포의 최대 투여 용량, 적절한 투여 방법, 적절한 방사선의 양, 방사선과 수지상 세포의적절한 투여 간격 등에 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향후 제 2상, 3상 시험으로서의 진행 여부에 긍정적인 결과를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Purpose: To assess the toxicity and tumor response induced by DCVac/IRⓇ dendritic cell (DC) immunotherapy combined with irradiation for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multiple liver metastas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4 and November 2006, applicants from a pool of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multiple liver metastases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registered after having signed the informed consent form, which had been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from the Dong-A University and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Cs were obtained from peripheral blood of each patient, and then cultured in vitro. A total of 6×106 DCs were packed into a vial (DCVac/IRⓇ, 0.5 ml) at the convenience of each patient’s schedule. On the day before and on the day of each vaccination, each patient received a 4 Gy radiation dose to the target tumor. On the day of vaccination, the indicated dose of autologous DCs was injected into the irradiated tumor using ultrasound-guided needle injection procedures. A total of four vaccinations were scheduled at three 2-week intervals and one 4 week interval at the Dong-A University and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f the tumor status was deemed to be stable or responding to therapy, an additional vaccination dose or two was approved at 4 week intervals beyond the fourth immunization. A tolerance test for DCs was conducted by injecting a range of doses (3×106 to 12×106 DCs) after the 3rd injection. Moreover, the maximal tolerable dose was applied to additional patients. Treatment safety was evaluated in all patients who had at least one injection. Treatment feasibility was evaluated by the 10th week by assessing the response of patients having at least 4 injections. For systemic toxicities,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oxicity Criteria, whereas adverse effects were recorded using common WHO toxicity criteria. Results: Of the 24 registered patients, 22 received the DCs injections. Moreover, of the 14 patients that applied for the tolerance test, only 11 patients completed it because 3 patients withdrew their testing agreement. A grade 3 or more side effect, which was possibly related to the DC injection, did not occur in additional patients. The 12×106 DC injection was identified as the maximum tolerable dose, and was then injected in an additional 8 patients. Patients tolerated the injection fairly well, with no fatal side effects. In order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DC immunotherapy, the response was evaluated in other hepatic lesions outside of the targeted hepatic lesion. The response evaluation was performed in 15 of the 17 patients who received at least 4 injections. Stable and progressive disease was found in 4 and 11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DC-based immunotherapy and radiotherapy is theoretically synergistic for the local control and systemic control. The DCVac/IRⓇ immunotherapy combined with irradiation was tolerable and safe in the evaluated cases of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with multiple liver metastases. Future work should include well designed a phase II clinical trials

      • KCI등재

        연립 주택 화재시 유독가스 방출 특성과 Rats를 이용한 독성평가

        김홍,강영구,김동현,정기창,이창섭,김운형 한국화재소방학회 2002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16 No.3

        화재에 의한 독성가스의 노출은 인간에게 있어서 화재시 생명에 아주 위험한 요소일 것이다. 다양한 화재에 의한 독성가스의 노출 중 본 논문에서는 경기도 안산시 재개발지구에서 한 연립주택을 이용하여 실제화재와 같은 조건으로 화재 시험을 하였다. 화재시 발생하는 가스 CO, CO_2, O_2, SO_2, NO 및 NO_2등을 측정하였으며, 발생하는 가스를 실험동물인 백서(S.D)에 노출시켜 2분간격으로 혈액을 체취하였다. 독성평가를 위하여 백서의 혈액과 혈청 중 Glucose, AST(GOT), ALT(GPT), CBC Count 및 CO(carboxy)-Hb를 분석하였다. 폭로되는 CO의 농도와 백서의 혈액중 CO-Hb 농도사이에 양-반응 관계(dose-response relationship)를 보였다. It has long been recognized that exposure to fire-induced toxic gases is a fatal hazard confronting people in fires. In this study, an indoor fir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n unoccupied residential building located in An-san city, Kyoung-gi province, and the composition of effluent gases, which include CO, CO_2, O_2, SO_2, NO and NO_2, were measured by a gas analyzer A group of lab rats were exposed to the toxic gases released from fire, and the blood samples of the rats were gathered every 2 minutes. A toxicity evaluation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concentrations of Glucose, AST(GOT), ALT(GPT), CBC Count and CO(carboxy)-Hb in the blood samples. Shown from the analysis is the does-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the CO concentration that rats were exposed to and the CO-Hb concentration in rat blood.

      • 트레드밀 운동시 흡기근 테이핑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김민지,신수영,송월섭,조수진,최동락,황미진,황진규,박진현,김경,Dennis W. Fell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再活科學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트레드밀 운동과 키네시오 테이핑의 효과에 따른 폐활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6명의 비흡연자가 참가하였으며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은 그룹과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두 그룹으로 무작위로 배정하고 각 군들을 주 3회 6주간의 트레드밀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 전과 후, 스파이로미터를 사용하여 키네시오 테이핑의 적용 따른 폐활량 변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 그룹에서 적용하지 않은 그룹에 비해 FVC, FEV1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한 성인에서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한 경우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지 않고 트레드밀 운동을 한 경우보다 폐활량의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vital capacity(VC) according to the effects of kinesio taping with treadmill exercise. Twenty-six non-smokers wer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s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To measure the VC variation effects of kinesio taping, spirometer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a paired Mauchly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 group: treadmill with kinesio taping B group: treadmill without kinesio taping. Between A and B,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se of A group, there was 11.66% increase of VC, during 3 weeks experiment(p<.01). In the case of B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3.35% increase of VC, during 3 weeks taping intervention(p<.01). After 6 weeks experiment, the improvement of VC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intergroup (p<.05). From this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readmill exercise with kinesio taping was effective to improve VC to healthy adult than treadmill exercise without kinesio taping.

      • 소뇌연수열 박리를 이용한 상부 뇌교종양의 절제 : 증례보고 a case report

        김영규,민경수,이무섭,김동호,김호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2

        뇌교 및 연수에서 발생한 병변은 뇌간에 중요한 신경구조물들이 밀집하여 수술적 적출에 따르는 심각한 신경학적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병변이 제 4뇌실 전방에 위치한 경우는 제 4 뇌실바닥을 통하여 뇌간조직을 절개하여야 하므로, 이 부위의 해부학적인 이해와 수술적 접근방법을 알고있어야 신경학적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저자들은 상부뇌교에서 발생한 낭성 양성 신경교종을 적출하기 위하여 소뇌충수를 보존하면서 좌측 소뇌연수열 접근법으로 제 4 뇌실바닥 상부까지 노출할 수 있었으며, suprafacial triangle을 절개하여 신경학적 후유증 없이 종양을 성공적으로 절제할 수 있어 증례보고와 함께 제 4 뇌실바닥 노출 방법의 하나인 소뇌연수열 접근법과 제 4 뇌실바닥 수술적 절개와 해부학적 특성에 대한 문헌 고찰을 하였다. Surgical removal of brain stem pathology causes high risks for neurologic deficits because of compact aggregation of important neural structures and complex anatomy. For the removal of pathologies which are located anterior to the floor of fourth ventricle in the brain stem, exposure of variable extents of the floor of fourth ventricle and incision of rhomboid fossa are necessary. In order to minimize postsurgery neurologic sequale for the removal of these pathologies, understanding of anatomy and surgical approach is very important. Authors successfully removed upper pontine benign cystic glioma by trans–medullary fissure approach without vermian incision to exposure floor of fourth ventricle and by incision of suprafacial triangle of rhomboid fossa without causing further neurologic deficit. Surgical technique of transcerebellomedullary approach and surgical anatomy of rhomboid fossa are discussed with report of a surgical case.

      • 부착형 고분자 압전센서를 이용한 탄성파 검출 연구

        김기복,윤동진,권재화,이영섭,이승석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3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1

        스마트 구조물에 적합한 탄성과 검출 센서로서 고분자 압전 필름을 이용한 부착형 센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VDF와 copolymer에 대하여 센서로서의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상용화된 PZT 센서와 비교하였다. 탄성과 속도와 음향임피던스가 서로 여러 가지 재료에 고분자 압전필름 센서를 부착하여 연필심 파괴 시 발생하는 탄성파를 검출하여 분석하였다. 센서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검출 신호의 피크 전압은 증가하였으나 센서의 dynamic range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편의 음향임피던스가 감소할수록 검출신호 파형의 피크 값은 증가하였으며 주로 저주파수의 주파수 성분의 신호에 민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opolymer 센서가 PVDF 센서보다 감도 면에서 다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동심을 지향하는 임길택 작가론

        김동섭 청람어문교육학회 2004 청람어문교육 Vol.29 No.-

        과학적 서술에 비해서 시적 서술은 감성의 반응이며, 융화적 태도를 지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적 의식과 대상을 가지고 임길택 시인과 시를 보고자 했다. 전남 항구 도시에서 원도 산골 탄광촌이면 지도상으로 대각선 길이다. 가난한 마음과 순수한 동심을 갖고, 동네 어른들과 어린이 들과 살면서 잠자던 시심(詩心)이 기지개를 편다. 그래서 첫 시집으로『탄광 마을 아이들』, 동화집으로 『우리 동네 아이들』을 세상 에 우뚝 세웠다. 서양의 속담에 ‘십자가의 고난이 없으면 부활의 영 광도 없다’고 하는 말이 그에게 어울린다. 중년기에 태백산맥을 따라 내려간 경남 거창, 그 산골 아이들과 함께 하면서 동화집 『느릅골 아이들』, 그 이듬해 『할아버지 요강』을 펴냈다. 5년을 약속 하고 지키지 못하던 강원도 탄광촌 사람들의 애절한 삶에 자신의 청춘도 서서히 날개를 접고 있었다. 그렇게 낮은 곳으로 내려갔던 시인은 자연주의자였고, 부단히 동심을 향해 달리며, 특수반 아이들 을 가슴으로 끌어안았다. 결국 고인은 다시 강원도에 자신의 뼈를 묻기에 이른다. 고 임길택 시인이자, 선생님은 동심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는 동시 작가였다. 그의 시 세계는 관념의 세계도, 환상의 세계도 아니다. 그가 살고, 가르쳤던 삶의 현장을 대상으로, 맑은 산골 아이들의 세계를 동심의 눈으로 포착하며, 동시로 이미지를 형상화시킨 예술성이 돋보인다. 이오덕의 표현대로 위대한 “동심의 승리”였다. 그의 감성은 따뜻하고, 시인과 인간이 일치되고, 하나가 되는 삶의 진정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아동 문학계와 문학 교육은 임길택 시인의 이런 예술성과 정신적 세계를 폭넓고, 심층적으로 계속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임 시인의 문학인으로, 교육가로 사명을 다한 그의 삶을 조명함 으로써 한국 아동 문학 교육의 길을 한층 더 밝히게 될 것이다. In contrast with scientific narration, the reconciling poetic narration is a reaction to the writer's sensitivity. The study handles the poet Lim Gil Taek and his work focusing on the poetic consciousness and subjects. Born in a port town in Jeollanam-do, Lim Gil Taek takes a long journey drawing a diagonal line across the peninsula to teach in a small school in a small coalmining village in the mountain of Gangwon-do. Holding on to his humble and innocent heart, Lim is inspired by the everyday life of the neighborhood seniors and children to write poetry. He published his first poetry book for children The Coal Mine Children and first storybook Kids in My Neighborhood. The Western proverb "there is no gain without pain, no resurrection without the Cross" matches well with this poor poet. In hismiddle age years, Lim settled himself in Geochang, Gyeongsangnam-do down along the Taebaek mountain range. While teaching the village kids, he wrote the storybook The Children of Neureup Valley and the following year Grandpa's Chamber Pot. Due to illness at such a young age, Lim's five-year promise to write about the sad and touching lives of the coalmining village people in Gangwon-do could not be kept. The poet, who had voluntarily put himself into a low humble life, was a naturalist constantly trying to view the world with eyes of a child and especially loved his disabled students from the special class. Dying of lung cancer, the poet is buried in Gangwon-do. The former poet and schoolteacher has shown his readers the genuine heart of the child through his poetry. Lim does not ponder on the world of conception or fantasy in his work. He wrote about the real life he had lived in the small villages as a schoolteacher perceiving the world with a child's heart. His work is very artistic in the way he forms the images in his poetry. As Lee Oh Deok had said, "it is the victory of the child's heart."The warm-hearted poet showed how a poet and man could become one through his own humble life. It is necessary for those i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of literature to study and learn from Lim's artistic writing and spiritual world more comprehensively, more closely. Through this we shall be able to lighten up the future of teaching children's literature by lighting the life Lim has lived fulfilling all his duties as a poet and as a schoolteac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