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웹사이트에서 유저인터페이스디자인 레이아웃의 기능적 차이가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을 중심으로 -

        이문형,박일권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The layout includes various functions not only arrangement, connection, division of information but also affordance and information recognition as the important element that determine the whole structure of information. Recently, the layout of web interface design was gradually changing from the concept of the original Z-layout to F-layout, whereas, it is being changed again into the split layout as the transform of Z-layout. However, there can be lack of grounds as to the reason of the change of layout. Therefore, it needs to study on how the functional difference between the F-layout and Z-layout affects user experience. In this study, we conduct the study on the effect of each layout type on the user experience focusing on the product description of web-page by user test. The user test have shown that the user has better feeling on the split layout based on the Z-layout than F-layout. The Z-layout also has more advantages on the formation of the favorable attitude of user in efficiency, accessibility and concentratio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trend of web-design to change into the split layout based on the Z-layout and we provided the objective reasons for the effective web-design layout by user test. 디자인 요소에서 레이아웃은 전체 정보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정보의 배치, 연결, 구분을 비롯해 사용자의 행동유도 및 정보 인지 등의 구조적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 웹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레이아웃은 전통적 Z레이아웃 개념에서 점차 F레이아웃으로 변화되다가 최근에는 Z레이아웃의 변형인 분할레이아웃 형태로 점차 변화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런 변화 이유에 대한 객관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 사이에서 기능적 차이가 사용자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사이트의 제품설명 웹페이지를 중심으로 F레이아웃과 Z레이아웃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테스트를 진행하여 유형별 레이아웃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F레이아웃보다 Z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한 분할 레이아웃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호감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효율성, 접근성, 몰입성 등 Z레이아웃에서 사용자의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는데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Z레이아웃을 기반으로 한 분할레이아웃으로 변화되어가는 웹디자인 추세와 일치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평가를 통해 효과적인 웹디자인 레이아웃의 객관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만경강유역 백제 사비시기 횡혈식석실묘의 확산과 그 의미

        이문형 호남고고학회 2019 湖南考古學報 Vol.63 No.-

        최근 만경강유역의 지천인 전주천과 삼천천을 중심으로 대규모 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백제 횡혈식석실묘 자료 역시 적지 않게 축척되었다. 횡혈식석실묘는 백제 중앙세력에 의해 수용되어 중앙집권적 통치체제가 확립된 사비시기까지 지속적으로 변화 발전한 묘제이다. 따라서 만경강유역의 횡혈식석실묘를 사비시기 부여지역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당시 백제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를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먼저 Ⅱ장에서는 백제 사비시기의 대표 유적인 부여 능산리고분군과 염창리유적의 횡혈식석실묘의 특징을 살펴보는 동시에 만경강유역에서 조사된 백제 분묘유적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백제 중앙(부여지역)과 만경강유역 횡혈식석실묘의 구조와 출토유물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큰 차이점이 없는 것으로 보아 당시 사비시기 중앙집권적 통치체제가 만경강유역 횡혈식석실묘에도 투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부여지역에서 보이지 않는 주구의 설치는 기존 분구묘의 전통으로, 부여지역에서 확인되는 터널식(석실) 유형의 부재는 백제의 지방지배체제인 간접지배방식의 결과로 보았다. 이러한 만경강유역의 횡혈식석실묘는 7세기 무왕의 익산 경영과 맞물려 사비유형의 전형적인 횡혈식석실묘가 내륙지역으로 확산되기에 이른다.

      • 익산지역 고대 성곽의 분포 현황과 특징

        이문형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6 馬韓, 百濟文化 Vol.28 No.-

        The ancient remains that have been excavated in Iksan area include those of royal residence in Wanggung-ri, site of Mireuksa Temple - the biggest one in the area, royal twin tombs and remains of fortresses like Iksan earth fortress, Nangsan fortress, Hamra fortress, etc., evidencing definitely that Iksan area is fully entitled to be named as an ancient capital city. So far, 11 fortresses have been confirmed to have existed within the area of Iksan and, out of them, Mt. Mireuk fortress, Geumma-do earth fortress, Iksan earth fortress and Nangsan fortress have been excavated for research or digged out on trial. Such research, however, has been restricted within the partial examination of walls or limited survey of entrances to fortresses, which will be by far out of reach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s or to reveal detailed techniques of constructing the fortresses as of now. But, just from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s an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it may be possible to affirm some of the features which show that the fortresses are mainly distributed in the district of Mt. Hamra along the Geumgang River, in the district of Mt. Mireuk and Mt. Yonghwa in Geumma-myeon and in the district of Mt. Cheonho in the eastern mountainous region. In case of Nangsan fortress, Gemma-do earth fortress and Iksan earth fortress centering all around Mt. Miereuk particularly, it is thought that they were constructed almost in the same period because tiles at the edge of eaves and seals which would be attributed to Baekje era were unearthed from them simultaneously. It is expected to conduct close investigations in the future to confirm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relics, since roads ar enow under construction to connect the relics of Nangsan fortress, Mireuksa Temple site, Iksan earth fortress, Geumma-do earth fortress and Wanggung-ri relics. Out of the fortresses in Iksan area, Nangsan fortress, Geumma-do earth fortress and Iksan earth fortress are known to have been constructed with earth and this was confirmed by the walls constructed with Banzhu (版築) technique and the narrow panels (夾板), wood poles (永定柱) that support the narrow panels and stone columns (石列) used for preventing the walls from being swept away by flood, which all are the features commonly found among the earth fortresses constructed during the Baekje era. The Banzhu construction technique employed in the Baekje era could be traced back to the central district of Hebei in China, was introduced to Baekje and then transmitted to Japan where it was transformed to so called Gogoishi (神籠石)-type mountain fortress wall with protective stone columns surrounded on the base. 익산에는 백제시대 왕의 거주 공간인 왕궁리유적과 최대 사찰인 미륵사지와 제석사지, 왕릉인 쌍릉, 그리고 익산토성을 포함한 낭산, 함라산성 등의 성곽유적이 확인되고 있어 익산지역은 고대 都城으로서의 요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 현재까지 익산 관내지역에서 분포하는 성곽은 11곳으로 이들 가운데 시·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성곽은 미륵산성·금마도토성·익산토성·낭산산성 등이다. 이 조사 역시 성벽의 단면조사나 문지를 중심으로 하는 제한적이고 한정된 조사로, 해당 성곽의 전반적인 성격이나 세부 축조수법 등을 파악하기에는 현재로서 많은 제약이 따른다. 다만 육안조사와 기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몇 가지 특징을 살펴보면, 분포상에 있어 주로 금강변을 따라 형성된 함라산 일대, 미륵산과 용화산이 자리한 금마면 일대, 그리고 동쪽 산악지역의 천호산 일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특히 미륵산을 중심으로 낭산산성-금마도토성-익산토성의 경우 공통적으로 백제시대에 해당하는 막새 및 인장와가 출토되어 거의 동일한 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판단되며, 나아가 낭산산성-미륵사지-익산토성·금마도토성-왕궁리유적까지 교통로가 연결되고 있어 차후 이들 유적 간 연관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익산지역의 성곽 가운데 토축으로 축조된 낭산산성과 금마도토성, 그리고 익산토성은 백제시대 토축산성의 공통된 특징인 판축성벽과 협판, 그리고 협판을 고정시키는 영정주, 성벽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석열 등의 특징이 확인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백제시대 판축토루의 성벽 구축방법은 그 원류를 중국 하북의 중원지역에서 찾고 있으며, 백제를 거쳐 일본의 기저변에 호석열을 두른 소위 ‘신롱석(고오고이시)식’ 산성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고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