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llagenase와 esterase가 상아질 접착강도와 nanoleakage에 미치는 영향

        정영정,한세현,김종철,이상훈,김정욱,김영재,장기택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본 연구는 상아질 접착계면에서 collagenase와 esterase가 접착강도와 극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발치된 치아의 교합면 상아질에 Single Bond 2(SB)와 Clearfil SE bond(SE)를 사용하여 상아질-레진 접착시편을 제작하고,시편을 인산완충용액(PBS)에 24시간(I),또는 PBS(II),collagenase 용액(III),esterase 용액(IV)에 4주간 보관 한 후 질산은 용액으로 염색하였다. 시편의 미세인장접착강도(μTBS)와 질산은 침투 면적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B군의 접착강도가 II∼IV군에서 SE군에 비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p<O.05). SB군은 II∼IV군의 접착강도가 I군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으나(p<O.05),SE군의 접착강도는 I∼IV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O.05). 2. SB군의 질산은 침투 면적이 SE군에 비해 높았으며(p<O.05),SB군과 SE군에서 질산은 침투 면적은 I ∼ IV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O.05). 3. 접착강도와 질산은 침투 면적은 SE군의 I, II,III군에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O.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llagenase and esterase on dentin bond strength and nanoleakage. Resin composites were bonded to occlusal dentin of premolars with Single Bond 2(SB) and Clearfil SE Bond(SE). After the microtensile specimens were prepared and stored in PBS for 24 hours(I) or, PBS(II), collagenase(III), esterase(IV) solution for 4 weeks, the specimens were stained with silver nitrate solution. Microtensile bond strength(μTBS) and silver penetration area were measur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 group II, III, and IV, the bond strengths of SB were lower than those of SB(p<0.05). The bond strengths of SB II, III, and IV were lower than that of SB I(p<0.05).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bond strengths of SE I ∼ IV groups(p>0.05). 2. Silver penetration areas of SB were higher than those of SE for all storage groups(p<0.05). In SB and S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silver penetration area among I ∼ IV groups(p>0.05). 3. SE I, II, and III showed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bond strengths and the silver penetration areas(p<0.05).

      • KCI등재

        상아질 접착에서 collagenase와 esterase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정영정,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2

        상아질-레진 접착강도에 대한 collagenase와 esterase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소구치의 교합면 상아질에 Single Bond 2와 Clearfil SE Bond로 접착을 시행하고 미세 시편을 제작하여 PBS, collagenase 용액, esterase 용액에 4주간 보관한 후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보관 용액에서 Single Bond 2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Clearfil SE Bond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Single Bond 2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collagenase군이 PBS군, esterase군보다 낮았다(p>0.05). 3. Clearfil SE Bond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esterase군이 PBS군에 비해 낮았으나(p>0.05), collagenase군보다는 높았다(p>0.05). Collagenase군은 PBS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llagenase and esterase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μTBS) in dentin bonding. After resin composites were bonded to occlusal dentin, μTBS specimens were formed and stored in PBS, collagenase, or esterase solution. After 4-week storage, μTBS was determin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μTBS values of Single Bond 2 were lower than those of Clearfil SE Bond for all storage medium (p<0.05). 2. In single Bond 2 group, collagenase solution lowered bond strength more than PBS and esterase solution (p>0.05). 3. In Clearfil SE Bond group, esterase solution lowered bond strength more than PBS(p>0.05). Collagenase solution lowered bond strength more than esterase solution(p>0.05) and PBS(p<0.05).

      • 폐암과 동반되어 나타난 기관기관지병증 골연골형성증 1예

        이영진,전현수,박시형,김모세,김현주,이승헌,이영민,이현욱,이현경 仁濟大學校 白病院 2010 仁濟醫學 Vol.31 No.-

        Tracheobronchopathia osteochondroplastica (TPO) is a rare benign disease of unknown etiology characterized by multiple cartilaginous or bony submucosal nodules, which project into the tracheobronchial lumen. Although some disorders were reported combined with TPO, these seemed to be considered casual. We report a case of TPO that combined with adenocarcinoma of lung. She was 50-year-old non smoking woman presented with chronic cough with right chest pain. Lung mass on right lower lobe was found on chest x-ray, so lung cancer was suspected. Multiple scattered whitish small elevations from trachea to bronchial trees were found on bronchoscopic exam. We mistook these lesions for metastases from lung cancer and biopsies of these lesions were done. Transbronchial biopsy for right lower lobe mass lesion was also done. But biopsies from trachea and bronchus revealed TPO rather than lung cancer. Transbronchial lung biopsy of right lower lobe mass was diagnosed adenocarcinoma of lung. So TPO combined with adenocarcinoma of lung was diagnosed.

      • KCI등재

        규산질 비료의 참외 흰가루병 발생 억제 효과

        류나현,최미영,류연주,조현종,이용세,이영득,정종배 한국환경농학회 2003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2 No.4

        토양에 시용한 규산의 참외 흰가루병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 효과와 살균제의 방제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보조효과를 조사하였다. 규산질 비료의 처리는 철가루병 균에 의해 감염된 참외 잎에서 균사의 생장과 분생포자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흰가루병 발생을 일부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론 규산질 비료 자체만의 흰가루병 발생 억제 효과는 매우 미약한 수준이었으나 살균제의 흰가루병 방제 효과를 크게 증진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재 농가 현장에서 밝혀지고 있는 규산질 비료의 참외 병해 발생 억제 효과는 주로 이러한 살균제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규산의 보조적인 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토양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규산질 비료의 시용은 살균제의 방제 효과 증진을 통하여 과다한 약제의 사용과 그에 따른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규산질 비료의 흰가루병 발생 억제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앞으로 병의 발생을 최대로 억제할 수 있는 참외 잎 중의 적정 규소 함량에 대한 검토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Silicon is known to accumulate in plants and results in greater resistance to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ilicate fertUizer applied in soil on the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of oriental melon Oriental melon seedlings of four-leaf stage were transplanted and grown in a plastic film house. silicate fertilizer was applied to maintain soil available SiO₂ level of 200 ㎎/㎏ one week before transplanting. Fungicide trinumizol was sprayed three times; one, two, and three weeks after transplanting. Sphaerotheca fuliginea was inoculated 2 weeks after transplanting. The number of infected leaf and the number of fungal colony in leaves were measured one, two, and three weeks after the inoculation. Three weeks after the fungal inoculation, in the treatment of fungicide triflwnhl, infected leaf numbem and number of colony per leaf were reduced by 10 and 58% respectively. In the silicate fertilizer treatment, infected leaf numbers and numbers of colony per infected leaf were suppressed only by 6 and 16%, respectively, and the efficacy was lower than that of the fungicide triflumizol. The combined treatment of silicate fertilizer and the fungicide suppressed powdery mildew more effectively, and infected leaf numbem and numbem of colony per leaf were reduced by 31 and 80%,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lthough silicate fertilizer itself is not much effective in the suppression of powdery mildew, it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 efficacy of the fungicide.

      • SCOPUSSCIE

        Synthesis and Nanostructures of Metal Selenide Precursors for Cu(In,Ga)Se<sub>2</sub>Thin-Film Solar Cells

        Cha, Ji-Hyun,Noh, Se Jin,Jung, Duk-Young Wiley (John WileySons) 2015 ChemSusChem Vol.8 No.14

        <P>A nanoink solution-based process was developed as a low-costing method for the fabrication of Cu(In,Ga)Se2 (CIGSe) thin-film photovoltaic cells. The sonochemical synthesis of CIGSe nanocrystals of the nanoink through step-by-step mixing of the reactants was investigated. To achieve the ideal stoichiometry of Cu(In0.7 Ga0.3 )Se2 to tune the bandgap and to fabricate high-efficiency photovoltaic cells, the synthetic parameters, the concentration of hydrazine, and the amount used of the gallium precursor were investigated. As the hydrazine concentration increased, gallium loss was observed in the CIGSe product. The gallium content in the reactant mixture strongly affected the metal stoichiometry of the prepared CIGSe nanocrystals. The nanoink solution based fabrication of thin-film photovoltaic cells was also explored, and the resulting device showed a conversion efficiency of 5.17?%.</P>

      • KCI등재

        급성 파라쿼트 중독에서 혈중 파라쿼트 농도

        박승민,김세현,최수진,김현,이완구,김영남,이광영,이영희,신성혜 대한응급의학회 2000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1 No.3

        Background: Paraquat is a bipyridyl compound, and when ingested, concentrated paraquat can cause either rapid death from multisystem failure and cardiovascular shock or delayed death from progressive pulmonary fibrosis. Paraquat is poorly absorbed by inhalation, but when ingested orally, severe illness can occur. Death usually occurs within 2 days if more than 50 ㎎/㎏ of paraquat is ingested . The most important prognostic indicator is the quantity of paraquat absorbed, as shown by the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and the prognostic indication depends mostly on the description given by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bout the amount of paraquat ingested, which is often underestimated or overestimagted. For these reasons, we tried to compare the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s with amount of paraquat described by patients or their familie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59 patients with acute paraquat poisoning from February 1998 through February 1999, the paraquat concentrations in plasma were measured at Presbyterian Medical Center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s: There was a striking discrepancy between the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and the ingested amount described by the patients or their families.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the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be measured in patients being treated for acute paraquat poisoning.

      • 질소 및 셀레늄 분위기 열처리가 나노 입자 Cu(In, Ga) Se<sub>2</sub> 광흡수층의 치밀화에 미치는 영향

        김기현(Kim, Ki-Hyun),안세진(Ahn, Se-Jin),전영갑(Chun, Young-Gab),박병옥(Park, Byun-Ok),윤경훈(Yoon, Kyung-Ho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나노 입자 분무 기법을 이용한 Cu(In,;Ga)Se₂ (CIGS) 광흡수층 제조 기법은 고진공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대면적 저가형 CIGS 태양전지 양산에 적합한 차세대 기술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스프레이 된 상태의 CIGS충 자체는 태양전지 제조에 적합하지 않은데 이는 스프레이 막의 다공성 구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나노입자 분무 기법을 이용하여 증착한 CIGS 광흡수층막을 질소 또는 셀레늄 분위기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태양전지 제조에 적합한 치밀한 구조의 CIGS 광흡수충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질소 분위기 500?C의 온도에서 1시간 열처리하여도 CIGS 나노 입자의 성장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셀레늄 분위기 500?C의 온도에서 30분 열처리시 입자 크기가 1{mu}m이상인 치밀한 광흡수층을 얻을 수 있었다. 본 결과는 CIGS 나노 입자의 입자 성장 반응에서 열에너지 단독에 의한 표면 에너지 감소 효과는 미미하며 셀레늄 증기의 역할이 더욱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소아에서의 Garre 골수염

        우세은,김영진,김현정,남순현 大韓小兒齒科學會 201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8 No.4

        Garre’s osteomyelitis is associated with bacterial infection and bone necrosis resulting from obstruction of blood supply. The most common cause for Garre’s osteomyelitis is odontogenic infection that originates from periodontal tissue or dental pulp. Subperiosteal abscess may also cause Garre’s osteomyelitis in the progress of the infection. Mandible is more often affected than maxilla, most commonly in the permanent first molar region of mandible. Clinically, it results in a hard swelling over the jaw, producing facial asymmetry. Meanwhile, radiograph show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irregular pulpal cavity, showing new periosteal proliferation located in successive layers to the condensed cortical bone on stimulated site. The treatment method for Garre’s osteomyelitis are removal of the infection source, root canal treatment, antibiotic medication, and incision and drainage.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Garre’s osteomyelitis under 15 years old.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by antibiotic medication accompanied with root canal treatment. Since the symptom of pediatric patients is less severe than adult, careful diagnosis with history taking and clinical examination is necessary. Furthermore long-term follow-up examination is needed to prevent recurrence even after the symptom disapears. Garre 골수염은 혈류 순환 및 영양 공급의 장애로 골이 괴사되거나, 세균 감염이 증가되면 발생한다. Garre 골수염은 치수 나 치주 감염에서 시작된 치성계 감염과 이의 진행에 따른 골막 하 농양이 주요 원인이 되며, 외상으로 인한 악골의 복합 골절 시 2차 감염, 국소적인 치은의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상악에서보다 하악에서 많이 발생되며 호발 부위는 하악 제 1대구치이다. 임상증상으로 이환 부위의 하악골은 팽창되어 있으나 구강점막은 정상적 색조를 가지며 안면 불균형을 나타낸다. 방사선 사진 상 심한 우식증을 가진 치아의 치근단 병소를 관찰할 수 있으며, 자극을 받는 골조직 부위의 치밀골 증가로 골수강은 좁 아지거나 폐쇄되며 외양이 불규칙하게 나타난다. 치료 방법으로는 항생제의 투여, 원인치의 발치 또는 근관치료, 절개 및 배농술 등이 알려져 있다. 본 증례는 15세 이하의 소아환자에서 악골 골수염이 발생한 경우, 장기적인 항생제 투여나 항생제 투여 및 근관 치료를 병 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된 증례이다. 소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하여 증상이 경미하므로 주의 깊은 병력 청취와 임상 검사를 통한 진단이 요구되며, 증상이 사라진 경우에도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기간의 추적 검사가 요구된다.

      • 이산사건시뮬레이터를 이용한 무선 LAN MAC simulator 구현

        주영혜,안치훈,박세현,김준년 중앙대학교 정보통신연구소 2000 정보통신연구소논문집 Vol.2 No.2

        최근 무선 랜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무선 랜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뮬레이션의 가장 중요한 기능적인 면은 시뮬레이션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IEEE 802.11 표준문서에 기초한 정확한 구현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IEEE 802.11 표준문서에 기초한 무선랜 시뮬레이션, WLANSim의 구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본 논문은 WLANSim의 소개, 상세한 설명과 WLANSim을 이용하여 실제로 CSMA/CA에 서 충돌발생을 측정한 결과도 실었다.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제안된 시뮬레이션 WLANSim은 IEEE 802.11 표준문서를 따르고 그에 따라 구현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With the ever increasing use of wireless LAN, the simulator that could measure the performance of wireless LAN is getting much attention these days. The most important functional aspect of the simulator is the exact implementation of IEEE 802.11 standard which decides the reliability of the simulation results. This paper describes the implementation of the wireless LAN simulator named WLANSim based on the IEEE 802.11 standard. It contains the introduction and the detail description of WLANSim and the simulation results of the measurements of the collision occurrence. Simulation result shows that proposed WLANSim is implementing and following procedures described in IEEE 802.11 stand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