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99 노인 천식환자의 진단을 위한 메타콜린과 만니톨 유발검사의 유용성

        김상하,신범수,이석정,이명규,리원연,용석중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7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24 No.0

        목적: 기도과민성은 천식의 특징적인 요소 중에 하나로 메타콜린 이나 만니톨 유발검사를 시행하여 확인한다. 이전에 천식 치료력이 없으면서 천식이 의심되는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메타콜린과 만니톨 유발검사의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천식 진단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발작적인 기침, 가슴답답함, 호흡곤란, 쌕쌕거림 등의 천식이 의심되는 증상으로 방문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메타콜린과 만니톨 유발검사를 분석하였다. 검사실 여건으로 메타콜린 유발검사가 재개되기 전인 2014년 7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까지의 만니톨 유발검사와 재개 이후 2016년 7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까지 시행된 메타콜린 유발검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검사 적응증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두 기간의 환자들은 모두 동일한 의사가 진료한 환자들이었다. 천식은 천식 의심 증상으로 방문하여 진단 후 6개월 이상 천식치료를 받은 환자로 정의하였다. 성적: 천식 의심 증상으로 만니톨 유발검사를 시행한 노인환자는 81명, 메타콜린 유발검사는 47명이었다. 만니톨 유발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31%, 100%였고,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는 각각 100%, 38%였다. 메타콜린 유발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46%, 100%였고, 양성예측도와 음성예측도는 각각 100%, 46%였다. 결론: 천식 의심되는 노인환자에서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만니톨과 메타콜린 유발검사의 진단성 유용성은 비슷하였으나 메타콜린 유발검사에서 민감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수근관 증후군에서 손 올리기 검사의 유용성과 전기 진단검사와의 상관성

        고영진,김혜원,이종인,임선,오주선 대한근전도전기진단의학회 2009 대한근전도 전기진단의학회지 Vol.11 No.1

        목적: 수근관 증후군을 진단하는 유발검사로 손 올리기 검사, 티넬 검사, 팔렌 검사 등을 시행하여 각 검사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조사하였고 전기 진단학적 검사를 하여 수근관 증후군의 중증도에 따른 각 유발 검사의 민감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수근관 증후군 증상을 호소하는 126수에서 손 올리기 검사, 티넬 검사 및 팔렌 검사 등을 시행하였고정상 대조군 126수에서도 같은 검사를 시행하여 각 유발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조사하였다. 수근관 증후군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 전기 진단검사를 시행하여 수근관 증후군을 진단하고 수근관 증후군의 전기 진 단학적 중증도에 따른 각 유발 검사의 민감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손 올리기 검사는 티넬과 팔렌 유발 검사보다 민감도 및 특이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손 올리기 검사의 민감도는 수근관 증후군을 전기 진단검사로 진단했을 때의 중증도와 잘 일치하여 질환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민감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손 올리기 검사는 수근관 증후군을 진단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유발 검사법이다.

      • KCI등재

        고위험 척추 수술에서 운동유발 전위 검사의 이용과 이를 통한 수술 중 신경학적 이상 발생의 원인에 대한 분석

        김진혁,임동주,김성수,석세일,김민규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3

        Study Design: This is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risk of operative techniques using Motor Evoked Potential (MEP) in high-risk spinal surgery.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There are few studies regarding the evaluation of operative techniques by MEP.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33 cases that had MEP during surgery from July 2007 to March 2009. Diagnoses included posttraumatic kyphosis (PTK) in eight cases, congenital deformity in eight cases, degenerative lumbar deformity in eight cases, ankylosing spondylitis (AS) in three cases, spinal tumor in three cases, adjacent segmental disease in two cases, and post-surgical kyphosis in one case. Posterior vertebral column resection (PVCR) and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 (PSO) were performed in 27 cases (81.8%) and, in the others, posterior decompression with discectomy was performed. We analyzed the risk of operative techniques and evaluated the MEP. Results: MEP showed abnormal signal change in five cases (PVCR: one case, compression and distraction: four cases). The AS case did not demonstrate neurological change after surgery. Though the PTK on T12 operated by PVCR case did not show an abnormal MEP result,neurological change was observed postoperatively.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ercent of false negatives, and percent of false positives of MEP were 80.0%, 96.4%, 20.0%, and 3.6%, respectively. Conclusions: MEP monitoring is a useful method to detect neurological injury during high-risk spinal surgery with satisfactory specificity. For low sensitivity and a high false negative rate, increased monitoring of cases and continuous follow-up is needed. In conclusion, compression and distraction and PVCR are high-risk techniques in kyphotic deformity correction. Key Words: High-risk Spinal surgery, Motor Evoked Potential (MEP), Operative technique, Neurological complication 연구 계획: 고위험 척추 수술 시 신경학적 이상을 일으키는 수술 술식에 대하여 운동 유발 전위 검사를 통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 목적: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척추 수술에서 수술 중 운동 유발 전위 검사(MEP)를 시행하여 수술 술기에 따른 위험도를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운동 유발 전위 검사를 이용하여 고위험 수술 시 신경학적 이상을 야기하는 수술 술식과 각 술식의 위험도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09년 3월까지 후방 척추 수술 중 신경감시로 MEP를 시행하였던 33명의 환자를 조사하였다. 원인 질환은 선천성 변형8명, 퇴행성 요추 변형 7명, 척추 골절 후 발생한 지연성 후만증(PTK) 8명, 강직성 척추염 3명, 척추 종양 3명, 수술 후 인접 부위 질환 3명, 수술 후 후만증 1명이었다. 후방 척추체 전 절제술(PVCR)과 척추경 제거 절골술(PSO)을 27례(81.8%)에서 시행하였고, 나머지 6례에서 후방 감압술 및 추간판 절제술만 시행하였다. 수술 중 시행한 MEP 결과와 수술 직후 신경학적 소견의 변화를 확인하여 MEP의 정확성과 수술 술기의 위험도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수술 중 MEP에서 양성으로 이상 소견을 보인 경우는 5례(후방 척추체 전 절제술 직후 1례, 절골술 후 압박 신연 조작 직후 4례)이었다. 이중 강직성 척추염에 대하여 요추 3번에 PVCR 시행후 압박 신연 조작 직후 검사상 이상 소견이 발생한 1례에서는 수술 후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보이지 않았으나, PTK에 대하여 흉추 12번에 PVCR을 시행한 1례에서 수술 중 검사에서 정상 소견을 보였으나 수술 후 신경학적 이상 소견이 관찰되었다. MEP의 민감도는 80%, 특이도는 96.4%, 위음성률은 20%, 위양성률은 3.6%로 측정되었다. 결론: 고위험 척추 수술 중에 시행된 MEP는 만족할 만한 특이도를 보여주는 유용한 검사이나 낮게 측정된 민감도 및 높은 위음성률에 대해 계속적인검사 및 추시가 필요하며, 후만 변형의 교정을 위한 수술 시 절골술 후 압박 신연 조작과 후방 척추 전 절제 시 신경학적 이상 발생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색인 단어: 고위험 척추 수술, 운동 유발 전위 검사, 수술 술기, 신경학적 이상약칭 제목: 척추 수술 시 운동유발 전위 검사 시행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수근관증후군에서 Boston Questionnaire의 유용성: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와의 연관성

        정태원,안덕선 대한수부외과학회 201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6 No.4

        Purpose: We aimed to make a comparison of Boston Questionnaire scores with provocation tests and findings of electrophysiological studies in patients with a carpal tunnel syndrome. Materials and Methods: The Boston Questionnaire was applied preoperatively for 248 hands in 142 patients with an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Boston Questionnaire scores were compared with provocation tests (Phalen’s test, Tinel’s sign, compression test and hand elevation test)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Results: Correlation study between the Boston Questionnaire scores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showed that the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correlated more with symptom severity score (Spearman coefficient, 0.545; p<0.01)than with functional status score (Spearman coefficient, 0.307; p<0.01). Symptom severity score and functional status scores of the Boston Questionnaire correlated more linearly with the hand elevation test than with other provocation test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a high correlation of Boston Questionnaire scores with the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and the hand elevation test. 목적: 수근관증후군 환자에서 Boston 설문지 결과와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연관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특발성 수근관증후군으로 진단된 142명의 환자의 248 수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에 작성한 Boston 설문지 결과를 유발 검사 및 전기생리학적 검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전기생리학적 결과와 Boston 설문지 증상 점수의 상관 계수는 0.545로 기능점수와의 상관 계수 0.307 보다 높은 상관 관계를 보였다. 유발 검사 중에서 손들기검사가 Boston 설문지의 증상 점수 및 기능 점수의 증가에 따라 비례하여 양성 가능성이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Boston 설문지의 점수는 전기생리학적 검사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으며 유발 검사 중에서 손들기 검사의 결과와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다.

      • KCI등재
      • 항원 흡입에 의한 비특이적 기관지과민성: II. 화분

        김미경,엄재호,이동호,조명찬,이상도,윤세진,궁성수,김승택,이복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2 忠北醫大學術誌 Vol.2 No.1

        피부단자검사, RAST 및 항원 기관지유발검사(allergen bronchial provocation test, ABPT)결과 쑥, 잔듸, 나무화분에 감작된 기관지 천식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이들 화분이 비특이적 기관지과민도(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NSBR)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ABPT시의 조기 및 후기 천식반응(early, late asthmatic response, EAR, LAR)이 NSBR 생성에 관여하는지와 각각 화분의 항원성을 비교하고자, 감작된 화분으로 ABPT를 시행하고, 이를 전후하여 메타콜린 기관지유발검사(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MBPT)를 시행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기저 폐기능상 기도 폐색을 보인 환자는 없었으며, 알레르기성 비염만을 호소하였던 환자 11명 중 4명(31%)은 MBPT에 양성반응을 나타내었으나, ABPT에는 11명 모두 양성반응을 보인 천식 환자였다. ABPT상 3명은 EAR, 2명은 ILAR, 8명은 LAR이였다. EAR만을 나타낸 경우는 ABPT 24시간 후 PC20이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다소 증가하였으나, ILAR을 나타낸 환자들은 24시간 후 PC20가 감소하여 3일 후 기저치로 환원된 반면, LAR에서는 24시간 후 PC20가 현저히 감소하여, 2주 내지 6주 후에야 기저치로 환원되었다. LAR을 보인 환자들 중 쑥에 감작된 환자들이 목초 화분에 감작된 환자에 비해 Pc20의 감소기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화분 흡입에 의한 LAR에 의해 NSBR이 악화되며 지속기간이 상당히 긴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화분 중 쑥의 항원성이 목초보다 상당히 강한 것도 알 수 있다. 더불어 화분에 감작된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들의 대부분에서 천식이 잠재해 있음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천식의 증상이 없는 화분에 감작된 비염환자라 할지라도 MBPT 및 ABPT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해야겠다. 본 연구에서 종래의 다른 연구 결과들과는 달리 쑥의 경우 ILAR의 경우도 NSBR을 악화시킴을 관찰하였는데, ILAR과 LAR의 차이가 단순한 기도폐색의 정도 차이인지, 기도 내에서 염증반응에 차이가 있는지는 향후 기관지 페포세척이나 조직 검사등을 통해 밝힘으로써, ABPT에 의한 NSBR의 발생 및 악화의 기전을 보다 확실히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s a fundamental characteristics in bronchial asthma. The pathogenesis of bronchial hyperreactivity has not been clearly understood, yet. We studied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with methacholine inhalation sequentially afterallergen provocation in pollen such as, alder, grass and mugwort-sensitzed allergic asthma and/or allergic rhinitis to investigate if there is any relation between allergen exposure and bronchial hyperreactivity, and compare the allergenicity of each pollen. 3 of 13 study subjects showed early asthmatic reaction, but 8 of them showed late(dual) asthmatic reaction, and the other 2 showed intermediate late asthmatic reaction.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activity was not increased in early asthmatic responder, however, it was increased upto 45 days after allergen inhalation in all late asthmatic responder and in intermediate late reactor, upto 3 days. In mugwort-sensitized late asthmatic responder NSBR decreased much longer than any others. Taken together, pollen-induced late asthmatic reaction is one factor which contributes NSBR in pollinosis patients.

      • KCI등재
      • 기관지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기침 환자에서 메타콜린 유발검사 성적

        윤종수,현상훈,남언정,김건우,강천일,서영익,이종명,김능수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6 慶北醫大誌 Vol.37 No.3

        목적 : 비특이적 기관지과민증은 기관지천식 환자외에도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기침 환자의 일부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기관지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기침 환자에서 기관지과민증의 정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기관지천식 환자 135명,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 56명, 만성기침 환자 54명을 대상으로 하여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유발검사, 각종 알레르기 검사 등의 성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기관지천식 환자의 87.4%,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의 19.6%, 만성기침 환자의 20.4%에서 기관지과민증이 관찰되었다. 기관지과민증은 천식 환자의 경우 기저 FEV_1 및 질병 이환기간과 각각양의 유의성 및 음의 유의성을 보였으며 중증인 천식 환자군에서 과민증이 더 현저하였다. 만성기침환자의 경우 메타콜린 양성인 군에서 질병 이환기간이 다소 짧았지만, 알레르기성 비염과 만성기침 환자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다른 변수는 없었다. 결론 : 기관지과민증은 기관지천식 환자의 대다수에서 관찰되며 이는 기저 폐기능, 천식 이환기간 및 천식의 증상 정도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알레르기성 비염 및 만성기침 환자의 약 20%에서 기관지과민증이 동반되었으나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지표는 발견할 수 없었다.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bronchial asthma (BA) is the presence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to physical, chemical, and pharmacological stimuli. But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s also noted in some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R) and chronic cough (CC) who have experienced no dyspnea or wheeze. In order to find the prevalence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d factors predicting its presence, w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clinical and laboratory data of 135 patients with BA, 56 patients with AR and 54 patients with CC.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Response to methacholine bronchial provocation test (MBPT) was positive (PC_20≤25㎎/㎖) in 118 out of 135 BA (87.4%). 11 out of 56 AR (19.6%) and 11 out of 54 CC (20.4%). 2) Baseline FEV_1 and FEV_1/FVC(%)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BPT positive BA group than those of negativ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variables. 3)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baseline FEV_1 and methacholine logPC_20 (P=0.003)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sease duration and methacholine logPC_20 (P=0.01) were noted in MBPT positive BA. And severe asthma group had lower logPC_20 values than mild and moderate asthma group (P=0.017). 4) Though MBPT positive CC group had shorter disease duration,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the presence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AR and CC. In conclusio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existed in most BA patients and in about 20% of patients with AR or CC. It was related to pulmonary function and disease duration in BA,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its presense in AR and CC.

      • KCI등재

        정상성인의 시각 및 촉각 통합 작용 시 뇌신경세포의 전기생리적활동의 시간 및 공간적 특성: 예비실험

        주유미,김지현,Ju, Yu-Mi,Kim, Ji-Hyun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0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다감각 통합은 인지과제나 운동실행을 위해 다양한 감각정보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처리과정이다. 특히 시각 및 체감각의 통합은 운동 행동의 주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감각통합 과정의 시간적 경로와 뇌의 담당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신경생리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시각과 체감각의 통합과정과 관련된 뇌의 시간적 및 공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방법 : 실험실 상황에서 시각과 촉각 자극을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시하고 유발전위검사(ERP: Event-Related Potentials)를 통해 통합작용 시 뇌에서 일어나는 신경세포들의 전기생리적활동을 측정하였다. 이때 시각 과 촉각을 각각 제시하여 얻은 유발전위신호들의 선형합과 두 개의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였을 시 발생되는 유발전 위신호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시각과 촉각을 독립적으로 각각 제시하여 얻은 유발전위신호(SUM)의 합과 두 개의 자극을 동시에 제공하여 얻은 유발전위신호(SIM)는 같지 않았다. 특히나 자극의 반대측인 오른쪽 일차체감각영역(C4)에서 SIM은 SUM 보다 특정시간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Bilateral parietal areas(P3, Pz, P4) 뿐만 아니라 일차 시각영역(O1,O2)에서도 두 조건간 추가적인 통합관련 신경활동전기신호에 의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결론 : 뇌 속에서 2개 이상의 감각이 통합될 경우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신경세포활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다 감각을 동시에 제공할 경우 뇌의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촉진시키고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 Multisensory integration (MSI) is the essential process to use diverse sensory information for cognitive task or execution of motor action. Especially, visual and somatosensory integration is critical for motor behavior and coordin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ain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visual and somatosensory integration by neurophysiological research method that identifies the time course and brain location of the SI process. Methods : Electroencephalography (EEG) and event-related potential (ERP) is used in this study in order to observe neural activities when integrating visual and tactile input. We calculate the linear summation (SUM) of visual-related potentials (VEPs) and somatosensory-related potentials (SEPs), and compared the SUM with simultaneously presented visual-tactile ERPs(SIM) Results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IM and SUM in later time epochs (about 200-300ms) at contralateral somatosensory areas (C4) and occipital cortices (O1&O2). The amplitude of the SIM was mathematically larger than the summed signals, implying that the integration made some extra neural activities.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s some empirical neural evidence of that multisensory integration is more powerful than just combing two unisensory inputs in the brain and ERP data reveals neural signature relating to multisensory integrative process. Since this study is preliminary pilot study, larger population and criteria are needed for level of the significance. Further study is recommended to consider issues including effect of internally-driven attention and laterality of interaction to make the evidence by this study sol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