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전유화(煎油花)의 문헌적 고찰

        오순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6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2 No.4

        조선시대 의궤 16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전유화(煎油花)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왕조 궁중 음식의 전유화는 주재료에 따라 분석한 결과 수어 & 생선이 16.0%로 가장 높았고, 간과 양이 각각 14.2%, 해삼 12.3%, 게(蟹: 해)· 생합·천엽이 각각 4.7%, 돼지고기(저육)·낙지(락제) 각각 3.9%, 굴(석화)·꿩(생치)·닭(계) 각각 2.8%, 민어·골 이 각각 2.0%, 오리(鴨子: 압자)·산비둘기(山鳩: 산구)·도비(都飛)·도미·백어·홍합·해란·메추리(순조)·계란·실임자 각 각 0.9%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전유화(煎油花)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통해 한식의 세계화에 기 여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different types of Jeonuhwa as recorded in 16 royal palace studie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Jeonuhwa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as follows: 16.0% for gray mullet(秀魚) and fish(生鮮), 14.2% each for liver and cow stomach, 12.3% for sea cucumber(海蔘), 4.7% each for crab(蟹), clam(生蛤), and chunyup(千葉), 3.9% each for pork meat(豬肉), octopus, 2.8% each for oyster(石花), pheasant(生雉), and chicken(鷄), 2.0% each for croaker(民魚), and brain (骨), 0.9% each for duck(鴨子), pigeon(山鳩), dobi(都飛), snapper, white fish(白魚), mussel(紅蛤), haeran( 蟹卵), quail(鶉鳥), egg(鷄卵), and sesame(實荏子). This observation may be associated with commercial industrial development that prevail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Euigwe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for Jeonuhwa.

      • KCI등재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수정과류(水正果類)의 문헌적 고찰

        오순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 No.4

        조선시대 의궤 15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수정과류(水正果類)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수정과류의 종 류에는 수정과(水正果), 건시수정과(乾柿水正果), 생리수정과(生梨水正果), 왜감자수정과(倭柑子水正果), 가련수정과(假蓮水 正果), 유자수정과(柚子水正果), 잡과수정과(雜果水正果), 두충수정과(杜冲水正果), 육월도수정과(六月桃水正果), 복분자수정 과(覆盆子水正果), 앵도수정과(櫻桃水正果), 산사수정과(山査水正果)가 소개되었다. 수정과류 가운데 건시수정과 20%, 생리 수정과 15%, 수정과 10%, 왜감자수정과 10%, 가련수정과10%, 그 외 수정과는 각각 5%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정 과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of Sujeonggwa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types of Sujeonggwa during the Joseon dynasty appeared Sujeonggwa(水正果), Geunsi-Sujeonggwa(乾柿水正果), Saengri-Sujeonggwa(生梨水正果), Weigamja-Sujeonggwa(倭柑子水正果),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 Yuja-Sujeonggwa(柚子水正果), Jabgwa-Sujeonggwa(雜果水正果), Duchung-Sujeonggwa (杜冲水正果), Yukyeldo-Sujeonggwa(六月桃水正果), Bokbunja-Sujeonggwa(覆盆子水正果), Aengdo-Sujeonggwa(櫻桃水正 果), Sansa-Sujeonggwa(山査水正果. The frequency of the Sujeonggwa typ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order were; Geunsi-Sujeonggwa(乾柿水正果)(20%), Saengri-Sujeonggwa(生梨水正果)r(15%), Sujeonggwa(水正果)(10%), Weigamja-Sujeonggwa(倭柑子水正果)(10%), Gareun-Sujeonggwa(假蓮水正果)(10%). The other Sujeonggwa each(5%).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Sujeonggwa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 KCI등재

        조선시대 어만두(魚饅頭)의 종류 및 조리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 - 의궤와 고문헌을 중심으로

        오순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6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2 No.1

        조선시대 의궤 15책과 고문헌 8권에 수록되어 있는 어만두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시대 전기에는 1종, 중기에 2종, 후기에 15종으로 모두 18종이 소개되었다. 만두소의 재료로는 꿩, 닭, 소고기, 전복, 해삼 등이 사 용되었다. 어만두는 생선살을 얇게 저며 소를 넣고 녹말을 입힌 후 물에 삶은 것으로 현재의 ‘물만두’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어만두의 크기는 작은 모시조개 크기로 만들었다. 초장에 ‘고초(苦椒)’의 사용은 「무신 진찬의 궤」(1848년)의 ‘어만두’를 시작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만두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types and cooking methods of Emandoo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and 8 old literature texts of the Joseon dynasty (1392-1909). Early Joseon Dynasty kind of Emandoo one kind, two kinds of mid and late 15 kinds, a total of 18 paper was introduced. A Emandoo ingredient materials of a pheasant, chicken, beef, abalone, sea cucumber, etc. were used. Emandoo were able to see that the current 'mulmandu' form of life that icing on the water after the starch into a small thin sliced fish flesh. The size of a Emandoo made small clams. The use of 'Gocho (苦椒)' on Chojang(醋醬), starting with 'emandoo of Muhsin jinchan Euigwe(1848) Further study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these Euigwe and old books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to make Emandoo appealing to a global palate.

      • KCI등재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화양적(花陽炙)의 문헌적 고찰

        오순덕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 No.3

        조선시대 의궤 16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화양적(花陽炙)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황적과 잡적이 어우러진 화양적이 35.2%로 가장 높았으며, 황적화양적 16.7%, 생복화양적(生鰒花陽炙),과 락제화양적(絡蹄花陽炙) 이 각각 11.1%, 어화양적(魚花陽炙) 9.3%, 동과화양적(冬苽花陽炙) 5.6%, 천엽화양적과 양화양적(羘花陽炙)이 각각 3.7%, 계란화양적과 압란화양적이 각각 1.8%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화양적에 대한 새로운 조명과 메뉴 개발을 통해 한식의 세계화에 기여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 assorted vegetables with beef on skewers called Hwayangjeok recorded in 16 Joseon dynasty (1392-1909) royal palace studies. The ingredients used in Hwayangjeo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into 35.2% Hwangjeok(黃炙) & Jabjeok((雜炙), 16.7% Hwangjeokhwayangjeok(黃炙花陽炙), each 11.1% Saengboghwayangjeok(生鰒花陽炙) & Lagjehwayangjeok(絡蹄花陽炙), 9.3% Eohwayangjeok(魚花陽炙), 5.6% Donggwahwayangjeok(冬苽花陽炙), each 3.7% Cheonyeobhwayangjeok((千葉花陽炙) & Yanghwayangjeok1(羘花陽炙), each 1.8% Gyelan-eoeumjeok (鷄卵於音炙) & Ablanhwayangjeok(鴨卵花陽炙). Through this study, through new lighting and menu development for Hwayangjeok used as a basis for hope to contribute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 KCI등재

        조선왕조 궁중음식(宮中飮食) 중 편육류(片肉類)의 문헌적 고찰

        오순덕,유영준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 No.1

        조선왕조 궁중의궤 15책에 수록되어 있는 궁중음식 중 편육류(片肉類)에 대하여 문헌 고찰하였다. 조선왕조 궁중음식 중 편육 류에서 ‘편육(片肉)’이 20%로 가장 많이 소개되었고, ‘저육숙편(猪肉熟片)’ 18.6%, ‘우육숙편(牛肉熟片)’ 17.1%, ‘양육숙편(羊肉熟片)’ 15.7%, ‘계육숙편(鷄肉熟片)’ 8.6%, ‘양숙편(月羊熟片)’ 7.2%, ‘우설우낭숙편(牛舌牛囊熟片)’과 ‘우태율편육(牛胎栗片肉)’이 각각 5.7%, ‘생선숙편(生鮮熟片)’이 1.4% 순으로 나타났다. 의궤에 기록된 구성요소를 토대로 편육 개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different types of Pyeonyuk as recorded in 15 royal palace studies from the Joseon dynasty (1392-1909). The ingredients used in Pyeonyuk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categorized as follows: 20% for Pyeonyuk(片肉), 18.6% for Jeyuksukpyeon(猪肉熟片), 17.1% for Uyuksukpyeon(牛肉熟片), 15.7% for Yangyuksukpyeon(羊肉熟片), 8.6% for Gyeyuksukpyeon(鷄肉熟片), 7.2% for Yangsukpyeon(月羊熟片), 5.7% each for Uselurangsukpyeon(牛舌牛囊熟片) and Utaeulpyeonyuk(牛胎栗片肉), 1.4% for saengsenssukpyeon (生鮮熟片). Further studies will be conducted on recipes and ingredients recorded in Euigwe in order to develop a standardized recipe for Pyeonyu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