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적 자본 이론으로 살펴본 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에 관한 질적 연구

        김유진,김유진,유태한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life of waste picking older adults by utilizing the social capital theory developed by Bourdieu, Coleman, and Putnam.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 studied the background of older adults who have made money by picking up waste resources, their experiences in picking up waste resources, and their continued doing it despite of various difficulties. Interviews with 16 elderly and nine people around them, including junk shop officials and social workers, and data from participatory observation were analyzed using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life of older adults who pick up waste resources can be examined in six types, depending on when to enter the world of waste resources-picking up and the purpose of the activity, and the way the elderly interact with the environments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managing, and selling waste resources. Second, although the background of waste resource collection and the appearance of social capital working are slightly different, making money by picking up waste resources is reasonable choices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Third, older adults interact with the world with long-lived neighbors of similar circumstances who know the situation intimately, and the world that threatens and ignores the ‘old man who is picking up’,giving meaning to activities of picking up waste resources, and further giving meaning to their own lives. Fourth, despite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low income compared to time and labor, negative societal attitudes toward them, and poor health, the activities of picking up waste resources continues because they have become an expression of their familiar lifestyle, a way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a way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related discussions, we suggested a few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expanding social capital for older adult street waste pickers. 본 연구의 목적은 부르디외, 콜맨, 퍼트넘 등에 의해 발전된 사회적 자본 이론을 활용하여 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을 탐색하는것이다.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노인들이 폐자원 수거의 길로 들어선 배경, 이들의 폐자원 수거 활동의 경험, 그리고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불구하고 이들이 폐자원 수거를 계속하는 현상을 사회적 자본이라는 ‘일깨우는 개념’을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16명 폐자원수거 노인과의 면담, 고물상 관계자, 사회복지사 등 주변 인물 9명과의 면담, 그리고 참여관찰의 자료를 중심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폐자원 수거 활동 진입 시기 및 활동 목적, 그리고 폐자원 수거, 관리, 판매하는 과정에서 노인이관계 맺고 교류하는 방식에 따라 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의 모습을 여섯 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음. 둘째, 폐자원 수거의 길로들어선 배경과 사회적 자본이 작동하는 모습은 조금씩 달라도 폐자원 수거는 이들의 형편과 상황에 맞춘 합리적 선택임. 셋째, 노인들은사정을 속속들이 아는 비슷한 형편의 오랜 이웃과의 세계, 그리고 ‘폐지나 줍는 노인’을 무시하고 위협하는 세계와 상호작용하며 폐자원수거 활동에 대해 의미 부여, 나아가 자신의 삶에 대해 의미 부여함. 넷째, 시간과 수고 대비 낮은 소득, 부정적인 사회 인식, 건강악화 등 여러 가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폐자원 수거를 계속하는 것은 폐자원 수거 활동이 이들에게 익숙해진 삶의 방식의 표현이자사회 참여 방식, 그리고 세상과 소통하는 방식이기 때문임. 본 이론 주도 연구는 사회적 자본 개념이 저소득 노년의 삶을 이해하는하나의 이론적이고 발견적인(heuristic) 도구로서 충실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불평등하게 축적된 사회적 자본의 결과뿐 아니라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에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는 과정, 그리고 그 과정에서 노인과 주변의 역할과 상호작용을 살펴볼 수 있다. 사회적자본의 틀에서 볼 때, 노인에게 폐자원 수거 활동은 자신의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최선의 합리적인 선택일 뿐 아니라 구성원 간의기대와 의무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호혜적인 사회활동이며, 나아가 사회 참여 방식이자 세상과의 소통방식일 수도 있다. 본 연구 결과와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폐자원 수거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자본 확장을 지원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19~20세기 구례 유씨가柳氏家 일기에 나타난 식물생활사 연구

        김유진 한국국학진흥원 2022 국학연구 Vol.- No.48

        본고는 19~20세기 전라남도 구례 지역에 거주한 유제양柳濟陽(1846~1922) 의 일기 『시언是言』과 유형업柳瀅業(1886~1944)의 일기 『기어紀語』를 통해 19~ 20세기 문화유씨가⽂化柳⽒家 조손祖孫의 식물생활사를 고찰하였다. 먼저, 조손의 화목花木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원예 활동은 ‘애화愛花’와 ‘애림愛林’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특히 조부 유제양은 지속적으로 인근에서 귀한 식물을 구해, 운조루雲鳥樓 주변을 가꾸는 모습을 보인다. 일기에 등장하는 원예식물로는 동백나무·대나무·모란·버드나무·소나무·오동나무·영산홍·자산홍·종려나무·잣나무·탱자나무·매화나무 등이 있으며, 해당 식물을 통해 구성하는 운조루의 자연경관은 개인적 취향과 화훼에 대한 안목 그리고 풍수지리적 사고 등이 반영되어 있다. 화목花木을 활용한 공간의 구성은 인근 사찰로부터의 수급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들의 삶의 터전인 구례 오미동五美洞은 주변에 많은 사찰이 있었고, 그중에서도 화엄사는 유형업을 비롯한 일가 친척들이 유람하거나 유숙하는 곳으로 유씨柳⽒ 가문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닌 곳이었다. 꽃과 나무는 스님이 직접 제공하거나 이들이 직접 사찰에 방문 또는 요청하는 방식으로 획득하였으며, 대부분 정원수로 적절한 수종이거나 귀한 품종이었다.

      • 소아의 열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이해 및 처치

        김유진,허재균,Kim, Eugene,Hur, Jae Kyu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7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4 No.1

        목 적 : 열은 소아에서 매우 흔한 증상 중 하나이지만 부모들은 열 자체를 위험한 질환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다. 열에 대해 올바로 아는 것은 부모의 불필요한 염려를 덜고 환아의 질환과 진단 및 치료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의 열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과거와 비교하여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 동안 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소아의 보호자들에게 열에 대한 지식, 태도, 대처 방법을 묻는 19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 과 : 136명이 답하였으며 10년 전에 비하여 열에 대한 정보, 태도, 대처 방법 등에서 크게 개선된 점이 없었다. 열에 대한 기본 지식인 열의 기준과 측정 방법에 대해서 잘못 알고 있는 보호자가 많았고, 열성경련과 뇌손상의 가능성에 대한 염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었다. 열은 항상 해롭고 위험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체온에서도 실제보다 심각한 결과를 걱정하며 해열제를 투여하고 병원에 방문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론 : 보호자들은 열이 이로운 점을 가진 생리 반응중의 하나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실제보다 심각한 결과를 예상하며 따라서 불필요한 우려와 치료를 택하게 된다. 이런 잘못된 인식은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큰 변화가 없었으며 따라서 소아과 의사들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부모들에게 해열제를 사용하도록 할 때는 열이 해롭지 않으며 해열제의 목적은 열로 인한 아이의 불편감을 덜어주는 것임을 반복하여 알려주고, 더 나아가서는 소아과 의사들이 좀 더 체계적인 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열에 대한 올바른 인식 형성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된다. Purpose : Fever,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 in pediatric clinics, has been believed to be a dangerous symptom by many parents. Proper recognition about fever will relieve unnecessary anxiety of parents and help them understand the course of the disease. Our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current parental recognition about fever and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ose described in 1992. Methods : Between May and July 2006, we questioned caregivers who visited the pediatric outpatient clinic in St.Paul hospital.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9 items asking about recognition, attitude and management of fever. Results : A total of 136 caregivers were interviewed. Compared with 10 years ago,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misconception about fever. Many caregivers (61%) had wrong information about a definition and the way to measure body temperature. There were still high concerns about febrile convulsion and brain damage from fever. Caregivers started treatment at the body temperature which actually needed no therapy. Conclusion : Parents were not aware that fever is just one of physiologic responses and has benefits, which led to unnecessary anxiety and treatment. This misconception has not been changed over the years. Pediatrician should inform parents that fever itself is not harmful and only rational reason for use of antipyretics is to relieve a discomfort of a febrile child. An educational interventions offered by pediatricians will be helpful for parents to have right attitude and understandings toward fever.

      • KCI우수등재

        미국 브라운필드 관리 프로그램과 정책의 시기별 특성과 함의

        김유진,패트릭 밀러,Kim, Eujin Julia,Miller, Patrick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5 韓國造景學會誌 Vol.43 No.1

        하수처리시설, 군부대 등의 산업이전적지의 공원화 계획이 늘어나면서 브라운필드 재개발은 조경계획 및 디자인에서 하나의 분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주변 커뮤니티 활성화, 지가 상승 등 동반이익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면서 선별된 부지들의 종합적 계획 및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브라운 필드 관리 정책의 변화양상을 살펴 본 기초적인 사례연구로서, 1980년 수퍼펀드 프로그램 도입 이후, 약 30 여 년간 확장하여 온 브라운필드 프로그램과 정책의 시기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 서술적, 해석적 방법에 기반한 미국 환경부 산하 기관들의 웹문서 및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 정책의 특성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주요한 변화를 기점으로 하여, 환경규제시기, 오염정화 및 재개발 촉진시기, 종합적 계획시기의 세 가지 시기로 구분되었고, 주요 특성은 규제 완화 및 재조정, 지원 프로그램의 다양화, 하향식과 상향식 방식의 조화,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네 가지 측면으로 요약되었다. 본 연구는 대상지 선별기준, 이해 당사자 파악 및 책임분쟁 조정, 오염도 평가비용 및 처리 등 브라운필드만이 가진 공통 문제들이 어떻게 다뤄져 왔는지 선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의 체계적 브라운 필드 관리 및 계획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다. Brownfield sites are beginning to be considered as potentially useful areas for landscape design and planning, with post-industrial areas such as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military training bases being converted into useful landscapes such as parks and recreation areas. These redevelopments bring broad benefits through revitalizing communities and increasing property values, thus, increasing the demand for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planning policies.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U.S. brownfield policies and programs and, identifies their periodic characteristics over the thirty years since the Superfund program was introduced in 1980. A descriptive and interpretive approach was utilized, focusing specifically on a time sequential analysis of the data gathered from the overview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 web-based documents and related literature. The primary changes in and characteristics of programs and policies were analyzed and divided into three periods : environmental protection, remediation and reuse, and comprehensive planning. Four major features were identified: relaxation and readjustment of regulation, diversification of support programs, a mix of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es, and database system building. The study examines how common brownfield problems such as site identification difficulties and assessment and remediation cost have been dealt with in the regulatory context and has implications for future policies and programs for effective brownfield planning and management in Korea.

      • KCI등재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efficacy of peginterferon alfa plus ribavirin in chronic hepatitis C patients coinfected with hepatitis B virus

        김유진,이진우,김연수,정숙향,김영석,임형준,김보현,박충기,박상훈,이천균 대한간학회 2011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7 No.3

        Background/Aims: Cross-sectional studies have documented that 2-10% of patients who are chronically infected with hepatitis C virus (HCV) are also positive for hepatitis B virus (HBV) surface antigen (HBsAg). Data related to HCV-HBV coinfection are lacking in Korea.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treatment efficacy of peginterferon alfa plus ribavirin, and the changes induced by such treatment in HBV status in chronic hepatitis C (CHC) patients coinfected with HBV. Methods: Eighteen (2.37%) HBsAg-positive CHC patie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758 subjects from the K(G)yeonggi-Incheon Peginterferon alfa and ribavirin in chronic hepatitis C Treatment (KIPECT) study, which evaluated the treatment efficacy and safety of peginterferon alfa plus ribavirin in CHC patients. Data on changes in the status of HBV infections were obtained. Results: HCV genotype 1b was the most common (44%). The overall sustained virologic response rate was 72% in all patients, and 60% and 87.5% in genotypes 1 and 2, respectively. Two of the 18 patients were positive for HBeAg, and 15 had baseline HBV DNA level of less than 2,000 IU/mL. Two of the three whose levels exceeded this threshold showed no detectable DNA after treatment. After the completion of treatment, serum HBV DNA levels were increased in the two patients whose baseline HBV DNA levels were less than 2,000 IU/mL.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HBV coinfection in CHC patients was 2.37% and most of the patients were inactive carriers. The treatment efficacy was similar to that of HCV mono-infection. Reactivation of HBV replication was observed in some patients after CHC treatment.

      • KCI등재

        고려시대 구정(毬庭)의 의례적 활용과 다변성 고찰 ―고려사 「세가」 기록을 중심으로―

        김유진 국립민속박물관 2019 민속학연구 Vol.0 No.44

        This thesis focused on Gujeong(毬庭)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based on the 「Sega(世家, noble family history)」 Section of the 『Goryeosa(高麗史, History of Goryeo)』 at the patterns in which the Gujeong diversified according to the ritual use. In 1234, King Gojong(高宗) moved the royal road to Ganghwa(江華) to escape the Mongol army's invasion, and named the ancient palace and temple just like the city of Gaegyeong(開京, Capital of Goryeo). It is shown that Gu-jong is included in the basic space that constitutes the capital. In particular, Gujeong in the Goryeo Dynasty was a place where three religions(Buddhism, Confucianism and Taoism) were implemented and a place where national ceremonies were held. According to the 『Goryeosa(高麗史)』, there will be a extensive-scale of Palgwanhoe(八關會, Buddhist rites), Banseung(飯僧, Buddhist event) and Choje(醮祭, Taoist-related events), and it was in Gujeong that hosted a banquet(Confucian-related events) for the elderly in the country. In celebration of Palgwanhoe(八關會), the king was congratulated by a retainer and a foreign envoy at a pavilion called Uibong(儀鳳). After that, They gathered together to eat, drink, and watch fancy performances until late in Gujeong. Gujeong along with the ceremonial character of each of the three religions, it served as a place where various celebrations, a place of prayer to prevent disaster, and a place of wish for blessings. It also appeared as a venue for festivals where there were celebratory performances and sacred offerings, such as the Palgwanhoe(八關會). Finally, Gujeong was a place where the Confucian ideology of Goryeo, which adheres to 『Wolnyeong(月令, the book on Annual Cyclical Rituals)』 Pass and values Samro-Ogyeong(三老五更), was specifically realized. 본 연구는 고려시대 ‘구정(毬庭)’에 주목하여, 『고려사』 「세가」 기록을 토대로 구정이 의례적 활용에 따라 다변화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구정은 고려시대 궁궐 구조에서 중심이 되는 건축군의 하나이자, 수도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공간에 포함되었다. 특히 고려시대의 구정은 의봉루(儀鳳樓)에서 조망되는 넓은 뜰로 삼교(三敎)가 구현되는 장소이자 국가 의례가 거행되는 공간이었다. 『고려사』에 따르면 부처를 공양하고, 나라의 신을 즐겁게 하는 오신(娛神)적 성격을 지닌 팔관회와 최대 3만 명에 달하는 재식(齋食)행사인 반승(飯僧)이 구정에서 개최되었다. 팔관회를 맞이하여 왕은 의봉루에 나아가 대소신료들과 외국 사신의 하례를 받고 술과 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각종 등(燈)으로 화려하게 치장된 구정의 가무잡희를 관람하였다. 그리고 왕은 직접 구정에서 나라의 안정과 천변재이를 막기 위해 천지(天地)·산천(山川)·성신(星辰)등 많은 신에게 초제(醮祭)를 지냈다. 또한 국가 원로와 사궁(四窮) 등 어려움에 처한 일반 남녀 백성을 대접하는 친향(親饗) 공간이 바로 구정이었다. 구정은 이처럼 국가적 중요도가 높은 다양한 의례들이 행해지는 장소이자, 삼교(三敎) 각각의 의례적 성격에 따라 다변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구정은 특정한 날을 맞이하여 축하하는 하례(賀禮), 각종 천재지변이나 재이를 막는 소재(消災), 그리고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비는 기양(祈禳) 등이 발현되는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또한 팔관회와 같이 경사스런 축연[祝]과 성스러운 제의[祭]가 존재하는 축제의 장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정은 『월령』을 준수하고, 삼로오경(三老五更)을 중시하는 고려의 유교적 사상이 구체적으로 실현되는 장소였다.

      • KCI등재

        유머기반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생의 유머스타일 및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김유진,유순화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humor-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s on the humor style and peer attachment of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we recruited 24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and the students completed the humor style scale and peer attachment scale. We assigned the students into two groups: 1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2 in the control group. A 10-session, each lasted for 50 minutes, of the humor-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OVA in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Results first showed that the scores on the humor style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meaning more adaptive humor style) than those on the humor styl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mprovement than the control in peer attach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umor-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examined in this study could be effective in promoting adaptive humor style and peer attachment among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유머기반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생의 유머스타일과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B시 H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2곳의 4~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한 후, 한 회기에 50분씩 총 10회기의 유머기반 긍정심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유머스타일 척도와 또래애착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통해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머기반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달리, 유머스타일 검사 점수가 상승하였다. 유머스타일 점수는 높을수록 적응적 스타일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둘째, 유머기반 긍정심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또래애착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프로그램이 초등 고학년생의 유머스타일과 또래애착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상담과 교육 현장에서 초등 고학년생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유머에 기반 한 개입이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식중독 원인 미생물 장기 보존 방법에 대한 고찰

        김유진,김수민,김소연,윤요한,Kim, Yujin,Kim, Soomin,Kim, Soyeon,Yoon, Yohan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3

        The rapid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microorganisms or their genetic information. Thus,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was established, and countries are working to secure industrially and academically useful bioresources to deal with the agreement. In the case of Korea, because 67% of bioresources are imported from abroad, we are required to secure domestic bioresources as well. The number of isolated foodborne illness-causing microorganisms is predicted to invrease based on the incresing number of outbreaks of foodborne illness each year. Consequently, appropriate long-term preservation methods are necessary to secure the isolated microorganism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and resourcification. Therefore, the long-term preservation methods for bacteria, fungi, viruses, and protozo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bioresource banks, and the functions of the cryoprotectants were reviewed and discussed. This review should be informative in the preservation of microorganism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 KCI등재

        『莊子』 내 ‘而’의 철학적 함의 연구

        김유진 한국비교문학회 2022 比較文學 Vol.- No.8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ighlight the concept of “ér” (而) as the grammatical basis of Zhuangzi (『莊子』)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Zhuangzi’s philosophy and narrative technique, while also criticizing the existing system of interpretation that attempts to excessively grammaticalize the text’s language.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ér” in Zhuangzi, which have not been given much attention over the years. The general issue of violent language raised by Zhuangzi has been constantly emphasized in the discussion of deconstructionist themes since the 2000s. However,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Zhuangzi’s linguistic philosophy characterized by a developed bias towards his skeptical view of language, it is true that the explanation of the specific grammatical basis of the text, the point that language is actively used because linguistic violence is strategically suppressed, is rather incomplete. As a result, there have been many instances of excessive grammaticalization of Zhuangzi in previous studies, alienating the language of the original text as an isolated and monologic text.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 grammatical basis that accurately portrays Zhuangzi’s motivation to express the limits of language, without omitting the categorical functionality of language, requires supplementation through a dynamic, dialogic relationship between Zhuangzi and the reader. To that end, this study does not fixate its interpretation of Zhuangzi to a particular form or type. Rather, by ensuring the maximum degree of autonomy in interpretation, this study not only gives rise to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but also, at the same time, liberates readers from the restraints of dynamism. In doing so, the most habituated and deautomated language can be traced to designate “ér” as the grammatical philosophy of Zhuangzi. Thu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ér” in Zhuangzi is interpreted as a form of degrammaticalization or silence. Furthermore, it can be confirmed that, by straying from the pre-set linguistic mediums found in environments characterized by involuntary thought, readers can experience a style of reading comprehension that inevitably gives rise to diverse meanings through a dynamic, dialogic relationship. Lastly,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Zhuangzi’s inanimate language, “ér”, from the perspective of Mikhail Bakhtin’s concept of philosophical transgression and Gilles Deleuze’s concepts of comprehensive disjunctive synthesis and becom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