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학술지를 발간하며

        나영호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18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6 No.S

        .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는 1987년 시작하여 2017년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30주년은 사람으로 따지면 서른 살로 가정과 사회에 기반을 만드는 나이인 이립(而立)에 해당합니다. 우리 학회도 지금까지 잘 닦여진 기반을 바탕으로 이제 좀 더 큰 도약을 꾀할 시기가 되었습니다. 지난 30년간의 우리학회의 학문적 발자취를 정리하고 미래를 계획할 필요가 있어 30주년을 기념하는 학술지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초창기 어려운 상황에도 불구하고, 학문에 대한 열정으로 학회의 초석을 다지신 선배님들께 먼저 무한한 존경과 감사를 드립니다. 30년 동안의 학회의 학문적 발자취에 대해서는 이 책자에 실린 김규언 교수님의 논평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창립 30년 – 소아알레르기 분야 연구 활동의 발자취(1945–1981년)”에 잘 기술되어 있습니다.1,2 학문적인 발전과 학회원 간의 화합을 중시해 온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는 30년의 세월 동안 나날이 성장을 거듭하여 소아알레르기 호흡기질환의 진료와 연구 분야에서 독보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한국 소아에서 알레르기 질환의 선별검사로서 Phadiatop(R)Infant 검사법의 임상적 유용성

        김병주 ( Byoung Ju Kim ),이정용 ( Jung Yong Lee ),송영화 ( Young Hwa Song ),유진호 ( Jin Ho Yu ),오흥범 ( Heung Bum Oh ),홍수종 ( Soo Jong Hong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9 No.2

        목적: 아토피(IgE sensitization)는 IgE-매개성 알레르기질환 발생의 위험인자일 뿐 아니라 향후 예후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Phadiatop(R)Infant는 소아에서 감작률이 높은 항원으로 구성된 복합항원으로 ImmunoCAP을 측정하며 결과는 양성 및 음성으로 보고되어 IgE-매개성 알레르기 질환이 의심되는 소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선별검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에서 흔한 식품 및 흡입항원에 대한 특이 IgE 유무를 검출하데 있어 PhadiatopInfant 검사법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아토피피부염 혹은 반복천명을 주소로 서울아산병원 소아천식 아토피센터를 방문한 소아들을 대상으로 Phadiatop Infant 검사를 시행하고 동시에 6가지 흡입항원(D.p, D.f, cat, dong, cockroach, alternaria) 및 6가지 식품항원(egg, milk, soybean, wheat, fish, peanut)에 대한 특이 IgE 항체를 측정하여 두 가지 검사법에 대한 일치율 및 IgE-매개성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에 있어 Phadiatop(R)Infant 검사법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93명의 소아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중 남자는 54명 여자는 39명이었다. 평균나이는 32.4(±20.4)개월이었다. 특이항원 측정에 의한 흡입항원에 감작률은 38.7%, 식품항원에 감작률은 53.8%, 12가지 항원 중 하나이상의 감작률은 71%였다. Phadiatop(R)Infant에 의한 양성률은 66.9%였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이항원에 대한 감작유무와 Phadiatop(R)Infant 검사의 일치도는 0.768(Kappa value)이었다. Phadiatop(R)Infant에 양성이나 특이항원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가 4례, Phadiatop(R)Infant에 음성이나 특이항원이 검출된 경우는 5례이었으며 후자에서는 모두 집먼지진드기 특이항원이 검출되었으며 전자에서는 1례를 제외하고 연령이 36개월 이상이었다. 나이별에 따른 일치율은 나이가 적을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κ=0.933(0-24개월), 0.692(25-48개월), 0.619(49개월 이상) 결론: Phadiatop(R)Infant 검사는 한국 소아에서 IgE-매개성 질환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어릴수록 식품항원에 대한 감작이 높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흡입항원에 대한 감작이 증가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Purpose: Atopy is a prerequisite for IgE-mediated allergic disease and also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Phadiatop(R)Infant (phadia AB, uppsala, sweden) is a new blood test designed for the detecting the presence of IgE sensitization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hadiatop(R)Infant test in Korea. Methods: Among the patients who visited Childhood Asthma Atopy Center, Asan Medical Center between January 2008 and August 2008, young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who had eczema or wheezing were enrolled. Ninety-three patients were tested using specific IgE antibody tests with 6 aeroallergen including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p), Dermatophagoides farinae (D.f), cat, dog, cockroach and alternaria, and 6 food allergen including egg, milk, soybean, wheat, fish and peanut as well as Phadiatop(R)Infant test. Results: The study group was consisted of 54 males and 39 females, with a mean age of 32.4±20.4 months. By specific IgE antibody test, 38.7% were sensitized to aeroallergen, 53.8% to food allergen, 71% to at least one allergen. Positive rate of Phadiatop(R)Infant was 66.9%. There were 9 discrepant cases: 4 cases with positive Phadiatop(R)Infant but negative specific IgE antibody test and 5 cases with negative Phadiatop(R)Infant but positive specific IgE antibody test. The former cases except one were older than 36 months and all the latter cases were sensitized to house dust mite. The kappa value between Phadiatop(R)Infant and specific IgE antibody test was 0.768. When the age was considered, the younger children showed the better agreement rate [kappa value=0.933 (<24 months), 0.692 (24-48 months) and 0.619 (>48 months)]. Conclusion: Phadiatop(R)Infant may be a useful screening test for atopy in Korean children, especially in younger children. It is presumed that the rates of sensitization to local inhalant allergen become higher with increasing age.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9;19:155-164]

      • 소아에서 잡초류 알레르기 감작률의 증가와 알레르기성 잡초류의 연중 화분량과의 상관관계

        오재원 ( Jae Won Oh ),강임주 ( Im Ju Kang ),김성원 ( Sung Won Kim ),국명희 ( Myung Hee Kook ),김봉성 ( Bong Seong Kim ),신경수 ( Kyung Soo Shin ),한윤수 ( Youn Soo Hahn ),신수아,이하백 ( Ha Baik Lee ),손명현 ( Myung Hyun Shon ),정지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6 No.2

        목 적 : 잡초류의 대표적인 돼지풀이 최근 그 분포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아연령에서도 돼지풀에 대한 감작이 증가하게 되어 소아알레르기 환자에게 위험인자로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게 되었다. 잡초류 특히, 돼지풀의 증가가 실제적으로 어떤 임상적인 의의가 있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전국에 화분 분포를 조사하고 있는 지역(서울, 구리, 대구, 부산, 광주)을 대상으로 화분에 대한 알레르기 피부시험을 실시하여 소아연령(0-18세)에서 각 화분에 대한 감작률을 파악하고 그 지역의 연중 화분량을 조사하고 각 화분알레르겐에 대한 감작률을 조사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잡초류의 화분량과 이에 대한 알레르기 감작률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잡초류 화분은 돼지풀과 쑥의 화분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전국 평균의 최고치가 1997-2000년에는 89-128 grains/m3/day이었으나 2001-4년 275-302 grains/m3/day로 급증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3년의 돼지풀에 대한 소아 감작률이 7.1%였는데 이는 성인 감작률(6.6%)과는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소아연령에서의 매년 잡초류의 감작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1999년 4.4%, 2000년 7.1%, 2001년 7.4%) 결 론 : 소아에서 돼지풀에 대한 알레르기 감작률이 매년 증가되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돼지풀 등과 같은 잡초류 번식의 급증 뿐 아니라 교통량의 증가와 아파트 건축, 공장 등에 따른 공기오염이 돼지풀과 같은 식물의 번식에 증식 효과를 더 배가하게 되어 알레르기 질환에 대한 위해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Recently allergic diseases have gradually increased in schools and among preschool aged childhood. Pollen amount of weeds also, especially ragweed, were increased. We evaluated the increased pollen count of weed was associated with the sensitization rate to weed in childhood. Methods : Airborne particles carrying allergens were collected daily from eight stations nationwide(Seoul, Guri, Cheongju, Daegu, Kwangju, Busan, Kangneung, and Jeju) by using 7 days-Burkard sampler(Burkard Manufacturing Co Ltd, Hertfordshire, UK), for 7 years in South Korea(July 1, 1997-June 30, 2004). They were counted and recorded along with the weather. Data was collected through pediatric patients with allergic symptoms, who visit the pediatrics allergy clinics and capable of allerfy skin test among hospitals that have pollen collecting centers. Results : Airborne pollen has two peak seasons : May and September in Korea. There were the tree pollen seasons from the middle of February to late July, then followed the grasses and weed season from the middle of July to the end of October. Ragweed was one of the most common pollens of autumn in Korea. In skin prick tests, Mugwort was the highest sensitization rate(7.6 percent), followed by ragweed(7.1 percent), birch(6.1 percent), alder, grasses mix among the pollen extracts in Korean school aged children. Ragweed pollen counts have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0. In the same period, sensitization rates for airborne pollen, especially weeds, in Korean children have increased annually(1999 : 4.4 percent, 2000 : 7.1 percent, 2001 : 7.4 percent, 2002 : 8.5 percent, 2003 : 7.7 percent). Conclusion: Sensitization rates for outdoor airborne pollens have increased in Korean children. These findings might result from the changes of life styles and living environments in Korea.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06;16:114-121]

      • 서울 지역에서 발생한 소아기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임상적 조사 ( 1997 . 3 . - 1998 . 2 . )

        이상일(Sang Il Lee),오재원(Jae Won Oh),이하백(Ha Baik Lee),안강모(Kang Mo Ahn),이혜란(Hae Ran Lee),이수용(Su Yong Lee)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1

        목 적 : 급성 하기도 감염은 소아에서 가장 호발하는 질환중의 하나이다. 급성 하기도염의 원인으로는 세균, Mycoplasma와 바이러스들 중 최근 바이러스 감염증이 현저히 증가되고 있다. 저자들은 대표적인 호흡기 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t virus(RSV), parainfluenza virus, influenza virus A, B, adenovirus)의 감염의 연령별 분포와 관련된 계절적 유행을 이해하고, 바이러스별 임상증상을 알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15세 이하의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소아들로 1997년 3월부터 1998년 2월까지 한양대학교 서울병원과 구리병원(138명), 성균관대학교 삼성서울병원(129명),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61명)에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들로부터 비인두 분비물을 채취하여 바이러스 배양검사 또는 면역형광법에 의한 특이 항원검사로써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호흡기 증상이 있었으나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환아들은 이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결 과 : 1) 1년 동안의 연구기간 중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아는 총 328명이었다. 이들 중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가 146명(44.7%)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influenza A virus 84명(25.6%), parainfluenza virus 48명(14.6%), influenza B virus 47명(14.3%), adenovirus 14명(4.3%) 순으로 발생하였으며, 혼합감염은 11명(3%)이었다. 2) 대상 환아의 연령분포는 생후 2주부터 14년 6개월(평균 연령은 2.1±2.4년) 이었고, 남아가 220명(67%), 여아가 108명(33%)으로 남녀 비는 2:1로 남아에게서 많이 발생하였다. 1세 이하의 소아에서 149명(44%), 2세 이하에서 226명(67%)으로 주로 2세 이하에서 발생하였으나, 5세 이상의 소아에서는 단지 39명(11%)에서만 발생하였다. 3)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중의 월별 추세로는 RSV, parainfluenza virus와 adenovirus는 연중 발생하였으나, influenza A virus는 12월에 절정을 이룬 후 5월초 까지 이어졌고, influenza B virus는 3월과 4월에 절정을 이룬 후 발생하지 않았다. 4) 임상적 진단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폐렴이 132명(39%)으로 가장 많았고, 세기관지염 116명(34%), 크룹 60명(18%), 급성 인후염 23명(7%), 그리고 천식 8명(2%) 순이었다. 결 론 : 소아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주된 원인 바이러스는 RSV이었다 각 호흡기 바이러스마다 임상 양상이나 유행시기가 다르고 다른 나라의 보고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토 있었다. 앞으로 바이러스성 호흡기 질환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더욱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환자 진단, 치료 및 예방에 이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LRI) are important causes of pediatric morbidity and mortality. Recently among the common pathogens causing acute LRI in children respiratory viruses are apparently increasing rather than bacteria and mycoplasma in Korea. This study was aimed to define the distribution of age, seasonal variation and clinical manifestation of respiratory virus in children. Methods : All 328 children in Seoul, who had hospitalized at the Pediatric ward of Hanyang University(138 children), Hallym University(61 children) and Sungkunkwan University(129 children) for the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were studied from March, 1997 to February, 1998. In nasopharyngeal aspirates obtained from these patients viral agents were detected by virus isolation and/or antigen detection by indirect immunofluorescent staining. But the subjects who was not found respiratory virus were excluded, although respiratory symptoms were present. Results : 1) One or more agents were identified in 328 subjects. 2) The pathogens identified were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 : 44.7%), influenza A virus(25.6 %), parainfluenza virus(14.6%), influenza B virus(14.3%), adenovirus(4.3%) and two or more viruses(3%). 3) Infections with RSV, parainfluenza virus and influenza A and B virus occured in epidemics, while adenovirus was isolated sporadically throughout the study period. 4) Clinical patterns of viral LRI were pneumonia(39%), bronchiolitis(34%), croup(18%), acute pharyngitis(7%) and asthma(2%). Conclusions : RSV was the most important in viral respiratory tract infection in children. Clinical manifestation and epidemic characterics were variable according to the agent. Accordingly, we should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respiratory virus to cause the repiratory tract diseases in children.

      • 알레르기비염 인지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 개발

        최은혜 ( Eun Hye Choi ),강빈 ( Ben Kang ),이희영 ( Hee Young Lee ),강희숙 ( Hee Suk Kang ),김정희 ( Jeong Hee Kim ),임대현 ( Dae Hyun Lim ),손병관 ( Byong Kwan Son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0 No.3

        목적: 알레르기비염은 유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질환에 대한 교육 부족과 잘못된 정보로 인하여 질환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 지도에 근거한 효율적인 교육 도구 개발이 필요하나 현재 국내에는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부재하다. 이에 저자들은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알레르기비염의 이론적 측면에 관한 문헌 및 전문가의 조언과 알레르기비염 교육 및 상담을 통한 환자 보호자들의 질문을 수집하여 설문 문항을 작성하였다. 문항은 알레르기비염에 관한 일반지식 증상 진단 및 환경관리 치료 4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8회의 예비조사를 통해 60문항의 설문지를 만들었고 알레르기비염 환자 보호자 일반인으로 구성된 성인 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된 결과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내적 신뢰도가 0.67인 20문항의 인지도 측정 도구를 완성하였다. 문항의 설문 결과 알레르기비염의 정의 일반지식 증상에 대한 인지도는 높았고 환경관리 중 집먼지 진드기 꽃가루 동물 관리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알레르기비염과 천식과의 연관성 정기적인 검사의 필요성에 대한 인지도는 낮았다. 유지치료 비강흡입식 스테로이드제 치료의 중요성 치료가 환자의 면역력 성장 발달에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한 인지도도 낮았다. 결론: 알레르기비염에 대한 인지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신뢰도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저자들이 개발한 도구는 알레르기비염에 관한 교육 효과를 증대시키는 자료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Despite the increasing prevalence of allergic rhinitis, there are difficulties in early diagnosis and proper treatment due to lack of education and misunderstanding of the disease. Development of efficient education materials based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is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questionnaire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Methods: Questions related to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were prepar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professional advice and inquiries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These items were categorized into 4 areas: (1) basic knowledge, (2) symptoms, (3) diagnosi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4) treatment. Through the eight preliminary survey on 38 adults, a questionnaire of 60 items was develop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Results : A tool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was completed, which was composed of 20 items with an internal reliability of 0.67.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with 60 items, the areas of basic knowledge, symptoms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llergic rhinitis showed high awareness. The item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necessity of regular checkup, awareness of maintenance treatment, importance of treatment with intranasal steroids, and the influence of treatment on immunity, growth and development of patient showed low awareness. Conclusion: A reliable tool was developed for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allergic rhinitis. It may be useful in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to optimize its educational effect on allergic rhinitis

      • 소아 호흡기질환에 대한 소아 기관지경술의 임상적 적용

        김광우(Kwang Woo Kim)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00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10 No.3

        목 적 :소아 기관지경술은 소아 호흡기질환의 진단과 치료의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혀가고 있다. 그러나 소아 기관지경술의 적응중, 수기, 기관폐포세척술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은 없다. 저자는 1년간 110례의 소아 기관지경술을 실시하여 이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 법 : 소아과 외래 및 입원 환자 중 기관지경술의 적응이 되는 110례(남아 78례, 여아 32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5㎜ 직경의 3C30 소아기관지경(올림푸스)과 경직성기관지경(울프)을 사용하여 시술하였다. 시술 30분전에 아트로핀을 전치지제로 투여하였고, 주 진정제로 midazolam(dormicum)을, fentany과 droperidol을 시술 중 통증감소를 목적으로 투여하였다. 시술하는 동안 상하기도 소견을 VTR로 필요한 만큼 녹화하여 참고 자료와 보호자에게 설명을 위하여 기록하였다. 필요한 경우 기관지폐포세척술(BAL)을 하였고 흡입된 세척액으로 세포수와 백분율을 검사하였고 원인 세균검출을 위한 배양을 하였다. 결 과 : 1) 총 110례중 남아는 78례(72%), 여아는 32례(28%)였으며 연령분포는 3-6세가 42례(37%), 1-3세가 21례(19%) 였고 중앙값은 4세였다. 2) 기관지경의 적응증은 만성기침 42례, 급성 중증폐렴 26례, 만성/계발성 폐침윤 10례, 비정상적 흥부사진을 동반한 폐결핵 10례, 천명(stridor) 6례, 비정상적 기도 방사선 소견 6례, 비정상적 목소리 5례, 지속적 천명(wheezing) 4례, 기도 이물이 의심된 경우 4례, 중증환자의 기도청소 1례, 인공기도의 유지 1례였다. 기관지경 소견으로는 기도 분비물(pus) 40례, 후두연화증 19례, 기도연화증 9례, 점막이상 5례, 기관지연화증 3례, 기도 부중 2례, 기관지폐쇄 2례, 기관지협착 1해, 비정상적 기관(tracheal bronchus 1례) 등이었으며, 정상 소견도 21례 있었다. 3) 기관지경술의 합병증으로는 소수에서 발열, 저산소증, 기도수축, 비 출혈을 경험하였다. 4) BAL의 세포분석은 49례에서 실시하였는데 33례(68%)에서 호중구가 우세하였으며, 대식세포가 주된 소견인 경우는 8례(16%), 호산구가 주된 소견인 경우는 2례(4%)였다. 5) BAL의 세균배양은 Stenotrephomonas maltophilia가 17례. Streptococcus mitis가 13례, alpha-hemolytic-Streptococcus 6례, Klebsiella pneumoniae 6례였으나 주로 오염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호흡기 감염의 주된 원인이 되는 Moraxella species나 H. influenza등의 균도 검출되었다. 6) 10례에서 AFB가 도말 검사에서 발견되었으나 이 중 단 1례에서 TB-PCR 양성을 보였고 2례에서는 mycobacterium other than tuberculosis(MOTT)의 PCR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이것은 MOTT가 소아의 만성기침의 원인 감염균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었다. 결 론 :소아 기관지경술은 소아 호흡기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큰 진보를 가져왔으나 기관지경에 의한 소견과 술기, BAL액의 분석에 대한 표준을 설립하기 위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Purpose : Pediatric bronchoscopy is becoming an essential too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pediatric respiratory tract diseases. But there is no international standard for the indication, procedure and bronchoalveolar lavage. We experienced 110 cases over 1 year for pediatric bronchoscopy and reported datas for them. Method : We used Olympus 3C30 pediatric bronchoscope and Wolfs rigid bronchoscopes for the bronchoscopy. Atropine intravenous injections was given as an premedication before 30 minutes of the bronchoscopy procedure. Midazolam was used as a main sedative and fentanyl, and droperidol was used for reduction of pain during procedures. We recorded the findings using videotapes and discussed the findings later. BAL was done if it needed and made a cell count and cultured the BAL fluid for the identifying the causative organisms. Results : 1) Among 110 cases, male were 78(72%), female were 32(28%). Age distributions were 42(37%) in 3-6 year of age, 21(19%) in 1-3 year of age and the median is 4 year of age. 2) Indications are followings; Chronic cough 42, acute severe pneumonia 26, chronic/recurrent infiltrate 10, pulmonary TB with abnormal radiograph 10, stridor 6, abnormal airway radiograph 6, abnormal voices 5, persistent wheezing 4, foreign body suspected 3, pulmonary toilet with debilitated patient 1, management of artificial airway 1. Primary bronchoscopic findings were as followings; normal findings 21, pus 40, laryngomalacia 19, tracheomalacia 9, mucosa abnormality 5, vocal cord abnormality 5, bronchomalacia, 3, edema 2, obstruction, 2, constriction 1, tracheal bronchus 1 case. 3) Complications of bronchoscopy were fever, hypoxia, laryngospasm and epistaxis 4) Cell differential analysis of 49 cases, neutrophil predominance 33(68%), lymphocyte predominance 6(12%), macrophage predominance 8(16%), eosinophil predominance 2(4%) 5) Cultures for bacteriae were included as followings; Stenotrephomonas maltophilia 17, Streptococcus mitis 13, alpha-hemolytic-Streptococcus 6, Klebsiella pneumoniae 6 cases. But it seems to be contaminated. But some organisms, Moraxella species, H. influenza may be causative organisms of pulmonary infections 6) Ten AFB smear positive cases were discovered. Among them only one case was TB-PCR positive and the other nine cases were TB-PCR negative and two cases were PCR positive for mycobacterium other than tuberculosis(MOTT). It suggests that MOTT infections may be a role for pediatric chronic cough. Conclusion : Pediatric bronchoscopy made us far advanced improvement i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ediatric pulmonary diseases.

      • 소아 천식관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도 조사

        정순미(Soon Mi Chung),정지태(Ji Tae Choung)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6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6 No.2

        목적 : 소아기 대표적인 만성질환인 천식은 치료에 있어서 약물사용의 복잡성과 진단과 급성발병 예방에 보호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저자들은 천식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천식을 가진 환아들의 보호자가 천식에 대하여 얼마나 알고 있으며 그 지식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를 기본으로 현재 우리나라 천식 환아와 보호자에게 요구되는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천식으로 진단받고 고려대학교 의과대학부속 안암병원 소아과 외래 천식클리닉에 다니는 환자 중 1996년 1월초부터 3월말 사이에 방문한 천식 환아의 어머니 50명을 대상으로 천식의 역학, 원인, 임상양상, 유발요인, 진단, 치료의 6항목에 관한 12개의 설문에 정답을 쓰게 한후 맞으면 1점, 틀리면 0점으로하여 0에서 12점까지 지식수준을 평가하고 이 결과를 가지고 어머니들을 면담하였다. 결과 : 천식환아 어머니 50명의 천식에 대한 지식수준은 8.8±1,75였고 천식의 증상에 대한 오답률이 높았으며 어머니들의 천식에 대한 지식수준은 학력에 관계없이, 천식에 대한 교육을 얼마나 많이 받았는지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대부분(43/50)이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 천식 진단을 받았으며, 천식에 대한 정보를 의사로부터 얻는 경우는 50%(25/50)였다. 평소 지속적으로 천식 약물을 투여받고 있는 환아의 어머니 중 48%(16/34)만이 현재 투여되고 있는 약물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었고, 24명에서 민간요법을, 18명에서 한방치료를 해 보았으나 효과는 거의 없었다. 결론 : 천식은 적절한 약물의 장기 복용과 천식 유발 인자의 조절, 환자 상태의 객관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증상 발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천식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앞으로 천식의 진단. 임상양상, 원인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역학, 유발요인, 치료등 천식 전반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천식 관리로써 천식의 유병률과 이환율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education as an adjunct to the treatment of asthm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knowledge of patient`s mothers about asthma and to suggest the asthma health education programs. Fifty mothers of asthma patients were interviewed with 12 short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he epidemiology, etiology, clinical manifestations, trigger factors, diagnosis, and treatment of asthm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rate of incorrect answer o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asthma was higher than those on the epidemiology, etiology, trigger factors, diagnosis, and treatment. 2. The degree of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s and the educational levels of mothers (p<0.05). 3. The degree of knowledge of the mothers who had visited the asthma clinic for over six mont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mothers whose follow-up periods were under six months(p<0.05). In conclusion, their knowledge on the asthma were insufficient. But their misconcepts will be corrected through the asthma health education.

      • 진균 Alternaria 의 항원 추출과 알레르기 항원성에 관한 연구

        이기영,김현영(Hyun Young Kim),이현희(Hyun Hee Lee),정병주,김규언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1999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9 No.3

        목 적 : 진균은 천식을 비롯한 각종 알레르기 질환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이며, 최근 호흡기 질환의 원인으로 Alternaria중요성이 자주 보고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면역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호흡기 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국내 보고는 미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추출 방법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Alternaria의 항원 추출 방법을 연구 하고 주요 알레르기 항원을 분석하여 국내의 천식 환아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KIST 생명공학연구소 유전자 은행-KCTC( 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에서 구입한 Alternaria of alternariafern 균주를 Potato-dextrose broth에서 10일간 배양하여 조항원(crude extracts)을 만든 후 SDS-PAGE를 시행한 후 Coomassie blue solution으로 염색하여 항원을 분석하였다. 대상 환아의 혈청으로 Alternaria 항원에 대한 항원 결합 특이 IgE 면역 검출을 시행하였다. 결 과 : 1) 1차 분리해낸 조항원으로 SDS-PAGE률 시행하여 항원을 분석한 결과 30개 이상의 항원이 관찰되었으며, 이중 5 kD, 28 kD, 31 kD, 34 kD, 65 kD, 70 kD의 단백이 강하게 관찰되었다. 2) 알레르기 피부 시험 결과 Alternaria 항원에 양성 반응을 보인 대상 환아의 혈청으로 항원 결합 특이 IgE 면역검출을 시행한 결과 이들 항원 중 10개 이상의 항원이 환자 혈청의 Alternaria 특이 IgE에 결합하였고, 그 중 34 kD, 31 kD, 16 kD의 단백이 강하게 관찰되었다. 결 론 :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시행한 진균 항원 추출 방법으로 Alternaria항원 추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으며 추출된 Alternaria 조항원의 알레르기 항원성을 분석해 본 결과 90 kD, 70 kD, 65 kD, 34 kD, 31 kD, 28 kD, 16 kD의 항원이 주요 항원으로 관찰되어 국내에서도 Alternaria 항원이 천식 환아에서 주요 진균 알레르기 항원으로 작용함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 Mold allergy is the one of the major causes of atopic diseases including asthma, and the Alternaria exists year-round in Korea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cause of many atopic asthma. Recent studies stress the significance of Alternaria as a cause of respiratory problems although detailed knowledge on this organism is limited, especially the relationship of the fungi to respiratory ailments as well as the allergenic nature of this organism. Methods : The authors studied the purification methods of Alternaria allergen and examine how the allergen acts on atopic asthma. The Alternaria samples were cultured in potato-dextrose broth for 10 days, and a crude extract was obtained after dialysis and filtration. The crude extract was subjected to SDS-PAGE followed by staining, and the allergen was analyzed. Three subjects who showed positive allergy skin test to Alternaria were subjected to RAST and allergy skin test with the crude extract. Results : SDS-PAGE of the curde extract showed more than 30 allergenic bands, and among those, 5 kD, 28 kD, 31 kD and 34 kD bands were the major allergens, indicating that the purification method used in the present study produced an extract with almost all major allergens. In 3 patients with Alternaria allergy we carried out allergy skin test with crude extracts. All three subjects showed positive allergy skin test. Conclusion : The crude extract obtained major allergens including 70 kD, 65 kD, 34 kD, 31 kD, 28 kD and 16 kD allergens, and like the results reported outside Korea. Alternaria was proved to be a major allergen in atopic asthma in Korea as well.

      • 소아 아토피 천식 환자에서 호기 NO 농도와 천식 조절 점수 및 폐기능검사 결과 사이의 연관성

        김정옥 ( Jeong Ok Kim ),우성일 ( Sung Il Woo ),한윤수 ( Youn Soo Hahn )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구 대한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 2011 소아알레르기 및 호흡기학회지 Vol.21 No.1

        목적: FeNO는 천식 환자에서 기도 염증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FeNO와 천식 조절 점수 및 폐기능검사 결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아토피 천식으로 진단되고 연구 시작 전 흡입 스테로이드를 최소 1개월 이상 사용하지 않은 8세 이상 16세미만의 소아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8-12세 소아에서는 childhood asthma control test (C-ACT) 점수를 12세 이상의 소아에서는 asthma control test (ACT)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모든 소아에 대해 폐기능검사와 FeNO 측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아토피 천식 소아에서 FeNO의 기하학적 평균(19.2 parts per billion [ppb]; 95% CI, 17.2-21.4)은 정상 소아들 (7.5 ppb; 95% CI, 7.0-8.0)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001) ACT 점수나 C-ACT 점수는 대상군 소아의 82%에서 20점 이상이었으며, %FEV1, FEV1/FVC, %FEF25-75%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FeNO는 천식 조절 점수나 폐기능검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나이, 성별, 신체질량지수 또는 부모 흡연 여부에 따른 FeNO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소아 아토피 천식 환자에서 FeNO는 천식 조절점수나 폐기능검사 결과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소아 아토피 천식 환자에서 천식 조절 점수 측정이나 폐기능검사와 함께 기도 염증 정도를 반영하는 FeNO의 측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has been proposed as a tool for assessing airway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atopic asthma. We evalu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eNO with asthma control test (ACT) scores and spirometry values in children with atopic asthma. Methods: One hundred twenty-six children with atopic asthma, 8-16 years of age, were included in the study. None of the participants received regular controller therapy for at least 4 weeks before the study. The ACT (for children >12 years of age) or the Childhood Asthma Control Test (C-ACT;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8 and 11 years of age), FeNO measurements and pulmonary function tests were performed.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the FeNO in children with atopic asthma (16.1 parts per billion [ppb]; 95% CI, 14.5-17.8 ppb)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healthy controls (7.5 ppb; 95% CI, 7.0-8.1 ppb; P<0.001). ACT or C-ACT scores were >20 in 82% of enrolled patients and correlated with the %FEV1, FEV1/FVC, and %FEF25-75. However, FeNO was not related to %FEV1, FEV1/FVC, %FEF25-75, and scores for asthma controls. FeNO levels in asthmatic childre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spect to age, gender, BMI, and tobacco exposure. Conclusion: FeNO was not related to the spirometry values and scores for asthma control. Measurement of FeNO may be a complementary tool in the assessment of asthma control. [Pediatr Allergy Respir Dis(Korea) 2011;21:24-3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