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인체 간 Microsome에서의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의 Cytochrome P450 약물 대사효소에 대한 억제작용

        최지이,김수영,김경아,박지영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4

        연구배경: Sulfonylurea계 약물들은 제2형 당뇨병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이다. 장기간 투여로 인한 병용투여 약물과의 약물상호작용 가능성이 높고 또한 이들 약물들과 병용투여 약물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독작용이 보고된 예가 있으나 작용기전을 밝힌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약물대사 효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cytochrome P450(CYP)에 대해서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에 의하여 억제 작용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약물상호작용의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인체간 microxomes를 이용한 glibenclamide, glipizide, 및 gliclazide 등이 CYP1A2, CYP2C9, CYP2C19, CYP2D6 및 CYP3A4 동효소에 대한 억제정도를 각각의 CYP 동효소에 대한 지표약물을 이용하여 농도에 따른 상대적 억제정도로 평가하였다. 결과: Glibenclamide의 경우 CYP2C9에 대한 강한 억제 작용을 보였으며(IC_50, 11.3μM), CYP3A4에 대해서도 중등도의 억제작용이 관찰되었다(IC_50, 5900μM). 또한, CYP1A2, CYP2C19, CYP2D6에 대해서도 억제 작용이 관찰되었으나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IC_50s>112μM). Glipizide는 CYP3A4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강한 억제작용을 보였으며(IC_50, 11.2μM) 타 CYP 동 효소에 대해서는 거의 억제 작용을 나타내지 못하였다(IC_50s>500μM). Gliclazide의 경우 CYP2C9에 대해서는 약한 억제작용이 관찰되었으며(IC_50, 276.1μM) 타 CYP 동효소에 대한 억제 작용은 관찰되지 아니하였다(IC_50, >500μM). 결론: CYP 동효소에 대해서 제2세대 sulfonylurea계 약물들이 억제 작용을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임상적으로 sulfonylurea와 병용 투여 약물간의 약물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Sulfonylurea계 약물과 타 약물의 병용 투여시 치료 영역이 좁은 약물이나 농도에 따른 독성이 큰 약물의 경우 적극적인 혈당 조절과 더불어 병용 투여 약물에 대한 적극적인 감시(monitoring)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Sulfonylurea drugs have been used for many decades as one of the main families of drug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Even though there are many opportunities to medicate sulfonylurea drugs concomitantly with many other drugs, and furthermore there have been several case reports on drug interaction with sulfonylurea drugs, there has been no clear demonstration revealing the mechanisms that cause these interactions. We therefore evaluated inhibitory potential of sulfonylurea drugs, including glibenclamide, glipizide and gliclazide, on the cytochrome P450(CYP)-catalyzing enzymes using human liver microsomes. Methods: The inhibitory effects of glibenclamide, glipizide and gliclazide, on the CYP-catalyzing reaction, were evaluated for CYP1A2, CYP2C19, CYP2D6 and CYP3A4 using human liver microsomes, and probe drugs for each. Results: Glibenclamide showed relative potent inhibitory effects on the CYP2C9- and CYP3A4- catallyzed reaction (IC_50; 11.3(μM and 59.0 (μM). The other CYP isoforms tested showed only weak inhibitory effects by due to glibenclamide (IC_50>112(μM). Glipizide showed potent inhibitory effect on CYP3A4-catalyzed reaction only (IC_50; 11.2 (μM), and weak, or no, inhibitory effects on each on the other CYP isoforms tested (IC_50>276 (μM). Conclusion: The sulfonylurea drugs showed inhibitory potential on the CYP-catalyzing reaction in human liver microsome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provide insights into the potential of the drug interaction to ward drugs co-administered with sulfonylureas. It will be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control of blood glucose, as well as therapeutic drug monitoring, to reduced toxicities when sulfonylurea drugs are co-administered with drugs of a narrow therapeutic range, or with severe dose-dependent toxicities (J Kor Soc Endocrinol 17:544∼553, 2002).

      • KCI등재
      • SCOPUSKCI등재

        백서 뇌하수체 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의 Chicken Lysozyme 유전자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미치는 T₃효과 분석

        이성진,박철영,정인경,홍은경,최철수,김현규,김두만,유재명,임성희,최문기,유형준,박성우,Larsen, P. Reed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4

        연구배경: 유전자 전사과정은 증강부위 (enhancer) 또는 억제부위(silencer)의 복합작용을 통하여 조절되며 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는 두 개의독립적인 전사인자 결합부위 (Fl과 F2)를 가지는데 Fl부위는 75~93 kD 크기의 NePl 단백질이 결합하는 위치인 반면 역위회문구조(inverted palindrome, InvPal)의 F2 부위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가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동시에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에 대해 높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 실험적으로 Fl부위 또는 F2 부위 (이하 F2-TRE 부위)를 각각 다량체화(multimerization) 하였을 때 전사억제효과가 증가하였다는 연구 결과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으며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억제부위가 완전한 전사억제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Fl 부위와 F2-TRE 부위가 모두 필요함이 보고 되어 있다. 현재 갑상선호르몬에 의한 chicken Iysozyme 유전자 조절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73 자극 전 ·후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거의 보고된 바 없으며 이와 관련하여 저자들은 치근 사람의 간암세포주인 HepG2 세포에서 T₃ 자극전 ·후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인 IRE2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이 교대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염색체 면역침전법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확인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 연구에서 F2-lRE 부위를 포함하는 백서 뇌하수체 종양세포주인 GC8 세포를대상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후 시간적 순서에 따라 F2-TRE 부위에 결합하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양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방법: thymidine kinase(TK) promoter의 5' 부위에 chicken Iysozyme silencer의 고친화력 갑상선호르몬 반응요소(F2-TRE 부위)가 삽입된 플라스미드,mouse TRα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 neomycinresistance gene이 삽입된 플라스미드를 백서 뇌하수체성장호르몬 종양세포인 GC 세포에 각각 주입하여 제작한 GC8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100 α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다. 각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을 1.5μL에서 4.5μL로 바꾸어 첨가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반복하여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전과 투여한 후 20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8시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항체를 이용하여 염색체 면역침전법을 시행하였다. 100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l, TRβl, TRβ2 단백질의 발현량을 알아보고자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결과: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F2-TRE 시발체를 이용한 고식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₃를 투여한 후 12시간 뒤 TRα1과 TRβ2의 결합은 증가한 반면 TRβl의 결합은 감소하였다.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측정하였을 때TRα1은 T₃ 투여 전 1.01에서 T₃ 투여 후 2.73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Bβl은 T₃ 투여 전 4.59에서 T₃투여 후 2.06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Rβ2는 T₃ 투여 전 2.53에서 T₃ 투여 후 2.98로 증가하는 경향을보였다(TRα1, Δ=+170.3%, p<0.05; TRαl, Δ=-55.1%, p<0.05; TRβ2, Δ=+17.8%).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으로 측정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전체 결합량은 T₃ 투여 전 8.13에서 T₃ 투여 후 7.77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Δ=-4.4%).100nM T₃ 투여 전 ·후 시간별로 염색체 면역침전법과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시행하였을 때 TRα1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과 6시간 뒤 각각 증가하였으며 TRβ2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20분 뒤 최고치까지 증가하였다가 2시간 뒤부터 감소하였다. 그러나 TRαl 결합량은 T₃ 투여 후 1시간 뒤 최저치까지 감소되었다가 이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100 nM T₃ 투여 전과 투여 후 2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결합량을 비교하였을 때 TRα1은 219.8% (1.01→3.23), TRβ2는 9.9% (2.53→2.78) 증가하였으나 TRβ1은 52.9% (4.59-)2.16) 감소하였으며 결합량 변화의 방향은 100 naM T₃ 투여 후 4시간 뒤와 6시간 뒤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량 변화의 방향과 일치하였다(TRα1, 2.89→4.09, Δ =+41.5%; TRβl, 2.33→2.04, Δ=-12.4%; TRβ2, 2.57→2.59, Δ=10.8%).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를 1.5 μL 또는 4.5 μL 투여한 후 F2-TRE부위에 대한 염색체 면역침전법 및 정량적 중합효소연쇄반응을 각각 시행하였을 때 첨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항체의 양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결합량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00 nM T₃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한 후 12시간 뒤 Western blot을 시행하였을 때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발현량의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관찰된 T₃ 자극 전 · 후 chickenIysozyme 유전자의 F2-TBtE 부위에 대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이성체의 교대현상 및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가 나타내는 의미에 대하여 추시 연구가 필요함은 물론 추가적으로 다른 유전자 또는 다른 종류의 세포주를 대상으로 T₃자극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결합양상의 변화와유전자 발현을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 결과만으로는 갑상선호르몬 수용체 역동학에 대한 많은 의문점을 풀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외적으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에 대한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현실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는 제한적이나마 일정한 농도의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ㆍ후chicken Iysozyme 유전자의 F2-TRE 부위에서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교대현상을 재확인하였다는 점과 갑상선호르몬 자극 전 · 후 시간적 순서에 따른 갑상선호르몬 수용체의 역동학적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regulation of gene transcription can be controlled by both positive (enhancer) and negative (silencer) regulatory sequences. Several enhancer and silencer ele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5' region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The silencer located at -2.4 kb upstream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is composed of two separate modules (Fl and F2) that can function as silencers by themselves, but also show synergistic repression after multimerization. The F1 module is bound by a protein termed NePl and F2 module, a F2 thyroid hormone response element (F2-TRE), and can be bound by the thyroid hormone receptor (TR). F2-TRE has an inverted palindromic structure, with high affinity to TR. Although many current reported results have tried to explain the regulatory mechanism of chicken lysozyme gene expression due to the thyroid hormone,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clarify the TR dynamic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either with or without exposure of the thyroid hormone. Here, the changes in the TR binding patterns in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are described,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Methods: Using the stably transfected rat pituitary somatotroph tumor cell line, GC8 cells, with the F2-TRE inserted 5' to the thymidine kinase (TIC) promoter, together with a mouse TRα - expressing plasmid, a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technique was employed to reveal the TR-TRE interaction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Following the cross-linking and sonication of the cells, the immunoprecipitation was performed overnight, at 4℃,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respectively.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Rβ1 and TRβ2 to the F2-TRE, before and after 1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analyzed using conventional and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RQ-PCR). The ChIP technique was used to give a basal value for 20 minutes and 1, 2, 4, 6, 8 and 12 hours after the 100nM T₃ stimulation, and RQ-PCR was then performed. Western blot with TRαl, TRβl and TRβ2 antibodie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of the GC8 cells, the TRα1 and TRβ2 binding to the F2-TRE increased, but the TRβ1 binding to the F2-TRE decreased, by conventional PCR. Although all the TR isoforms were bound to the F2-TRE by RQ-PCR, the TRαl binding to the F2-TRE, after 12 hours of l00nM T₃ stimul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1.01→2.73, Δ =+170.3%, p<0.05), but the change in the amount of TW2 binding was not significant (2.53→2.98, Δ=+17.8%). The TRβl bindin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basal level (4.59→2.06, Δ=-55.1%, p<0.05). The total TR bindings to the F2-TRE had a tendency to decrease after 12 hours of 100 nM T₃ stimulation (8.13→7.77, Δ=-4.4%). The binding patterns and amounts of TRαl, Tβl and Tβ2, both before and after the 100 nM T₃ stimulation, were also identified over time. While the TRβl bindings to the F2-TRE after 1 hour of l00nM T₃ stimulation were acutely reduced, those of the TRαl at 20 minutes and 6 hours were increased. The TRβ2 bindings showed a maximal increase at 20 minutes. The directions of the TR binding patterns, between the before and after 2 hours of 100nM T₃ stimulation, were identical to those for between 4 and 6 hours of T₃ stimul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 bindings to the F2-TRE in relation to the amounts (1.5 vs. 4.5μ I) of TR antibodies used during the ChIP assays. The Western blo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the levels of each TR isoform proteins, either before or after 12 hours of exposure to 100nM T₃.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e dynamic binding patterns of the TR isoforms to the F2-TRE of the chicken lysozyme gene, both before and after T₃ stimulation, over time. Further investigation, however, will be needed to clarify the mechanisms of our observations. The ChIP technique may then be used to reveal the dynamic models of the cofactors, as well as TR isoforms, in the TR-regulated transcription machinery (J Kor SOC Endocrinol 18:379-391, 2003).

      • 말초혈액에서 Tg mRNA에 대한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의 갑상선 재발암의 분자생물학적 진단

        권성일,박기룡,김현영,신채희,임영찬,최영식,박요한,이강대,장희경,이재화,염하용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4

        연구배경: 갑상선암은 다른 조직에 발생한 암에 비해 비교적 천천히 자라므로 대부분 예후가 양호하지만, 일부에서는 주위 조직으로 침윤하거나 혹은 원격 전이로 인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갑상선전절제술 및 131^I 제거술 후 경과 관찰시 갑상선암의 재발과 전이의 진단에 있어 131^I 스캔과 혈청 Tg의 측정이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에는 여러 가지의 결점이 있다. 최근 Tg mRNA에 대한 RT-PCR법을 이용한 여러 연구결과는 131^I 스캔과 혈청 Tg 측정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는 좋은 보조적인 진단법으로 이용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말초혈액에서 측정한 Tg mRNA에 대한 RT-PCR법이 갑상선 절제술 및 방사성요드 치료 후 갑상선암의 재발 및 전이 유무의 진단에 유용한가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 시행하였다. 방법: 분화된 갑상선암으로 진단된 후 갑상선전절제술을 시행받고 방사성요드 치료를 받은 환자 중 현재까지 한차례에 이상 추적 방사성요드 전신 스캔을 시행하고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유두선암 35예, 여포선암 5예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군은 131^I 스캔 소견상 음성인 군(Group Ⅰ), 잔여조직이 있는 군(Group Ⅱ), 국소전이가 있는 군(Group Ⅲ), 및 원격전이 군(Group Ⅳ)으로 구분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갑상선질환이 없는 10예의 건강인으로 하였다. 대상환자의 말초혈액을 이용한 Tg mRNA에 대해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하여 RT-PCR 및 nested RT-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31^I 스캔 소견상 음성인 군 21예 중 1예에서 Tg가 양성소견을 보였다. Anti Tg Ab가 양성인 4예 모두 Tg가 음성을 보였다. 잔여조직이 있거나 국소전이 및 원격전이를 보인 군 19예 중 Tg가 양성인 경우는 4예였으나, Tg mRNA는 전예에서 양성이었다. 2) 131^I 스캔에서 국소 및 원격전이 소견을 보인 8예 중 4예에서 Tg가 음성으로 131^I 스캔과 혈청 Tg 사이에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3) 말초혈액에서 특이적인 primer를 이용하여 RT-PCR 및 nested RT-PCR을 시행한 결과 대상군 40예 및 정상 대조군 10예 모두에서 Tg mRNA가 양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갑상선 절제술 및 방사성요드 치료 후 갑상선암의 재발 및 전이 유무를 평가함에 있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 반응법을 이용한 Tg mRNA 측정의 의의는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Background: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is the most common endocrine malignancy. Despite advances in the treatment of thyroid cancer, disease recurrence and metastasis may occur in as many as 20% of patients, and so continues to pose major problems in its clinical management. Serum thyroglobulin (Tg) measurements, by immunoassay, are used to detect residual or recurrent thyroid cancer following thyriod ablation. However, the usefulness of immunoassay is limited by both the requirement for thyroid hormone withdrawal, to attain optimal test sensitivity, and interference by the antithyroglobulin antibody (Anti-Tg Ab).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detection of Tg mRNA in the peripheral blood of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mas.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d the usefulness RT-PCR of Tg mRNA in peripheral blood of patients with thyroid carcinoma following a total thyroidectomy and radioiodine ablation therapy. Methods: Forty cases that underwent a total thyroidectomy and radioiodine ablation thera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f the 40 patients, 35 were papillary carcinomas and 5 were follicular carcinomas. Ten normal control subjects were also studied. Tg mRNA was extracted. Then RT-PCR and nested RT-PCR, were run with specific Tg primers. Concurrently, DNA sequencing of the isolates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isolates were identical to the nucleotide sequence of the Tg. Results: The Tg was detected in 4 of 19 patients, with either a residual thyroid bed, or metastasis, on a 131^I whole body scan and in 1 of 21 patients with a negative radioiodine scan. Surprisingly, the Tg mRNA was detected in all the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Conclusion: From our results we can not recommend Tg mRNA, detected by RT-PCR in peripheral blood, as a tumor marker superior to that of the Tg serum level. We consider an intensive re-evaluation of the method is required before considering its clinical applications (J Kor Soc Endocrinol 17:501∼513, 2002).

      • 한국인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 유전자 다형성

        황재경,김경원,김태용,이회수,박영주,신찬수,박도준,박경수,이병두,김성연,이홍규,조보연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1

        연구배경: 한국인 그레이브스병 환자를 대상으로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하여 연관성을 살펴보고, 유전자형과 임상상 및 갑상선수용체자가항체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새로 진단된 그레이브스병 환자 117명과 건강한 성인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 유전자 다형성은 각각 ApaI, BsmI, TaqI 제한효소로 잘라 제한분절길이다형성 방법으로 유전자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절단부위가 존재하는 경우를 각각 a, b, t라 하였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A, B, T라 명명하였다. 결과: 제한효소 ApaI에 대한 유전자형의 분포는 각각 AA형 17.1%, Aa형 50.4%, aa형 32.5%이었고, BsmI의 경우는 BB형이 7.1%, Bb형이 35.4%, bb형이 57.5%이었고, TaqI 유전자형은 TT형이 92.6%, Tt형이 6.2%, tt형이 1.2%이었다. 이러한 분포는 정상인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전자형에 따른 그레이브스병 환자군의 임상상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에, 모든 유전자형에서 연령, 성별, 갑상선종의 크기, 안구병증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a유전자형에서 TBII(aa 55.9±18.3 vs. Aa 43.2±23.4, p<0.05; aa 55.9±18.3 vs. AA and Aa 42.9±23.5, p<0.05)와 WT-CHO TSAb (aa 620±829 vs. AA and Aa 353±306, p<0.05)가 높고, bb유전자형에서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높으며 (BB and Bb 31.9±38.9 vs. 51±42.8, p<0.05), b 유전자를 포함하는 군에서 혈청 alkaline phosphatase가 높은 결과를 보였다 (Bb and bb 139±68 vs. BB 82.2±15.5, p<0.05). 결론: 한국인에서 비타민 D 수용체 3' 말단부위의 유전자 다형성은 그레이브스병과 연관성이 없었다. 향후, 비타민 D 수용체 유전자와의 연관성을 확실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3' 말단부위이외의 다른 부분의 유전자 다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vitamin D receptor (VDR) gene polymorphisms with Graves' disease in Koreans. We also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VDR gene polymorphisms with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iters of TSH receptor antibodies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Subjects and Methods: The VDR gene polymorphisms were evaluated in 117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156 normal controls. The polymorphisms were represented according to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a(ApaI), Bb(BsmI), and Tt(TaqI), with the capital letters signifying the absence, and small letters the presence of restriction sites. Results: The distribution of the ApaI polymorphism genotype was: AA(17.1%), Aa(50.4%)and aa(32.5%). The BsmI polymorphism genotype distribution was: BB(7.1%), Bb(35.4%) and bb(57.5%); and the TaqI polymorphism genotype distribution was: TT(92.6%), Tt(6.2) and tt(1.2%).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ther genotypic or allelic distribu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the normal controls, associated with the VDR gene polymorphism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with age, sex, size of goiter or the presence of ophthalmopathy, in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ssociated with the VDR gene polymorphisms. However, the titers of the TBI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a than the Aa genotype, and were also higher in the group without the A allele than in groups with(aa 55.9±18.3 vs. Aa 43.2±23.4, p<0.05; aa 55.9±18.3 vs. AA and Aa 42.9±23.5, p<0.05). Thyroid stimulating antibodies measured with a CHO cell transfected with a wild type of human TSH receptor, were also higher in patients without the A allele than in those with(aa 620±829 vs. AA and Aa 353±306, p<0.05). The titers of the anti-thyroglobulin antibod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not containing the B allele than in the group that did(bb 50.9±42.8 vs. BB and Bb 319.±38.9, p<0.05). The serum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higher in the group having the b allele than in the group that did not(Bb and bb 139±68 vs. BB 82.2±15.5, p<0.05). Conclusions: The VDR gene 3' end polymorphism was not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Graves' disease in Koreans. The studies of other polymorphism sites of the VDR gene might be required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of VDR gene polymorphism with Graves' disease in Koreans (J Kor Soc Endocrinol 18:12∼23, 2003).

      • Graves 병과 혈청 면역글로불린-E의 연관성

        김현영,박기룡,김성훈,김지연,송수근,최영식,박요한 대한내분비학회 2002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7 No.5

        연구배경: Graves 병은 미만성 갑상선종, 갑상선기능한진, 안구침법 등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갑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자가항체(TRAb)가 갑상선을 자극하여 발생된다. TRAb는 Graves병 환자의 약 85%이상에서 검출되며 활성화된 TRAb는 대부분 IgE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Graves병 환자의 갑상선조직과 안구조직에 IgE의 침착과 꽃가루 등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해 Graves병이 발생하거나 재발된 견우가 보고되어 Graves병의 병인에 IgE의 연관성이 제기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드물다. 본 연구에서는 Graves병에서의 혈청 IgE농도와 Graves병의 병기와의 관계 및 TRAb와 IgE 농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4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고신의료원 내분비내과를 방문한 환자 중 Graves병 46예, 만성갑상선염 6예 및 고신의료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환자 중 갑상선질환의 병력이나 가족력 및 알레르기성 비염의 병력이 없는 35예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TRAb는 갑상선자극호르몬 결합 억제 면역글로불린(TBII)으로 측정하였으며, IgE는 효소면역분석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IgG인 TBII는 Graves병에서 만성갑상선염과 대조군에 비해 높았으며, IgE 평균농도는 Graves병에서 598.1±1112.9U/mL로 만성갑상선염 환자의 98350±79.7U/mL, 대조군 161.72±194.4U/mL에 비해 높았다(p<0.05). Graves병에서 알레르기성 비염의 발병율은 10.9%(5/46)였으며, Graves 병에서의 혈청 IgE 농도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병력이 있는 경우 903.1±1152.2U/mL로 없는 경우 560.8±1117.0U/mL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Graves병의 병기에 따른 TBII와 IgE 농도의 변화를 항갑상선제로 치료하지 않은 군(비치료군)과 치료한 군(치료군) 및 재발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TBII는 치료군(7.4±18.6%)에 비해 비치료군(49.9±23.9%)과 재발군(21.1±3.1%)에서 높았으며(p<0.05), 혈청 IgE치도 치료군(233.8±432.7U/mL)에 비해 비치료군(758.6±1250.0U/mL)과 재발군(1198.5±1952.1U/mL)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항갑상선제로 치료한 치료기간에 따른 TBII와 IgE 농도 변화에서, TBII는 비치료군(49.9±23.9%)과 1년 미만 치료군(24.8±3.8%)에서 1년 이상 치료군(2.22±1.97%)에 비해 높았으며(p<0.05), 혈청 IgE 농도는 비치료군(758.6±1250.2U/mL)에서 1년 미만 치료한 군(158.3±91.5U/mL)과 1년 이상 치료군(252.7±483.4U/mL)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Graves 병에서 IgE 농도는 증가되어 있었으며, Graves 병의 각각 다른 병기에서의 혈청 IgE 농도의 변화는 Graves qudd의 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IgG인 TBII치의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혈청 IgE와 Graves 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IgE와 더불어 CD23항원 등의 다른 검사도 병행하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It is widely believed that Graves' disease is and autoimmune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circulation TSH receptor antibody (TRAb). The majority of the activity of TRAb is of the immunoglobulin G(IgG) class. However, other immunoglobulin such as immunoglobulin E(IgE), may play a rloe in the activity. IgE accumulation has been reported to occur in the thyroid gland and ocular muscles of subjects with Graves' disease. Furthermore, it has been noted that recurrence of Graves' disease can be induced by and allergy to pollen. Because an allergy to pollen is commonly associated with IgE, IgE might play a role in the induction of Graves' disease. Therefore, investigated whether IgE was elevated in Graves' disease, and evaluated the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TRAb and IgE Graves' disease. Methods: Forty-six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6 with chronic thyroiditis, diagnosed at the Kosin Medical Center between April, 2000 and July, 200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irty-five persons without thyroid disease or a history of allergic rhinitis were used as normal controls. The level or TRAb was measured using thyrotropin binding inhibitory immunoglobulin (TBII). Serum total IgE was measured using as enzymeimmunoassay method. Test for thyroid function, TBII and total IgE were performed in all cases, and the results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BII, as IgG, and the serum IgE level were higher in the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and the levels of the latter were 598.1±1112.9U/mL, 98.5±79.7U/mL and controls 161.7±194.4U/mL in the Graves' patients, those with thyroiditis and the controls, respectively (p<0.05). The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in Graves' disease was 10.9%. The serum IgE level in Graves' disease with, and without, allergic rhinitis were 903.1±1152.2U/mL and 560.8±1117.0U/mL,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linical stage, the serum TBII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and relapsed patients 49.9±23.9% and 21.1±3.1%, respectively, than in the treated group, 7.4±18.6% (p<0.05). The serum IgE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and relapsed patients 758.6±1250.2U/mL and 1198.5±1952.1U/mL, respectively, than in the treated group 233.8±432.7U/mL, although this was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reatment, the serum TBII levels were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patients, and those treated for less than 1 year, than in those treated for more than 1 year, with values of 49.9±23.9, 24.8±3.8 and 2.22±1.97%, respectively (p<.05). The serum IgE level was higher in the untreated Graves' disease (758.6±1250.2U/mL) than in the groups treated for less than 12 months (158.3±91.5U/mL) and more than 12 months (252.7±483.4U/mL),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 concentration of IgE was high in Graves' patients, an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rum igE level in Graves'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was higher than those without. With regard to the clinical stage of Grave's disease, the change in the IgE level tended to follow that of the TBII. Further study will be required to define the possible role of IgE in the pathogenesis in Graves' disease (J Kor Soc Endocrinol 17:640∼648, 2002).

      • KCI등재후보

        FRTL-5 세포에서 과산화수소 유발 아포프토시스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영향

        김원배,김태용,송자영,송영기 대한내분비학회 2004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9 No.4

        Background: Understanding the pathways and controlling mechanisms of thyrocyte apoptosis is important for the elucidation of the pathogenesis of goiter or thyroid cancer. A system for evaluating apoptosis, in FRTL-5 cells, triggered by hydrogen peroxide(H2O2), a highly likely apoptogenic signal in physiologic condition, was be set up to see the effects of TSH and estrogen on H2O2-induced apoptosis.Method: DNA laddering was used in the optimization process or the conditions of the set-up of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apoptosis in the FRTL-5 cells. To quantify the apoptosis under the optimized conditions, histone-bound DNA fragments in the cytoplasm were measured by ELISA.Results: 1) The optimized conditions for induction of apoptosis in the FRTL-5 cells by H2O2 were; observation of DNA laddering 18~24 hrs after the addition of 0.3mM H2O2 to cells maintained in TSH-free, low serum containing media(5H1 or 5H0 media) for 48 hrs. 2) Exposure of the FRTL-5 cells to TSH(1mU/L) for more than 48 hrs(6H0 media). before the addition of H2O2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egree of apoptosis, compared to cells maintained under TSH-free conditions(0.98±0.21 vs. 2.27±0.11 arbitrary unit, p<0.05), whereas exposure for 24 hrs. did not.3) Exposure of the FRTL-5 cells to high dose 17-β estradiol(1-100μM)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egree of H2O2-induced apoptosi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addition of serum(1%) blunted the effects of estrogen on H2O2-induced apoptosis, and TSH totally abrogated the estrogen effect.Physiologic doses of estrogen(10~100nM) showed no suppressive effects on H2O2-induced apoptosis in FRTL-5 cells. Conclusion: A system for evaluating apoptosis in FRTL-5 cells triggered by hydrogen peroxide(H2O2), a highly likely apoptogenic signal in physiologic condition, was set up, and found for the first time that high dose estrogen suppressed the H2O2-induced apoptosis in FRTL-5 cells 연구배경: 갑상선종과 암 발생의 기전은 미상하며, 정상 갑상선 세포에서 아포프토시스 과정의 조절과 그 기작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이들 질환의 병태생리 규명에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갑상선세포에서 아포프토시스 자극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는 과산화수소(H2O2)를 이용하여 FRTL-5 세포에서의 아포프토시스를 살펴보는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갑상선자극호르몬(TSH) 및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방법: FRTL-5 세포를 이용한 아포프토시스 측정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과정은 아포프토시스의 가장 전형적인 현상으로 알려진 DNA laddering을 이용하였고, 최적화된 조건에서 아포프토시스의 정량적 분석을 위해서는 좀 더 예민한 방법을 적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어 세포질에서 히스톤-결합 DNA fragment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결과: 1) FRTL-5 세포에서 과산화수소(H2O2)-유발 아포프토시스는 세포를 6H5 배양액으로 80~90% 차게 키운 후, 5H0 또는 5H1 배양액에 48시간 노출시킨 상태에서 H2O2를 배양액에 0.3mM이 되도록 한 번 가하고 18~24시간 후에 DNA fragmentation 현상을 관찰하였을 때 가장 잘 나타났다.2) TSH(1mU/L)가 포함된 배지(6H0)에서 48시간 유지한 경우는 H2O2로 유발된 FRTL-5 세포의 아포프토시스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2.27±0.11 vs. 0.98 ±0.21 arbitrary unit, p<0.05), 24시간 동안만 유지한 경우에는 감소되지 않았다.3) TSH가 없는 조건에서(5H0 배양액) FRTL-5 세포의 H2O2-유발 아포프토시스는 1-100uM의 17β-estradiol을 전처치하였을 때 용량-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SH가 없지만 1%의 혈청을 추가한 경우에는(5H1 배양액) 에스트로겐에 의한 H2O2-유발 아포프토시스의 억제효과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생리적인 농도의 에스트로겐(10~100nM)을 FRTL-5 세포에 전처치하였을 때에는 H2O2-유발 아포프토시스의 억제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