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증 재생불량성빈혈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위한 cyclophosphamide와 antithymocyte globulin전처치 요법

        이정희,이제환,김신,설미이,이정신,김우건,김상희,지현숙,박찬정,이규형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1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6 No.1

        배경: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HLA가 일치하는 형제간 골수이식에서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에서는 전처치 요법으로서 불충분한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주요 문제는 착상 부전이었다. 우리나라를 포함하는 극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서 발표되는 보고에 의하면 타인이식을 포함하여 골수이식 후 착상 부전과 이식편대숙주질환의 발생이 서구 국가들로부터의 보고에서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 등은 6예의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에서 질병 초기에 Cyclophosphamide와 ATG만을 이용하여 전처치를 한 후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하였다.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0년 4월까지 서울중앙병원에서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성인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수이식을 위한 전처치 요법으로 cyclophosphamide (50 mg/kg/d x 4)와 ATG (30 mg/kg/d x 3)를 투여하였는데, 골수이식 전에 ATG에 대하여 과민 반응을 보였던 한 예 (UPN 120)에서는 ATG 대신에 fludarabine (30 mg/m2/d x 3)을 투여하였다. 이식편대숙주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cyclosporine과 methotrexate를 투여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에 모두 6예가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았는데, 5예는 타인으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으며, 1예는 HLA의 표현형이 하나의 유전자좌에서 일치하지 않는 형제로부터 골수를 공여 받았다. 타인 골수이식을 받은 5예 중에서 3예의 공여자는 HLA의 표현형이 일치하였으며,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ajor mismatch였고, 1예는 하나의 유전자좌가 minor mismatch였다.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406일 (범위, 328-643일)인데, 6예 모두에서 착상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생존해있다. 2예에서 3도의 급성 이식편대숙주질환과 전신성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하였다. 결론: Cyclophosphamide와 ATG의 전처치 요법은 재생불량성빈혈의 초기에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한국인 환자들에서 충분히 착상을 가져올 수 있는 요법으로 생각된다. 비록 본 연구의 대상 환자 수가 적지만 결과는 매우 고무적이다. HLA가 일치하는 형제가 없는 중증 재생불량성빈혈 환자의 경우에 타인 골수 공여자에 대한 검색을 조기에 시행해야 하며, 타인 혹은 HLA 불일치 혈연간 골수이식을 질병 초기에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Cyclophosphamide (CY) and ATG regimen was reported to be insufficient for alternative donor BMT in SAA patients due to high incidence of graft rejection. The rates of graft rejection and GVHD after allogeneic BMT including unrelated donor transplants seemed to be lower in reports from Asian countries of Far East. We applied CY/ATG regimen to six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other than HLA-identical siblings. Methods: Three patients were transplanted from HLA-phenotypically identical unrelated donors, two from one-locus mismatched unrelated donors, and one from an one-locus mismatched sibling donor. Four patients received no previous therapy for SAA, and two received one course of immunosuppressive therapy with ATG. Preparative regimen was CY (200 mg/kg) plus ATG (90 mg/kg) in all patients except one who had had an anaphylactic reaction to ATG prior to BMT and received fludarabine (90 mg/m2) in place of ATG. Cyclosporine plus methotrexate were given for GVHD prophylaxis. Results: All six patients engrafted and all are alive with durable engraftment at a median follow-up of 406 days (range, 328 to 643). Two patients developed grade III acute GVHD and extensive chronic GVHD. Conclusions: CY/ATG regimen may be sufficient in Korean patients with early stage of SAA transplanted with marrow from alternative donors.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in present study is small, results are encouraging. Stem cell transplantation using alternative donors may be considered at early stage of aplastic anemia.

      • KCI등재후보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침습성 진균 감염에 대한 Micafungin의 예방 효과 및 안전성

        김시현,이동건,최수미,권재철,박선희,최정현,유진홍,이성은,조병식,김유진,이석,김희제,민창기,조석구,김동욱,이종욱,민우성,박종원 대한감염학회 2010 감염과 화학요법 Vol.42 No.3

        Background: Micafungin, a potent inhibitor of 1,3-β-D-glucan synthase, is a novel antifungal agent of the echinocandin class. In vitro study showed that micafungin was effective against Aspergillus species as well as Candida species, but clinical data on the prophylactic efficacy against invasive fungal infections (IFIs) other than candidiasis are still lacking. Materials and Methods: We identified 60 consecutive adul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recipients who received at least 3 doses of micafungin during neutropenic period. Micafungin was started as an alternative in patients who were intolerant or had adverse events (AEs) to primary prophylactic antifungal agent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and analyz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micafungin for prophylaxis against IFIs. Results: The patients either had autologous (n=9) or allogeneic (n=51: 1 syngeneic, 24 sibling, 26 unrelated donor) HSCT. Itraconazole oral solution (n=58)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irst line antifungal agent for prophylaxis and was administered for median 11 days. The most frequent cause of switch to micafungin was vomiting (n=42). The duration of neutropenia and micafungin administration was median 13 and 12 days, respectively. A successful outcome was achieved in 45 (75%) patients. Empirical antifungal therapy was initiated in 13 (22%) patients. There were 2 cases (3.3%) of breakthrough fungal infections which comprised a probable invasive pulmonary aspergillosis and a possible invasive fungal sinusitis. There was no case of invasive candidiasis. A total of 53 (88%) patients experienced at least one AE regardless of causality during micafungin administration. The most frequent AEs were hypokalemia, vomiting, diarrhea, and elevated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or alanine aminotransferase. Among the aforementioned AEs, only 1 case of diarrhea could be classified as a probable relation with micafungin when causality was assessed. There was no AEs that caused discontinuation of micafungin. Conclusions: Micafungin seems to be a safe and effective agent for prophylaxis of IFIs including aspergillosis as well as candidiasis in HSCT recipients. However, further large, prospective, and randomized comparative studies are warranted for aspergillosis.

      • SCOPUSKCI등재
      • 논에 있어서 포장정보 공간변이의 공간통계학적 해석

        이충근,손연규,성제훈,정인규,김상철,박우풍,박원규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4 No.2

        논에 있어서 정밀농업을 위한 기초자료수집과 분석을 하기 위해서 토양의 특성, 포장면 고저차, 생육상태 그리고 수량에 관한 포장정보를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기본통계값을 살펴보면 유효태 규산의 경우는 한 포장내 14배 이상의 변이차이를 보였으며, 생육정보 중 분얼수는 3배, 수량은 4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나. 포장정보의 변이계수를 살펴보면 5.45∼51.3%의 공간변이를 보였다. 토양특성 중에 pH를 제외한 나머지가 10%이상의 공간변이를 보였다. 포장면 고저차는 51.3%, 생육정보는 7.32∼23.2%, 그리고 수량에 있어서도 변이계수가 22.5%를 보였다. 다. 포장정보를 공간통계학을 이용해 해석한 결과, 포장정보의 공간구조 발달여부를 표시하는 Q값이 0.24∼1로서 공간구조가 포장정보에 따라서 발달되어 있었으며, 공간변이의 의존거리를 나타내는 랜지는 8.1∼147.9m를 보였다. 그러나, 실질적인 랜지는 토양특성값이 15∼50m 정도, 생육정보는 15m 전후, 포장면 고저차는 30m 정도, 수량은 8.1m를 보였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크리깅 방법으로 데이터를 보간하여 지도화 시킨결과, 공간변이를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포장정보 지도를 얻을 수 있었다. Soil properties, relief of field surface, growth information, grain yield were investigated in a 1ha paddy field in 2001 to obtain basic field information for precision agriculture. The field information were analyzed to examine their within field variability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method. Semivariograms and Kriged maps of geostatistical analysis were also adopted to examine their within field spatial dependenc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Nutrient distribution difference of available SiO_2 was seemed 14 times overs, 3 times overs at tiller number, 4 times overs at grain yield from within a paddy field. 2) Descriptive statistics of field information showed tha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ranged from 5.45∼51.3%. 3) Field information showed a high spatial dependence within a paddy field. The Q values ranged from 0.24∼1, the ranges of spatial dependence were from 8.1∼50m, respectively. 4) Kriged maps enable the visualization and comparison of the spatial variability of field informaton.

      • 중증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의 동종골수이식 후에 병발한 간정맥폐색질환(Hepatic Veno-Occlusive Disease)의 임상 경과 및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

        이제환,이규형,최성준,민영주,김신,이정신,김상희,박찬정,지현숙,김우건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9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4 No.2

        연구배경: 재생불량성 빈혈 경우에는 조혈모세포 이식 후 VOD의 발생에 관한 보고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저자 등은 cyclophosphamide와 antithymocyte globulin으로 전처치 후에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재생불량성 빈혈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VOD의 발생과 임상 양상,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에 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방법: 재생불량성 빈혈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 받은 13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기준에 따라 VOD를 진단하였으며 임상 경과에 따라서 경중을 분류하였다. Protein C, protein S, antithrombin Ⅲ, tPA, PAI-1 등의 혈액응고 인자들을 전처치 투여전, 골수 주입당일, 이식 후 제7, 14, 21일에 측정하였다. 결과: 7예(53.8%)에서 VOD가 발생하였으며, 경증 5예, 중등도 2예였다. VOD군에서 혈소판치가 20.000/㎕ 이상을 유지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더 길었다(p=0.026). 또한 VOD군에서 적혈구 및 혈소판의 수혈 요구량이 각각 유의하게 많았다(p=0.025, 0.015).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를 보면, 제 0일에 VOD군에서 PAI-1의 혈중 농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34). 결론: 재생불량성 빈혈환자에서도 조혈모세포 이식 후에 VOD의 높은 발생률을 관찰하였으며, 대부분이 경증이었다. VOD 환자에서의 혈액응고 인자들의 변화는 PAL-1이 VOD의 감별 진단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Background: There are few reports about the occurrence of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VOD)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BMT) for severe aplastic anemia (SAA). We analyzed the incidence and clinical outcomes of VOD and changes of coagulation factors in patients with SAA who were conditioned with cyclophosphamide plus ATG and underwent allogeneic BMT. Methods: Thirteen patients with SAA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were included. A diagnosis of VOD was made according to clinical criteria, and severity of VOD was classified according to clinical course. Plasma levels of protein C, protein S, antithrombin Ⅲ, t-PA, and PAI-1 were determined before preparative chemotherapy, in the day of marrow infusion, and days 7, 14, and 21. Results: VOD occurred in 7/13(53.8%). Five were mild VOD and two were moderate VOD. Time to platelet ≥20,000/L was slower (p=0.026) and red cell and platelet transfusion requirements were higher (p=0.025,0.015) in patients with VOD . The mean plasma level of PAI-1 at 0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VOD (p=0.034). Conclusion: We observed the high incidence of VOD after allogeneic BMT in patients with SAA. A majority of cases of VOD were mild. The changes of PAI-1 after BMT may be useful marker of hepatic VOD

      • 공진 기초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동적 전단계수 추정에 관한 연구

        우제윤,김수일,이형인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85 논문집 Vol.17 No.2

        In this study, a resonant footing technique to estimate the dynamic shear modulus of asphalt concrete using the torsional vibration test is developed. From this study an empirical formula is proposed to estimate the dynamic shear modulus of asphalt concrete. The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values estimated from the measurement of primary wave velocities. The oscillator made for this study has thin circular bars which are considered as springs. Heavy upper part of the oscillator is connected to lower aluminum plate by means of springs. The oscillator is designed so that torsional vibration of aluminum plate is caused by magnetic force and footing-asphalt concrete system also vibrates together with aluminum plat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the maximum difference of the dynamic shear modulus from the resonant footing test and primary wave velosity detection shows 3% deviation when the Poisson`s ratio is assumed to be 0.3. The apparatus made for this study is thought to estimate the dynamic shear modulus of asphalt concrete properly. It is also found that the dynamic shear modulus is not influenced by confining pressure within the range of confining pressure applied in this study.

      • KCI등재

        Cariogram을 이용한 모자간 우식활성도의 상관성 및 우식위험요소 평가

        이석우,송제선,최병재,최형준,이제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6 No.3

        영유아기 치아우식증은 복잡하고 다인자적 질환으로 숙주 및 미생물, 식이, 시간 등의 위험요소에 의해 질환이 진행된다. 이 중 미생물로 대변되는 Streptococcus mutans(S. mutans)는 우식 개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머니를 통한 수직 감염이 잘 알려져 있다. 영유아기의 어머니를 통한 조기 감염은 향후 유치열기 우식 발생과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므로 우식위험요소에 대한 조기 파악은 미래의 치아우식증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치아우식증의 원인 및 이에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우식 진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위한 여러 가지 우식위험도평가(caries risk assessment) 도구가 개발되었는데, 이 중 대표적인 한 가지가 Cariogram이다. Cariogram은 개인의 우식활성도 및 우식위험요소(caries risk factor)의 상호작용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3~5세의 중증 유아기우식증(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S-ECC)에 해당되는 어린이들과 그들의 어머니 사이에서 우식관련타액검사 및 최근 개발된 Cariogram을 이용하여 S. mutans의 수준 및 우식활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존재함과 우식위험요소 간의 연관성을 파악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중증 유아기우식증을 보이는 어린이에서 구강 내 존재하는 Streptococcus mutans의 수준은 비우식군보다 높았다(p<0.05). 2. 모자간 구강 내 존재하는 Streptococcus mutans 수준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3. 모자간 우식활성도를 Cariogram을 통해 측정해 본 결과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4. 우식활성도에 미치는 우식위험요소는 어린이에서 숙주요소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S. mutans가 향후 치아우식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용한 우식위험요소가 될 수 있으며, Cariogram을 통한 향후의 우식진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우식위험요소가 예측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조기 대처 및 예방적 처치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Dental caries during infantile and early childhood period is a complex disease resulting from multiple caries factors. Streptococcus mutans(S. mutans) plays a critical role in the initiation of caries, and its early transmission through mothers provides a strong etiologic factor for future development of caries in the primary dentition. Therefore, early detection of caries risk factor is important for prevention of caries. Recent studies about etiologic factors of caries have brought advent of various tools for caries risk assessment in order to predict progress of caries more accurately. Cariogram is a common tool for caries risk assessment, which illustrates present caries risk assessment and correlation of caries risk factors for an individual graphical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if there is any correlation in the level of S. mutans and caries activity and to verify the effect of caries risk factors between children with age ranging from 3 to 5 years with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S-ECC) and their mothers using caries-related salivary test and Cari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Children with S-ECC had a statistically higher level of Streptococcus mutans compared to caries-free children(p<0.05). 2.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 the aspect of the level of Streptococcus mutans(p<0.05). 3. When caries activity was assessed using Cariogram,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was found(p<0.05). 4. When each caries risk factor was evaluated for its affect on caries activity, host was more influential factor compared to microorganism and diet in children. Based on these results, we could conclude that assessing the level of S. mutans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predicting possibility of caries formation in future. Since prediction of future caries progression and evaluation of caries risk factor became possible with Cariogram, we may conduct early and preventive measures for treatment of caries.

      • KCI등재
      • Rayleigh파의 해석을 통한 다층토의 동적 물성 추정에 관한 연구

        우제윤,이두희,김수일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85 논문집 Vol.17 No.2

        In this study, a data reduction method is developed to predict the dynamic shear modulus of each layer of multi-layered soil from the measured surface wave velocities. The method developed utilizes the vertical amplitude attenuation curve of surface wave in homogeneous soil. Numerical model studies show that the technique developed in this study is more accurate compared with the one-third technique widely used for the time being. The maximum error of data reduction from the technique developed in this study is found to be approximately one half of that of data reduction from the one-third technique. It is also found in this study that assumed Poisson`s ratio may by used without causing any significant error, however, unit weight of each layer should be exactly estimated in order not to cause any significant error.

      • 실리카흄을 흔입한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

        홍창우,김태경,김경진,김성환,김남윤,심도식,이정호,윤청호,백민경,원치문,박제선,이주형,정경일 강원대학교 석재복합신소재제품연구센터 1996 석재연 논문집 Vol.1 No.-

        콘크리트 구조물이 대형화됨에 따라 설계단면이 증대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경제적 손실을 부담하게 된다. 따라서 단면을 감소시키면서도 소요의 하중에 안전한 구조물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구조물 건설에 기초가 되는 고품질, 고내구성의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일정 시멘트비 및 혼화재 비율하에서 소요의 워커빌리티가 확보되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시간과 온도의 변화에 따라 증기 양생하여, 압축, 인장, 휨강도 뿐만 아니라 파괴특성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시료 제작시 시멘트 입자 사이의 공극 및 불연속 영역을 충전하여 고밀도화하기 위한 콘크리트용 혼화재로 시멘트 비표면적이 상당히 작은 초미립 분말인 실리카흄을 이용하였다. 또한 AE감수제 및 고성능 유동화제를 사용하여 혼화재의 첨가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워커빌리티의 감소를 방지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일정 양생 지속 시간하에서 온도의 증가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 인장 및 휨강도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일하게 일정 온도하에서 양생 지속시간이 커짐에 따라 강도들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와 긴 지속 양생 조건하에서 파괴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나타났다. The compressible, tensible, and flexibleresistance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is analyzed by the experimentation in the present study. For the test, we cure several samples with the silica fume as a mixture being become dense the spaces between the particle of cement under the variation of both the temperature and the curing-interval. Then, the superplasticizer and the ezcon are also used to satisfy the required workability for construction. The compressible, tensible, and flexible resistances to a stress are increased as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the time interval for the curing.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overal fra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s improved by mixing the silica fume into the c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