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astoparan B의 항균 활성 및 용혈 작용에 미치는 소수성도와 양친매성의 영향

        이봉헌,김광호,장태식,박남규,박장수,강신원 부산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8 분자생물학 연구보 Vol.14 No.-

        Tetradecapeptide인 Mastoparan B(MP B)와 이의〔Ala〕-MP B유도체들을 합성하고 항균 활성 및 용혈 작용을 측정하여 MP B의 활성에 미치는 소수성도(hydrophobicity)와 양친매성(amphiphilicity)의 영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P B와 소수성도가 MP B 보다 큰〔Ala^2〕-,〔Ala^4〕-MP B유도체가 큰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소수성도가 MP B보다 작은〔Ala^6〕-MP B유도체의 활성은 MP B와 비슷하거나 작게 나타나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일수록 항균활성을 크게 나타내었다. 그러나 MP B보다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인〔Ala^9〕-MP B는 Ala에 의한 Trp의 치환때문에 MP B보다 작은 활성을 나타내었다.용혈 활성 측정 결과 MP B보다 소수성도가 큰〔Ala^2〕-,〔Ala^4〕-MP B유도체가 각각100.0%와 69.4%로써 용혈 작용을 크게 나타냈으나, 소수성도가 작은〔Ala^6〕-MP B유도체는 6.1%로써 가장 작은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고 Trp대신 Ala으로 치환한 소수성도가 큰 유도체인〔Ala^9〕-MP B는 MP B보다 작은 26.0%의 용혈 작용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용혈 작용은 소수성도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양친매성이 활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었다. Tetradecapeptide.Mastoparan B(MP B)and its〔Ala^2 〕-,〔Ala^4〕-,〔Ala^6〕-,〔Ala^9〕-MP B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nd then their antibacterical and hemolitic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ophobicity and ampiphilicity on the MP B-induced those activities. MP B and more hydrophobic〔Ala^2 〕-,〔Ala^4〕-MP B showed stronger antibacterical activity and less hydrophobic〔Ala^6〕-MP B than MP B did similar or weaker activity, so more hydrophobic〔Ala〕-MP B derivative had stronger activity. But more hydrophobic〔Ala^9〕-MP B than MP B showed weaker activity because of its Trp subsitution by Ala. On the other hand,〔Ala^2 〕-and〔Ala^4〕-MP B showed 100.0% and 69.4% hemoiytic activity, but〔Ala^6〕-MP B did the weakwst activity(6.1%)and〔Ala^9〕-MP B, weaker activity(26.0%) than MP B.Therefore, more hydrophobic〔Ala〕-MP B derviative had stronger activity and the effect of ampiphilicity on the activity was weak.

      • 원형탈모증의 임상양상 및 기술역학적 연구

        이용호,하헌용,이동초,김미경,서필승,김남송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2008 圓光醫科學 Vol.23 No.2

        본 연구는 2004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원광대학교 병원 피부과에 내원한 원형 탈모증 환자 126명중 치료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던 95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특성 및 치료 방법에 따른 치료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빈도 분석 및 교차분석을 통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탈모반면적은 성별에서 남자와 여자가 각각 26-50%일 때 53.5%, 71.4%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와 30대, 40대 이상이 각각 26-50%일 때 54.1%, 51.9%, 58.6%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료방법은 성별에서 남자와 여자 각각 부신피질호르몬 국소방법을 94.3%, 85.7%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연령별로는 20대 이하, 30대, 40대 이상이 각각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요법을 89.7%, 100%, 93.1%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치료효과는 성별에서 남자와 여자 각각 완치하였다가 64.8%, 71.4%로 가장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연령별로는 20대 이하와 30대의 경우 완치되는 경우가 각각 71.8%, 85.2%로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은 부분반응 하는 경우가 58.6%로 가장 많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효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3). 스테로이드 pulse therapy를 사용한 경우 완치가 100%, DPCP 요법은 완치가 77.8%, minoxidil 국소요법은 완치가 73.8%, 스테로이드 pulse therapy의 경우 완치가 100%로 가장 많았다. Background: We embarked on this research in order to gain fundamental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the key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treatments and factors, such as key clinical conditions and demographic traits through the descriptive research-based procedures, on patients with alopecia areata. Methods: Based on the comprehensive data of 95 patients with verifiable treatment records out of 126 alopecia areata patients who have visited the department of dermatology of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4 to October 2008, We examined the significance tests through the analysis of frequency and range of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treatments using demographic traits and medical treatments. Results: In terms of the treatment effectiveness, 64.8% of the male patients and 71.4% of the female patients showed the full recovery, with virtually no significant clinical data difference. In terms of the age group variations, 71.8% of the patients in 20's and under and 85.2% of the patients in 30's showed the full recovery, and 58.6% of 40's showed only partial recovery, rendering this difference quite significant.(p<0.05).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effectiveness of various treatments.(p<0.01). Through the steroid pulse therapy, 100% of the patients fully recovered, 77.8% through the DPCP(Diphencyprone) method, 73.8% through the minoxidil application treatment, 65.2% through the steroid injection treatment, and finally 33.3% of the steroid application treatment fully recovering from the hair loss. Conclusion: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the steroid pulse therapy were most dominant and clear treatment, followed by DPCP treatment, the minoxidil application treatment, the steroid injection treatment, and the steroid application treatment in this order.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the gender factor of the observed patients, the number of female patients was far smaller than that of male patients, and tremendous barriers and challenges lie in the quest to make a conclusive finding through the use of the raw data of hospital patients. As such, a variety of rigorous and dynamic clinical research endeavors and the large sample of patients are necessary and strongly recommended at this point.

      • KCI등재
      • 방사선 조사를 받은 흰쥐 신경뇌하수체 관문의 미세구조 : 관문의 새로운 개념설정 Establishment of a New Concept on the Barrier

        이헌용,안의태,양남길,고정식,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신경뇌하수체는 뇌의 일부지만 뇌실둘레기관(circumventricular organ)으로서 전형적인 혈액-뇌관문이 없으므로 혈관 안팎의 물질이동이 자유로운 신경내분비기관이다. 이 실험에서는 심한 방사선 조사시에 혈액-신경뇌하수체관문의 형태적 대응을-연구함으로써, 관문의 특성을 분석했으며, 관문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여 이를 개념화 할 것을 제안하였다. 체중 200-250g의 숫흰쥐를 sodium thiopenthal 로 마취시킨 후 Mitsubishi선형가속기로 방사선 조사를 시켰다. 조사조건은 거리 80cm, 조사구역 30 X 30cm, 조사깊이 1.2cm, 조사속도 분당 200 rads로 하여 실험군에 따라 3,000 rads 또는 6,000 rads가 되도록 했다. 조사후 6시간, 2일, 6일후에 각군의 동물을 도살 하여 신경뇌하수체를 떼어냈다. 떼어낸 조직은 1% glutaradehyde- 1% paraformaldehyde액에 1차 고정하고, 1% osmium tetroxide액에 2차 고정하였고, araldine혼합액에 포매된 조직은 절편을 만들어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액으로 염색해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주로 모세혈관주위공간에서 관문구조를 중심으로 관찰한 결과 3,000 rads 조사군과 6,000 rads조사군 모두가 비슷하게 심한 변화를 보였고, 변화의 정도가 2일군에서 가장 심했으며 6일군에서는 약간 안정되는 모습이었으나 변화의 양상은 모든 실험군을 통해서 비슷하였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모세혈관주위공간에서 나타났는데 공간의 확장, 큰포식세포의 증가와 활성화, 신경뇌하수체세포속에 들어 있던 신경종말들의 이탈, 먼지 같은 물질의 증가 등을 들 수 있었다. 특히 큰 포식세포의 변화는 매우 특징적이어서 넓은 세포질관(판상족, lamellipoda)을 형성하여 모세혈관과 신경뇌하수체세포사이를 차단시킬 뿐아니라 왕성한 포식작용으로 공간내의 축삭종말들을 용해시켰다. 큰포식세포의 세포질안에는 과립형질내세망들이 매우 발달하였고, 세포질 영역이 매우 넓어진 것으로 볼 때, 이들이 기동타격대로서 활발히 움직이는 매우 효율적인 관문의 구성성분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신경뇌하수체는 전형적인 혈액-뇌관문이 없으므로 신경내분비기능의 수행에는 유리하나 면역활성물질이나 독성물질등 뇌에 해로운 물질의 왕래를 차단하여 제거하거나, 과다하게 분비된 신경호르몬을 조절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볼 때, 큰포식세포가 이같은 역할에 적합한 구성성분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 실험에서는 효율성이 높은 관문으로서 혈액-신경뇌하수체관문이 구성성분을 차례로 기재하고 이를 개념화 할 것을 제안한다. 모세혈관과 축삭종말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혈액-신경뇌하수체관문이 구성을 차례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9,10). 1. 유창모세혈관 내피 2. 모세혈관 내피의 기저판 3. 혈관주위세포와 기저판("이차방어선", 한정된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4. 큰포식세포, 필요에 따라 판상족(lamellipoda)을 넓게 뻗는다.("삼차방어선", 모세혈관 주위공간 속을 이동해 다니는 "기동타격대") 5. 신경뇌하수체세포의 기저판 6. 신경뇌하수체세포의 세포질돌기(호르몬분비 조절) To study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blood-neurohypophysis barrier system in a severely altered situation, the heads of rats were exposed to heavy X-irradiation. Rats weighing 200-250 g each were anesthetized with sodium thiopenthal, and placed on the table of Mitsubishi linear accelerator ML-4MV. Only heads of rats were placed within the exposure area of 30 cm X 30 cm. Irradiation was processed at the distance of 80 cm, with the speed of 200 rads/min in the radiation depth of 1.2cm. Total doses were 3,000 rads or 6,000 rads according to the animals of the different experimental groups. Rats were sacrificed on 6 hours, 2 days or 6 days following radiations. Tissue blocks of neurohypophyses were fixed in the 1% glutaraldehyde-1% paraformaldehyde solution, and they were refixed in the 1% osmium tetroxide solution. Ultrathin sections were contrasted with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solutions. Electron micrographs exhibited dramatic changes within the perivascular space of neurohypopysis. The perivascular space was greatly enlarged, and it contained many macrophages, floating axonal endings and plentiful flocculent materials. The enlargement was largest in the 2 day-group animals. Many macrophages are activated, and it showed tremendous cytoplasmic lamellipoda. Wide plate of macrophagic cytoplasm usually engulfed the floating axon terminals, and are located between the cappillary and the pituicytes. The situation gave the impression that macrophages prevent, filter and/or retrieve the excessive materials transported between the capillary and the axonal endings. Since the perivascular microenvironment of neurohypophysis is more vulnerable as compared with those brain areas equipped with blood-brain barrier, the functional barrier system by macrophages in the neurohypophysis should have important role. The concept of blood-neurohypophyseal barrier with the following components is proposed. The components of the barrier system from the blood pool to the hormonal pool are 1. Endothelium of fenestrated capillary 2. BAsal lamina of endothelium 3. Pericyte("second line of defense". mobile in a limited area) 4. Macrophage, extending its wide cytoplasmic plate(the lamelipoda) in need("third line of defense". freely movable in the perivascular space, "active surveillance system") 5. Basal lamina of pituicyte 6. Cytoplasmic processes of pituicyte

      • KCI등재

        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 표면처리에 따른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제거회전력에 관한 연구

        오남희,김성훈,국윤아,이근혜,강윤구,모성서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5

        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SLA) 표면처리 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와 평활면을 가진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사이에 제거회전력과 조직학적 소견을 통해 표면처리된 교정용 임플랜트의 임상적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는 길이가 9.5 mm, 외경이 1.8 mm인 custom made, screw shaped, titanium implants가 사용되었다. 미니 임플랜트는 두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는데 SLA군은 20개의 SLA 표면처리된 미니 임플랜트이었고, 평활면군은 크기와 형태가 같지만 SLA처리공정이 생략되어 제작된 20개의 미니 임플랜트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10마리 가토의 경골에 식립되었다. 각각의 가토의 우측 경골에는 SLA군의 미니 임플랜트 2개가 식립되었고, 좌측 경골에는 평활면군의 미니 임플랜트 2개가 식립되었다. 각 군에는 식립 직후 Ni-Ti coil spring에 의해 약 150 g의 지속적인 견인력이 주어졌다. 식립 6주 후에 10마리의 가토를 희생하였고, 안정된 상태에서 Ni-Ti coil spring을 제거하였으며 digital torque gauge를 이용하여 제거 회전력을 측정하였다. 식립 6주 후에 SLA군의 경우 (8.29 Ncm) 평활면군 (3.34 Ncm)에 비해 더 높은 평균 제거회전력을 나타내었고 조직학적 소견에서도 screw 하방에서의 신생골 형성이 관찰되었다. SLA 표면처리된 미니 임플랜트는 평활면 미니 임플랜트에 비해 좀 더 강한 교정력에 저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sand blasted, large grit and acid-etched (SLA) treated mini-implants and smooth surface orthodontic mini-implants in relation to the removal torque as well as the histologic analysis. Methods: Custom-made, screw-shaped, titanium implants with a length of 9.5 mm and an outer diameter of 1.8 mm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SLA group (20 SLA treated orthodontic mini-implants) and the smooth surface group (20 smooth surface mini-implants), and placed in the tibia metaphysis of 10 rabbits. Each rabbit had 4 mini-implants placed, 2 in each tibia. The right tibia were implanted with the SLA group mini-implants and the left tibia had the smooth group mini-implants placed. Each mini-implant group were immediately applied with a continuous traction force of 150 g using a Ni-Ti coil spring. The rabbits were sacrificed 6 weeks post-surgically. Subsequently, the legs were stabilized, the Ni-Ti coil springs were removed and the mini-implants were removed under reverse torque rotation with a digital torque gauge. Results: 6 weeks after placement, the SLA group presented a higher mean removal torque value (8.29 Ncm) than the smooth group (3.34 Ncm) and histologic analysis revealed a higher new bone formation aspect along the screw in the SLA group.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SLA treated mini-implants may endure higher orthodontic forces without loosening.

      • SCOPUSKCI등재
      • 올레산의 비율에 따른 아데노신의 경피 투과의 영향

        남현빈,정세진,구민석,오예진,김용민,이훈희,윤수정,임정균 순천향대학교 부설 산업기술연구소 2021 순천향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27 No.2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technology to increase percutaneous absorption rate when applied to the skin is an important task. In this experiment, oleic acid was used as a skin absorption promoter, and its effect on transdermal permeability of adenosine was studied and analyzed using a skin-like membran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and concentration of adenosine are proportional to the content of oleic acid. This indicates that a high proportion of oleic acid is effective as a skin absorption promoter.

      • KCI등재후보

        PDP 격벽 금형 미세 홈 가공 특성 평가

        김남훈,이은상,이득우,김남경,김덕환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12 No.4

        This paper describes the machining characteristics of a developed micro grooving machin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on the various grooving condition such as spindle revolution speed, feed rate and depth of groove. V and U-shaped blade tool and STD11 workpiece was used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developed micro grooving machine, AE signal obtained from each experimental condition was analysed, and cutting stability was compared with the surface state. As a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process to optimize grooving condition and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AE technique in groove machining.

      • KCI등재

        일본잎갈나무재의 수용성추출물 첨가가 표고버섯의 톱밥재배에 미치는 영향

        조남석,정홍채,김동훈,이상선,Ohga, Shoji,Leonowicz, A. 한국목재공학회 2004 목재공학 Vol.32 No.1

        표고버섯(Lentinula edodes)의 생장이 매우 좋았던 일본잎갈나무재의 수용성 추출물(water-soluble fraction, WSF)을 분리하여 구성당을 분석한 결과, rhamnose 및 mannose는 거의 없고, glucose도 2.2%로 매우 낮았으며, arabinose가 18.3%, galactose가 75.3%로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정제된 추출물의 arabinose와 galactose의 함량비는 1 : 3.4였다. 정제된 WSF를 완전메틸화·가수분해·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분석한 결과, β-1,3 결합한 D-galactopyranose가 주쇄를 이루며, 이에 galactose의 C6위에 측쇄로서 β-1,6 결합한 D-galactose와, β-1,6 결합한 L-arabinose가 존재하며, 전자는 2-3개의 D-galactopyranose가 결합을 하고 있고, 후자는 L-arabinofuranose가 1-2개 중간의 측쇄구조를 이루고, 말단은 L-arabinopyran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PDA배지에 WSF첨가로 표고의 균사 생장이 매우 증진되었으며, 2-4% 첨가수준에서 균사 생장이 최대였고, 첨가량이 더 많으면 균사의 생장이 오히려 감소되었다. 톱밥배지에서도 PDA 배지에서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WSF첨가로 균사 생장이 증진되었으며, 산림 6호 및 Mok-H의 경우 모두 4% 첨가에서 균사의 생장이 최대로 나타났다. 톱밥배지에 WSF 첨가가 버섯생산량을 증가시켰는바, Mok-H의 경우 무첨가에 비해 약 1.3배, 산림 6호의경우 1.2배 증수되었다. 버섯균 세포벽의 주성분인 ergosterol 함량변화를 측정한 결과, WSF첨가로 미첨가에 비하여 ergosterol의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균사가 콜로니를 형성하는 초기단계에서는 낮은 ergosterol함량을 나타냈으나 자실체가 형성되는 시기에 급격히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배지내의 ergosterol함량이 자실체형성의 주요 예측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water soluble fractions(WSF) from Japanese larch wood were isolated, purified by anion exchange resin and Sephadex gel filtration and identified its chemical structure by means of periodate oxidation and methylation reactions. Its major components are arabinose and galactose (1 : 3.4). Based on the results of periodate oxidation, methylation and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purified WSF, main chain is composed of β-1.3-glycosidic linkage among D-galactopyranoses, and two different side chains; β -1,6-glycosidic linkage among 2-3 units of D-galactopyranoses and β-1,6-glycosidic linkage between 1-2 units of Dgalactopyranose and L-arabinopyranose. Addition of WSF to culture media of oak mushroom (Lentinulu edodes) accelerated the mycelial growth. In the case of PDA cultures, 2 percent addition of WSF in Sanlim No. 6 strain and 4 percent of WSF in Mok-H strain mostly enhanced the mycelial growth of the mushroom. In the case of sawdust cultures, 4 percent addition of WSF in two strains showed the best mycelial growth. High percentages addition of WSF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the mushroom. Mushroom production was increased with addition of WSF. By the addition of WSF, ergosterol contents in the media were quite high at the colonized stage and rapidly increased at the fruiting stage. Therefore the ergosterol content could be utilized as an indicator to evaluate the culture maturity for the mushroom fru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