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체 Thyroxine 투여가 태아알코올효과를 가진 흰쥐 대뇌겉질 및 해마에서 NPY함유 신경세포의 생후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복,박상기,박영란,김종중,문정석,김주수,문영민,현영식,천관영,정윤영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5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30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Maternal alcohol abuse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prominent cause of neurobiological malformations in the postnatal and adult life of the offspr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alcohol drinking on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NPY-containing neuron, and, the influence of thyroxine treatment on the cerebral cortex and hippocampus of pups of alcohol abused mother. Materials and Method: Time-pregnant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lcohol-fed group A received 35 calories of liquid alcohol diet daily from gestation day 6; control pair-fed group B was fed a liquid diet in dextrin replaced alcohol isocalorically: alcohol + T4 group C received 35 calories liquid alcohol diet and exogenous thyroxine subcutaneously. Results: Group C showed prominent NPY immunoreactivity in the cerebral cortex compared to group A and B at P7. In group C, NPY-containing neurons were widely distributed in the all layers of cerebral cortex after P14. Besides, numerical decrease of NPY-containing neuron as age increases was not found in group C. However, the decrease of NPY-containing neuron was clearly observed in group A compared to group C after P14. In hippocampus, group Band C were appeared similar patterns after P7. Additionally, in group C, NPY immunoreactivity was prominently appeared in CA2 and CA3 at P14 as compared to group B. Conclusions: The present results showed the increase of intensity and number of NPY-containing neurons in cerebral cortex and hippocampus of pups of exogenous T₄ supplemented alcohol-exposed dams as compared to control pair-fed and alcohol-exposed pups at P7. It presumably suggest that NPY-containing neurons might be regulated by the early postnatal growth stimulatory effect of the exogenously supplemented T₄. Therefore, the increase of NPY synthesis caused by maternal administration of exogenous thyroxine may ameliorate fetal alcohol effect, one of the ill effects as a result of the dysthyroid state following maternal alcohol abuse.

      • KCI등재후보

        장간막 림프절염으로 발현된 Kikuchi-Fujimoto병 1예

        최원섭,이승순,권진우,이영석,김선영,전선영,김민정,정두련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5

        Kikuchi-Fujimoto 병은 주로 경부 림프절을 침범하는 질환이지만, 드물게 회맹부 장간막 림프절을 침범하여, 발열을 동반한 우하복부 통증과 반발압통을 나타내는 장간막 림프절염을 일으킬 수 있다. 급성 충수돌기염과 유사한 양상의 급성 복증을 호소하는 젊은 성인의 경우, 장간막 림프절염 여부를 확인하여야하며, 그럴 경우 Kikuchi-Fujimoto 병을 감별 진단에 포함시켜야 한다. 저자 등이 경험한 장간막 림프절염으로 발현된 성인의 KikuchiFujimoto 병 1예는 국내에서는 최초로 발견된 것이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Kikuchi-Fujimoto disease or histiocytic necrotizing lymphadenitis is a benign, rare, self limitimg disease presenting with mainly cervical lymphadenopathy and fever unresponsive to antibiotics or medical treatment. A 28-year old man presented with fever and right lower quadrant abdominal pain. Physical examination showed abdominal tenderness and rebound tenderness mimicking acute appendicitis. Imaging studies showed normal appendix and other abdominal organs except enlarged multiple mesenteric lymph nodes. Symptoms persisted despite antimicrobial therapy. Multiple tender lymph nodes were palpable on bilateral cervical area at the 7th hospital day. The biopsy of the neck node showed large areas of patchy, irregular necrosis with prominent nuclear debris surrounded by T lymphocytes, histiocytes without neutrophils and granuloma, so he was diagnosed as Kikuchi- Fujimoto disease. With conservative management, clinical improvement was observed. We suggest that Kikuchi-Fujimoto disease with mesenteric lymphadenitis should be added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abdomen mimicking acute appendicitis in young adults.

      • KCI등재

        합병증을 동반한 Clozapine-유발성 무과립구증의 치료경험 1예

        천영훈,박민철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37세 남자 정신분열병 환자에게 clozapine을 투여하던 중 발생한 합병증을 동반한 무과립구증을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G-CSF), 항생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여 치료하였다. 증례: Clozapine 투여시작 51일째 발열을 동반한 무과립구증이 발생하였으며 내과로 전과하여 무균실에서 강력한 항생제 및 G-CSF를 투여하였다. G-CSF 투여 후 혈액학적 소견은 정산화되었으나 이후 CK, LDH, BUN, Creatinine, AST, ALT 등의 효소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39℃까지 오르는 발열, 전신부종 및 근강직 증세들이 발생하여 신경이완제 악성증후군이 시사되었다. 뒤이은 검사에서 지속적인 creatinine 의 상승과 함께 백혈구 증다증, fibrinogen degradation factor(FDP) 양성 반응 등 급성 신부전증 및 파종성 혈관내응고병증으로의 이행이 의심되었으며 steroid 제재 투여 후 제반 검사 소견 및 전반적인 상태가 호전되는 경과를 취했다. 무과립구증의 발생 후 혈액학적 소견을 비롯한 제반 검사 소견들이 정상으로 회복되는 데는 22일이 경과했다. 결론: Clozapine으로 인한 무과립구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무과립구증의 예견인자를 파악하고, 철저한 혈액학적 감시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일단 무과립증이 발생하면 clozapine 중단과 함께 적절한 예방적 항생제와 G-CSF의 조기 투여가 필요하다. The authors reported a case of clozapine-induced agranulocytosis that combined with serious complications in a 37-years-old male patient with chronic schizophrenia. Clozapine-induced agranulocytosis developed on Day 51 of clozapine treatment. The patient was transferred to hematologic department and then treated by massive antibiotics in aseptic room. After the injection of G-CSF, WBC count increased to the normal range. But the day after the normalization of WBC count, patient's general condition was worsened with fever and mild rigidity, and also CK, LDH, BUN/Cr, and LFT was increased. The patient's elevated laboratory findings with those of physical signs and symptoms suggested the neuroleptic malignant syndrome and acute renal failure. Eventually steroid was administered to the patient, and then patient's general condition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normalized. We suggest that the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and careful regular blood monitoring is the best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clozapine-induced agranulocytosis. After the onset of clozapine-induced agranulocytosis, clozapine should be disontinued immediately and proper antibiotic therapy with administration of G-CSF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And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patients and their family also.

      • KCI등재

        한국인 강박장애와 Val-158-Met Catechol-O-Methyl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 간의 상관성 연구

        천근아,김세주,김찬형,구민성,남윤영,박성혁,이홍식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6 신경정신의학 Vol.45 No.5

        목적 COMT(Catechol-O-Methyltransferase) 효소는 도파민성과 노어아드레날린성 체계의 조절에서 매우 중요한 작용을 하며 염색제 22q11에 위치해 있다. 일부의 강박장애 환자들은 도파민 차단제에 좋은 치료 반응을 보이며 이런 현상은 COMT가 강박장애의 병인론에 역할을 하고 있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Val-158-Met COMT 유전자의 다형성은 효소의 감소를 유도하는 L(저활성) 대림형질, 활성의 증가를 유발하는 H(고활성) 대립형질로 알려져 있으며 L 대립형질 또는 LL 유전형이 강박장애와 연관이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까지 강박장애와 COMT 다형성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결과들은 일관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강박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Val-158-Met COMT 유전자의 다형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4년도 2월까지 약 24개월동안 서울지역 일 대학병원과 경기지역 일 대학병원 강박장애 클리닉을 방문하여 강박장애로 진단받은 124명의 환자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정상 대조군으로는 나이와 성별을 고려하여 자원자 170명이 선별되어 포함되었다. 강박장애군과 정상 대조군의 혈액으로부터 유전자 추출 후 COMT 유전자 형벌 (genotyping)을 시행하였다. 다형성을 H/H 와 H/L, L/L 유전형으로 나눈 뒤 강박장애와 정상대조군 사이의 유전자 빈도를 카이 검정법으로 비교하여 연관성을 관찰하었다. 또한 강박장애 환자들에게 시행한 YBOCS로부터 측정한 강박장애 심각도 및 Hamilton Depression Raing Scale (HDRS) 총점과 COMT 유전자 다형성 사이의 연관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한국인 강박장애와 COMT 다형성 간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YBOCS 심각도와 COMT 유전자형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강박장애 환자군들의 COMT 유전자형 세 군 사이의 우울증상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결론 한국인에서 강박장애와 COMT 유전자 다형성 사이에는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COMT의 H 대립형질과 강박장애 군에서 공존하는 우울증상 척도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 현상은 COMT 유전자의 다형성이 강박장애의 공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생각된다. Objectives : The definite cause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is still unknown. Evidences from familial, twin and segregation studies support the role of a genetic factor. There are also growing evidence indicating that OCD has specific neurochemical and neuroanatomical basis. Derived from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with dopamine receptor blocker in certain part of OCD patients (eg. SSRI treatment-resistant OCD), several candidate genes related to dopamine dysregulation have been hypothesiz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OCD. One of them is the Catechol-O-Methyltransferase (COMT) gen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OMT and OCD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 124 OCD patients and 170 normal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ir blood. The genotypes and allele frequencies of the COMT polymorphism between OCD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mpared.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everity of OCD assessed by 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ymptom scale (YBOCS) and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DRS) scores and COMT polymorphism. Results : In this case-control study, we could not find any association between COMT gene polymorphism and development of OCD. In OCD group, patients with H/H genotyp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the HDRS than those with H/L or L/L genotype.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otype distributions of COMT between OCD and control groups. However, H/H genotype of COMT gene polymorphism might be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OCD patien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Clozapine이 백서의 억제된 자발적 교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강훈,이기철,이정호,최영민,전성일,정홍경,류정환,최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연구목적 : 강박장애의 생물학적 원인론중 세로토닌-도파민 상호작용 가설에 적합한 5-HT₂ 수용체와 도파민 D₂수용체를 동시에 차단하는 약물의 일종인 cloazpine과 세라토닌 재흡수 차단약물인 clomipramine, 그리고 도파민 D₂수용체 차단 약물인 haloperidol을 실험백서의 강박장애 동물모형에 투여하여 자발적 교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서 1) 세라토닌 수용체와 도파민 수용체를 동시에 차단하는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고, 2) 세라토닌과 도파민 수용체 동시차단 약물의 효과가 확인되면 임상적으로 기존의 세라토닌 재흡수 차단약물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강박장애 환자 치료에 세라토닌 수용체와 도파민 수용체를 동시에 차단하는 비전형적인 항정신병 약물들이 강박장애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 및 연구방법 : 실험동물은 동일한 배에서 출생한 수컷 Spraque-Dawley 백서를 사용하였다. 자발적 교대 행동(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ur : 이하 SAB)을 시험하기 위해 SAB의 기준치를 구하고 난 후, SAB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비선택적 세라토닌 순응제인 5-MeODMT(5-methoxy-N, N-dimethyltrytamine)를 투여하였다. 실험백서들을 clomipramine(5㎎/㎏), clozapine(10㎎/㎏), clozapine(20㎎/㎏), haloperidol(0.1㎎/㎏), 그리고 saline(0.2cc) 투여군으로 나누고 21일에 걸쳐서 복강내 주사하였다. 실험약물 투여가 끝난 다음날인 22일째에 5-MeODMT(5-methoxy-N, N-dimethyltryptamine : 1.25㎎/㎏/IP)를 각각의 실험동물군에게 투여하고 실험약물의 만성투여가 5-MeODMT 투여로 억제되는 SAB을 얼마나 호전시키는 지를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for window 7.5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SAB의 기준치 5-MeODMT 투여로 억제되는 SAB의 효과, 실험약물의 만성투여에 따른 SAB의 변화는 일원분산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증은 Scheffe 검증을 적용하였다. 각 군내에서 기준치와 5-MeODMT 투여로 억제되는 SAB의 변화, 그리고 실험약물의 만성투여에 따른 SAB의 변화는 다중변량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및 결론 : 역구결과 실험동물은 T-형 미로의 SAB에서 평균 1.33±0.36회의 훈련 기준치를 보였다. 5-MeODMT 주사후 , 실험동물의 SAB치는 3.12±0.63회를 보여 강박행동이 유발하였다. 21일간의 실험약물 투여후, 22일째에 5-MeODMT 주사에 대한 SAB의 반응은 clozapine 투여군과 clomipramine 투여군이 halo-peridol 투여군과 saline 투여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여 5-MeODMT투여로 억제된 SAB을 호전시키는 소견을 나타냈다. 각 실험동물군 내에서 각각의 SAB 훈련 기준치와 실험약물 투여 전후에 5-MeODMT 투여로 인한 SAB을 비교한 바, clomipramine 투여군은 약물투여 전에 5-MeODMT로 억제된 SAB이 약물투여후 의미있게 호전되었다. 한편, clozapine 투여군도 약물 투여전에 5-MeODMT로 억제된 SAB가 약물투여후 의미있게 호전되었으며, 이런 SAB의 호전은 clomipramine 투여군보다 우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강박장애의 생물학적 병리론을 이해하는데 있어 세라토닌-도파민 상호작용 가설이 의미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향후, 강박장애의 임상치료에서 전형적인 SSRIs 치료에 반응치 않는 환자들에게 세라토닌-도파민 동시차단제인 비전형적인 약물의 단독투여를 시행하는 후속연구를 기대해 본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ole of the 5-HT₂and dopamine D₂antagonist on spontaneous alteration behaviour which is an animal modal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in rat. On the basis of serotonin-dopamine interaction hypothesis, the effect of clozapine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suppressed 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ur model. Methods : The apparatus for 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ur was a black plexiglas T-maze with distinctive black and white goal boxes. Black guillotine doors separated the start box and the goal boxes from the main body of the T-maze. Small cups of chocolate milk were placed in the corners of both goal boxes. At 24 hours prior to experiment, rats(Spraque-Dawley) food-deprived. The food-deprived rats were put into T-maze, in which both goal boxes were baited with small amounts of chocolate milk. Each rat was given 2 set of 7 trials during which it was placed in the start box and allowed to choose one of the goal boxes for each time. The mean number of choices until the occurrence of 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ur were checked. After baseline of the number of choices of 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ur was stabilized, the spontaneous alternation was disrupted by nonselective 5-HT agonist, 5-MeODMT(1.25mg/Kg/IP),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tratified into 5 groups :clomipramine(5mg/Kg/IP), clozapine(10mg/Kg/IP), clozapine(20mg/Kg/IP), haloperidol(0.1mg/Kg /IP), and saline(0.2cc/IP) control groups. They all went through 21 days fo treatment(intraperitoneal). The protective effects against the 5-MeODMT-induced disruption of 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ur were evaluated on the next day of drug treatment in each group. Results : 1) SAB was suppressed by 5-MeODMT injection. 2) After 21 days of the drug treatment, the clozapine and the clomipramine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haloperidol and the saline control groups in the reversal of 5-MeODMT-induced suppression of 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ur. 3) The clozapine (20mg/kg/IP) group was superior to the clomipramine group in the protective effect of 5-MeODMT-induced suppression of spontaneous alternation behaviour. Conclusion : In clinical situation, the we think that atypical antipsychotic drugs those acting as serotonin and dopamine receptor antagonist with no extrapyramidal side effect can be beneficial to improve the symptoms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KCI등재후보

        뉴질랜드 낙농업의 구조변화 분석

        곽영태,박민수,천동원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4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6 No.4

        뉴질랜드의 낙농업은 온화한 기후, 연중 고른 강수량, 넓은 면적의 초지 및 외부로부터 격리된 지리적 여건 등 천혜의 자연적 환경으로 인하여 일찍부터 국가 기간산업으로 발달되어 왔다. 또한 1984년부터 실시된 경제개혁의 결과 지금은 세계 유제품 시장의 약 31%를 차지하는 낙농 강국으로 성장 하였으며, 최근 10년간(1993년~2002년)뉴질랜드 낙농업의 구조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군수는 5.6%나 감소하여 규모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반면 사육두수는 4.2%, 평균 군 규모는 50.6%, 목장 평균면적은 39.2% 각각 증가하였다. 또한 호당 초지 면적이 2001/02년도 현재 103 ㏊, 호당 사육규모는 271두로 초지에 바탕을 둔 방목위주 사육으로 저비용 고품질의 우유를 생산하고 있다. 2. 노동 집약적인 낙농업에 종사하면서도 여유로운 생활을 즐기기 위해 자가 운영형태에서 분배 착유형태로의 운영구조 전환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사육규모별로 볼 때 200두 미만의 군수가 급격히 감소 추세에 있으며, 상대적으로 300두 이상의 군수가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500두 이상 규모의 확대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4. 매년 생산된 유제품의 90% 이상을 세계시장으로 수출하는 수출형 낙농으로 확고한 기반을 확립하고 있다. 5. 조수입의 증가율이 133%로 나타난 반면 경영비 증가율은 94%에 불과하여 소득 증가율이 232%로 높게 나타났다. 6. 뉴질랜드 낙농농가의 자본구조는 매우 양호한 상태로 나타나고 있다. 즉 2001/02년 현재 자기 자본비율 67%, 부채비율 50%로 나타나 국제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특징적인 면은 고정자산에 투자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통해서 볼 때, 우리나라의 낙농업이 초지부족에 따른 방목위주로의 전환이 어려운 현실임을 감안하더라도 기존 초지의 철저한 활용, 답리작 사료작물 재배 및 임간초지의 개발 등으로 조사료 급여 비율을 높임으로써 농후 사료비를 절감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생산비 절감을 위한 규모 확대 방안을 적극적으로 마련해야만 국제경쟁력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structural change of New Zealand dairy industry for the last ten years and to make a few suggestion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 of Korean dairy industr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big changes in dairy herd size, dairy cattle number and dairy farm size. Second, in operating structure, the ratio of sharemilkers wa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owner-operators was decreasing, Third, in herd size, herds below 200 heads were decreasing, herds over 300 heads were increasing. Fourth, dairy industry focuses on export, annually over 90% of milk products produced was exported. Fifth, farm revenue increased by 133%, operating cost increased by 94%, farm profit increased by 232% for the last ten years. Sixth, in capital structure, owner's equity ratio was 67%, debt ratio was 50% in 2001/02, on the other hand, ratio of investment in fixed assets was high.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dairy industry has to enlarge grass-land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a production cost, also it has to strengthen a competitive power with enlargement in farm size.

      • KCI등재
      • 우리나라 상차림의 영양적 평가

        김영순,이정희,오순덕,김수현,이정민,남택수,박태식,천유정 高麗大學校 倂設 保健大學 保健科學硏究所 2002 保健科學論集 Vol.28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nutritional problems owing to the increased consumption of westernized food in Korea and also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eal with those of the Western diet in similar serving size. The results obtained from nutritional evaluation are as follows: 1. The percentage of calories represented by carbohydrate: lipid: protein was 65:15:20 respectively for Korean traditional meal (Table setting of 3 Chop) therefore these ratios meet the dietary recommended allowances for Koreans. 2. Nutrient values of Korean traditional 3-Chop were shown to be better balanced than those of Western diet when the nutrients of the two types of diet were estimated by similar serving sizes and calories. 3. Compared to the Korean traditional meal, most fast foods were nutritionally imbalanced especially in that most of them showed higher amounts of fats. These results show that Korean traditional meals supply ideal nutrient intakes in contrasts to the westernized diet, therefore much work remains in developing a variety of menus and standard recipes for Korean traditional meal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diet trends as well as emphasing the importance of Korean traditional meals as part of an ideal, well-banlanced di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