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푸리에 변환과 웨이브렛 분석을 통한 주의력결핍ㆍ과잉운동장애아동과 정상아동의 사건관련전위 비교 연구

        신성웅,박진형,김희찬,조수철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1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2 No.1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과 정상 아동의 청각적 집중 과정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13명의 남자 환자와 8명의 정상 남자아이에게 청각적 주의집중 과제를 제시하고 사건관련전위를 푸리에 변환과 웨이브렛 분석법으로 비교 조사하였다. 각 군 아동의 표준자극과 표적자극에 대한 사건관련전위 파형을 푸리에 변환을 통해 주파수 차원에서 서로 비교하였고, 각 군 안에서 표적자극과 표준자극을 주었을 때의 진폭을 비교하였다. 표준자극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의 주파수와 좌측 위치에서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이 정상아동보다 의미 있게 높은 전압을 나타내었다. 반면 표적자극에 대해서는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더 높은 전압은 보이는 경우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정상 아동이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보다 큰 진폭을 나타내는 경우는 의미 있게 증가하였나. 이런 결과는 주의집중을 반영하는 Nd파형의 푸리에 변환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즉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은 무시해야 하는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 아동보다 지나치게 강한 반응을 보이지만 정작 과제를 수행해야 하는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 아동보다 더 약한반응을 보이는 경향을 보였다. 주의력결핍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은 정상 아동 보다 표적자극에 의한 진폭 증가를 보인 전극과 주파수 영역이 적었을 뿐 아니라 일부 파형은 표준자극을 주었을 때보다 표적자극을 주었을때 오히려 진폭이 의리 있게 감소하여서 이들이 표적 자극에 대해 활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정상 아동들은 표준자극보다 표적자극에 대해서 거의 모든 전극 위치와 주파수 대역에서 의미 있는 진폭의 증가를 보였으나 전전두엽과 전두엽의 전극에서는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이 더 큰 진폭을 보이는 경우가 관찰되었다. 웨이브렛 분석 결과 표준자극에 대해서는 주의력곁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이 정상 아동보다 자극이 제시된 후 0∼300msec 사이에 일어나는 전위가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컸다. 이런 차이는 주로 전전두엽과 전두엽 앞쪽, 그리고 측두엽 일부와 후두엽에서 두드러졌다. 그러나 두정엽과 중앙 영역의 전극들은 특히 300∼370msec 이내에 일어나는 전위에서 정상 아동이 더 활발한 전기 활동을 나타내었다. 표적 자극에 대해서는 두 군 모두 표준자극보다 전기 활성이 더 증가한 양상이었다. 표적자극에 대해서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아동은 전전두엽과 전두엽 영역에서는 여전히 정상 아동보다 더 활발한 전기 활성을 보였으나 두정엽과 측두엽에서는 정상 아동이 더 큰 진폭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아동은 무시해야 하는 자극에 대해서는 지나친 반응을 보이며 주의집중을 필요로 하는 자극에 대해서는 정상 아동보다 저하된 반응을 보이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푸리에 변환 등 주파수 차원 분석법과 웨이브렛 분석 방법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중심 단어 : 주의력결핍 ㆍ 과잉운동장애 ㆍ사건관련전위 ㆍ푸리에 변환 ㆍ 웨이브렛 분석. Using Fourier transformation and wavelet analysis, we compared the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of the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s (abbr. ADHD, 13 boys) and normal control children (8 boys) Amplitudes of the event-related potentials which were calculated via Fourier transformation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s and between conditions (non-target versus target) in each group. To the non-target stimuli, the patients with ADHD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amplitudes across almost all of the electrode sites and frequencies. To the target stimuli, the incidents which ADHD patients showed much higher amplitudes than normal control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those of the reverse results increas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comparison results about negative difference wave (abbr. Nd wave) using Fourier transformation. In summary, it was proved that non-target stimulus which should be ignored elicited more robust electrical response from the patients with ADHD than normal children, but the target stimulus which required active processing did much less electrical activity in the patients. For the patients, they showed much inhibited electrical response to the target stimuli in some electrodes and frequency ranges. Normal children were more strongly stimulated by the target stimuli in almost all electrodes and frequency ranges than the patients, but less in prefrontal leads and frontal leads. Wavelet analysis results proved that early responses (0-300msec) to the nontarget stimuli of th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normal controls in prefrontal, anterior frontal, some parts of temporal, and occipital lobes and that late response (300-370msec) were significantly lesser than normal children in parietal and central electrodes. Target stimuli elicited significantly higher electrical activity in both group than non-target stimuli did. Prefrontal and frontal lobes showed stronger responses in the patients than normal children irrespective of stimulus condition, but parietal and temporal lobes did higher activities in normal children than the patients only to the target stimuli. In conclusion, the patients wish ADHD showed much greater responses to the stimuli which should be ignored, but failed to activated the necessary processes to the target stimuli. Also, we found that the frequency-dimension analysis and wavelet analysis were useful for the signal processing such as event-related potentials. KEY WORD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ㆍ Event related potentials ㆍ Fourier transformation ㆍ Wavelet analysis.

      • 한국인에게서 그레이브스병 약물치료의 적정기간

        이형숙,이동훈,정희선,이종우,김정은,신승수,정윤석,이관우,김현만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1

        연구배경: 그레이브스병의 치료에는 항갑상선제, 수술 및 방사성 요오드법이 선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항갑상선제는 가장 많이 선호되고 있으나 낮은 관해율과 높은 재발율로 장기간 치료기간이 요구된다. 저자들은 그레이브스병 환자에게서, 선택되는 치료법의 선호도와 각 치료법의 관해율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항갑선제 치료의 적정기간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아주대학교병원에 내원한 환자 중 1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한 205명의 그레이브스병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항갑상제군, 수술군 및 방사성 요오드군은 각각 170명, 29명 그리고 6명이었다. ROC curve를 이용하여 약물치료의 예후예측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치료 방법의 선택은 항갑상선제군, 수술군 및 방사성 요오드군 각각 170명(83.0%), 29명(14.1%) 그리고 6명(2.9%)으로 항갑상선제 치료가 가장 선호되었다. 2) 그레이브스병의 관해율은 항갑상선제군, 수술군 및 방사성 요오드군에서 각각 60.0%(102/170명), 96.5%(28/29명) 그리고 83.0%(5/6명)으로 수술군이 가장 높았다. 3) ROC curve의 AUC는 치료기간과 진단시 TBII가 각각 0.709 및 0.648이었고 적절한 약물투여 추적 관찰기간은 26개월이었다. 결론: 그레이브스병의 일차 치료법으로는 항갑상선제가 선호되고 있으나 수술 및 방사성 요오드 치료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관해율을 보였다. 따라서 항갑상선제 치료로 26개월 이상 관해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치료 방법의 변경을 고려하는 것이 관해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Graves' disease in an organ specific autoimmune disease. Three kinds of therapeutic modalities (antithyroid drugs, ablation with radioactive iodine and subtotal thyroidectomy) are frequently performed for the management of this disease. The most popular therapeutic policy for the disease in Korea is antithyroid treatment. We analysed and compared the remission rates of all three modalities for Graves' disease, and evaluated the antithyroid modality to determine the correct duration of treatment. Subjects &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205 patients with Graves' disease were reviewed. For the evaluation of the antithyroid modality medical treatment, antithyroid drugs were administered for more than 1 year. Th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remission were analysed by means of an ROC curve. Results: 1) Of the 205 patients, proportions that received medical therapy, subtotal thyroidectomy and radioiodine therapy were 83.0, 14.1 and 2.9%, respectively. 2) The remission rates of the medical therapy, surgery and radioiodine therapy were 60.0, 96.5 and 83.0%, respectively. 3) The remission rate of the medical therapy was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of medication and TBII activity. The determined proper duration for the antithyroid treatment was 26 months from the ROC curve analysis.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per duration of antithyroid treatment for Graves' disease is 26 months, after which time the subtotal thyroidectomy or radioiodine 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f the disease has not remitted (J Kor Soc Endocrinol 18:24∼31, 2003).

      • 추적관찰 중 종괴의 크기가 커진 경화성 혈관종 1례

        안형수,장안수,이준혁,박성우,고은석,백상현,박재성,허균,신화균,박춘식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2

        We report a case of a sclerosing hemangioma of the lung with increased size during follow up, a rare benign neoplasm of the lung. A 32-year-old woman had round increased opacity in right upper lobe on posteroanterior chest radiograph. That lesion has grown slowly over four years. Computed tomographic scan showed a well circumscribed lung mass in medial aspect of right upper lobe. Radiological differential diagnosis for the lesion included inflammatory pseudotumor, atypical carcinoid, lung cancer and localized fibrous tumor of pleura. Nonspecific findings were shown by the bronchoscopy and percutaneous transthoracic needle aspiration. Anterior and apical segmentectomy was carried out and the lesion was pathologically diagnosed as sclerosing hemangioma of lung.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인천지역 TDI 노출 작업자에서 직업성천식 유병율

        김형렬,김철우,홍윤철,전형준,김치년,김현수,이지나,신주연,고동희,노재훈 大韓産業醫學會 2004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6 No.2

        목적 : TDI는 직업성천식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다. 과거 TDI에 노출된 작업자들의 천식 발생률을 5~6%가량 보고하였고, 국내에서도 2-20%에 이르는 유병율을 보고한바 있다. 작업환경이 많이 개선되고, 노출량이 감소된 최근에도 TDI에 의한 직업성천식에 대한 보고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어, 이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와 진단과정을 통해 유병율을 구하고 질병발생의 변화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인천지역에서 특수건강진단을 수행하는 2개 기관의 TDI 노출 근로자 400여명 중, 사업장의 규모가 50인 이상이며 사업주가 연구진행을 허락한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 중 직접적으로 TDI에 노출되는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17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에 대해 설문지와 산업의학의사의 면담을 통한 작업관련성 평가를 근거로 정밀대상자를 선정하고 이들에 대해 메타콜린 유발시험, TDI 유발시험 등을 수행하여 직업성천식을 확인하였다. 결과 : 설문조사 결과 11명이 직업과 관련하여 천식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6.9%), 이중 7명에서 메타콜린 유발검사 양성소견을 보였다. TDI에 의한 특이유발시험 결과 1명에서 양성반응이 나타나, 이 집단에서 TDI에 의한 직업성천식의 유병율은 0.58%였다. 결론 : 과거 국내연구에서 TDI에 의한 직업성천식의 유병율이 2~20%에 이르렀던 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0.58%로 나타났다. 이는 국외 논문에서도 나타나는 경향으로 작업장 노출량 감소로 점차 발생률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미 증상이 나타난 근로자들이 부서를 옮기거나, 직장을 그만둠으로 인해 그 유병율이 과소평가되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된다. Objecd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isocyanate-induced occupational asthma in toluene diisocyanate (TDI) exposed workers. Methods: We examined 170 workers who had been directly exposed to TDI through a medical questionnaire, physical examination, and pulmonary function test. Based on screening examination, workers with suspected occupational asthma were selected for further evaluation such as methacholine and TDI challenge tests. Results: Eleven (6.9%) among 170 workers complained of symptoms of occupational asthma. and 7 among these 11 symptomatic workers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th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4.1 %). One spray painter was confirmed as having the TDI induced occupational asthma following a positive response to TDI challenge test.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TDI-induced asthma was at 0.58% was lower than that for former studies (2-20%). Improved workplace environment, lower level of TDI exposure compared to the past, and the healthy workers effect may have contributed to this low rate of asthma prevalence in workers with TDI exposure.

      • Mo¨ssbauer Effect of the Lithium- and Cesium- nitrosylpentacyanoferrates(Ⅱ)

        김일구,류상훈,김형상,홍치유,심동훈,김순구 동국대학교 자연과학연구원 2000 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5 No.-

        We observed the 57Fe Mo¨ssbauer spectra and Fourier transformation infrared spectra & X-ray fluorescence spectra of lithium nitrosylpentacyanoferrates(Ⅱ) (Li₂[Fe(CN)5NO]·4H₂O, Li₂NP) and cesium nitrosylpentacyanoferrates(Ⅱ) (Cs₂[Fe(CN)5NO]·H₂O, Cs₂NP) samples which comprise nitrosylpentacyanoferrates(Ⅱ) anions with a Fe atom center. The Mo¨ssbauer parameters, values of isomer shift and quadrupole splitting have been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nd liquid nitrogen temperature. Also the Mo¨ssbauer Lamb factors of all samples have been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We have drawn the experimental line width of the Mo¨ssbauer lines normalized to natural line width Γn versus effective thickness of 57Fe.

      • KCI등재후보

        제조업 근로자에서 직무 스트레스가 자율 신경계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윤기정,하미나,김재용,이상윤,임형준,신애선,황승식,김정수,강대희,조수헌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3

        목적 : 자율신경계 활성도와 직무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직무 스트레스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주요 기전으로 자율 신경계 활성도, 특히 교감신경계의 활성화가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되고 이는 바, 이러한 자율신경계 활성도를 생리학적 지표(심박수 변동성; Heart rate variability, HRV) 및 생체시료(요중 카테콜아민)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들의 수준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천안시 소재 제조업체의 생산직 남성 근로자 145명을 대상으로 하여 단면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동일한 근무조건(4조 3교대)로 한정하였다. 직무스트레스는 '직무 만족도 설문조사(Karasek's Job Conten Questionnaire, JCQ)'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자율신경계 기능은 심박수 변동성과 요중 카테콜아민(에피네프린, 노에피네프린, 도파민)을로 평가하였다. 시료 수집 및 심박수 변동성 측정은 자율신경계의 일주기 리듬을 고려하여 각 연구 대상자들에게 각 교대근무대별로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직무 만족도 설문조사(49문항)와 함께 인구학적 사항, 직업력, 과거병력, 흡연, 음주력 등에 대한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직무 만족도 설문조사에 의해 평가된 직무 스트레스 수준을 직무긴장모형(job strain model)에 의한 4개 집단으로 나누었을 때 연구 대상자들은 저긴장 집단(low strain) 24명, 고긴장 집단(high strain) 32명, 수동적 집단 65명, 능동적 집단 20명으로 분포하였다. 직무긴장모형 4개 집단간의 심박수 변동성 및 요중 카테콜아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심박수 변동성중 특히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기전으로 제시되는 교감신경계의 활성을 나타내는 저주파 변동성도 4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value=0.71). 하지만, 직무기간을 사분위수로 나눈 후 직무 기간이 가장 짧은 군(직무기간<48.5개월, N=28)을 대상으로, 직무긴장모형의 4개 집단간의 저주파 변동성(교감신경 활성도 지시) 차이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 집단-간(between group) 동질성검정이 p-값 0.092의 유의확률을 나타내었다. 결론 : 자율신경계 활성도, 특히 심박수 변동성을 이용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을 평가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제한적이긴 하지만, 근무기간이 짧은 군에서 저긴장 집단과 고긴장 집단간의 저주파 변동성의 차이를 보여 심박수 변동성이 잠재적인 생리적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onomic nerve activity (i.e., heart rate variability and urinary catecholamines) and job stres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134 workers from a company producing consumer goods (i.e., diaper, paper towel) located in Cheonan, Korea. Job stress was assessed by Karasek's Job Content Questionnaire (JCQ), Autonomic function was assessed by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urinary catecholamines (eponephrine, norepinephrine, and dopamine). Urine samplings, and measurings of HRV, were repeated three times for each shift. Information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evious job histories, past medical history, smoking and drinking were also collected.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nt HRV and urinary catecholamines among the four groups, which were categorized by the Job Strain Model. When data were stratified by work duration, low field HRV was borderline sigificantly higher in the high strain group in individuals with a sgorter work duration (<48.5 months, N=28, p-value of 0.92 by analysis of variance). Conclusions: Neither HRV nor urinary catecholamin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tress, as assessed by the Karasek's JCQ. However, HRV seems to be a potential physiological incicator of jov stress only in the workers with a shorter work duration.

      • KCI등재

        2.9%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부착형 미백제의 임상적 효능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은숙,성소래,홍성태,김지은,이소영,황수연,이신재,진보형,손호현,조병훈 大韓齒科保存學會 200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1 No.4

        2.9%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시험용 부착형 미백제(Medison dental whitening strip, Samsung medical Co.,Anyang,Korea)를 실험군 피험자 23명, 시험용 미백제에서 과산화수소를 제외한 동일한 제재를 대조약으로 대조군 피험자 24명에게 매일 1시간 30분씩, 2주간 적용하여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Shade Vision, Chroma Mete 및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를 이용하여 색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실험군에서의 전체 치아의 색변화량(ΔE^(*))은 세 가지 측정법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5).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도였다. 2. 색변화는 색좌표 상에서 명도의 증가와 녹색조 및 청색조로의 변화에 의해 얻어졌다. 3. 치아별로는 어두운 견치의 색변화량이 가장 컸고, 측절치, 중절치 순으로 감소하였다. 4. 47명의 피험자 중 5명이 경도의 과민증을 경험하였으나 곧 완화되었다, 치은염증지수와 전기치수검사 결과 시험 전후에 차이가 없어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n experimental bleaching strip (Medison dental whitening strip, Samsung medical Co., Anyang, Korea) containing 2.9% hydrogen peroxide. Twenty-three volunteers used the bleaching strips for one and a half hour daily for 2 weeks. As control group, the same strips in which hydrogen peroxide was not included were used by 24 volunteers with the same protocol. The shade chang (ΔE^(*), color differnce) of twelve anterior teeth was measured using Shade Vision (X-Rite Inc., S. W. Grandville, MI, USA), Chroma Meter (Minota Co., Ltd. Osaka, Japan) and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 (Vita Zahnfabrik, Germany). The shade change of overall teeth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 < 0.05) and was easily perceivable. The chang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lightness (CIE L^(*) value) and the decrease of redness (CIE a^(*) value) and yellowness (CIE b^(*) value). The shade change of individual tooth was greatest in canine, can smallest in central incisor. The safety of the bleaching strip was also confirmed. 〔J Kor Acad Cons Dent 31(4):269-281, 2006〕

      • Association between colony-stimulating factor 1 receptor gene polymorphisms and asthma risk

        Shin, Eun Kyong,Lee, Shin-Hwa,Cho, Sung-Hwan,Jung, Seok,Yoon, Sang Hyuk,Park, Sung Woo,Park, Jong Sook,Uh, Soo Taek,Kim, Yang Ki,Kim, Yong Hoon,Choi, Jae-Sung,Park, Byung-Lae,Shin, Hyoung Doo,Park, Ch Springer-Verlag 2010 HUMAN GENETICS Vol.128 No.3

        <P>Colony-stimulating factor 1 receptor (<I>CSF1R</I>) is expressed in monocytes/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These cell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which is regarded as an important aspect of asthma development. Genetic alterations in the <I>CSF1R</I> gene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sthma. We investigated whether <I>CSF1R</I> gene polymorphisms we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sthma. Through direct DNA sequencing of the <I>CSF1R</I> gene, we identified 28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and genotyped them in 303 normal controls and 498 asthmatic patients. Expression of <I>CSF1R</I> protein and mRNA were measured on CD14-positive monocytes and neutrophils in peripheral blood of asthmatic patients using flow cytometry and real-time PCR. Among the 28 polymorphisms, two intronic polymorphism (+<I>20511C</I>><I>T</I> and +<I>22693T</I>><I>C</I>) we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asthma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requencies of the minor allele at <I>CSF1R</I> +<I>20511C</I>><I>T</I> and +<I>22693T</I>><I>C</I> were higher in asthmatic subjects than in normal controls (4.6 vs. 7.7%, <I>p</I> = 0.001 in co-dominant and dominant models; 16.4 vs. 25.8%, <I>p</I> = 0.0006 in a recessive model). <I>CSF1R</I> mRNA levels in neutrophils of the asthmatic patients having the +<I>22693CC</I> allele were higher than in those having the +<I>22693TT</I> allele (<I>p</I> = 0.026). Asthmatic patients with the +<I>22693CC</I> allele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CSF1R</I> expression on CD14-positive monocytes and neutrophils than did those with the +<I>22693TT</I> allele (<I>p</I> = 0.045 and <I>p</I> = 0.044). The +<I>20511C</I>><I>T</I> SNP had no association with <I>CSF1R</I> mRNA or protein expression. In conclusion, the minor allele at <I>CSF1R</I> +<I>22693T</I>>C may have a susceptibility effect in the development of asthma, via increased <I>CSF1R</I> protein and mRNA expression in inflammatory cells.</P><P><B>Electronic supplementary material</B></P><P>The online version of this article (doi:10.1007/s00439-010-0850-3) contains supplementary material, which is available to authorized user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