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수 침지 처리가 치콘 절단면의 적변 억제에 미치는 영향

        정현진(Hyun Jin Jung),강호민(Ho-Min Kang) 한국원예학회 2014 원예과학기술지 Vol.32 No.3

        치콘의 판매 중 상품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치콘 절단면 적변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열수 침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열수침지처리로는 대조구(20℃ 1분)과 38℃에서의 4분, 8분, 42℃에서의 2분, 4분, 그리고 45℃에서의 1분, 2분을 두었다. 색차계로 측정한 △a<SUP>*</SUP>과 △h값은 42℃ 2분 처리에서는 가장 낮게 유지되었으며, 42℃의 2분과 45℃의 1분 처리구에서는 대조구보다 유의 있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10℃에 저장 6일째 관능 평가한 절단면의 적변지수는 42℃의 2분과 4분 처리 그리고 45℃의 1분 처리에서 낮았다. 적변의 원인 물질이 되는 총페놀함량을 저장 6일째 조사하였는데, 이 또한 절단면의 색변화가 적었던 42℃의 2분과 4분 처리 그리고 45℃의 1분 처리에서 낮았다. 페놀물질 합성에 관여하는 PAL 활성은 42℃ 2분 처리에서는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42℃의 2분와 45℃의 1분 처리구에서는 대조구보다 유의 있는 낮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가장 강한 열처리였던 45℃의 2분 처리에서는 절단면의 적변이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며, 페놀함량과 PAL 활성도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공기에 노출된 절단조직에서 페놀물질을 산화시켜 적변을 일으키는 PPO의 활성은 42℃와 45℃의 모든 처리구에서 낮았는데, 특히 다른 조사항목에서는 모두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던 45℃의 2분 처리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각 조사항목간 상관관계에서, PPO를 제외한 모든 조사항목간에서는 대부분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특히 관능평가한 적변지수와 △h값은 r = 0.927<SUP>***</SUP>를, PAL 활성과 총 페놀물질 함량과는 r = 0.942<SUP>***</SUP>의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Hot water dipping test was conducted for chicon to restrict red discoloration of its basal part which impairs the product value during sales. Hot water dipping treatment was given to chicon for 4 min and for 8 min at 38℃ and for 2 min and 4 min at 42℃, and for 1 min and 2 min at 45℃, along with control (for one min at 20℃). The red discoloration indices of basal part of chicon during sensory evaluation on the sixth day of storage under the storage temperature at 10℃ was lower at 42℃ for 2 min, 42℃ for 4 min and 45℃ for 1 min treatments. The color change value of the basal part in chicon measured by colorimeter showed that the lowest △a<SUP>*</SUP> and △h were maintained in the basal part of chicon treated at 42℃ for 2 min. Whereas, color changes in 42℃ for 2 min and 45℃ for 1 min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low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hich are the substances that cause red discoloration of basal part in chicon were lowest at 42℃ for 2 min, 42℃ for 4 min and 45℃ for 1 min treatments. The activity of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AL) resposible for in the synthesis of phenolic substances was the least in 42℃ for 2 min treatment. Whereas, PAL activity of the chicons treated a t 42℃ for 2 min and at 4 5℃ for 1 mi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 hat of c ontrol. However, r ed d iscoloration was progressed as similar level with that of control in the basal part of chicon at 45℃ for 2 min.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PAL activity in this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in control. The polyphenol oxidase (PPO) activity which causes red discoloration of cut tissues was low in all the treatments including 42℃ and 45℃ treatment at which no inhibition effects of the red discoloration of basal part of chicon were observed. Whe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ach investigated index was tested, most of them showed high correlation except the PPO activity and particularly and the red discoloration index and sensory evaluation △h values, and PAL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content were r = 0.927<SUP>**</SUP>, and r = 0.942<SUP>**</SUP>, respectively.

      • KCI등재

        물리적 처리에 의한 강력분 밀가루 Gliadin의 항원성 변화

        강보경(Bo-Kyeong Kang),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김민지(Min-Ji Kim),박시우(Si-Woo Bark),박원민(Won-Min Pak),김보람(Bo-Ram Kim),안나경(Na-Kyung Ahn),최연욱(Yeon-Uk Choi),최정수(Jung-Su Choi),최호덕(Ho-Duk Choi),안동현(Dong-Hyun A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에서는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gliadin의 항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강력분에 가압가열과 microwave를 단독 또는 병행으로 처리하여 Ci-ELISA, SDS-PAGE 및 immunoblotting을 실시하였다. 가압가열 처리의 경우 시간이 길어질수록 IgG와의 결합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50분 처리구에서 약 87%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 또한 SDS-PAGE와 immunoblotting 결과에서도 무처리구에서 강하게 보였던 gliadin band가 가압가열처리에 의해 거의 소실되고 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가압가열 및 microwave를 병행 처리 시도 마찬가지로 gliadin의 결합력이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중 가압가열 50분, microwave 5분 처리구에서 약 93%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 반면 microwave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에는 일부 단백질의 변화는 관찰되었으나, 항원성 감소에는 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여 단백질 변화가 항원성에는 큰 효과를 준 것 같지 않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압가열 단독 처리 및 가압가열 및 microwave의 병행처리 시 gliadin의 항원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physical treatments on the antigenicity of gliadin in strong wheat flour. Strong wheat flour was treated with an autoclave (5, 10, 30, 50 min), a microwave (1, 5, 10 min), or both (10, 30, 50 min/ 5, 10 min), followed by SDS-PAGE, immunoblotting, and Ci-ELISA using anti-gliadin Ig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inding ability of IgG to gliadin in strong wheat flour slightly decreased after autoclaving or autoclaving/microwaving. In particular, the binding ability was reduced to about 87% after autoclaving for 50 min and to 89% after autoclaving/microwaving (50/5 min). In addition, gliadin bands in the 50 min autoclaved group disappeared in both SDS-PAGE and immunoblotting. On the other hand, the antigenicity of gliadin was unaffected by microwaving alon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utoclaving may reduce the antigenicity of gliadin in strong wheat flour.

      • SCOPUSKCI등재

        Uncoupling Protein 3의 골격근 세포내 과발현이 OLETF 백서 및 배양된 골격근 세포에서 포도당대사에 미치는 영향

        한정희,박혜선,고정민,김하영,강호경,이인규,박중열,홍성관,이재담,이기업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6

        연구배경:Uncoupling protein(UCP)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에 위치하는 단백질로 세포내의 과다한 에너지를 열로 발산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최근 동물의 갈색지방조직에만 존재하는 UCP와 유사성을 가진 아형들(UCP2,3)이 사람에게도 존재함이 알려져 큰 관심을 끌도 있는데 이중 UCP3는 그 발현이 골격근세포와 갈색지방조직에만 국한된다. 본 연구에서는 UCP3가 체내 인슐린 감수성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조직인 골격근에 국한되어 발현되는 점에 착안하여 UCP3를 골격근세포에 과발현시켰을 때 포도당 대사에 어떠한 영향이 나타나는 지를 조사하였다. 방법:25주령의 8마리의 OLETF 백서를 대상으로 하여 4마리는 골격근에 adenovirus 2mL(1×10¹²pfu/mL)를 주사하여 대조군으로 하였고 4마리는 골격근에 재조합법으로 제작된 adenovirus­UCP3 2mL(1×10¹²pfu/mL)를 주사하였다(UCP3 과발현군). UCP3를 투여한 백서에서 먹이섭취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그 전날 대조군이 먹은 야의 먹이만큼 투여하였다. 골격근에 adenovirus를 주사한 10일 후에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를 시행하였다. Adenovirus­UCP를 C2C12 골격근 세포에 transfection시켜 UCP3를 C2C12 골격근 세포에 transfection시켜 UPS3­C2C12를 만들고 C2C12 골격근 세포와 UPS3­C2C12 골격근 세포에서 포도당 수송 및 당원합성을 측정하였다. 결과:UCP3 과발현 OLETF에서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인슐린 감수성이 증가하였다. C2C12세포에서 기저상태 포도당 수송은 1.28±0.17μmol/L/min였고 100nM 인슐린으로 2시간 처리한 후 2.67±0.20 μmol/L/min로 증가하였다. UCP3­C2C12 세포에서는 기저상태 포도당 수송이 3.98±0.13μmol/L/min로 증가되었고 인슐린 처리 후 5.74±0.44μmol/L/min로 증가하였다. 인슐린을 처리한 UCP3­C2C12 세포에 P13K 억제제인 wortmannin을 첨가하였을 때 포도당 수송활성이 3.81±0.20μmol/L/min로 감소하였다. 기저상태 당원합성은 C2C12 세포에서 0.25±0.01μmol/L/min였고 인슐린 처리 후 0.45±0.01μmol/L/min로 증가하였다. UCP3­C2C12 세포에서는 기저상태 당원합성이 0.62±0.01μmol/L/min였고 인슐린 처리 후 1.26±454μmol/L/min로 증가하였다. UCP3­C2C12세포에 wortmannin을 첨가하였을 때 당원합성율이 0.80±0.04μmol/L/min로 감소하였다. 결론:UCP3 과발현이 OLETF 백서에서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켰고 골격근세포에서 포도당 수송 및 당원합성을 증가시켰다. wortmannin을 첨가하였을 때 포도당 수송 및 당원합성이 감소함으로 보아 이 과정이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인 P13K에 일부 의존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 UC P3 is a mitochondrial membrane protein expressed selectively in the skeletal muscle and brown adipose tissue. Since the skeletal muscle is the main organ determining insulin sensitivity in the body, it was hypothesized that UCP3 overexpression in skeletal muscle cells would improve glucose metabolism. Methods : An adenovirus-UCP3 was produced by a recombinant DNA method. OLETF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Four rats were injected with the adenovirus-UCP3 (UCP3 group) and others were injected with the adenovirus(control group) in the skeletal muscle. The UCP3 group was provided with the same quantity of food as that consumed by the control group on the previous day. Insulin sensitivity was evaluated by the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method. In a separate experiment, glucose transport and glycogen synthesis we evaluated in C2C212 cells transfected with ether an adenovirus or the adenovirus-UCP3. Results : The insulin sensitivity improved significantly and the body weight decreased in the UCP3 group. The glucose transport and glycogen synthesis were higher in the UCP3-C2C12 skeletal muscle cells at the basal state. After insulin treatment, glucose transport and glycogen synthesis were also higher in the UCP3-C2C12 cells but the increments were reduced after treatment with wortmannin, a PI3K inhibitor. Conclusion : Insulin sensitivity was higher in the UCP3-overexpressed OLETF rats in the in vivo study. UCP3 transfection also increased glucose transport and glycogen synthesis in the cultured skeletal muscle cells by a PI3K dependent mechanism(J Kor Diabetes Asso 25 :460~468, 2001).

      • KCI등재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생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박시우,김꽃봉우리,김민지,강보경,박원민,김보람,박홍민,최정수,최호덕,안동현,Bark, Si-Woo,Kim, Koth-Bong-Woo-Ri,Kim, Min-Ji,Kang, Bo-Kyeong,Pak, Won-Min,Kim, Bo-Ram,Park, Hong-Min,Choi, Jung-Su,Choi, Ho-Duk,Ahn, Dong-Hyun 한국식품영양학회 2013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6 No.4

        중력분을 이용하여 제면한 후 가압가열, microwave 및 가압가열과 microwave 병행 처리한 후, 생면 및 삶은 면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생면의 pH는 microwave 1 min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수분 함량은 autoclave 50 min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그 외의 처리구에서는 모두 수분 함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면의 색도 측정 결과는 명도는 무처리구에 비해 모든 처리구에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microwave 1 min 처리구는 감소한 반면, 나머지 처리구는 증가하였다. 황색도는 autoclave 50 min 처리구와 autoclave 50 min/microwave 1 min 병행 처리구에서 증가한 반면, 나머지 물리적 처리구에서는 감소하였다. 삶은 면의 색도에서는 명도, 적색도, 황색도 모두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물리적 처리구에서 증가한 값을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결과는 경도, 부착성, 응집성, 검성, 복원성에서 무처리구와 비교시 microwave 1 min 처리구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그 외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한 값을 나타내었다. 탄력성과 전단력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인장력은 가압가열 30 min 처리구와 무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나머지 물리적 처리구에서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 평가 결과는 생면의 경우 색 항목에서 물리적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맛, 질감, 향 항목에서는 무처리구와 물리적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microwave 1 min 처리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가압가열(50 min)과 microwave(1 min) 병행 처리구는 무처리구와 비슷한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제면 후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생면 및 삶은 면에 있어서 색과 질감 항목을 보완, 개선시킨다면 알러겐성이 저감화된 면을 제품화하는데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hysical treatments for quality of wet noodles. Noodles were being tried with a microwave (for 1 min), an autoclave (for 30 or 50 min), and both autoclave and microwave (for 30/1 min or 50/1 m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H levels were slightly decreased after treatments of autoclave and autoclave/microwave. The moisture contents were considerably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autoclave (50 min). After all treatments, the lightness was decreased in all samples, but, redness was increased (except microwave) and the yellowness was increased after autoclave (50 min) and autoclave/microwave (50/1 min). Texture was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except microwav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noodles treated with microwave, autoclave (50 min), and autoclave/ microwave (50/1 min) showed a high score in overall preference. From these results, both the autoclave and microwave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wet noodles without diminishing its quality to a great extent.

      • KCI등재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에 의한 중력분 Gliadin의 항원성 변화

        곽지희(Ji-Hee Kwak),김꽃봉우리(Koth-Bong-Woo-Ri Kim),이청조(Chung-Jo Lee),김민지(Min-Ji Kim),김동현(Dong-Hyun Kim),선우찬(Chan Sunwoo),정슬아(Seul-A Jung),강주연(Ju-Youn Kang),김현지(Hyun-Jee Kim),최정수(Jung-Su Choi),김성원(Seong-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0

        본 연구에서는 가압가열 및 microwave 처리가 gliadin의 항원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력분에 가압가열과 microwave를 단독 또는 병행으로 처리하여 Ci-ELISA, SDS-PAGE 및 immunoblotting을 실시하였다. 가압가열 처리의 경우, 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IgG와의 결합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50분 처리구에서 약 69%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 또한 SDS-PAGE와 immunoblotting 결과에서도 무처리구에서 강하게 보였던 gliadin band가 처리에 의해 거의 소실되고 항체와 반응하지 않았다. 가압가열 및 microwave를 병행 처리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gliadin의 결합력이 다소 감소하였으며, 처리구 중에서는 가압가열 50분, microwave 5분 처리구에서 약 73%로 가장 낮은 결합력을 보였다. 반면 microwave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일부 단백질의 변화는 관찰되었으나 항원성 감소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압가열을 단독 처리에 의해 gliadin의 항원성이 다소 감소되었으며, microwave 병행 처리에 의한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hysical treatments on the antigenicity of gliadin in medium wheat flour. The wheat flour was treated with an autoclave (5, 10, 30, 50 min), a microwave (1, 5, 10 min), and both (10, 30, 50 min/ 5, 10 min), and investigated by SDS-PAGE, immunoblotting and Ci-ELISA using anti-gliadin Ig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inding ability of anti-gliadin IgG to gliadin in wheat flour was slightly decreased when autoclaved or when autoclaved and microwaved. Especially, it was reduced to about 69% after autoclaving for 50 min and 73% after autoclaving for 50 min and microwaving for 5 min. In addition, gliadin bands in the 50 min autoclaved group disappeared in both SDS-PAGE and immunoblotting. On the other hand, the antigenicity of gliadin was unaffected by microwaving alone. Consequently, there were no considerable changes in using an autoclave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microwa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utoclaving may affect the reduction of the antigenicity of gliadin in medium wheat flour.

      • KCI등재
      • 대두요구르트제조를 위한 두유에서의 젖산균의 산생성과 침전에 관한 연구

        강성태,정종민,김제중,정병옥,이흠숙,정석진 서울産業大學校 1999 논문집 Vol.49 No.2

        전지두유에 시유를 각각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여 L. bulgaricus를 접종한 후 산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우유의 첨가량을 늘릴수록 24시간 후의 적정산소가 증가하여 두유에 유유를 혼합시키는 것이 L. bulgaricus에 의한 산생성에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전지두유를 100℃에서 30분, 60분, 90분간 가열하고 121℃에서 15분간 열처리하여 L. bulgaricus와 L. casei를 단독으로 접종하거나 1:1(v/v)로 혼합하여 접종하고 두유의 열처리가 산생성과 커드의 침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두유의 열처리는 전반적으로 열처리되지 않은 두유보다 산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산생성은 가열처리 정도에 비례하였다. 또한 모든 배양에서 121℃ 15분간의 열처리는 100℃ 90분의 열처리보다 낮은 산생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두유의 열처리는 제조된 두유요구르트의 커드의 침전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Soy milk was added with different ratio of market milk. Acid production of L. bulgaricus in mixtures were investigated. Acid production by L. bulgaricus increased in proportion to concentration of milk added to soy milk. And the effects of various heat treatment of soy milk on acid production by L. bulgaricus and L. casei alone or combined were investigated. Sedimentation characteristics of soy yogurt prepared from heat treated soy milk were also evaluated. Heat treatment of soy milk stimulated acid production by all cultures. Acid production was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heat treatment. However, Heat treatment of soy milk at 121℃ for 15min showed rather lower acid production than that at 100℃ for 90 min. Heat treatment of soy milk generally retarded sedimentation of curd in soy yogurt beverage.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KCI등재

        주요우울증에 대한 벤라팍신의 효과 및 안전성

        이민수,남종원,강성민,연병길,오병훈,이철,정인과,채정민,백인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목적 : 주요우울증 환자에서 벤라팍신의 치료 효과와 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다기관 개방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DSM-IV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주요우울증으로 진단된 환자중 벤라팍신 투여에 동의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택된 환자에서 다른 항우울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14일 이상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벤라팍신을 6주간 투여하였으며, 기준점, 1주, 2주, 4주, 6주 후에 HAM-D, MADRS, 그리고 CGI등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기간중 발생된 모든 부작용은 부작용의 발생 및 소설 시기, 심한 정도, 발생 빈도, 벤라팍신과의 관련성, 관련 조치 및 결과에 대하여 증례기록서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결 과 : 총 14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94명(66.7%)이 6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고, 47명(33.3%)이 중도탈락하였다. HAM-D총점수는 벤라팍신 투여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2주,4주, 6주후에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MADRS의 총점수도벤라팍신 투여 1주 후부터 유의한 호전을 나타내었으며, 2주, 4주, 6주 후에도 지속적인 감소를 보였다. CGI에서도 기준점, 1주, 2주, 4주, 6주 후 각각의 시점 사이에 유의한 호전이 보였다. 활력징후, 일반 혈액학, 생화학, 심전도 검사 등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벤라팍신과 관련된 부작용으로 흔히 보고한 증상은 오심(10.6%), 소화불량(9.5%), 변비(8.5%), 현기증(8.5%)등 이었다. 결 론 : 다기관 개방연구를 통해 주요우울증 환자에 대한 벤라팍신의 투여는 우울증상의 호전에 효과적이었으며 안전하였다. Objective : A Multicenter open-labe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venlafaxine for the tretment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Method : The study was don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diagnosed by DSM-IV who accepted venlafaxine medication. In cases of the patients taking other antidepressants, 6 weeks of venlafaxine medication was carried out after 14 days of drug excretion period and evaluation using HAM-D, MADRS, and CGI was done at baseline, and after 1, 2, 4, and 6 weeks. Regarding all side effects that had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our study such as their developed/disappeared time, severities, incidences, relationship with venlafaxine, managements and results have been putted into the records. Results : A total of 141 patients were enrolled. Among 94 of them finished the 6 weeks of research and 41 of them did not make it through the research. Total HAM-D score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1 week of venlafzxine medication and continous decrease through the study period. Total scores of MADRS also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1 week and continuous decrease through the study period. Similarly, CGI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baseline, 1, 2, 4, and 6 week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ital sign, CBC, chemistry, and EKG. The commonly reported side effects of venlafaxine were nausea(10.6%), indigestion(9.5%), constipation(8.5%), and dizziness(8.5%).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results, venlafaxine was effective and saf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on.

      • KCI등재

        12주간의 태권도 트레이닝이 남자 청소년의 골밀도 및 골 건강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김민형 ( Min Hyung Kim ),정현철 ( Hyun Chul Jung ),강효정 ( Hyo Jung Kang ),김현배 ( Hyun Bae Kim ),송종국 ( Jong Kook So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4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weeks taekwondo training on bone mineral density, and calcemic hormones in male adolescents. 19 male adolescents aged 13-14 years (12 for training group; 7 for control group)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aekwondo group has been performed 50 minutes a days a week for 12 weeks, as exercise intensity of 60-70 % HRR (heart rate reserver). Control group have only performed the activities included in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es. Skeletal maturity was assessed by TW3. Bone mineral density at the sites of lumber spine, forearm, femur and whole body were assessed by DXA (Hologic. QDR-4500, USA). Blood samples were drown in the morning after 12-h fast and spun at 3000 rpm for 15 min. 25(OH)D and calcitonin were analyzed by Liaison (Diasorin, USA). Osteocalcin was analyzed by COBAR 5010 (Quantum Packard. USA). Parathyroid hormone was analyzed by E170 (Roche, Germany) and growth hormone was analyzed by Immulite 2000 (DPC, USA). Statical analyses were done with SAS version 9.2. All data were presented in terms of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wo-wan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was used for interaction of time x group. Paired t-test was perfomed to change over time in each paramet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factors that influence dependent variabl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as defined as 95%.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bone age for TG (14.9±0.62yr) was significantly advanced compared to chronological age (14.0±0.64yr). but CG had similar bone age (14.1±0.55yr) compared to chronological age (13.9±0.46yr). significant within subjects effects were found for whole body BMD(p<.001), lumbar BMD (p<.001) and forearm BMD (p<.0001). Significant increase could be obtained in TG for whole body BMD, lumbar BMD, and forearm BMD between pre and post-test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for femoral BMD for both TG and CG. Although no difference was found for serum osteocalcin in CG, significant increase could be observed in TG between pre and post-tests. There was significant within subject effect for PTH in TG (p<.05).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group and time was found for GH (p<.0001). serum 25 (OH)D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groups throughout the study periods. Bone age, serum calcitonin and lean tissue were predictors for whole body BDM in explaining 51.0%, 64% and 74.0% respective in TG. Bone age was significant predictor for lumbar BMD in explaining 39.0% in TG. In conclusion, 12 weeks taekwondo training has positive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and calcemic hormones in male adolescent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nhance femral BMD as taekwondo training over 12 weeks and higher intensity.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태권도 트레이닝이 남자 청소년의 골밀도와 골 건강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13~14세 남자 청소년 19명이었으며, 이들을 훈련군(12명)과 통제군(7명)으로 분류하였다. 골격성숙도는 TW3 방법을 적용하여 RUS 점수와 뼈나이를 평가하였고, 골밀도는 DX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골 건강관련 호르몬은 osteocalcin(OC), calcitonin(CC), parathyroid hormone(PTH), growth hormone(GH)과 25-hydroxyvitamin D(25(OH)D)를 분석하였다. 그룹 간 태권도 트레이닝 전·후 종속변인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반복 이원분산분석을 적용하였고, 그룹 내 차이는 대응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골밀도와 뼈나이, 체중, 신장, 골 건강관련 호르몬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 결과 훈련군의 전신 골밀도(p<.001), 요추 골밀도(p<.001), 전완 골밀도(p<.01)는 12주 태권도 트레이닝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통제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한편 대퇴 골밀도는 훈련군과 통제군 모두 12주 트레이닝 전·후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OC는 훈련군(pre: 13.18ng/mL, post: 40.38ng/mL)과 통제군(pre: 13.04ng/mL, post: 40.89ng/mL)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CC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PTH는 훈련군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p<.05), 통제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GH는 트레이닝 전·후 훈련군과 통제군에서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p<.05), 훈련군(pre: 0.70ng/mL, post: 4.22ng/mL)에서는 증가한 반면 통제군(pre: 5.40ng/mL, post: 2.04ng/mL)에서는 감소하였다. 25(OH)D는 훈련군과 통제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골밀도의 예측변인을 분석한 결과 훈련군에서 전신 골밀도의 경우 뼈나이, 제지방조직, 신장이 높은 설명력을 보였고, 요추 골밀도의 경우 뼈나이, 전완 골밀도의 뼈나이, PTH, 생활나이가 유의한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태권도 트레이닝은 남자 청소년들의 골밀도와 골 건강관련 호르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권도 트레이닝이 청소년들의 요추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12주 이상의 장기간의 훈련을 통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