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간호 지식관리시스템 개발

        민효숙,문원희,김미자,김선미,황윤신,황관옥,심희숙 충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6 충남대 간호학술지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the nurse and to identify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was developed in development of the contents and programing. And the system was operated to 85 nurse for three weeks. Data collection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of May 1, 2005 to December 30, 2005. The data was collected from 85 nurses using questionnaires. In order to ascertain the validity of clinical application of the system, Prior experience of the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user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were analyzed. The instruments for the study were satisfaction(Kim, 2000), utilization(Kim, 200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WIN 1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average score which is the satisfaction(6.09) showed middle satisfaction scores. It is concluded that if Nurs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operated considering all the above factors, It wound be one of the best qualified continuing clinical method for nurses.

      • 알코올의 섭취가 흰쥐의 혈액과 간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이명숙,김영연,김효숙,김매하,전진순,서진숙,송선미,양영재,윤원손,이미라,이효영,정승현 誠信女子大學校 生活文化硏究所 2004 生活文化硏究 Vol.18 No.-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thanol on the lipid metabolism in blood and liver, twenty one male Sprague Dawley rats had orally taken the 25% alcohol and 50% alcohol by 5g per Kg of weight during 3 weeks after the adjusting period. For the energy balance, 85% sucrose and 45% sucrose was added in control group and 25% alcohol group each. The weight was reduced by alcohol treatment according to the levels, otherwise the weight of liver and heart was little increased in alcohol groups rather than in control without significance. Moreover, RBC, WBC,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increased by alcohol treatment according to the levels without significance. Otherwise, adjusted bilirubin levels by 100g of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alcohol treatment dose dependently. Alcohol induced RBC degradation and increased circulated bilirubin because of liver damage. For blood lipid profiles, blood cholesterol was increased in 50% of alcohol group compared to that of 25% and control groups, otherwise, blood triglycerides (TG) was increased by 30% in 25% alcohol groups rather than in control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epatic lipid composition, cholesterol levels in alcohol treatment groups was lower than those in control. The hepatic TG was not influenced by alcohol treatment. The two reasons of decreasing hepatic lipids were suggested by 85% sucrose of control for energy balance more synthesized cholesterol and TG than those in 25 or 50% alcohol groups, and by cholesterol and TG could not be synthesized because of liver damage from alcohol.

      •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골격근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체계의 결함

        최준혁,이관우,김효정,이동훈,이종우,김정은,엄현채,김경미,최성이,정윤석,김현만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에서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은 간, 지방, 근육 같은 말초조직에서 인슐린의 작용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다. 제2형 당뇨병의 발생기전에 인슐린 저항성과 인슐린 분비능 저하가 같이 관여함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인슐린의 세포내에서의 저항성을 규명하기 위한 인슐린의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몇몇 연구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골격근육에서 IRS와 관련된 PI3-kinase의 활성감소와 Akt kinase의 활성감소를 보고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명확하게 그 기작이 설명되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성인,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경구당부하검사 및 인슐린 클램프검사를 시행하고 인슐린 클램프 검사시 대상인의 근육을 채취하여 인슐린 신호전달 체계(IR-β, IRS, Akt(PKB, Rac) kinase, GSK-3)를 연구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한국인으로서 경구당부하검사상 정상인 및 당뇨병 환자 각각 11명,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상인은 건강인으로 과거력상 당대사에 영향을 줄 질환이 없고, 현재 당대사에 영향을 줄 약물 복용 및 다른 소견이 없는 경구당부하검사상 정성 내당능을 보이는 대상자로 하였다. 당뇨병환자는 모두 제2형 당뇨병 환자로 이환기간이 만 5년 이내인 경우로 하고, 인슐린으로 치료하는 대상자는 제외하도록 하였다. 대상자의 연령,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공복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HbA1c, 인슐린, C-peptide를 측정하였고, "HOMA model"을 이용하여 베타세포의 기능와 인슐린저항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정상혈당클램프 검사(euh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test)를 시행하고 인슐린 투입 전과 인슐린 투입 30분후, 두차례에 걸쳐 대퇴부 근육생검을 실시한후 western 법으로 IR-β, IRS, Akt kinase, GSK-3의 인산화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정상인 11명과 당뇨병 환자 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자의 평균 연령, 평균 체질량지수, 체지방량, 허리/엉덩이 둘레의 비(waist hip ratio; WHR)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평균 공복혈당은 정상군 98.0±0.3㎎/dL, 당뇨병군 208.1±16.5㎎/dL(p<0.05), HbA1c는 정상군 5.4±0.5%, 당뇨병군 9.2±0.6%(p<0.05)였다. "HOMA model"을 이용한 베타세포의 기능과 인슐린저항성은 정상군 56.4±8.5%, 1.4±0.2, 당뇨병군 72.2±52.3%(p<0.01), 10.2±6.3(p<0.01)였으며 정상혈당클램프 검사상 포도당 이용률은 정상군 8.2±0.6㎎/㎏/min, 당뇨병군 3.7±1.1㎎/㎏/min(p<0.01)로 정상군과 당뇨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Western blot법으로 IR-β, IRS, Akt kinase, GSK-3의 인산화량을 인슐린 투입전과 인슐린 투입 30분후 측정하였을 때 IR-β에서는 정상군이 103.9±2.3에서 241.3±18.6, 당뇨군이 108.9±2.2에서 198.7±6.3으로 증가하였다(p=NS). 이는 인슐린 투입후 당뇨병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IRS에서는 정상군이 111.6±7.3에서 295.6±17.2, 당뇨군이 114.5±6.1에서 222.0±23.2로 증가하였으며(p<0.05), 인슐린 투입후 당뇨병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약 24% 감소하였다. Akt kinase에서는 103.4±6.0에서 416.8±29.5로 증가하였으며(p<0.01), 인슐린 투입후 당뇨병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약 43% 감소하였다. GSK-3에서는 정상군이 107.7±6.7에서 595.7±28.1, 당뇨군이 104.3±4.8에서 443.3±12.9로 증가하였으며(p<0.01), 인슐린 투입후 당뇨병군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약 25% 감소하였다. 결론: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정상인과 비교하여 인슐린 자극후 IR-β는 인산화량의 증가정도가 큰 차이가 없었으나, IRS, Akt kinase, GSK-3에서는 인산화량의 증가 정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보아 상위 인슐린 신호전단체계부터 결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glucose uptake rate is the limiting step in glucose utilization and storage. The failure of insulin to stimulate glucose uptake in muscle appears to be a primary defect of insulin resistanc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xamine the effect of physiological hyperinsulinemia on the phosphorylation of the insulin receptor (IR-β), insulin receptor substrate (IRS), Akt kinase and GSK-3 in isolated skeletal muscle,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n=9) and control subjects(n=11). Methods: 75g OGTT and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test were done. And vastus lateralis muscle was obtained before and 30 min into the euglycemic clamp. Western blots were performed for tyrosine phosphroylation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 (IRS) and phosphorylation of the insulin receptor(IR-β), Akt and GSK-3. Resul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mean age, BMI and body fat between the control subjects and diabetic patients. The fasting blood sugar and HbA_1c in controls and diabetic patients were 98.0±0.3 and 208.1±16.5ng/dl, and 5.4±0.5 and 9.2±0.6%, and 1.4±0.2 in the control subjects, and 72.2±52.3%(p<0.01) and 10.2±6.3(p<0.01) in the diabetic patients, respectively. The insulin resistance from the euglycemic hyperinsulinemic clamp test were 8.2±0.6㎎/㎏/min and 3.7±1.1ng/㎏/min in the control subjects and in the diabetic patients, respectively(p<0.01).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insulin-stimulated IR phosphorylation was no different to that in the diabetic patients. However, insulin-stimulated IRS phosphorylation, insulin-stimulated Akt phosphorylation and insulin-stimulated GSK-3 phosphorylation were reduced in the diabetic patients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s by 24, 43 and 25%, respectively(p<0.05). Conclusion: In Korean type 2 diabetic patients, the insulin resistance may be due to the impairment of the upstream insulin signal molecular network. Further studies will focus on determining whether these signaling defects are the cause of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or secondary to the altered metabolic state, associated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Kor Soc Endocrinol 17:685∼697, 2002).

      • KCI등재

        시화호의 계절변화에 따른 지화학적 환경요인 특성 연구

        김태하,박용철,이효진,김동화,박준건,김성준,이미연 한국환경과학회 2004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3 No.12

        Seasonal variation of biogeochemical characteristics was determined in Lake Shihwa from October 2002 to August 2003. When the lake was artificially constructed for the freshwater reservoir in 1988, the development of the strong haline density stratification resulted in two-layered system in water column and hypoxic/anoxic environment prevailed in the bottom layer due to oxidation of accumulated organic matters in the lake. Recently, seawater flux to the lake through the sluice has been increased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lake since 2000, but seasonal stratification and hypoxic bottom layer of the lake still developed in the summer due to the nature of artificially enclosed lake system. As the lake is still receiving tremendous amount of organic matters and other pollutants from neighboring streams during the rainy summer season, limited seawater flux sluicing into the lake may not be enough for the physical and biogeochemical mass balance especially in the summer. The excess of accumulated organic matters in the bottom layer apparently exhausted dissolved oxygen and affected biogeochemical distributions and processes of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in the stratified two-layered environment in the summer. During the summer, ammonia and dissolved organic carbon remarkably increased in the bottom layer due to the hypoxic/anoxic condition in the bottom layer. Phosphate also increased as the result of benthic flux from the bottom sediment. Meanwhile, dissolved organic carbon showed the highest value at the upstream area and decreased along the salinity gradient in the lake. In addition to the sources from the upstream, autochthonous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carbon from algal bloom in the lake might be more important for sustaining aggravated water quality and development of deteriorated bottom environment in the summer. The removal of trace metals could be attributed to scavenging by strong insoluble metal-sulfide compounds in the hypoxic/anoxic bottom layer in the summer.

      • KCI등재

        6 시그마 기법을 이용한 임상약동학 자문 업무의 효율성 개선 : 신속성과 정확성을 중심으로 Focusing on Speed and Accuracy of CPS

        김민영,박효정,박향미,손기호,최경업,박영하 한국병원약사회 2001 병원약사회지 Vol.18 No.2

        연구 배경 : 적정한 약물요법을 순발력 있게 시행하기 위해서는 CPS 업무가 신속, 정확하게 수행되는 것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CPS 업무의 신속성,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객관적인 업무 표준은 물론 그의 측정까지도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에 수요자인 의사의 측면에서, CPS 자문결과의 신임도에 영향을 미치는 업무의 순발력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CPS 업무의 신속성, 정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업무 표준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6-Sigma 기법을 사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 CPS 업무의 신속성 평가를 위해 전체 업무 과정과 부분별 업무 과정에 대한 소요 시간을 측정하였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예측되는 Cpeak와 실제 측정된 Cpeak를 비교하였다. CPS 업무에 대해 6-Sigma 기법을 사용하여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활동을 한 후, 개선 활동 전과 후의 CPS 업무의 신속성과 정확성의 σ 수준을 각각 측정하여 이의 향상 정도를 잠재적인 경제적 이익으로 환산하였다. 결 과 : 신속성은 제 1차 자료수집 기간(대조군, 현황 파악 기간) 중 총 소요시간은 평균 930.6±583.2이었으며, 채혈-검체 접수 : 140.4±8705분, 검체접수-약물농도 결과보고: 48.4±23.1분, 결과보고-CPS 보고서 작성 : 741.8±510.6분으로 측정되었다. σ 수준은 총 소요시간의 경우는 0.56σ, 단계별로는 각각 0.45σ, 5.70σ, 0.30σ이었다. 제 2차 자료수집 기간(개선군, 개선활동 평가 기간) 중 총 소요시간은 평균 659.1±344.1분이었고 단계별로는 각각 92±66.2분, 48±28.0분, 518.9±340.7분이 소요되었다. σ 수준은 총 소요시간은 1.75σ이고, 단계별로는 1.32σ, 4.70 σ, 1.10σ로서 총 소요시간과 단계별 소요시간이 1차 자료수집기간에 비해 향상되었다. 정확성 측면에서는, 대조군의 경우, 예측 Cpeak와 실측 Cpeak의 차이는 평균은 0%, 분산 ±27.10%, σ 수준은 -0.56σ이었고 개선군의 평균과 분산 그리고 σ 수준은 각각 0%, ±15.10%, 0.14σ로 향상되었다. CPS 신속성, 정확성 향상으로 인한 경제적 이익은 정확성 측면에서 380만원/년, 신속성 측면에서 1350만원/년으로 총 1730만원/년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었다. 결 론 : CPS 업무 흐름에 따라 CPS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CPS 효율성 향상을 위해서는 투약관련 의무 기록의 정확성, 임상병리 검사의 정도관리 향상, 그리고 관련 부서와의 원활한 업무 협조가 가장 중요하였다. The effectiveness of CPS (Clinical Pharmacokinetics Service), one of pharmacist's clinical services, was emphasized by many studies since 1985 it was introduced Korea about. But in the view of clinicians (medical doctors), customers, it's convenience or reliability was not properly evaluated for applying it to patient's care. To improve quality of Clinical Pharmacokinetics Service (CPS), the speed and the accuracy of CPS, the key points of efficiency in CPS, were evaluated by using 6-Sigma method. The speed of CPS was evaluated using total hours it took from blood sampling by a nurse to sending a CPS report to the patient's chart by a clinical pharmacist. Total hours were divided into blood sampling-to-sampling registering, sampling registering-to-C_(peak) result reporting, and C_(peak) result reporting-to-pharmacist's CPS report. The accuracy of CPS was evalu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ed C_(peak) and measured C_(peak). Then the speed and the accuracy of CPS were expressed as σ level. After the campaign for improvement by Six Sigma method, the speed was improved by 1.19σ (before and after the campaign; 0.56σand 1.75σ, respectively) and the accuracy was improved by 0.7σ (before and after the campaign, -0.56σand 0.14σ, respectively). Exact recordings of dosing time, drug infusion hours and blood sampling time were shown to have profound effect on the accuracy of CPS. The improvement in the speed and the accuracy of CPS could produce potential financial benefit of U.S.$ 15,300 a year. There have not been studies on evaluating and objectifying as numerical value for the speed and the accuracy of CPS; thus, 6-Sigma method for improving efficiency in manufacturing process was applied to CPS process by expressing as σlevel. The speed and the accuracy of CPS could be improved by tightly controlling many factors related to CPS efficiency.

      • 오감(五感)적 요소를 접목한 브랜드 스페이스 연출 계획 -마임 화장품 프레쉬가든을 중심으로-

        김소현,임하영,장효실,최혜원,이진민,장미정,이성애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연구소 2017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24 No.-

        인간이 갖고 있는 감각 기관은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의 총 다섯 가지로, 이를 모두 활용 할 때 이상적 공간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화장품의 공간 연출 계획 시 오감적 요소를 접목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7년 3월~6월 15주간 숙명여대 환경디자인학과 <융합연출디자인> 수업에서 진행된 수업의 결과물로서 작업물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엔터테인먼트적 요소를 결합하여 기능적 만족감과 더불어 체험적 만족감 제공하는 오감적 디스플레이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오감을 활 용한 뷰티 쇼룸으로 감각을 공간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립을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매체와 공간의 개념이 일반화 되어 가는 오늘날 기업 환경 속에서 오감적 체험을 기반으로 한 공간연출은 가상의 공간속에서도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요소로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이와 관련된 쇼룸 공간 개발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일본 5학년 理科 교과서 내용 분석

        김효남,이영미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5 No.1

        Content analysis of Science textbook is a good method to find out the objective of science education pursued by textbook authors and authorities of education. Japaneese 5th grade science textbooks-upper and lower volumes are analyzed. Analysis form is consisted by knowledges and inquiry processes. Knowledge is divided by fact, concept and rule. Inquiry processes is divided by 13 subcategories such as problem cognition, variable control, observation, measurement, prediction, inference.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1. In analysis of knowledge, facts are greatly emphasized and a little of concepts and rules are appeared. 2. In analysis of inquiry process, observation, prediction, problem cognition, experimental planning are greatly emphasized. 3. In units of 'plant growth' and 'dissolution of matter', observation and prediction are tried to pursue. 4. In units of physical science areas, measurement is appeared more than biological area. 5. In units of 'birth of human and animal' and 'sun and moon', knowledge is greatly appeared comparing with other units.

      • 대전 도덕봉과 백운봉의 산림군락 분류

        김효정,이미정,지윤의,안승만,이규석,송호경 한국환경생물학회 2002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계룡산국립공원의 지류인 도덕봉과 백운봉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산림군락을 분류하고 이 지역의 식생 현황 파악과 국립공원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89개 조사구를 분석한 결과, 신갈나무군락, 졸 참나무군락, 굴 참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리기다소나무-곰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신갈나무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경사가 급한 지역에 분포하였으며,졸참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비교적 낮고 경사가 급한 지역에 분포하였다. 그리고 굴참나무군락은 신갈나무군락에 비해 해발고가 낮은 남사면의 건조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비교적 높고 폭이 좁은 건조한 능선 부위에 분포하고 있으며, 서어나무군락은 주로 남사면 계곡부의 중부에 분포하고 있었 다. 그리고 리기다-곰솔군락은 조림군락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forest vegetation community of Dodeokbong and Baekwunbong in Gyeryongsan. Employing the releve method of Dierssen, 89 plots were sampled. Forest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serrata community, Quercus variabil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and Pinus rigida-Pin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mongolica community was found in high altitude and steep area, Quercus serrata community in relatively low altitude and steep slope area, and Quercus variabilis in southern arid and low area compared with 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is present in relatively high altitude and narrow arid ridge area. And, Carpinus laxiflora community is mainly distributed in southern valley area. Pinus rigida-Pinus thunbergii community is planted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