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와이어 하네스 단선 단락 선별을 위한 디지털 고장 검출 시스템 개발
김선영,김아란,박재완,김하선,정재훈,김선영 사단법인 유공압건설기계학회 2023 드라이브·컨트롤 Vol.20 No.4
Wire harness is a component for efficient control when electronic parts are required such as construction machinery and electric vehicles. With emerging issues such as autonomous driving and automation in construction, a wire harness composed of multiple cables has become an essential part because more electronic parts are required. However, when a wire harness failure occurs, systems can be stopped, accidents can occur, and economic damage can be significa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digital fault screening system that could easily and quickly diagnose faults in the wire harness. The principle of the developed system was to sequentially send pulse signals to the wire harness and use returned signals to perform fault detection. As a result of diagnosing faults using the developed failure detection system, a detection accuracy of 99.9 % was confirmed through the experiments.
나선형 패턴을 사용한 어안렌즈 영상 교정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김선영,윤인혜,김동균,백준기 大韓電子工學會 2012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9 No.4
본 논문에서는 어안렌즈의 교정(calibration)과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 광학 시뮬레이터에 적합한 나선형 패턴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하여 별도의 수학적 모델링이 필요 없는 교정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나선형 패턴을 광학 시뮬레이터의 입력 영상으로 이용하여 어안렌즈로 왜곡 시킨 영상에서 기하학적으로 이동된 점들의 정합을 통하여 교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선형 패턴 영상에서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점들이 어안렌즈의 기하학적 왜곡을 거쳐 이동되는 정보를 왜곡되기 전의 위치와 정합하기 때문에 정확한 교정이 가능한 동시에, 별도의 모델링이 필요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처리가 가능하다. 제안된 기술은 어안렌즈를 이용한 패턴인식 시스템에서 손실 없는 디지털 영상 확대를 통하여 정확한 정보를 추출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시야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영상처리 분야에 적용하여 어안렌즈의 교정과 왜곡 보정을 가능하게 한다. In this paper, we present spiral pattern which suits for optical simulator to calibrate fisheye lens and compensate geometric distortion. Using spiral pattern, we present calibration without mathematical modeling in advance. Proposed spiral pattern used to input image of optical simulator. Using fisheye lens image, we calibrate a fisheye lens by matching geometrically moved dots to corresponding original dots which leads not to need mathematical modeling. Proposed algorithm calibrates using dot matching which matches spiral pattern image dot to distorted image dot. And this algorithm does not need modeling in advance so it is effective. Proposed algorithm is enabled at processing of pattern recognition which has to get the exact information using fisheye lens for digital zooming. And this makes possible at compensation of geometric distortion and calibration of fisheye lens image applying in various image processing.
수치화 열역학 물성도를 이용한 초임계 추출공정의 분리수율 및 에너지수요 분석
김선영,이원홍,이광순,유기풍 한국화학공학회 1990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28 No.1
디지타이저를 이용하여 도표로 발표된 물성 데이터들을 정밀하고 신속하게 수치데이터로 환산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수치자료화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필요한 내삽이나 공정해석에 응용할 수 있는 가시적인 최적화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Pitzer의 압축인자 도표를 수치화한 후 내삽한 데이터와 이를 원래의 수치데이터 값들과 비교한 결과 도표자료 내삽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₂에 의해 식용대두유를 추출하는 초임계 용매 추출공정에 응용한 결과 용해도 및 용매의 물성도표만으로 분리수율을 증가시키면서 조업에너지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열역학적 최적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We presented an algorithm that can constructs digitized databases from various graphical representations such as thermodynamic property charts by utilizing a desk-top digitizer properly. It is found that any types of usual model-oriented process calculation such as interpolations and process optimization can be equivalently accomplished with these digitized property charts. As the first illustration, the compressibility factors for any reduced temperature and pressure can be evaluated quickly and accurately by digitized Pitzer's Z-chart with linear and cubic spline interpolation methods. As the second illustration, optimum operation paths which give maximum separation yield with the least of energy demand can be sought with the digitized property chart for the supercritical extraction process of soybean oil with carbon dioxide.
서울아트마켓 활성화를 위한 인터넷 플랫폼 도입방안 고찰
김선영,이의신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2 No.-
This study was started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limits of Performing Arts Market in Seoul(PAMS), an international performing arts marke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introduction to PAMS by reviewing the internet platform, Virtual WOMEX and Sonicbids.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construction of internet platform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platform and the current status of PAMS. Analysis of PAMS shows that the function of market is still lacking. Due to space and time constraints, the showcase is not likely to lead to actual purchases. Also, they were satisfied with just networking rather than actual transactions because there were few participation of foreign participants and markets to participate in. More fundamentally, mainly performing arts centered on non-profit activities are circulated through closed, limited channels of commerc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xpand market scope due to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between suppliers(artists) and consumers (audience or intermediaries). Meanwhile, Virtual Womex and Sonicbids ars provid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through database archiving, not just file system, such a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participants in the open market, performing artists and work archives, and providing performance news and communication.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construction of the online platform of PAMS will be a practica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Second, networking opportunities and market size will be expanded and the cost will be minimized. Third, it will be able to overcome limitations of one-time event by exposing more works with promotional provision and exchange of artwork inform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discussions between academic and field experts will be activated. In addition, a deeper review and discussion is needed on how to implement the Internet platform for performing arts distribution. 본 연구는 국제공연예술마켓인 서울아트마켓(PAMS)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코자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플랫폼인 버추얼 워멕스(Virtual WOMEX)와 소닉비즈(Sonicbids)의 고찰을통해 서울아트마켓에 도입을 제언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플랫폼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서울아트마켓의 현황을 논거 삼아 인터넷 플랫폼 구축을 제시하였다. 서울아트마켓의 분석 결과 시장으로서의 기능이 아직 부족함을 볼 수 있다. 시·공간적 제약으로 인한 쇼케이스는 실제 구매로 이어지기 어렵다. 또한 해외 참가자의 참여 저조와, 참여할 수 있는 마켓이 적어 실거래보다는 네트워킹에 만족하고 있었다. 보다근본적으로는 주로 비영리적인 활동 중심의 공연예술은 상품(작품)거래가 폐쇄적, 제한적인 경로를 통해유통된다. 따라서 공급자(예술가)와 수요자(관객 혹은중간 매개자) 간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시장의 확대가쉽지 않다. 한편 버추얼 워멕스와 소닉비즈는 오픈된시장에서 참가자들에 대한 정보제공과 공연예술가 및작품 아카이빙, 공연 관련 뉴스와 커뮤니케이션 제공등 단순한 자료구축이 아닌 데이터베이스 아카이빙을통해 정보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울아트마켓의 온라인플랫폼 구축은 첫째,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현실적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둘째, 네트워킹 기회와시장의 폭은 더욱 확대되고 이에 따른 소요비용은 최- 26 - 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연정보의 상시적 제공과 교환 촉진과 함께 보다 많은 작품 노출을 통해일회성 행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계와 현장 전문가들의 논의가 활성화되는 계기를 기대한다. 또한 공연예술유통의 인터넷 플랫폼을 어떻게 시행할 것인지 더깊은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다.
국내 공연예술 마켓의 협업 방안 연구 - 서울아트마켓, 제주해비치아트페스티벌, 경기공연예술페스타를 중심으로
김선영,이의신 한국문화경제학회 2018 문화경제연구 Vol.21 No.1
대부분의 국내 공연예술마켓은 소규모일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으로서의 역할과 향후 성장 전망에 있어서도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공연예술마켓이 현재 상태를 극복하고 나아가 아시아를 대표하는 공연예술 견본시가 되기 위해서는 마켓 간 협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아트마켓, 제주해비치아트페스티벌, 경기공연예술페스타 등 국내 공연예술 관계자를 대상으로 마켓의 협업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고 이를 근거로 마켓 간 협업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성공적인 마켓 간 협업을 위해서는 첫째 협업에 대한 발상과 사고의 전환, 둘째 비교우위 평가에 의한 직접 주관하는 프로그램과 협업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선별, 셋째 ‘공연예술 마켓 협업 추진위원회(가칭)’의 설치․운영 및 협업체계의 매뉴얼화, 넷째 네트워크의 공유에서 중앙정부와 지자체 간의 상호 재정 지원을 통한 인력 및 장소의 공유 등 사업의 단계별 추진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Most of the Korean performing arts markets are not only small but also show their limitations in terms of their role as a platform for the promotion of performing arts and future growth prospects.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erception that the domestic performing arts markets nee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markets in order to overcome the current situation and become the representative performing arts markets of Asia. To do this, we conducte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on market collaborations with domestic performing arts officials such as PAMS, Jeju Haevichi Art Festival and G-FAFE. For successful inter-market collaboration, the first is to change ideas and thinking about collaborations, second, to select programs suitable for direct supervision and collaboration based on evaluation of comparative advantage, and third, to establish and operate the ‘Performing Arts Market Collaboration Promotion Committee(tentative name)’. And the fourth, starting from the sharing of the network that is most required at this st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haring of manpower and places through mutual financial support or sharing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th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이야기 코칭을 통한 정체성 변화: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김선영,박경은,정석환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5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6 No.4
This research aims to newly introduce the concept of narrative coaching and analyze the possibility of identity change through narrative coaching through the biblical stories of Esther and Mordecai. Recently, coaching–based approach in counseling and clinical sites are actively being utilized in promoting inner growth, from the conventional aim of resolving personal issues. Specifically, narrative coaching focuses on aiming for healthy integration of identity amongst the process of casting continuous questions regarding the human existence, based on the epistemology that ‘humans are narrative creatures.’ This means that narrative coaching can induce changes in identity; from shattered one firmly social competition and conflict to harmonious and united identity. This research analyzes the change of identity via narrative coaching from the Esther story and studies the role of the coach in coaching when inducing such changes from the Mordecai story. 본 연구는 이야기 코칭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소개하고, 이야기 코칭을 통한 정체성 변화의 가능성을 성경 속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이야기를 통해 분석해 보는 데 목적을 갖는다. 최근 상담 및 임상 현장에서의 코칭적 접근은 한 개인의 문제 해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내면의 성장을 추구하는 데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이야기 코칭은 ‘인간은 이야기하는 존재’라는 인식론을 바탕으로, 인간 존재에 대해 지속적인 물음을 던지는 과정 속에서 건강한 정체성의 통합을 지향해 가는 데 초점을 맞춘다. 즉, 이야기 코칭을 통해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경쟁과 갈등에 의해 파편화된 정체성이 화해와 조화를 추구해 나가는 정체성으로의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야기 코칭을 통한 정체성의 변화를 에스더의 이야기 속에서 분석해 보고, 이러한 변화를 이끌어 내는 코칭에서의 코치의 역할을 모르드개의 이야기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전통회화의 공간해석을 통한 창의적 시각표현 개발을 위한 연구: 장자의 본체론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선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formative values about the concept of the space interpretation of Chuang-tzu of traditional art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concept of the space concept from Gilles Deleuze, and to also implicate this idea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optical expression. I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ubstance theory of Chuang-tzu, there are some difficulties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infinity’ and ‘boundary deactivation’ for students living in the contemporary period. Therefore if the study is suggested by the concept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hizome’, students could understand more easily. Considering the contemporary cultural context, the multi-dimensional study on the various meanings of traditional paintings is very essential. This study attempts to bring an increase of attention on the fact that in the traditional space concept, there is more emphasis on the various meanings of the concept of ‘Wayou(臥遊)’ in traditional paintings.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on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substance theory’ of Chang-tzu in order to unveil the width and depth of meanings entailed by the concept of ‘nomadism’ from the philosophy of Gilles Deleuze. The idea of ‘substance theory’ supports the expression of creativity and the character of the artist because the idea could appear diverse. Through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formative meanings of the concept of the space interpretation, I suggest a practical education method that creates various Ink wash paintings by the use of expressions related to the sketch travel. 본 연구에서는 전통회화에 나타난 공간에 대한 개념을 장자의 본체론과 들뢰즈의 노마디즘을 통해 살펴보고 창의적 공간 표현에 관한 미술 교육적 활용을 수업방안으로 제시하여 결과물을 분석하고자 한다. 장자는 도(道)를 설명하면서 무한성을 강조한다. 이는 인간의 경계를 허무는 자유와 초월로 나타나며, 공간해석에서도 경계를 허무는 물아일체(物我一體)로 나타난다. 이는 전통회화에서 와유사상과 이동시점, 사차원 시점 등을 통해 구체적으로 표현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장자의 공간해석에 대하여 현대적으로 적용하여 비교하기 위해 들뢰즈의 ‘노마디즘(nomadism)’을 고찰하였다. 들뢰즈는 ‘탈영토화’를 통해 개체가 억압에서 벗어나 해방된 자유로운 경지에서 새로운 영역으로 융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이러한 탈영토화는 ‘리좀(rhizome)’적인 성향, 즉 뿌리 식물처럼 연계되어 소통되는 경향을 가진다. 이는 동양에서의 물아일체적으로 경계를 허물어 공간을 자유롭게 초월하는 개념과 연계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적 이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에게 창의적인 시각표현을 위한 학습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습자들은 전통적인 공간해석을 이해하고 들뢰즈의 공간해석과 비교하여 여행이라는 시공간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생성되는 창의적인 시각표현을 성취하고자 하였다. 이는 실제 수업의 사례를 통해 나타난 실기결과물을 분석하여 창의적인 시각표현의 개발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한 의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