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영월군 家傳 『察病要訣』에 대한 연구

        구민석,김민선,이향영,차웅석,김남일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2

        Chalbyungyogyul (察病要訣) is a book of Korean Medicine which contains simple knowledges combined with experienced prescriptions.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a manuscript of Chalbyungyogyul handed down in a family in Yeongwol-gun and analyze the Eui’an (醫案) in it. This book includes common sense in medicinal herbs and 142 cases of Eui’ans. The Eui’ans in Chalbyungyogyul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Some Eui’ans state miraculous effects. External medical treatments are used in another group of Eui’ans. In the other Eui’ans, prescriptions composed by a single herb are applied. Thes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preexisting Eui’ans in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which mainly include complexly prescribed internal medicines and medical discussions. This book vividly describes medical practic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shows the realization of theoretical writings. Above all, it is a valuable discovery of Eui’an compilation which is rare in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察病要訣』은 사언절구 중심의 의학 정보를 담은 서명 혹은 편명으로, 경험방과 결합한 여러 판본이 전해진다. 본 연구는 영월군에 소재하는 家傳 필사본 『찰병요결』을 소개하고, 그 안에 수록된 醫案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책의 전반부는 약재상식이, 후반부는 142개의 의안이 핵심이다. 책 후반부의 의안들은 신묘한 효과를 본 치료, 외치법을 활용한 경우, 단방으로 치료한 경험의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한국의학사의 기존 의안 대부분이 복합 처방의 내복 경험을 싣고 구체적 의론을 서술한 점과 비교된다. 이 책은 20세기 초 의료 실천을 생생하게 드러내고, 의서의 사변적 문장들이 실현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한국의학사에서 드문 의안집의 발굴이라는 점에서 책의 가치를 가늠할 수 있다.

      • KCI등재

        柴胡四物湯의 임상 사례에 대한 연구 -『輕寶新篇』의 醫案을 중심으로-

        구민석,차웅석,김남일 한국의사학회 2017 한국의사학회지 Vol.30 No.1

        Shihosamul-tang (柴胡四物湯, Bupleurum Four Substances Decoction) is a very effective and widely utilized prescription in Korean medicine.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clinical example written in the classical literature of Korean medicine that deals with Shihosamul-tang and the delicate and changeable clinical use of Shihosamul-tang remains unknown. This study tries, for the first time, to show the clinical practice of Shihosamul-tang through review of KyungBoSinPyun (輕寶新篇). KyungBoSinPyun is a medical book containing 143 case records in the tradition of the East Asian practice of describing clinical encounters and the therapies employed. This study examines eight examples of case records within KyungBoSinPyun highlighting use of Shihosamul-tang.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how Shihosamul-tang is applied in clinical practice compared to the description of Shihosamul-tang in Donguibogam (東醫寶鑑). Different descriptions about the symptoms and transformation methods of the prescription have been found in the eight examples of Shihosamul-tang case records contained in KyungBoSinPyun.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clinical practice and a typical description in medical books should be overcome by medical virtuosity and the potential for change for each clinical case, which is gained when seeing beyond the text of medical books. 柴胡四物湯은 임상에서 매우 유용한 처방이지만 여태까지 이 처방의 실제 임상 사례가 소개된 적은 없어서, 그 구체적인 임상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문헌적으로 알려진 것이 없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고는 『輕寶新篇』의 醫案을 통해 柴胡四物湯의 실제 임상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 작업은 柴胡四物湯이 실제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처방이라는 데에 실증적인 문헌 사례를 구축하고, 그 미묘한 임상적 지점들을 소개하여 이 처방에 대한 이해를 일부 넓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본고가 주목한 임상사례는 『輕寶新篇』의 醫案이다. 『輕寶新篇』은 조선 후기에 필사된 醫案 서적으로 총 143례의 醫案을 담고 있으며, 각각의 醫案은『東醫寶鑑』식 질병관을 많이 반영하고 있다. 본고는 이중에서 柴胡四物湯 관련 醫案을 8개 추출하고, 이를 『東醫寶鑑』의 柴胡四物湯 관련 醫論과 비교하면서 설명하였다. 『輕寶新篇』 醫案을 통해서 본 柴胡四物湯의 임상 실제는, 『東醫寶鑑』의 설명방식과 상이한 부분이 많았다. 예를 들어『東醫寶鑑』에서는 柴胡四物湯을 産後 諸證과 瘧疾에만 설명하는데 반해, 『輕寶新篇』의 醫案에서는 房勞 후 생긴 여러 가지 증상에서도 이 처방을 응용하였다. 『輕寶新篇』 醫案에서의 구체적인 환자의 증상과 병기 또한 『東醫寶鑑』의 설명방식처럼 전형적이지 않았다. “産後血虛, 熱入血室, 以致發熱煩躁, 晝輕夜重, 或譫語如見鬼, 或往來寒熱, 宜用柴胡四物湯.”라는 복잡한 柴胡四物湯의 病機는 『輕寶新篇』 醫案에서는 단순히 “乍痛乍止”의 통증이나, “感氣”라고만 묘사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輕寶新篇』의 醫案에서 『東醫寶鑑』에 부재한, 다수의 柴胡四物湯 加減例를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 『輕寶新篇』의 醫案에서는 死血腹痛을 兼한 경우 桃仁,紅花, 陽明經으로 引經하고자 할 때 白芷,乾葛, 鬱氣를 兼할 때 香附子,川芎,蒼朮, 陰虛火旺할 경우 知母,黃栢을 柴胡四物湯에 加減하였다. 본고는 柴胡四物湯에 대한 임상 지견을 넓혔다는 점과 의서의 설명이 임상에서 적용되는 양상에 대해서 예시를 들었다는 점, 의안을 통해 처방에 대한 지견을 도출하는, 새로운 의안 활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醫案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PBL(Problem Based Learning)과의 접목 가능성을 중심으로-

        구민석,김남일,차웅석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2

        이 논문은 PBL(Problem Based Learning)과 의안의 접목 가능성을 검토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한의학계에서는 다양한 교육적 문제의식이 대두되면서, 그 핵심에는 ‘역량 중심 한의학 교육’이라는 모토가 있다. 이 모토의 성취를 위해 PBL 학습은 매우 유용한 것으로 인식되는데, 이를 한의학 교육에 그대로 적용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그 한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예시하고 어떻게 해결가능한 지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의안과 PBL 교수법의 접목을, 상기의 한계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바이다. This study trie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combination between PBL (Problem Based Learning) and Eui’an (醫案). Recently in the field of Korean Medicine, people have been raising issues related to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The point of issue is ‘competence centered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which has set the goal of education of Korean Medicine. To achieve the goal, PBL is considered as a very useful tool. But it is consider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direct application of PBL to Korean Medicine. This study aims to lay out the specific reason for the limitations and to search for solution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when applying PBL to Korean Medicin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bination between PBL and Eui’an might be a sound solution to the aforementioned problem.

      • KCI등재

        영월군 가전(家傳) 『찰병요결(察病要訣)』에 대한 연구

        구민석,김민선,이향영,차웅석,김남일,Ku, Minseok,Kim, Minseon,Lee, Hyang-Young,Cha, Wung-Seok,Kim, Namil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2

        Chalbyungyogyul (察病要訣) is a book of Korean Medicine which contains simple knowledges combined with experienced prescriptions. This study intends to introduce a manuscript of Chalbyungyogyul handed down in a family in Yeongwol-gun and analyze the Eui'an (醫案) in it. This book includes common sense in medicinal herbs and 142 cases of Eui'ans. The Eui'ans in Chalbyungyogyul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Some Eui'ans state miraculous effects. External medical treatments are used in another group of Eui'ans. In the other Eui'ans, prescriptions composed by a single herb are applied. These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preexisting Eui'ans in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which mainly include complexly prescribed internal medicines and medical discussions. This book vividly describes medical practice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shows the realization of theoretical writings. Above all, it is a valuable discovery of Eui'an compilation which is rare in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 KCI등재
      • KCI등재

        『의림촬요(醫林撮要)』의 의안(醫案)에 대한 연구

        구민석,김민선,김홍균,차웅석,김남일,Ku, Minseok,Kim, Minseon,Kim, Hong-Kyoon,Cha, Wung-Seok,Kim, Namil 한국의사학회 2018 한국의사학회지 Vol.31 No.1

        Uirimchalyo (醫林撮要), one of the most important books in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KM), has not been researched within the framework provided by Yi'an (醫案), an East Asian tradition of describing clinical encounters with the therapies employed. In modern times, this practice of Yi'an might be similar to the outline of a singular "case study". The authors designed the study to analyze the basic information of Yi'an within the Uirimchalyo and to contribute to the foundations of employing Yi'an in Korean Medicine. A standard was established, and the 123 Yi'ans were extracted, most of which were taken from the chapter, Historic Doctors (歷代醫學姓氏). Using this information and in comparison with other medical books such as Euibangyoochui (醫方類聚), the authors learned that the Yi'ans from the Jinyuansidajia (金元四大家), including those of four eminent clinicians in Jin (金) and Yuan (元) Dynasty, are excluded from Uirimchalyo. The authors identified that Yi'ans from other medical books, are cited in the Uirimchalyo but with different format, not with the traditionally understood form of Yi'an. This study of the Uirimchalyo Yi'an resulted in three important understandings of Yi'an. First, the mere number of Uirimchalyo Yi'an is meaningful in that it raised the genre of Yi'an to the a level not previously recognized. Second, in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Yi'an is first systematized in the Uirimchalyo at the chapter of Historic Doctors. Third, Uirimchalyo raised the concept of usefulness of Yi'an, to the practice of Korean Medic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