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형 정신분열병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임상 적용 가능성(IV):과거 항정신병약물 치료력이 약물 효과 및 알고리듬 적용에 미치는 영향

        조현상,권준수,박원명,김창윤,신영철,전덕인,이상열,최용성,이홍식 대한정신약물학회 2006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7 No.2

        Objective: The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was developed by the extensive review and questionnaires. To evaluate the impact of a history of antipsychotic treatments on clinical response and algorithm application, using the data derived from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Medication Algorithm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 Outcomes of treatment with the Medication Algorithm for 108 schizophrenics up to 4 months are presented. Measures of changes included clinical symptoms, functioning, and side effects. Comparison was don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 history of antipsychotic treatments. Results: 100 individuals (with a history = 71; without a history = 29) were analyzed for the comparison. Most of subjects without a history of antipsychotic treatments were administered on risperidone in the initial treatment. When compared with the subjects with a treatment history, the subjects without a history showed better treatment effects on clinical symptoms at the first evaluation. At 4-month, there were similar effects between the two groups except negative symptoms, in which the group with a history showe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than without a histo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ssessment of subjective opinion and well-being to drugs and quality of life, and objective evaluation of drug side effects. Among the subjects with a history, the ones starting with stage 1 showed higher positive symptoms, anxiety scores, and briefer duration of antipsychotic exposure than the ones starting with stage 2 or more advanc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despite some limitation, an antipsychotic treatment history may have an impact on application of medication algorithm and these data will be helpful for revision of the Medication Algorithm for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목적: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의 약물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 시범연구적용으로 얻어진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과거 약물 치료력 유무에 따라 약물치료 알고리듬 치료단계 적용, 치료 효과, 단계 적용과 관련된 임상적 특성 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국내의 19개 기관에서 등록된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정신분열병 약물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을 적용하였다. 선택약물알고리듬 단계 적용의 특성을 통한 대상자에게 임상 증상, 약물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질, 약물 부작용 평가를 위해, 각각 Brief Symptom Rating Scale, Clinical Global Impression,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과 Drug Attitude Inventory, Patient Preference Scale,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 한국형 WHO-삶의 질 평가 척도, 그리고 UKU side effect rating scale과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이 사용되었다. 대상자들을 약물 치료력이 있는 환자군과 없는 환자군으로 나누어 양 군 간의 척도 점수와 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약물 치료력이 있는 군에서 적용 단계에 따른 임상적 특성도 알아보았다. 결과: 약물 치료력이 없는 군이 있는 군에 비해 대부분 1단계에서 risperidone으로 시작하였으나 최고 사용 용량의 차이는 없었다. 항정신병약물 사용에 따른 결과에서는 약물 사용력이 없는 군이 있는 군에 비해 초기 수 주에서 양성증상과 전반적 점수에서 유의한 호전이 있었고, 약물 사용력이 없는 군은 있는 군에 늦게 음성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또한 기왕력이 있는 군은 없는 군에 비해 4개월째의 약물 선호도가 유의하게 더 높고, 기왕력이 있는 경우 주관적 평가 상 유의하지는 않으나 약물 부작용이 많았고 불특정 부작용 증상도 유의하게 많았다. 그러나 객관적으로 평가된 약물 부작용, 약물에 대한 태도 및 삶의 질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약물 치료력이 있는 환자군내에서 2단계 이상에서 사용한 환자들에 비해 1단계로 시작한 환자들은 유의하게 짧은 과거 항정신병약물 사용 기간과 더 심한 양성증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여러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정신분열병을 대상으로 한 약물치료 알고리듬 적용시 과거 항정신병약물 치료력 유무가 알고리듬의 단계 및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는 향후 한국형 알고리듬의 재개정에 경험적인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14: 조증 삽화

        우영섭,박원명,전덕인,서정석,이정구,정종현,김문두,손인기,심세훈,민경준,윤보현,신영철 대한정신약물학회 201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5 No.2

        Objective The pharmacotherapy of bipolar disorder has many difficulties such as various clinical feature according to eachepisode, recurrence, breakthroughs, treatment resistance, switching and worsening of its course. Recent rapid developmentand research of bipolar disorder and psychopharmacology, including atypical antipsychotics and new anticonvulsants, makeit more difficult to choose the appropriate pharmacological options. Therefore, we decided to revise the Korean Medication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 (KMAP-BP) 2010 in order to provide more proper guideline for clinicians. Methods Like the previous version, KMAP-BP 2010, we performed the survey using questionnaire comprising 55 mainquestions in which 8 main questions and 478 sub-items for treatment of manic or hypomanic episode were included. Sixtyfourmembers of the review committee completed the survey. The executive committee analyzed the results and discussedthe final production of algorithm considering scientific evidence. Results The first-line pharmacotherapeutic strategy for acute manic episode is combination of mood stabilizer and anatypical antipsychotic, and it i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euphoric, psychotic and dysphoric/mixed mania. The preferencefor monotherapy with atypical antipsychotic (for all three types of mania) or mood stabilizer (for euphoric mania) was increasedin KMAP-BP 2014. Valproic acid and lithium are chosen as the preferred mood stabilizer of the first-line treatment ofacute manic episode and valproic acid w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all types of mania. Atypical antipsychotics is morewidely accepted than before in manic and hypomanic episode. Moreover, the preference for combination treatment in manicpatients who failed to respond in early stage treatment was increased.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previous version, we found that ‘no-consensus’ decreases in this revision. These suggestthat the many clinicians agree with others in the treatment of acute manic/hypomanic episode, and the pharmacotherapy ofmanic/hypomanic episode become more obvious than before. Atypical antipsychotics such as aripiprazole, olanzapine andquetiapine gain more awareness in the treatment of bipolar mania and hypomania. We expect this algorithm may provide cliniciansgood information and help about the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manic/hypomanic episode. 정신과적 질환의 약물치료의 발전에 따라, 이를 실제 임상상황에 맞도록 정리하여 제시하는 지침서 또는 알고리듬의역할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이에 2002년 발간되었던 KMAPBP2002와 2006년 개정판(KMAP-BP 2006), 2010년 개정판(KMAP-BP 2010)에 이어 2014년판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을 발간하였다. 본 개정판에서는 양극성 장애에 대한 근거자료의 축적과 치료 전략과 진단적 접근의 변화를 반영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하였다. 모든 조증 유형에서 기분조절제(valproic acid 또는 lithium)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 치료가 최우선 치료였으며, 경조증의 경우에는 기분조절제 혹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단독 치료가 1차 선택이었다. 급성기 조증의 치료에 사용하는 기분조절제로서는 valproic acid가 모든 형태의 조증에서 최우선 치료로 선택되었고, lithium은 모든 형태의 조증에서 1차 약물로 평가되었다. 기분조절제 단독 치료에 반응이없는 경우에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추가하는 것이 최우선치료였으며, 단독 치료에 반응이 전혀 없다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로 교체하는 것 또한 1차 치료로 평가되었다. 또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단독 치료에 반응이 불충분하다면 기분조절제를 추가하는 것이 1차 치료 전략이었다. 급성기 조증 삽화에 대하여 선호되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aripiprazole,olanzapine, quetiapine, risperidone이었으며, 특히 혼재성 조증 및 정신병적 조증에서는 olanzapine이 최우선 치료로 선택되었다. 조증 삽화 부분에서 KMAP-BP 2014의 특징은 이전 판에비하여 유쾌성 조증에 대해서는 기분조절제 단독 치료의 선호도가 증가하고, 혼재성 조증에서는 기분조절제와 비정형항정신병약물 병합 치료의 선호도가 증가하였고,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단독 치료에 대한 선호도는 개정을 거듭할수록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조증의 각 아형과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다양한 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가 축적되고이해가 증가하면서, 증상의 특성에 따른 좀 더 특화된 치료가선호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문가들 사이에 컨센서스를 이루지 못한 항목이 이전에 비하여 줄어들어,조증 삽화의 치료에 대하여 많은 전문가들의 의견이 일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양극성 조증의 치료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약물이도입되고, 기존의 약물들의 치료적 적용에 대한 새로운 접근도 계속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변화를 반영한 알고리듬의 제작과 실제 임상에서의 적용 효과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알고리듬 2014: 총론

        윤보현,박원명,전덕인,신영철,서정석,이정구,우영섭,정종현,김문두,손인기,심세훈,민경준 대한정신약물학회 201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5 No.2

        2002년에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 지침서(KMAP-BP2002)가 발표된 이후, 2006년에 한국형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지침서의 개정판(KMAP-BP 2006), 2010년에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지침서(KMAP-BP 2010)에 2차 개정판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양극성 장애는 다양한 임상 양상과 경과를보이는 질환이며 이에 따른 약물치료도 매우 복잡하고, 최근에는 양극성 장애의 약물치료에 대한 새로운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KMAP-BP의 개정이필요하게 되어 KMAP-BP 2014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110명의 양극성 장애 전문가에게 개정된 양극성 장애 약물치료설문지를 발송하여 이에 대한 회신을 보낸 64명의 의견을 종합하였다. 급성기 조증 삽화의 경우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가 가장 선호되는 치료전략이었다. 경조증에서는 기분조절제 단독과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단독치료가 1차치료 선택이었다. 급성기 조증에서는 valproic acid와 lithium이 1차 치료약물로 선택되었으며, 특히 valproic acid는 조증의 모든 경우에서 최우선 치료약물로 선택되었다.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가운데 olanzapine, quetiapine, aripiprazole, risperidone이조증의 모든 경우에 1차 치료약물로 선택되었으며, 경조증에서는 olanzapine, quetiapine, aripiprazole이 1차약물로 선택되었다. 경도-중등도의 양극성 우울증의 1차 치료전략은 기분조절제 단독,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 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 lamotrigine의 병합치료가 선택되었다.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은 심한 우울증에서는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병합치료, 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lamotrigine 병합치료, 그리고 기분조절제와 항우울제의 병합치료가 1차 치료전략이었으며,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한 심한우울증에서는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병합치료,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 lamotrigine 병합치료, 기분조절제와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 항우울제의 병합치료, 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 기분조절제와 lamotrigine의 병합치료, 비정형 항정신병약물과 항우울제의 병합치료, 그리고 비정형 항정신병약 물과 항우울제와 lamotrigine의 병합치료가 1차 치료전략으로 선택되었다. 급성기 양극성 우울증에서 1차로 선택되는 기분조절제는 lithium, valproic acid, 그리고 lamotrigine이었다.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은 quetiapine, olanzapine 및 aripiprazole이1차 약물로 선택되는데, 정신병적 증상이 없는 우울증에서는 quetiapine이, 정신병증 증상이 있는 우울증에서는 olanzapine이조금 더 선호되는 양상을 보였다. 양극성 장애 우울 삽화에 사용되는 항우울제로는 중등도의 우울증에서는(es)citalopram, bupropion, sertraline이 1차 약물로 선호되었으며, 심한 우울증에서는 (es)citalopram, sertraline, bupropion,mirtazapine, venlafaxine이 1차로 선택되었다.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Bipolar Disorder2014에 새롭게 추가된 항목인 혼재성 양상에 대한 치료에서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투여가 최우선 치료로 선택되었고,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단독치료는 1차 치료전략으로 선호되었다. valproic acid, lithium, aripiprazole, olanzapine,quetiapine이 혼재성 조증 삽화, 혼재성 우울 삽화,혼재성 삽화 모두에서 1차 치료전략으로 선택되었고, risperidone은혼재성 조증 삽화에서, lamotrigine은 혼재성 우울 삽화에서 1차 치료전략으로 추가 선택되었다. 급속순환형의 치료에서는 KMAP-BP 2010에서는 현재 ... Objective The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Bipolar Disorder (KMAP-BP) was firstly published in 2002, with updatesin 2006 and 2010. This third update reviewed the experts’ consensus of opinion on the pharmacological treatments ofbipolar disorder. Methods The newly revised questionnaire composed of 55 key questions about clinical situations including 223 sub-itemswas sent to the experts. Sixty-four of 110 experts replied. For the newly added section (treatment guideline for child and adolescentbipolar disorders) in KMAP-BP 2014, 23 of 38 experts replied to this special section. Data were analyzed accordingto the same methods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previous publications. Results The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cute mania remained largely unchanged. Combination of moodstabilizer (MS) and atypical antipsychotic (AAP) was the first-line treatment option in acute mania. Valproic acid (VP), lithium(Li), and several AAPs continued to be first-line treatments. MS or AAP monotherapy was the first-line treatment in hypomania. More frequent use of AAP as a first-line agent was noted in KMAP-BP 2014. For management of mild to moderatebipolar depression, MS monotherapy, combination of MS and AAP, combination of AAP and lamotrigine (LTG) was thefirst-line treatments. In severe non-psychotic depression, combination of MS and AAP, combination of AAP and LTG, andcombination of MS and antidepressant (AD) was the first-line treatments. For the management of severe psychotic bipolardepression, combination of MS and AAP, combination of AAP and LTG, combination of MS, AAP and AD or LTG, combinationof AAP and AD, and combination of AAP, AD and LTG was the first-line treatments. Li, VP, LTG, aripiprazole(ARP), olanzapine (OLZ) and quetiapine (QT) were the first-line treatment for bipolar depression. Although many treatmentoptions were recommended, there were few consensus of opinion in bipolar depression. Treatment of mixed features wasfirstly added in KMAP-BP 2014. Combination of MS and AAP w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management of mixed features. AAP monotherapy was also the first-line treatment. VP, Li, ARP, OLZ and QT were the first-line treatment for managementof all phases of mixed features. Risperidone was added in mixed mania and LTG in mixed depressive features. Therehave been many treatment options for management of rapid cycling in bipolar disorder, when considered the combination of MS and AAP was only first-line treatment in KMAP-BP 2014. Combination of MS and AAP, MS or AAP monotherapy wasthe first-line options for management of maintenance phase after manic episode. For maintenance treatment after bipolar Idepression, combination of MS and AAP, combination of MS and LTG, combination of AAP and LTG, MS or LTG monotherapy,and combination of MS, AAP and LTG were the first-line options. For management of maintenance phase of bipolarII depression, combination of AAP and LTG, combination of MS and LTG, combination of MS and AAP, AAP or LTGmonotherapy were recommended as the first-line options. Conclusion The experts’ opinion of consensus was markedly changed in KMAP-BP 2014 than in previous publications. Preferred treatment with AAP and LTG was especially noted for management of bipolar disorder. We confirmed the treatmentoptions recommended in KMAP-BP 2014 were much in concordance with current updated treatment guidelines for bipolardisorder. Despite the limitations of expert consensus guideline, KMAP-BP 2014 may reflect the current patterns ofclinical practice and recent researche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과 공복혈당 및 총 콜레스테롤 이상

        이중선,이재현,전정원,이동은,신상철,안준호,한오수,김창윤 대한정신약물학회 2005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6 No.1

        Objective :The concerns about significant weight gain induced by antipsychotics have been recently increased. It raised an issue about the possible effect of antipsychotics on the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To address this issue,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impaired fasting glucose (110mg/dl≤fasting glucose≤125mg/dl) or diabetes (fasting glucose≥126mg/dl)) in patients taking antipsychotics and also compared the preval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 between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 Methods:The subjects included 76 outpatients and 109 inpatients with schizophrenia by DSM-IV diagnostic criteria who had been taking antipsychotics regularly for at least 1 month. We measured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level after midnight NPO. Information about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as gathered from interview with patients, family members, and the medical records. Results :24 of 185 schizophrenia patients (13.0%) showed abnormal glucose metabolism. 6 of 47 patients taking olanzapine (12.8%) and 2 of 34 patients taking haloperidol (5.9%) showed abnormal glucose metabolism. The preval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 was higher with olanzapine than with haloperidol, although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patients with olanzapine showed higher fasting glucose level than those with haloperidol.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edication dose and fasting glucose, total cholesterol level.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abnormal glucose metabolism was higher in patients with antipsychotics. Olanzapine was more likely to raise fasting blood glucose to higher level than haloperidol. 목 적:항정신병 약물에 의한 체중의 증가는 항정신병 약물이 당, 지질 대사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항정신병 약물이 당,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정신분열병 환자의 당대사 이상(공복혈당장애(110 mg/dl≤공복혈당≤125 mg/dl) 또는 당뇨병(공복혈당≥126 mg/dl)의 유병율을 조사하고 항정신병 약물 종류간에 유병율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방 법:항정신병 약물을 적어도 1개월 이상 꾸준히 복용한, DSM-Ⅳ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입원환자 109명, 외래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날 자정부터 금식한 환자의 공복혈당 및 총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환자에 대한 기본정보는 환자와의 직접 면담, 보호자와의 면담, 의무기록을 통해 얻었다. 결 과:정신분열병 환자 185명 중 24명(13.0%)이 당대사 이상을 보였다. 당대사 이상의 유병율이 약물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면 olanzapine 복용 환자의 경우 47명 중 6명(12.8%), haloperidol 복용 환자의 경우 34명 중 2명(5.9%)에서 당대사 이상을 보였다. Ola -nzapine 복용한 군이 haloperidol 복용한 군보다 당대사 이상의 유병율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공복혈당을 비교했을 때 olanzapine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가 haloperidol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보다 공복혈당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항정신병 약물의 용량과 공복혈당, 총 콜레스테롤 양과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결 론:항정신병 약물을 복용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당대사 이상의 유병율은 13.0%였다. 그리고 olanzapine을 복용한 환자군이 haloperidol을 복용한 환자군 보다 공복혈당, 신체비만지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은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항정신병 약물의 차이에 따른 주관적 삶의 질, 약물 태도와 약물 부작용의 관련성

        류석환 대한정신약물학회 2005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6 No.1

        Objectives: The first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receiving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s. The second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quality of life, drug attitude, and side effect profiles of antipsychotic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KvSBQOL), Korean modification of the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KmSWN), Korean version of 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s Side effect Rating Scale(LUNSER), Korean version of Drug Attitude Inventory-10(DAI-10). Stu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Internal consistency was high, measuring 0.70 for the DAI-10, 0.94 for the LUNSER, 0.83 for the QOL, and 0.88 for the KmSWN. In quality of life, atypical antipsychotic group have significant higher quality of life in psychological well-being facto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ed between stability factor and physical well-being factor in KvSBQOL and side effects in LUNS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ypical and atypical antipsychotic group and significant correlated between dissatisfaction factor in KmSWN and side effect in LUNSER. Conclusion: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ay be influenced by the side effects of drugs. The attitude toward drugs may ha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Treatment program to decrease the side effect of drugs and influence on a positive attitude toward drugs should be offered to enhanc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Korean J Psychopharmacol 2005;16(1):42-51) 목 적: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정형 및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 복용에 따른 주관적 삶의 질과 약물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고, 약물에 대한 태도와 삶의 질을 알아본 후, 상관관계에 대하여 조사하여, 향후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치료적 중재를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함이다. 방 법:정신분열병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항정신병 약물의 차이에 따른 주관적 삶의 질, 약물 태도와 약물 부작용의 관련성 Korean J Psychopharmacol 2005;16(1):42-51 50 녕감 척도, 스미스클라인 비챰‘삶의 질’ 척도, 약물 부작용 척도 및 약물에 대한 태도 척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삶의 질 척도의 하위요인중에서 정신적 안녕 요인에서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긍정적이었으며, 약물에 대한 부작용과 삶의 질 요인의 하위척도중에서 안정성 요인과 신체적 안녕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계가 있었다. 주관적 안녕감 척도의 하위 요인중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약물에 대한 부작용과 불만족 요인이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 론:정신분열병 환자의 삶의 질은 약물 부작용에의하여 영향을 받으며, 약물에 대한 태도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정신분열병 환자의 약물 부작용을 줄이고, 약물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가질 수 있게 하며, 환자의 약물 순응도를 높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치료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정신건강의학과 입원 환자의 항정신병약물 사용 변화: 일 대학병원에서 1997년, 2003~2004년과 2009~2010년의 비교

        심인희,우영섭,전태연,김광수,박원명 대한정신약물학회 2012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3 No.2

        ObjectivezzPatterns of clinical use of antipsychotics have changed greatly in the past decade. The authors’ goal was to examine these patterns in an inpatient unit at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97, 2003-2004, and 2009-2010. MethodszzWe evaluated medication use in inpatients treated with antipsychotic drugs during 2009-2010 (n=379)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inpatients treated with antipsychotics in 2003-2004 (n=379) and inpatients treated with antipsychotics in 1997 (n=165). ResultszzThe distribution of psychiatric diagnoses in 2009-2010 was different from that in 2003-2004 and 1997.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was higher in 2009-2010 (p=0.013, p<0.001). An atypical agent was prescribed for 98.7% (n=374) of patients in 2009-2010. This represents a significant proportional increase over both 2003-2004 (93.7%, n=355; p<0.001) and 1997 (57.6%, n=95; p<0.001). In 2009-2010 the number of patients receiving prescriptions of two or more antipsychotics in combination was 16.1% (n=61), which represents a significant proportional increase over 2003-2004 (9.0%, n=34; p=0.007) and 1997 (4.8%, n=8; p=0.001). Conclusionzz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a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have replaced 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Polypharmacy increased markedly despite limited empirical evidence of cost-risk-benefit relationships.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 대한 약물 치료에 있어 전형 항정신병약물 대신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최우선적인 선택으로 고려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우수한 치료 효과와 적은 부작용, 조현병 이외 정신과 질환에서의 처방 증가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또한 더 우수한 약물 효능에 대한 기대에 따라 두 가지 이상의 항정신병약물 다종약물요법 처방이 증가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의료비용의 증가 또는 약물상호작용의 위험성, 부작용의 증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형 정신분열병 약물치료 알고리듬의 임상 적용 가능성 (I): 치료효과 측면에서의 분석

        배승오,안용민,권준수,박원명,강대엽,기백석,김승현,김창윤,신영철,심주철,양병환,윤보현,윤진상,조성남,한상익,이홍식,김용식 대한정신약물학회 2006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7 No.1

        Objectives: The Korean College of Neuro psychopharmacology and the Korean Academy of Schizophrenia developed the Korean algorithm project for schizophrenia to aid clinical deci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Schizophrenia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in Korea. Methods: A total of 108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patients were enrolled at 19 centers and treated according to the algorithm.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 and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were used to evaluate symptom severity. Also UKU(UKU side effect rating scale) and LUNSERS(Liverpo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 DAI-10(Drug Attitude Inventory–10), PPS(Patient Preference Scale), SWN (self-rating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l-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 and WHOQOL were used to evaluate tolerability and satisfaction of patient respectively. Results: Overall ratings including symptom severity, compliance of medication, side effect of medication, quality of life were favorable. The treatment response(PANSS improvement ≥20%) rate was 63%, 75% at the first Clinical decision point(CDP) and 4 month respectively. Conclusion: Symptom improvement, tolerability and quality of life were all favorab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algorithm can be useful in clinical practices. 목 적:주요 정신과 질환의 약물치료에 대한 한국형 알고리듬의 개발사업으로 대한정신약물학회와 대한정신분열병학회에 의해 정신분열병에 대한 한국형 약물 치료 알고리듬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개발된 한국형 알고리듬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여 그 효과 및 안정성 그리고 환자의 만족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방 법:19개 병원에서 정신분열병 및 정신분열형장애로 진단된 환자 108명을 대상으로 21명의 연구자들에 의해 한국형 알고리듬에 따라 치료를 시작하였다. 알고리듬에 따라 항정신병약물의 선택, 용량 조절, 단계이동, 부작용 및 동반증상에 대한 치료를 하였으며 이에 따른 증상호전을 위해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m-ptom Scale, 이하 PANSS)및 CGI(Clinical Global Im -presion)를, 내약성 평가를 위해 UKU(UKU side efect rating scale, 이하 UKU) 및 LUNSERS(Liver-pol University neuroleptic side effect rating scale, 이하 LUNSERS)를, 환자의 만족도 및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위해 DAI-10(Drug Atitude Inventory-10, 이하 DAI-10), PPS(Patient Preference Scale, 이하 PPS), Naber의 SWN(self-rating scale to measure subjective wel-being under neuroleptic treatment, 이하 SWN), 한국형 WHO-삶의 질 평가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 과:정신분열병 및 정신분열형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알고리듬을 적용한 결과 치료효과 및 약물순응도, 부작용 척도 및 삶의 질 척도 모두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PANSS의 호전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약물투여 후 첫 번째 임상적 판단시점에서의 반응률은 63% (N=45)이었으며 4개월 종료시점에서는 75%(N=54)배승오 등 33 에 달하였다.

      • KCI등재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 치료 알고리듬 2012(IV): 소아 청소년/노인/여성

        왕희령,박원명,박영민,이황빈,송후림,정종현,서정석,임은성,홍정완,김원,전덕인,홍진표,민경준 대한정신약물학회 2013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4 No.1

        새로운 항우울제의 도입 이후 다양한 임상상황에서 우울장애의 치료에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 이에 국내에서는 이미 2002년과 2006년에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 치료 알고리듬이 개발된 바 있다. 본 연구자들은 2006년 알고리듬 개발 이후 6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우울장애의 약물 치료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와 최근의 임상 경향을 반영하여 한국형 우울장애 약물 치료 알고리듬을 개정하게 되었다. 우울장애에 대한 임상 경험이 풍부한 정신과 전문의 123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발송하였고, 이 중 67명이 설문지를 보내왔다. 설문지는 총 4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반적인 치료전략으로부터 시작하여 구체적인 상황에서의 치료전략에 이르는 세부항목들로 이루어졌다. 각 치료 전략이나 치료적 선택은 9점 척도로 평가되었고, 각각의 95% 신뢰구간에 따라 1차, 2차, 3차 선택으로 구분하였다. 소아 청소년 주요우울장애에 있어서, 경도 및 중등도 삽화, 정신병적 양상이 없는 중증 삽화의 초기 약물 치료 전략으로 항우울제 단독치료가 1차 치료로 권장되었다. 정신병적 양상이 동반된 중증 삽화에서는 항우울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가 1차 치료로 권장되었다. 노인 주요우울장애에서 경도 및 중등도 삽화에서의 초기 약물 치료 전략으로는 항우울제 단독치료가 최우선 치료로 권장되었으며, 정신병적 양상이 없는 중증 삽화에서도 항우울제 단독치료가 1차 치료로 선택되었다. 정신병적 양상이 동반된 중증 삽화에서는 항우울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가 최우선 치료로 선택되었다. 노인 주요우울장애의 임상유형별 항우울제 선택에 있어서는, 경도 및 중등도, 정신병적 양상이 없는 중증 삽화에서 fluoxetine과 fluvoxamine을 제외한 SSRI, SNRI, mirtazapine이 1차 약물로 선택되었으며, 정신병적 양상이 동반된 중증 삽화에서는 fluvoxamine을 제외한 SSRI, SNRI, mirtazpine이 1차 약물로 권장되었다. 여성 우울장애의 약물치료에서, 월경전 불쾌기분장애의 치료에서는 항우울제 단독치료가 1차 치료로 권장되었으며, (es)citalopram, fluoxetine, paroxetine, sertraline, duloxetine, venlafaxine이 1차 약물로 선택되었다. 산후 우울증의 약물 치료 전략에 있어서, 경도 및 중등도 삽화에서는 항우울제 단독치료가 1차 치료로 선택되었다. 정신병적 양상이 없는 중증 삽화에서는 항우울제 단독치료, 항우울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가 1차 치료로 권장되었으며, 정신병적 양상이 있는 중증 삽화에서는 항우울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가 1차 치료로 선호되었다. Korean Medication Algorithm for Depressive Disorder 2012에서는, KMAP-DD 2006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소아 청소년 우울장애와 노인 주요우울장애의 약물 치료가 추가되어 현재 임상 상황에서의 치료 전략이 소개되었다. 여성 우울장애의 치료 전략에 있어서는 KMAP-DD 2006과 비교하여 초기 전략에 있어 큰 차이는 없었으나, 산후 우울증 치료에서 정신병적 양상이 없는 중증 삽화에서 항우울제 단독치료뿐만 아니라 항우울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가 1차 치료로 선택되었고, 정신병적 양상이 있는 중증삽화에서는 항우울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뿐만 아니라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의 병합치료도 1차 치료로 추가로 선택되었다. Objective Since the introduction of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in 1980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treatment strategies for depressive disorders. To be of help for clinicians to select appropriate treatment strategies,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was developed in 2002 and revised in 2006. To reflect changes in treatment pattern for depressive disorders since 2006, we revised the previous algorithm and developed Korean Medication Algorithm Project for Depressive Disorder 2012 (KMAP-DD 2012). Methods 123 psychiatrists who have vast clinical experiences in treating depressive disorders are primarily selected, and the survey was sent to them via mails. Among them, 67 psychiatrists answered the survey. This survey was composed of 44 questionnaires of which the contents covered from overall treatment strategies to treatment strategies under the specific circumstances. Based on 95% confidence interval and overall scores, each treatment of option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recommendation; first-line, second-line, and third-line treatment option. Results In child and adolescent, antidepressant monotherapy was selected as first-line treatment option for mild, moderate, and severe episode without psychotic features. The combination of antidepressant and atypical antipsychotics was advocated as first-line treatment option for severe episode with psychotic features. In geriatric depression, antidepressant monotherapy was advocated as treatment of choice for mild to moderate episode. For severe episode without psychotic features, antidepressant monotherapy was selected as first-line treatment option. For severe episode with psychotic features, combination of antidepressant and atypical antipsychotics was selected as treatment of choice. In premenstrual dysphoric disorder, antidepressant monotherapy was advocated as first-line treatment option. In postpartum depression, antidepressant monotherapy was selected as first-line treatment option for mild to moderate episode. For severe episode without psychotic features, both antidepressant monotherapy and combination of antidepressant and atypical antipsychotics were selected as first-line treatment option. For severe episode with psychotic features, both combination of antidepressant and atypical antipsychotics and combination of mood stabilizer and atypical antipsychotics were advocated as first-line treatment option. Conclusion In KMAP-DD 2012, the recommendations for treatment options in Child and Adolescent Depressive Disorder and Geriatric Depression were newly introduced. In aspects of treatment options for Female Depression, KMAP-DD 2006 and KMAP-DD 2012 had some similarities. But there were some changes of the treatment strategies in KMAP-DD 2012 which seemed to reflect recent study results.

      • 항정신병약물의 약물유전체학

        김창윤,주연호 대한정신약물학회 2002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3 No.2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개인 별 약물 반응은 치료 효과와 부작용 측면에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항정신병약물의 약물유전체학 연구는 이러한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개인 별 반응 차이를 매개하는 유전자(들)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약물유전체학 연구들은 항정신병약물의 작용 기전에 근거하여, Cytoc horme P450, 도파민 수용체, 세로토닌 수용체 유전자와 항정신병약물 반응과의 관련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의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약물유전체학 연구들에 대해 검토하고, 아울러 약물유전체학의 개념, 연구 시 고려 사항, 그리고 향후 조망에 대해서 개괄하였다. There is a substantial variation in treatment response and adverse reactions to antipsychotic drugs. Pharmacogenomics of antipsychotic drugs is to identify the gene(s) related with this variability in outcome to antipsychotic drugs. The genes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the mechanism of action of antipsychotic drugs have been focused in this field, such as cytochrome P450, serotonin receptors, and dopamine receptors genes. Pharmacogenomic studies dealing with antipsychotic drugs have ai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of these genes and drug response and adverse reactions. In this paper, the concept,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and future prospect of pharmacogenomics related with antipsychotic drugs will be addressed with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후보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혈중 당질 및 지질에 미치는 영향과 세로토닌 수송체 유전자 다형성과의 연관성

        박세현,김민철,윤성환,공보금,김영훈 대한정신약물학회 2004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15 No.2

        Objectives : The author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5-HTTLPR and the effects of atypical antipsychotics on serum glucose and lipids i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Study subjects were 66 schizophrenic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risperidone, olanzapine, clozapine, quetiapine, zotepin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82 schizophrenic patients taking typical antipsychotics (haloperidol). All subjects were medicated for at least 12 weeks. The author examined serum fasting blood sugar (FBS),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5-HTTLPR in all subjects. The presence of the 5-HTTLPR gene was determined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of genomic DNA with primers flanking the promoter regions of the 5-HTT gene. Between-group comparisons of the genotype distribution and the effects of antipsychotics on the serum glucose and lipid levels were performed by using score test for t-test, one way ANOVA, and chi-square test.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FBS level in all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except for those treated with risperidone.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5-HTTLPR genotype distribution and the effect of atypical antipsychotics on FBS, HbA1c,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serum levels in schizophrenic patient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5-HTTLPR polymorphism h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effect of atypical antipsychotics on serum glucose and lipids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목적 : 한국인 표본을 대상으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혈중 당질과 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각의 변화와 5-HTTLPR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최소 12주 이상의 비정형 항정신병약물(rispe-ridone, olanzapine, clozapine, quetiapine, zotepine)을 복용하고 있는 66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들과 전형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을 복용하는 82명의 정신분열병 환 자들을 각각 대상군과 대조군으로 하고 혈중 공복 시 혈당, HbA1c,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수치를 각 약물군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고 각 환자에 대한 5-HTT-LPR은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risperidone을 제외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한 환자군에서 공복 시 혈당이 전형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을 복용한 환자군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되었지만 5-HTTLPR 유전형 분포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 외 혈중 HbA1c,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수치는 두 약물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한국인 표본에서 risperidone을 제외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공복 시 혈당을 상승시켰지만, 5-HT-TLPR과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복용으로 인한 혈중 당질 및 지질의 변화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