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efteram의 Group A streptococcus, Haemophilus influenzae 및 Streptococcus pneumoniae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력

        박수은,정혜선,곽영호,이환종 대한화학요법학회 1998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16 No.3

        목적 : cefteram은 새로이 개발된 경구용 세펨계 항균제로서 종래의 세펨계 항균제와 비교하여 β-lactamase에 안정적이다. 저자들은 소아의 호흡기 감염의 주요 원인균인 group A streptococcus, Haemophilus influenzae, Streptococcus pneumoniae의 국내 분리 균주를 대상으로 하며 cefteram의 항균력을 다른 페니실린계 및 세펨계 항균제와 비교하였다. 방법 : 서울대학교 소아병원에서 각종 감체로부터 분리된 group A streptococcus 29주, H. influenzae 53주 (β-lactamase 음성 23주, 양성 30주) 및 S. pneumoniae 93주를 (페니실린 감수성 및 중등도 각각 21주, 내성 51주) 대상으로 하여, cefteram, penicillin 또는 ampicillin, ampicillin/sulbactam, cefaclor, cefuroxime, cefixime, cefpodoxime 및 ceftriaxone 등의 항균제의 최소 억제 농도(MIC)를 한천희석법의로 측정하였다. 항균제 감수성 검사 결과는 MIC 범위, MUC_(50) 및 MUC_(30)으로 나타내었다. 결과 1. Group A streptococcus에 대한 cefteram의 MIC 범위는 <0.015-0.015 ㎍/mL이었고, MIC_(50) 및 MIC_(90)은 모두 0.008 ㎍/mL으로서 검사한 항균제 중 가장 낮았다. 2. β-lactamase 음성인 H. inflenzae에 대한 cefteram의 MIC 범위는 <0.015-0.06 ㎍/mL 였으며, MIC_(50) 및 MIC_(90)은 각각 0.015 ㎍/mL , 0.03㎍/mL 로 ampicillin, cefaclor, cefuroxime보다 낮았으며, cefixime과는 비슷하였다. β-lactamase 양성인 균주에 대한 MIC 범위는 <0.015-0.125㎍/mL , MIC_(50) 및 MIC_(90)은 각각 0.015 ㎍/mL , 0.06㎍/mL 로 amplicillin/sulbactam, cefaclor, cefuroxime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고, cefixime과는 비슷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3. 페니실린 감수성 S. pneumoniae에 대한 cefteram의 MIC 범위는 ≤0.015-0.03 ㎍/mL 으로 매우 낮았다. 페니실린 중등도 내성주에 대해서, MIC_(50)이 cefteram 외의 각 항균제들은 0.125㎍/mL 이상이었으나 cefteram은 0.06㎍/mL 으로서 매우 낮았으며, MIC_(50)는 모두 0.25㎍/mL 이상이었으며 cefteram은 0.25㎍/mL 로서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다. 페니실린 고도 내성균주에 대해서는 검사한 항균제의 MIC가 모두 0.5㎍/mL 이상이었으며, cefteram의 MIC 범위, MIC_(50) 및 MIC_(90)는 각각 0.5- >64㎍/mL , 1㎍/mL 및 4㎍/mL 이었다. Background : Cefteram is an orally administered aminothiazolyl iminomethoxy cephalosporin. I t has been reported to be highly active against group A streptococcus, Haemophilus influenzae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However, there is a wide geographic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antimicrobials should be evaluated against isolates from each of particular community where they are going to be used. Methods :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of cefteram, penicillin or ampicillin, ampicillin/sulbactam, cefaclor, cefuroxime, cefixime, cefpodoxime, and ceftriaxone were determined by agar dilution method against 29 strains of group A streptococcus, 53 of H. influenzae and 93 of S. pneumoniae, isolated at the Seoul National Um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results of susceptibility test were presented by MIC range, MIC?? and MIC??. Results : 1. MIC range of cefteram against group A streptococcus was <0.015-0.015 ㎍/mL. MIC?? and MIC?? of cefteram were the lowest among the antimicrobials tested. 2. MIC ranges of cefteram against β-lactamase negative and plactamase positive H. influenzae were <0.015-0.06 ㎍/mL, and <0.015-0.125 ㎍/mL., respectnely. Cefteram was more active against β-lactamase positive H, infuenzae than amplilin/sulbactam, cefaclor, cefuroxime, and comparable with ceftriaxone, cefixime or cepfodoxime. 3. Cefteram had the lowest MIC?? and MIC?? against penicillin susceptible (0.008 ,㎍/mL and 0.015 ㎍/mL ) and intermediate S. pneumoniae (0.06 ㎍/mL and 0.25 ug/ml), but had rather high MIC?? and MIC?? (1 ,ug/mL and 4 ,㎍/mL) against penicillin resistank strains as other oral cephalosporins. Conclusion : The results indicate that cefteram has in vitro activity against group A streptococcus, H. influenzae and S. pneumoniae equal to or higher than other oral antimicrobials tested.

      • KCI등재

        Streptococcus pneumonia 감염으로 변화한 사람 폐 상피세포 단백질의 프로테오믹 분석

        이윤영(Yun Yeong Lee),정경태(Kyung Tae Chung)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8

        Streptococcus pneumoniae는 전 세계적으로 급성 호흡기 질환 높은 사망률 나타내며, 정상인의 비인후부에 존재하여 호흡기 감염을 통해 폐렴, 수막염, 중이염, 패혈증, 복막염, 골수염 등을 일으킨다. 그러나 S. pneumoniae가 폐 조직에 침입하는 분자적 메커니즘과 혈류를 통한 침입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S. pneumoniae D39의 감염 및 침입에 대한 분자 메카니즘을 알고자 사람의 폐암상피 세포 유래 A549 세포를 이용하여 감염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되는 A549 세포의 모양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숙주세포의 단백질 패턴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부 A549 세포는 감염 후 2 시간부터 세포의 모양이 둥근형태로 변화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감염 3 시간째에는 세포의 모양이 둥글며 filopodia가 아주 잘 발달하였다. 감염4 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거의 모든 A549 세포가 둥글며 잘 발달된 filopodia를 형성하였다. 감염 후 각 시간 별 A549 세포의 총 단백질들을 추출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라 특이적으로 양 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단백질을 MALDITOF 분석법을 사용하여 동정하였다. Streptococcus pneumoniae D39 감염 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단백질 중 대다수가 특이하게도 molecular chaperone에 속하는 단백질들이었다. 대표적인 cytosol chaperone인 Hsp90과 Hsp70 의 경우 감소하는 패턴을 나타낸 반면에 endoplasmic reticulum (ER)에 존재하는 chaperone인 Grp94와 Grp78 (BiP)은 감염 후 점차 증가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ER chaperone인 Grp94와 Grp78의 증가는 ER stress signaling pathway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S. pneumoniae D39의 감염에 의한 이들 단백질의 변화 패턴을 ER stress를 유발 시켰을 때와 비교하였다. Tunicamycin 또는 thapsigargin으로 처리하여 ER stress를 유발시킨 A549 세포의 형태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흡착세포의 형태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Western blot을 통한 molecular chaperone의 분석 결과는 S. pneumoniae D39 감염의 경우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S. pneumoniae D39의 감염은 A549 세포의 형태적 변화를 유발하며 또한 molecular chaperone 증가와 감소를 유발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특이적으로 Grp94와 Grp78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S. pneumoniae D39 감염은 A549 세포 내 ER stress 를 유발한다고 생각된다. Streptococcus pneumoniae is the leading cause of community-acquired pneumonia throughout the world. The bacteria invade through lung tissue and cause sepsis, shock, and serious sequelae, including rheumatic fever and acute glomerulonephritis.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 associated with pneumonia’s penetration of lung tissue and invasion of the blood stream are still unclear. W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host cell response at protein levels to S. pneumoniae D39 invasion using human lung cancer epithelial cells, A549. Streptococcus pneumoniae D39 began to change the morphology of A549 cells to become round with filopodia at 2 hours post-infection. A549 cell proteins obtained at each infection time point were separated by SDS-PAGE and analyzed using MALDI-TOF. We identified several endoplasmic reticulum (ER) resident proteins such as Grp94 and Grp78 and mitochondrial proteins such as ATP synthase and Hsp60 that increased after S. pneumoniae D39 infection. Cytosolic Hsc70 and Hsp90 were, however, identified to decrease. These proteins were also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The identified ER resident proteins were known to be induced during ER stress signaling. These/ data, therefore, suggest that S. pneumoniae D39 infection may induce ER stress.

      • 폐염구균에 대한 종특이 단세포군 항체의 생산과 임상적 응용에 관한 연구

        김덕언,서헌석,김홍석,최태열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1993 한양의대 학술지 Vol.13 No.1

        Streptococcal pneumoniae is the leading cause of community-acquired pneumonka, meningitis, and otitis media in children. The emergency of penicillin-resistant strain has made difficulty in the management of pneumococcal infection, and rapid and accurate identification become more important. The accurate identification of S. pneumoniae in the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y can be accomplished in many ways. Although the Quellung reaction with polyvalent antiserum is the most accurate and specific test for identifying and typing of pneumococci, it is no longer used routinely in the diagnostic laboratory. Other serologic tests, such as latex agglutination and coagglutination, provide simple and more rapid serological identification of S. pneumoniae from culture. However, pnemococcal strains lacking the same capsular polysaccharide in the capsule cannot be identified by serological tests, and false-positive results may occur because of cross-reactions with other bacteria which possess and antigen similar to pneumococcal polysaccharide, and equivocal serological reactions amy occur when older colonies for mixed cultures are used. Authors tried to make a species-specific monoclonal antibody to S. pneumoniae, and assessed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monoclonal antibody for diagnosis of pneumococcal infection. Female Balb/c mice were immunized two times with whole-cell suspension of clinically isolated S. pneumoniae (3×10 ) colony forming unit/0.1ml) by means of intravenous injection. Cell fusion was performed on 10day after 1st immunization using 50.%PEG 1,5000. Culture fluids of the growing hybridomas were tested for antibodies to S. pneumoniae whole cells in an ELISA. Two monoclonal antibodies HMPnl and HMPn2 were 1gM respectively. To evaluate the sensitivity of a specised-specific monoclonal antibodies HMPn1 and HMPn2, 24strains of S. pneumoniae (target) and 11miscellaneous bacteria (Streptococcus group A, B, C ,D ,F ,G ,Enterococcus faeca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ea coli, Psl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albicans) were tested by ELISA. Isolates of S. pneumoniae mainly form the respiratory tract, blood, and spinal fluid were cultured. Miscellaneus 11 bacteria representing of those found in the respiratory tract were selected as nontarget organisms. None of the strains (non-target) tested reacted with monoclonal antibody HMPn1, thus yielding a specificity of 100%, but monoclonal antibody HMPn2 cross reacted with group C Streptococci. The monoclonal antibodies HMPn1 and HMPn2 reacted with all pneumococcal strain tested to yield a sensitivity of 100%. Monoclonal antibodies HMPn1 and HMPn2 can be reacted until 3×10³ CFU S. pneumoniae in dot-ELISA. Immunoglobulin class of monoclonal antibodies HMPn1 and HMPn2 are 1gM respectively. No Quellung reaction was observed in 5 cases of pneumococci with covered with capsule. The monoclonal antibodies HMPn1 and HMPn2 can be reacted with cell membrane of S. pneumoniae to yield positive test result in indirect immunofluorescent assay. The monoclonal antibody HMPn1 reacted with 35KD antigen by Western immunoblot, and the monoclonal antibody HMPn2 reacted with 30 and 35KD protein of S. pneumoniae. In conclusion, the author made a monoclone whose supernatant HMPn1 reacted with 35KD protein of S. pneumoniae, and both of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the species-specific monoclonal antibody HMPn1 turned out to be 100%, which suggest the monoclonal antibody HMPn1 can be used for research and diagnosis of S. pneumoniae in clinical laboratory.

      • KCI등재후보

        Streptococcus pneumoniae와 Haemophilus influenzae 임상분리주에 대한 Cefditoren의 시험관내 항균력

        곽이경 ( Yee Gyung Kwak ),추은주 ( Eun Ju Choo ),박수진 ( Su Jin Park ),이정은 ( Jeong Eun Lee ),정진용 ( Jin Yong Jeong ),최상호 ( Sang Ho Choi ),김남중 ( Nam Joong Kim ),김양수 ( Yang Soo Kim ),우준희 ( Jun Hee Woo ),류지소 ( Ji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그람양성 및 음성 세균에 대해 광범위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cefditoren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에서 분리된 S. pneumoniae와 H. influenzae 임상균주를 대상으로 cefditoren의 시험관내 항균력을 흔히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른 경구용 항균제들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분리된 S. pneumoniae 120균주와 H. influenzae 80 균주를 대상으로 미국임상검사표준화협회의 방법에 따라 cefditoren과 다른 경구용 항균제에 대한 최소억제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S. pneumoniae 균주는 cefditoren 농도 1 μg/mL 이하에서 억제되어 (MIC50/MIC90 0.25/1 μg/mL; range 0.015~1 μg/mL) cefditoren의 감수성 기준을 1 μg/mL로 하였을 때 penicillin에 대한 감수성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균주가 cefditoren에 감수성을 보였다. Penicillin 감수성 균주에서 cefditoren의 MIC (0.015~0.03 μg/mL)는 penicillin 중간 내성 (0.03~0.5 μg/mL) 및 내성 균주 (0.5~1 μg/mL)에 비해 낮았으며, H. influenzae에 대해서는 ampicillin 감수성 및 내성 H. influenzae 모두에서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MIC50/MIC90 0.015/0.03 μg/mL; range <0.008~0.03 μg/mL). 결론: Cefditoren은 penicillin이나 ampicillin에 대한 내성 여부에 상관없이 원외 호흡기 감염증의 흔한 원인 균인 S. pneumoniae와 H. influenzae에 대해 우수한 시험관내 항균력을 보였고 따라서 원외 호흡기 감염증 치료를 위한 경구용 항균제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 vitro activity of cefditoren, an oral third-generation aminothiazolyl cephalosporin,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and Haemophilus influenzae clinical isolates in a tertiary hospital. Methods: We have studied the in vitro activities of cefditoren and other oral antibiotics against 120 S. pneumoniae isolates, including 80 penicillin non-susceptible isolates and 80 H. influenzae isolates from clinical specimens of patients at the Asan Medical Center.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were determin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 Results: All S. pneumoniae strains tested were inhibited by 1 g/mL of cefditoren (MIC50/MIC90 0.25/1 μg/mL; range 0.015~1 μg/mL). The MICs were lower for penicillin-susceptible S. pneumoniae (MIC90 0.015 g/mL) as compared to penicillin-intermediate resistant (MIC90 0.5 g/mL) or penicillin-resistant strains (MIC90 1 μg/mL). Cefditoren was active against all tested H. influenzae strains (MIC50/MIC90 0.015/0.03 μg/mL; range <0.008~0.03 g/mL) and its activity was comparable to levofloxacin and cefixime. Conclusions: Cefditoren had an excellent activity against S. pneumoniae and H. influenzae irrespective of penicillin or ampicillin resistanc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efditoren is a good choice of an antibiotic to use for empirical oral treatment of 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Korean J Med 72:68-73, 2007)

      • KCI등재

        소아 대·소엽성 폐렴의 임상 양상 및 원인에 대한 고찰

        이윤희,신영림,서원석,박재옥,신미용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09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9 No.3

        Purpose : We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tiological organisms associated with lobar/lobular pneumonia in Korean children. Methods : Children hospitalized due to radiographically confirmed lobar/lobular pneumonia were evaluated prospectively between June 2006 and May 2008. Anti-Mycoplasma pneumoniae IgM/IgG (at admission and follow-up), blood cultures, throat swabs for bacterial detection or sputum culture, respiratory viruses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denovirus and Influenza A/B) antigen testing, and urinary antigen testing for S. pneumoniae were performed. Results : Two hundred eighty-eight immunocompetent children (mean age, 5.9 years) were enrolled. The age distribution showed a peak frequency at 2-6 years of age (<2 years, 8.7%; 2-6 years, 60.8%; 7-10 years, 22.6%; 11-15 years, 8.0%). Typical respiratory organisms were identified in 64.9% of cases. Identified organisms were Mycoplasma pneumoniae (50.7%), bacteria in (5.9%), viruses (2.1%) and mixed infection (5.9%).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ly identified organism in all age groups. The majority (88.9%) of bacterial pneumonias including mixed infection were caused by Streptococcus pneumoniae. Mycoplasma pneumonia was the most frequent at 5-6 years of age, but bacterial pneumonia was most frequent at 1-2 years of age. Lobar/lobular pneumonia began to increase from August and showed peak incidence in November and December. The levels of WBC, ESR, and CRP mo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ose with bacterial pneumonia than in children with mycoplasma pneumonia. Pleural effusion was present in 18.1% of cases. In these cases, the duration of fever and hospitalization was prolonged, and the ESR and CR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out pleural effusion. Conclusion :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ausing lobar/lobular pneumonia in children. Mycoplasma pneumoniae was the most frequent causative organism at 5-6 years of age. On the other hand, bacterial pneumonia was more common at 1-2 years of age. Thus, age may be a significant factor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lobar/lobular pneumonia in children. 목 적 : 과거 대·소엽성 폐렴은 주로 세균 감염이 원인으로 생각되었으나 최근에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도 흔히 대소엽성 폐렴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자들은 우리나라 소아의 대소엽성 폐렴의 임상 양상 및 원인을 조사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6년 6월부터 2008년 5월까지 대·소엽성 폐렴으로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은 소아 28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시에 anti-Mycoplasma pneumoniae IgM/IgG, 혈액배양, 인후도말 또는 가래 배양 및 호흡기바이러스 항원 검사와 소변 폐구균 항원 검사를 시행하였고 입원 5-7일 후 Mycoplasma IgM/IgG 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입원 전과 후의 발열기간과 입원 기간 등의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발생 연령은 평균 5.9세였고 2세 미만 25명(8.7%), 2-6세 175명(60.8%), 7-10세 65명(22.6%), 11-15세 23명(8.0%)으로, 2-6세에 가장 호발하였다. 남녀 비는 147:141 이었다. 2) 187례(64.9%)에서 원인이 확인되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146례(50.7%)로 가장 많았으며 세균성 폐렴은 17례(5.9%), 바이러스에 의한 경우는 6례(2.1%), 중복 감염이 확인된 경우는 17례(5.9%)였다. 세균 감염은 대부분 S. pneumoniae가 원인이었다. 3)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5-6세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던 반면에, 단독 세균성 폐렴은 주로 1-2세에 발생하였다. 4) 대·소엽성 폐렴은 8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11월과 12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5) 단독 세균성 폐렴과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을 비교하였을 때 발열 기간이나 입원 기간은 차이가 없었지만, 세균성 폐렴에서 백혈구 수와 ESR, CRP가 유의하게 높았다. 6) 흉수는 18.1%에서 동반되었고 흉수가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입원 전과 후의 발열기간과 재원기간이 길었으며, ESR과 CRP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소아에서 대·소엽성 폐렴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절반을 차지하였다. 호발 연령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이 5-6세, 세균성 폐렴이 1-2세로 차이를 보였다. 대·소엽성 폐렴의 치료에 있어서 연령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肺炎 誘發菌의 生育을 抑制하는 韓藥材 探索에 關한 硏究

        정병운,서운교,정지천,한영환 동국대학교 한의학연구소 1999 東國韓醫學硏究所論文集 Vol.7 No.2

        韓藥材 중 肺炎의 치료효과가 기대되는 淸熱化痰, 止咳平喘藥을 중심으로 23種의 藥材를 사용하여 肺炎을 유발하는 K. pneumoniae, S. pyogenes 및 S. pneumoniae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藥材를 탐색하고, 탐색된 藥材의 추출물에 대한 세균의 最小生育抑制濃度를 측정하였다. 韓藥材의 水溶性 추출물 중 黃連, 胡黃蓮, 敗醬, 黃芩이 K. pneumoniae에서, 黃連이 S. pyogenes에 대해서 생육억제 효과가 있었으며, S. pneumoniae에 대한 比較沮止環의 直徑은 黃連, 鳥梅, 五味子, 黃芩이 우수하였으나 黃連 추출물 사용시 병원균 모두에서 生育沮止環의 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對照群로 사용된 大腸菌과 枯草菌에서도 어느 정도의 抗細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敗醬, 黃芩, 五味子, 鳥梅가 K. pneumoniae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S. pyogenes 세균은 黃連, 五味子, 鳥梅, 馬兜鈴찾, 黃芩에 의하여 생육이 억제되어 黃連은 水溶性 및 에탄올 溶解性 주출물에서 모두 우수한 抗細菌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각 세균에 대한 最小生育沮止濃度(MIC)는 K. pneumoniae 세균일 경우 黃連 및 黃芩의 水溶性 추출물과 鳥梅 및 敗醬의 에탄올 溶解性 추출물이 유의성을 보였으며, S. pyogenes 세균은 黃連의 水溶性 및 에탄올 溶解性 추출물과 鳥梅의 에탄올 溶解性 추출물, S. pneumoniae 세균은 黃連과 鳥梅의 水溶性 및 에탄올 溶解性 주출물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黃連, 五味子, 鳥梅, 黃芩, 胡黃蓮, 敗醬의 水溶性 및 에탄올 溶解性 추출물이 肺炎 誘發菌f K. pneumoniae, S. pyogenes, S. pneumoniae에 對하여 우수한 生育抑制 作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The various oriental herbal medicines, which have usually been used for treatment of reducing fever, purging intense heat and detoxication, were screened to determine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against pulmonary disease-causing Klebsiella pneumoniae, Streptococcus pyogenes, and Streptococcus pneumonia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mong the 23 oriental medicines tested,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Coptis japonica, Scutellaria baicalensis and Picrorrhiza kurroca show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K. pneumoniae and that of C. japonica against S. pyogene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C. japonica, Prunus mume, Schizandra chinesis, Scutellaria baicalensis were also found against S. pyogenes. When C. japonica was used, the high antibacterial activity was shown against Bacillus subtilis and other extracts showed a little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nd E. coli as a control. 2. The ethanol-soluble extracts of Patrinia scabriosaefolia, P. mume, S. baicalensis, S. chinensis show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K. pneumoniae and those of S. baicalensis, C. japonica, S. chinensis P. mume against S. pyogenes and S. pneumoniae. However, those extract showed a littl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B. subttilis and E. coli except for that the extract of C. japonica showed comparatively high growth inhibition of B. subtilis. 3. Among the medicinal herbs tested,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C. japonica showed very ext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pathogenic bacteria and controls. 4. When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nd S. baicalensis,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against K. pneumoniae were 10 ㎎/㎖ and 22 ㎎/㎖, respectively. The MICs of the ethanol-soluble extracts of P. mume and P. scabriosaefolia were 5 ㎎/㎖ and 20 ㎎/㎖, respectively. 5. For the MICs against S. pyogenes, C. japonica showed 15 ㎎/㎖ with the water-soluble extract and P. mume and C. japonica with the ethanol-souble extract did 5 ㎎/㎖ and 10 ㎎/㎖, respecitively. 6. For the MICs against S. pneumoniae, C. japonica and P. mume with the water- and ethanol-souble extract showed 5 ㎎/㎖ and 10 ㎎/㎖, respecitively. As a result,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was found in the water- and ethanol-soluble extracts of C. Japonica against pulmonary disease-causing bacteria, K. pneumoniae, S. pyogenes, and S. pneumoniae. Also, the water- and ethanol-soluble extracts of S, chinensis, P. mume, S. baicalensis and P. kurrooa showed high antibacterial activiti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Panipenem을 포함한 Carbapenem 계열 항생제의 몇 가지 임상균주에 대한 시험관내 항균력

        이동건,김명신,강진한,전혜선,최수미,위성헌,김상일,최정현,유진홍,신완식,강문원 대한감염학회 2003 감염과 화학요법 Vol.35 No.2

        목적 : Panipenem은 일본에서 개발된 카바페넴계 항생제로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혐기균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항균력을 나타낸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국내에서 분리되는 균주에 대한 감수성 검사결과는 아직 없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분리된 E. coli, K. pneumoniae, P. aeruginosa, S. pneumoniae 균주를 대상으로 carbapenem 계열 및 몇 가지 항생제와 감수성을 비교하고, 특히 P. aeruginosa의 경우 carbapenem의 효과를 Muller-Hinton agar (MHA)가 반감시킬 수 있는 특성을 고려하여 감수성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2년 3월부터 6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강남성모병원, 성가병원, 성모자애병원, 성빈센트병원에서 분리된 임상균주 E. coli, K. pneumoniae, P. aeruginosa, S. pneumoniae를 대상으로 하였다. 항생제 감수성 검사는 NCCLS 기준에 따랐고 P. aeruginosa의 경우 MHA 이외에 minimal agar Davis (MAD)를 추가로 사용하였다. 감수성 결과 해석시 panipenem은 imipenem과 같은 기준을 적용하였다. 결과 : E. coli, K. pneumoniae, P. aeruginosa는 각각 100균주였고, S. penumoniae는 134균주였다(PSSP 41, PNSP 93균주). E. coli, K. pneumoniae는 모든 균주가 imipenem, meropenem, panipenem에 대해 감수성을 보였다. P. aeruginosa의 경우 imipenem, meropenem, panipenem, ceftazidime의 MIC_(90)은 각각 16, 8, 32, 64㎍/mL이었다. MHA와 MAD 배지를 이용하여 P. aeruginosa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을 비교해 본 결과 imipenem, panipenem의 MIC_(90)가 각각 16, 32㎍/mL에서 8㎍/mL로 감소하였고, imipenem에 비해 panipenem이 더 많이 감소하였다. S. pneumoniae의 경우 PSSP는 imipenem, meropenem, panipenem에 대해 모두 내성이 없었고 PNSP는 imipenem, meropenem, panipenem에 대한 MIC_(90)가 각각 1, 2, 0.25㎍/mL이었다. 결론 : 결론적으로 panipenem은 E. coli, K. pneumoniae에 대해 기존의 카바페넴계 항생제와 유사한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P. aeruginosa의 경우 ceftazidime, imipenem과 비슷한 항균력을 보였고 아미노산 함량이 적은 배지를 사용함에 따라 MIC가 낮아졌으며 imipenem보다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S. pneumoniae의 경우 특히 PNSP에서 기존의 카바페넴계 항생제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Panipenem은 주요 그람음성균 및 폐렴연쇄구균 감염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 Panipenern (PAPM) is a new carbapenern which has an enhanced broad spectrum against both gram-positive and negative organisms. The aim of study was to compare the activities of PAPM with those of imipenern (IMPM), meropenern (MRPM) against several clinical isolates in Korea. Methods : We tested the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APM, IMPM, and MRPM against total 300 clinical isolates of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and Pseudomonas aeruginosa and 134 Streptococcus pneumoniae collected from 5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Using NCCLS guidelines, MICs of PAPM, IMPM, MRPM, and/or ceftazidime were determined. Results : All isolates of E. coli and K. pneumoniae were susceptible to PAPM, IMPM and MRPM. MIG_(90) of PAPM, IMPM, and MRPM against P. aeruginosa were 32, 16, and 8 ㎍/mL, respectively. Comparing Mueller-Hinton agar (MHA) and minimal agar Davis (MAD), the MIG_(go) of PAPM and IMPM were reduced from 16 and 32 ㎍/mL to 8 and 8 ㎍/mL, respectively. PAPM was more influenced by MAD than IMPM. All isolates of penicillin susceptible S. pneumoniae showed 0% of resistance to the carbapenems tested. MIC_(90) of PAPM, IMPM and PRPM against penicillin non-susceptible S. pneumoniae were 0.25, 1 and 2 ㎍/mL, respectively. Conclusion : Panipenern could be one of the potentially useful drug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E. coli, K. pneumoniae, and S. pneumoniae. We also showed that PAPM had good anti-pseudomonal activity when examined in MAD, the amino acid-limited media. Therefore, it could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ns caused by P. aerugino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