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학사 교육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조사

        정완호,정현례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5 No.1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하여 과학교사들의 과학사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현재의 과학사교육의 실태와 문제점및 개선방안등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를 폭넓게 파악하여 중ㆍ고등학교에서의 좀 더 적극적인 과학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의 제공에 도움을 주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에 있어 1) 과학사교육에 대한 관심도, 2) 과학사교육의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 3) 현행 과학사교육에 대한 인식, 4) 과학사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인식의 4가지 영역에 대한 설문지를 만들고 전국적으로 표집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총 교사수는 526명이었으며 회수율은 학교별 86.9%, 설문지매수별 82.4%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 지역별, 전공과목별, 소지학위별, 경력별, 연령별 등의 다양한 변인별로 비교분석하여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연수결과의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과학사교육에 대한 관심도를 보면 상당수의 많은 교사들이 과학교육에 있어 과학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85.5%), 관심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사에 대한 공부경험이나, 알고있는 지식정도에 대해서는 부족하다고 응답해 과학사교육에 필요한 소양은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판단된다. 2. 과학사교육의 기대효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상당히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교육은 학생들에게 과학적 개념과 이론의 이해, 탐구력 향상,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유발, 과학-기술-사회에 대한 이해, 그리고 과학의 인간화 교육등에 효과적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과학사를 이용한 학습지도 방법은 다양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학습내용과 주제, 그리고 학생의 발달정도에 따라 교사가 적절하게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과학사교육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이에 대한 충분하고 바른 이해가 무엇보다도 요구된다고 하겠다. 3. 현행 과학사 교육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이 대체로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따라서 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견해를 가진 것으로 분석된다. 과학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고, 필요성과 기대효과에 대한 인식도 상당히 높았으나 실제 과학사와 연계시킨 학습지도는 매우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주된 이유로는 학습지도시 활용할 수 있는 교재나 프로그램등을 구할 수가 없고, 과학사에 대한 지식의 부족함을 들고 있다. 4. 과학사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견해를 보면 과학사의 적용 방법으로는 교수자료를 개발하여 필요에 따라 교사가 수업에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65%) 지배적이다. 한국과학사에 대한 좀 더 비중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94%),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에 과학사강좌가 필요하다는 것이 대부분 교사들(85%)의 견해이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학사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상당히 긍정적이며, 과학사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과학사교육에 필요한 소양을 얻을 수 있는 기회의 제공과 교수학습자료의 개발보급이 절실히 요구된다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학습에 적용한 연구사례와 이에 따른 학습모형등의 많은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studying and analyzing their appreciation of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to the science teacher. This study aims to grasp the teachers' broad opinions related to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and provide the basic materals for better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in junior high school and senior high schools. For this study, we made up the questionnaire concerning four appreciation fields-1) Interest on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2) Appreciation of anticipated effects on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3) Appreciation of the present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4) Appreciation of the Reforming measures of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526 teachers were sellected on a national scale as subjects of the study for the criterion of teachers officially appinted area. The rate of answer was 86.9% for school, 82.4% for person.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variables such as sex, local area, major, degree careers, age and so on and took the t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view of teachers' interests in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many teachers thought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is needed(85.5%) and also, their interests was shown to be high. They responded to be poor at the experience of studying and knowledge about science history. So is was considered that they were not well grounded in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2. Teachers' appreciation of the anticipated effects on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was shown to be very affirmative. They thought it is efficent to teach student understanding of scientific concepts and theory, improvement of inquiry power, interests in science, and causing interests, understanding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and the humanizing education of science. 3. It was analyzed that most teachers thought the current education of sicience history is not sufficient and it should be practiced more activity. Their interest in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was shown to be high and their appreciation of its necessity and anticipated effects was shown to be high but, teaching method corncerned with scince history was shown to be insufficient, As main causes, they can't easily get textbooks or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teaching activities and they are poor at the knowledges of science history. 4. According to teachers' opinion on referming measures of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it's dominative that teachers using teaching materials which they developed according to the necessity is proper as a method of applying science history. Also it's judged that it should be preceded to develop educational materials in order to practice successful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considering that they responsed most highly to the textbooks 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necessary to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They consider that we should give more weight on Korean history of science(94%) and the most teacher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hat science history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for students of college of education.(85%). Based on this study, science teachers' appreciation of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seems to be pretty much affirmative and it's needed to provide the chance of getting more knowledge of the education of science history and develop the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se, we should continue to study about the examples apllied to teaching and the learning models following this.

      • 高等學校 地區科學 敎育의 方向 設定

        이규석,우종옥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2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 No.1

        본 연구는 과학의 본질과 내용, 그 간의 科學科 敎育 및 地球科學 敎育의 變遷, 地球科學의 학문적 구조, 學校 敎師들의 의견 등을 고찰하여 앞으로의 地球科學 敎育의 方向을 설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에서 제시한 硏究 目的을 達成하기 위한 본 연구의 주된 방법은 文獻 分析이다. 그리고 敎師에 대한 設問紙 調査등의 資料를 통해 연구 목적에 접근함으로서 妥當性과 實證性을 높이도록 經驗的 接近 方法을 아울러 사용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의 본질과 과학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고찰하여 봄으로서 地球科學科 敎育의 성격을 정리한다. 둘째, 과학교육의 태동과 변천 및 지구과학의 변천을 역사적으로 조명하여 장래 地球科學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다. 셋째, 우리나라의 地球科學 敎師가 생각하는 地球科學科 교육의 목표, 내용 및 방향을 조사하여 이를 방향 설정의 자료로 삼는다. 이상 세가지 결과를 토대로 高等學校地球科學科 敎育의 방향을 논의하고 그 결과를 정리 하였다. 高等學校 地球科學 敎育에서는 ① 地球科學的 知識 ② 地球科學的 탐구 방법 ③ 科學的 態度 ④ 地球科學의 발달과 그 이용 등이 강조 되어야 한다. 또한 ⑤ 地球科學의 교육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This paper was made for the purpose of research for direction on earth science subject matter of high school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1) reviewed the essence of science and goals and contents of science education, 2) reviewed the change of education of earth science subject matter, 3) investigated earth science teacher's opinion by questio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arth science subject matter must provide to students scientific process and knowledge -Process: to promote student's concerns for an interest in nature surrounding them, to help students develop and method in solving problems and its application for problem solving, recognition of variables of scientific method, to promote fundamental experiment and skills for scientific inquiry, etc. -Knowledge: provide systematic knowledge than simple rote, to help students understand concepts of recent scientific knowledge, contain's STS, etc. 2. Earth science education must consider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psychology: education of scientific literacy, partial professional education, conformity of development stage, sequence between school levels, attitudes to adapt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method, skills and problem solving toward future positive attitudes to science, moral sense of science, minimum essense and difference of lines, open of upper limit, understanding the specific character of earth science, scientific knowledge development continuously, relationships of other subject matter, etc.

      • 초등학교 5학년 단원 마무리의 과학 글쓰기 개발 및 교육적 효과 분석

        송지영 ( Ji Young Song ),백성혜 ( Seoung Hey Paik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단원 마무리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의사소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를 개발 적용하여 효과적인 과학 글쓰기의 나아 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글쓰기와 과학 글쓰기를 비교하여 과학 글쓰기의 의미를 정의하였고 과학 학습에서 과학 글쓰기는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사고력, 논리력을 기를 수 있을 뿐 아니라 탐구 기능을 향상시켜 주고 오개념을 수정하며 학습을 더욱 정교화 할 수 있게 됨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현재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내용을 분석하였고 과학교육 전문가 1인과 현직교사 1인이 세미나를 통해 지속적으로 논의하여 글쓰기 주제와 내용을 보완하여 새로운 과학 글쓰기를 개발하였다. 수원 지역 초등학교 5학년 5개 반을 선정하여 개발된 글쓰기를 투입하고, 글쓰기 결과 분석과 면담을 통하여 과학 글쓰기의 반응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 5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는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글쓰기를 하도록 단원 마무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글쓰기 주제는 호기심과 흥미 중심의 태도 영역과 관련되어 있어 과학 개념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보다는 감정이나 느낌, 일상생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글쓰기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일반적인 글쓰기 능력이 더 중요한 글쓰기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에 나타 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 개념을 바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글쓰기를 개발하였다. 학생과 교사간의 의사 소통을 활성화 할 수 있고, 단원에서 배운 개념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비교·분석하는 활동으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기존의 과학 글쓰기와 개발된 과학 글쓰기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제반의 글쓰기에서는 과학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글쓰기를 한 결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반의 경우 학생들의 응답으로 학습 목표 달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창의적 표현과 오개념의 형성 정도, 학습 내용의 문제점 등을 파악할 수 있어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problems by analysing science writing suggested in consolidation activity and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effective science writing by developing and applying science writing that can activate communica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rough previous researches consideration, educational effect of writing is investigated and by comparing writing and science writing, meaning of science writing is defined. Also, it was found that science writing can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thinking, reasoning and inquiry skills, and make learning more sophisticated by modifying misconception. In this study, based on learning goal, science writing of current science textbook is analyzed. By selecting 5 classes of 5th grade in Suwon area, the developed writing was applied, and through writing results analysis and discussion, reaction and effect of science writing are analyzed. First, science writing in science textbook of the first semester of 5th grade in 2007 revised curriculum suggests that writing shall be based on the contents learned in the section. However, as writing subject is related to attitude area based on curiosity and interest, rather than writing based on science concept, the focus is on emotions, feelings and daily life. Thus, it is not easy to see the degree of learning of students through writing res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general writing ability would be more important. Second, in order to improve problems of science writing in science textbook, writing that can be utilized based on science concept is developed. This is suggested in a way that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activated, and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concepts learned in the section better and compare and analyze.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cience writing and the developed science writing, there is no writing based on science concept from the writing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from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learning goal from the answers of the students and as creative expressions, degree of forming misconception and problems of learning contents can be found, there was an educational meaning.

      •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준비도 연구

        鄭玩鎬,具秀吉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4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4 No.1

        여러차례 개정을 반복해온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준비도에 대하여 전국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이에 응답한 77개교 49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응답은 1. 현행(5차)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2.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인식, 3. 공통과학에 대한 인식 4.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준비도의 4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응답유형을 성별, 지역별, 설립자별, 담당과목별, 경력별, 연령별, 소지학위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응답결과, 현행 교육과정은 문제점이 많아 개정의 필요성이 높으며 가장 큰 문제점은 과학Ⅰ, Ⅱ의 이름뿐인 통합에 있고 이는 과목별로 따로 분리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하였다. 또한 이수단위에 대한 내용분량이 높고 단위수는 타과목에 비해 부족한 편이며 과학과 실생활과의 관련된 내용이 강조 보완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교육과정의 개정에 대해서는 대체로 관심이 높은 편이나 30%이상의 교사들이 관심이 없다고 응답했고 교육과정의 개정은 정권이 바뀜에 의해 이뤄진다는 응답이 높았다. 5-7년 주기의 교육과정 개정이 필요하나 기본틀은 유지하기를 바라고 있으며,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정보의 원천을 교육청 발행 교육과정 소개서를 이용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그러나 6차 교육과정에 대한 홍보는 보다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공통과학에 대해 긍정적 견해를 나타낸 교사가 48%정도이고 응답자의 배경에 따라 다양한 견해차이를 나타내었으나 학생들에게는 과목부담만 늘게할 것이라는 등의 부정적 견해도 높았다. 공통과학수업은 교사들의 전공별로 나누어 맡거나, 공통과학을 위해 정규교육을 받은 사람이 맡아야 한다고 응답한 경우가 높았고, 공통과학담당을 의뢰할 경우 긍정적 수임의사를 나타낸 교사는 전체의 45%에 이르렀다. 외국 교육과정에 대한 인지정도는 약한 편이며 전공서적 독서량도 적은 편으로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준비도는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주로 참고서를 이용하여 교과내용 변화와 심화에 대처하며, 스스로 판단하여 탐구학습 지도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교사가 43%에 이르렀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정후 재교육이 실시된다면 참여하겠다는 외지를 나타낸 교사들이 83%에 이르러 적절한 교사재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야할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교육과정 개정작업에 있어서 교사들의 폭넓은 참여가 필요하고 이를 위한 연구가 심도깊게 이뤄져야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appreciation and readiness about curriculum reform. For this study We developed a questionaire including four main themes - 1) The appreciation about the current(5th) curriculum, 2) The appreciation about the curriculum reform, 3) The appreciation about 'general science' 4) The readiness to curriculum reform. Some teachers have been sampled for the criterion of teacher's officially appointed region. The sample size is 495 person, 77 schools, and the rate of answer was 88.5% for school, 80.2% for person. SPSS/PC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data. 1. The result represents that current curriculum has many problems and so it must be reformed as soon as possible(85.1%). The main problem that teachers pointed was the formal integration of subject- science Ⅰ and Ⅱ(66.1%). Also, science teachers answered that the content to be stressed and fulfiled in High school science curriculum must be related to actual life(74.1%). It means that science teachers are much concerned about STS educational movement. 2. There were 66.8% of teachers interested some or much in curriculum reform but they have negative appreciation to the curriculum reform of past. The causes they pointed out mainly are that science curricula have been influenced severely by the policy change. 3. It was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that what teacher's appreciation is to the general science. About half of them answered general science is necessary subject, but 30% of them think it may be another load to students. To the question about who should be charged of general science, they answered that the teacher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Earth science should share each part(39.2%). And teachers who have the license of general science teaching should be charged it(31.7%). About 45% of science teachers expressed their opinion that they would take charge the subject willingly or without any complain. It means that general science have some foundations in high school. 4. Science teachers read not enough books relating manage and know little about curricula of foreign nations, but they have much concern about curriculum reform and have great eager to be reeducated after curriculum reform (83%). So Planning to reeducate teachers is as important as developing better science curriculum. The data from this study were analyzed in the factor or sex, region, charge of subject, career, foundation, age, and academic degree. The result of this study urges that science teacher's participation and concerns are necessary in the process of science curriculum reform, and that it must be performed more broad and systematic survey research before curriculum reform.

      • 고등학생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법과학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이동순 ( Dong Soon Lee ),이길재 ( Kil Jae Lee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1 No.2

        미래에 예상되는 모든 문제 상황에 대처하고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므로 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습득하여 새로운 문제 상황에 대처하는데 필요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법과학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영재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범죄 수사에서 증거물로 활용가능한 최신의 생명공학 요소를 추출하여, 과학자의 창의적 문제해결 형태인 아이디어 산출형과 문제해결형의 교육프로그램을 12차시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경기도 소재 S고등학교의 지역공동 영재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그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과학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조사하였다. 또한 학생활동지와 면담자료를 이용해 이 교육프로그램의 진행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법과학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법과학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인 확산적 사고 중 유창성과 융통성에서 그 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이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법과학의 절차적 지식을 습득하면서 활동 중심과 사고과정 중심의 수업을 경험하였다. 셋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수업 초기에는 수동적이고 제한적인 사고를 했으나, 수업 후기에는 문제발견을 스스로 하며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사고를 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법과학 기반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교육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을것이다. It is necessary to teach having a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a new way for adapting any chang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anage every problematic situation shows up next. In that sense,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an be improved through systematic training, thus it is important for developing the ability through teaching-learning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if the program helps to improve th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For this, among the forensic science, the biotechnology was analyzed using evidence in court for criminal investigation;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composed of 4 topics (12 periods) of class according teaching types based on idea producing and problem-solving teaching-learning model similar to thinking process of scientists. Therefore, gifted-in students of S high school were tested on their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the developed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m, then examine if the program improved the abilities, also, the thinking process of the students was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the students`` performance work sheets and interview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teaching-learning program was effective on improving for flexibility and fluency in the general creativity of the gifted-in students. Second, the students experienced an activity and thinking process centered class through forensic science contents. Third,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n student’s work sheets was shown to improv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fter class. Although the students were limited and passive thinking at first, they found out the problem themselves and having active thought in the end of class. Forth,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the gifted-in high school students’ responses to this teaching-learning program showed that their creativity solving ability was improved. Therefore, it goes to show that this teaching-learning program by using forensic science is effective for students to increase thei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체제 개발 : Scientific Knowledge Domain

        최병순,권재술,김찬종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8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8 No.1

        과학교육의 정책 수립과 평가 및 과학교육과정의 개편과 효율성 점검 등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 수준 과학 학력평가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발전시켜 왔다. 우리 나라에서 그 동안 실시된 국가 수준 과학 학력평가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과학 교육 정책 수립 및 평가 그리고 교육과정 개편을 위한 자료 제공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우리 나라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향후 주기적으로 진행되어질 국가적 차원의 평가 지표를 만들기 위한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과학교육전문가와 초·중·고 교사들로 연구팀을 구성하고, 교육평가 전문가들과의 협조와 자문을 통해서 국가 수준 과학지식 평가 체제의 방향과 주요 요소를 결정하였다. 또한 문항 개발을 위한 세미나와 워크숍을 통해서 평가문항개발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계획한 문항을 개발하고, 수정하였으며, 초·중·고교생 958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문항을 380개를 선정하고 수정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항은 다시 초·중·고 학생 8766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반응이론(IRT)을 이용하여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 수준 과학 지식 평가는 매년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학년말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집은 다단계 유층화 표집 방법을 사용하며, 검사지는 복수형으로 개발하며 가교문항을 활용하여 검사지간 학교급간, 종단적 비교의 기초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 과학지식 평가 체제를 위하여 각 모집단 별로 문제 은행에 포함시킬 80 내지 100문항씩 총 380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과 검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초등학교용 문항들은 중간 또는 중간 이하의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중학교용과 고등학교 1학년 용 문항들은 중간 또는 중간 이상의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자연계용 문항들은 비교적 높은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적합하였다. 개발한 문항들의 변별도는 우수하거나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Establishing and evaluating science education policies and revising and monitoring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based upon the results of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studies. Advanced nations have already been administering and developing national level science assessments for these purposes. The science assessments administered in Korea have been reported having many limitations and problems, and not succeeded in providing data for science education policy making and curriculum reform.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developing national level science knowledge assessment system in order to identify longitudinal trend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science knowledge achievements. The research team consisted of science education experts and teachers from various school levels, decided the directions and major elements of national level science knowledge assessment with the consultation of educational evaluation experts. Item developing ability of the researchers was improved by seminars and workshops on national assessment in advanced nations and developing skills of writing science items. Nearly 500 items were developed and revised. Pilot test was administered with 958 students at various school levels. 380 items were selected and tested with 8766 stu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erms of item response theory. The target populations for national level science knowledge assessment are 5th-grade of elementary school, 2nd-grade of middle school, 1st and 2nd-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proper period for the assessment is February every year. Multi-stage clustered sampling method is desirable and rotated forms are recommendable for the test format. Bridge items should be introduced to compare the results of multiple tests, and various grades. Anchor items should also be used for longitudinal interpretations of the results. The items for elementary school require low to medium abilities, for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require medium to high abilities and for 2nd-grade of high school high abilities. The discrimination ability of the items developed is high.

      •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 수준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권재술,최병순,권치순,양일호,이경호,김지나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9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9 No.1

        학생의 과학 지식 성취도에 대한 장기간의 경향성은 과학 교육 정책의 효율성을 점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 나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의 경향성을 이해해보려는 진지한 노력이 현실적으로 거의 없었다. 최근까지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는 전국에 있는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시켜왔다. 연구의 첫 단계에서는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개발된 문항을 전국적으로 투입하고 그 결과를 수집하여 2년간의 변화를 분석하는 것으로써, 이 논문은 두 번째 단계에 관한 내용을 담고있다. 이 연구에서는 권재술 등(1998)이 개발한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도구를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1997년에는 전국적으로 8,766명의 학생을, 1999년에는 4,398명의 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대상은 지역별, 성별 등을 고려하여 우리 나라 전체 학생의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으로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 2년 동안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 수준의 서로 다른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경우는 성취도가 감소하였으나, 고등학생의 경우는 증가하였고 중학생의 경우는 두 시기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과학 지식 영역의 하위 영역별 분석 결과를 보면, 초등학생의 경우 개념 체계에 대한 지식 수준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 사실과 원리에 관한 지식 수준은 낮아졌다. 반면 고등학생의 경우는 지식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사실 영역에서 크게 향상 되었다.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성별, 지역별, 행동 목표 수준 그리고 검사 문항의 상황 등으로도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 개발한 과학 성취 수준 점검 시스템은 국가 수준에서 학생들의 과학성취도를 점검하는데 효과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The long term trend of studensts' science achievemen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educational policy. However, up to date no such effort to understand the trend of Korean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has been put into action. Recently,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attempted to collect nation wide data for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The first part of the effort was to develop item pools. This study was the second part to collect nation wide data and to check any change during the two year time interval. In this study, the item pools developed by Kwon et. al.(1998) were used with some modific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wo times; February 1997 and March 1999. The subjects collected nationally were 8,766 students in 1997 and were 4,398 in 1999. The subjects were collected randomly but stratified by region and sex. As the results, the trends of achievement change during the two years were different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The achievement scores were decreased in elementary schools and increased in high school. In case of middle schools, the chang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even in elementary schools the knowledge on theor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knowledge on facts and principles were decreased. In contrast, the knowledge on fact showed the most increase in high schools.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sed in light of region, sex, behavioral objective levels(ability) and context of test items. The science achievement monitoring system developed by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monitoring students' achievement on the national level.

      •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파견제도 인식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초등과학교육전공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김경 ( Kyung Kim ),유선아 ( Suna Ryu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2 No.2

        본 연구는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과학전공 파견교사들의 경험 속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파견교사들의 이야기와 그들의 경험이 가지고 있는 교육학적 의미 및 논의점을 알아보고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과학 파견 5명을 목적표집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심층 면담방법을 통한 참여자의 경험 속에서 의미를 찾기 위해 인터뷰자료를 전사하고 줄 단위로 분석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비교 및 분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초등과학전공 파견교사들은 바쁜 학교생활의 탈출구로서의 파견생활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거기에서 멈추지 않고 배움에 대한 열망을 보였으며 초등과학교과 전문가로서 다양한 능력을 키우고 싶은 바램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위해 본교에서는 초등과학전공으로서의 특수성 및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좀 더 질적으로 향상된 교육과정 운영이 필요하다. 파견교사 제도는 많은 연수 프로그램 중 가장 긴 형태의 연수이며, 교사 개인 및 교육적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므로 실제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이 끊임없이 연구되고 운영되어야 한다. 또한 초등과 학교육 전공으로 파견제도는 단순히 과학분야에 대한 자신감에 그치지 않고 앞으로 현장에서 겪는 어떤 일이든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해주는 의미 있는 경험임을 알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파견제도 자체를 모르는 교사들도 상당수 있다는 인터뷰 내용으로 볼 때,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파견제도를 알려 더 많은 교사들이 파견제도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질향상과 파견제도에 대한 정책적 측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많은 행정적 예산을 투입하여 만들어진 `개인의 교육 전문가`의 경험이 파견 종료 후, 더 많은 교사와 공유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파견연수라는 국가적 사업이 한 개인의 경험에서 끝나지 않고, 궁극적으로 전체적인 교육의 질 향상과 연결 될 것이다. The study describes teachers` reflections, ideas and concerns from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experience at a university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his purpose, five elementary science dispatches were invite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Our findings indicate that the elementary science majors` dispatch teachers appreciate their intensive graduate program and want to develop various abilities as elementary science subject experts. To do this, teachers suggest that the university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to reflect the special needs of elementary science majors and the needs of educator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systematic effort to advertise this program intensively because many teachers did not even know the existence of this program. The dispatched teacher system is the longest type of training program among many other training programs, and has a significant impact in terms of individual and educational teachers. Therefore, the curriculum satisfying the needs of the teachers should be further studied. In addition, the elementary dispatches said they came to believe that they would overcome any challenge from their schools with the confidence gained from their experience in this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policy aspects of teacher quality improvement and dispatching system are as follows. Teachers other than the dispatches can be benefit if there a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the dispatches can share their knowledge and skills gained from this program with others. In doing so, the national project of dispatching training not only becomes an invaluable personal experience, but becomes a pipe line that improves the quality of national education.

      • 유아, 초등, 중등 과학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백성혜,김효남,조부경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10 No.1

        이 연구에서는 과학의 개념 측면에서 유아교육과정, 초등교육과정, 중등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에 적절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개념적 연계성 분석을 위한 도구로 연구의 초기에는 과학의 공통 소재인 ‘물’에 대한 개념도를 개발하였으나,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과학교육과정 구성 시각에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통합된 개념도 개발이 어려웠다. 따라서 과학의 한 영역인 화학의 주요 학습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 ‘물질의 성질’에 관한 개념도를 개발하였다. 개발 절차 중에서 유아, 초등, 중등 과학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학습 내용의 추출, 학습 내용에 관련된 개념도를 유아, 초등, 중등 과학교육과정 시각에서 개발 및 분석하는 단계는 ‘물’을 중심으로 개념도를 개발하는 초기 단계의 연구에 해당하고, 학습내용에 관련된 유아, 초등, 중등 과학교육과정의 내용 분석, 유아, 초등, 중등 과학교육과정의 개념을 포함하는 개념도 및 분석 표 개발, 개발된 개념도 및 표의수정 및 완성 등 세 단계는 ‘물질의 성질’에 관련된 후기 연구에 해당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ool for K-12 science curriculum articulation analysis, especially the concept map of 'properties of matter' and the table of the key concepts of 'properties of matter' by grade. We have 5 steps for the purpose; to extract common subject of K-12 science curriculums, to analyze the contents of K-12 science curriculum related to the common subject, to develop and analyze concept maps of K-12 science curriculums, to develop common concept map and the table of key concepts by grade of K-12 science curriculum, and to modify and clear up the concept map and the table. First two steps are related to the develop of 'water' concept map, and the others are related to the 'properties of matter' concept map.

      •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과 중학생의 과학 진로 지향도 조사

        고은정 ( Eun-jung Ko ),천재순 ( Jaesun Chun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0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 관련 진로교육과 현재 중학생들의 과학 진로 지향도를 조사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관련 진로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2019학년도 1학기 동안 학교에서 실시된 각종 진로교육 프로그램에서 과학 진로교육과 관련된 활동을 분석하고 과학 교과와 진로 교과 시간에 이루어지는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조사하였다. 현재 중학생들의 과학 진로 지향도를 알아보기 위해 D중학교 1학년 9학급 285명, 2학년 9학급 283명, 3학년 9학급 288명의 남녀 학생 총 85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과학진로 지향도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으나 하위 영역 중 과학 진로 선호도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반영한 과학 진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과학 관련 직업체험 기회의 확대, 과학 교사들을 통한 다양하고 정확한 과학 관련 직업 정보의 제공,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일상생활과 연계한 과학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 진로 선호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in the actual school field and the science-career orientation of the current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in the fiel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9, were analyzed the activities related to science-career education in various career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at the school and was investigated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in the science curriculum and the career curriculum tim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cience-career orien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85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285 first grade 9 classrooms, 283 second grade 9 class students and 288 third grade 9 class students of D middle school. The overall science-career orientation showed positive results, but the science-career preference score was the lowest among subscales. It is possible to operate a science-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reflects the interests and interests of students, expand opportunities for science-related career experiences, provide various accurate and accurate science-related information through science teachers, and engage in science classes linked to everyday life Students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science-career pre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