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폐암 환자의 활동상태, 불안, 우울, 사회적 지지,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의 관계: 불쾌감이론 기반으로

        김금순 ( Keum Soon Kim ),이명선 ( Myung Sun Yi ),방경숙 ( Kyung Sook Bang ),조용애 ( Young Ae Cho ),이정림 ( Jung Lim Lee ),이은 ( Eun Le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불쾌감 이론을 기반으로 생리적 요인(폐암 병기와 활동상태),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및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관리하는 간호실무에 적용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은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합친 것으로 평균 12.62점이었다. 이는 일반 암 관련 증상을 살펴 본 Baek10)의 27.7점과 Lee와 Kim19)의 23.1점과 비교 시 낮았으며, 일반 암 관련 증상과 폐암 특이 증상 점수를 함께 측정한 Lee3)의 평균 17.15점보다 낮은 점수였다. 이러한 차이는 연령과 현재 치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70세 미만으로 60대가 50.5%를 차지한 반면에 Baek10)의 연구에서는 60대 이상이 66.5%인 것을 보면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상이 심하다는 연구 결과7)를 지지하고 있다. 특히, 폐암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생이 높아져 70대에서의 발생이 34.5%로 가장 높은 것을 볼 때 증상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음을 알 수 있다.2) 또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가 38.6%로 Lee3)의 43.9%와 전체 대상자가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Baek10)의 연구와 비교 시 낮았기에 증상경험이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대상자가 지각하는 영양상태나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증상경험은 낮은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대상자들의 56.4%가 암을 진단받은 지 2년이 경과하였고, 38.6%가 현재 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양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는 3.0%였으며 또한 지난 한달 간 4 kg 이상의 체중감소가 있었던 경우도 2.0%에 불과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80.2%가 현재 건강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추후에 대상자의 영양과 건강상태에 대한 지각이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생리적 요인인 폐암 병기,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폐암 병기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활동상태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암 환자에 있어서 병기는 치료의 방향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나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고, 오히려 병기와 상관없이 현재 항암화학요법과 같은 치료 중에 있는 대상자의 증상경험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3,19)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대상자의 증상점수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높았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기에, 질병 관련 생리적 요인에 대한 추가적인 탐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활동상태가 ECOG PS 0에서 2단계로 활동상태가 저하될수록 증상경험은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3,10,11) 심리적 요인인 불안, 우울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불안과 우울 모두 증상경험과 유의한 중등도의 순상관관계를 보여 불안, 우울과 같은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증상경험이 심하게 나타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20,21) Lee3)의 연구에서 비소세포폐암 환자들이 지각하는 불안과 우울과 같은 디스트레스는 증상경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증상경험을 통해 삶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NCCN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의 권고와 같이 암의 진행단계마다 대상자의 불안과 우울을 평가하여 필요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해야 하며,22) 이때 환자의 내적 능력인 극복력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은 Lee3)의 연구에서 입증하였듯이 유용한 간호접근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상황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증상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사회적 지지와 증상 간에 유의한 직접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던 선행연구와 일치하였다.3,23) 그러나 Lee3)의 연구에서 사회적 지지는 극복력을 매개로 디 스트레스에 영향을 줌으로써 증상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면, 20점 만점에 가족지지는 평균 17.69점, 친구지지는 13.63점, 의료인지지는 10.26점으로, 의료인 지지가 가장 낮으며, 이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다.3,10) 이는 직접간호제공자일 뿐 아니라 옹호자, 지지자로서의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도전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적극적인 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에 대한 추가적인 파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결과, 즉 기능적 상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하게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여 증상경험이 심할수록 기능적 상태는 저하됨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발성 증상군의 경증군은 중증군에 비해 기능이 더 좋았다는 Lee와 Park4)의 연구결과와 호흡곤란 증상이 심할수록 기능상태는 저하되었다는 Mohan 등1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또한 부작용 증상을 심하게 호소할수록 기능적 상태가 저하되었다는 Baek10)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요인(불안과 우울), 생리적 요인(활동상태),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증상경험의 57.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울에 의해 증상경험이 43.4% 설명되었으며, 우울과 불안에 의해서는 50.7%설명되었다. 이는 Lee3)의 연구에서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불안과 우울로 측정한 디 스트레스에 의해 증상부담이 62.8% 설명되었다는 결과보다는 낮았지만, 두 연구결과 모두 불안과 우울이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활동상태가 증상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활동상태가 매우 저하된 중증의 환자에서의 반복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간호사는 폐암 환자의 증상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관리를 제공함으로써 기능상태를 증진시키고 나아가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폐암 환자가 지각하는 증상경험, 영향요인들과 증상경험 간의 관계, 증상경험과 기능적 상태 간의 관계를 종합해 볼 때, 불쾌감 이론은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폐암 환자의 증상경험을 적절히 관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불안과 우울과 같은 심리적 요인들에 대한 평가와 환자상태에 맞는 간호접근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러한 과정에 간호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환자 지지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불쾌감 이론과 같은 중범위 이론의 간호실무 적용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이론과 실무의 차이를 줄이고 간호실무가 과학적인 배경을 가지고 더욱 발전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1 lung cancer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for treatment or follow-up at one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to February 8, 2013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clinical records. To measure variables, the functional scale and symptom scale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Lung Cancer 13,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oftware for Windows. Results: The symptom experience showed more severity in patients with lower activity status, higher anxiety and depression. With lower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functional status was lower. When anxiety, depression, and symptom experience were higher, functional status was also lower. Th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symptom experience were depression, anxiety, activity status, and social support, which explained 57.8%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ymptom experience of lung cancer patients. Therefore, providing emotional support based on the patients` needs prior to providing symptom management could be a useful strategy for improving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 KCI등재

        구조화 전화추적 면담을 이용한 품행장애 입원 치료 환자의 예후

        방양원,채정호,문석우,이은회,함웅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00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11 No.2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치료후 퇴원한 품행장애 환자들의 예후와 가족들의 정신과 입원치료의 효능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고 예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 품행장애의 진단 하에 7일 이상 입원치료를 받았으며 퇴원 후 6개월이 경과된 300명 중 전화 추적이 가능하였던 96명에서 퇴원 후 문제행동, 가족관계, 가족들의 인식도를 조사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았다. 결과 : 퇴원 후 문제행동의 양상은 입원전보다 호전된 경우가 90%이었으며 더 심해진 경우는 2%이었으며 8%는 변화가 없었다. 퇴원 후 가족관계는 보다 좋아진 경우가 70%, 나빠진 경우가 2%, 별 차이가 없는 경우가 28%이었다. 병원치료의 효율성에 대한 가족들의 인식도는 도움이 되었다는 경우가 57%, 해가 되었다는 경우가 6%, 그저 그렇다가 37%이었다. 퇴원 후 문제행동, 가족관계, 가족들의 입원치료에 대한 인식도 등 세 가지 항목이 모두 양호하다고 답변한 대상을 양호군으로 설정하고 그 외의 대상을 대조군으로 하여 양군의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양호군의 연령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가족 형태의 문제가 있었고 MMPI하위척도 중 남성성 -여성성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비록 본 연구는 여러 제한점이 내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과 입원치료를 받았던 청소년의 행동이 대부분은 호전된다는 것을 시사하여 품행장애에서의 정신과적 치료에 상당히 고무적인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추후 대상자와 치료프로그램의 다양성을 통제한 연구를 지속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중심 단어 : 품행장애ㆍ청소년ㆍ예후ㆍ입원치료. Objectives :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outcome of psychiatric treatment in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and to elucidate factors affecting its prognosis.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00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who had been treated with a specialized adolescent treatment program. Follow-up structured telephone interview had been performed in 96 patients. Results : 1) At the point of follow-up, 90% of the patients were improved in behavioral patterns, 2% of the patients were worse, and 8% of the patients were unchanged. 2) Intrafamilial relationship was improved in 70% of the patients, worse in 2%, and unchanged in 28%, 3) Fiftyseven percent of families thought to be helped by psychiatric inpatient treatment, 6% replied to be harmed, and 37% thought not to be helpful. 4) Comparing the good prognosis group who were all better in behavioral patterns, intrafamilial relationship, and efficacy of treatment with the rest of subjects, the good prognosis group was significantly younger and had more history of problems in familial structure. Conclusion : Although the present study had some meterological limits, the promising positive results in the outcome of inpatients with conduct disorder encourages further more sophisticated investigations in this problematic psychiatric conditions. KEY WORDS : Conduct disorderㆍAdolescentㆍTreatment outcomeㆍInpatient treatment.

      • 병원급식 체계에 관한 조사 연구

        이정윤,서정숙,방병호,정은자,강남이,이진영 서울보건대학 1995 서울보건대학 부설 병원경영연구소 논문집 Vol.1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hospital foodservice management practices in Seoul and to suggest the guideline for the effective foodservice management.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ere us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dietitians in twenty hospital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χ^(2)-test, and one-way ANOVA using SAS PC Package program.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 The number of dietition were less than the required number for efficient foodservice. Centralized foodservice method was adopted in most hospitals and conventional foodservice system was taken in all the hospitals. The space of a kitchen and a dining room were confined and sanitary facilities and working condition revealed problems. Equipped facilities in surveyed foodservice operations were assessed as the insufficient condition, especially, efficient facilities such as a cutting machine were scarecely make up.

      • KCI등재후보
      • 고등학생의 인터넷 사용정도와 학교적응, 친구관계에 대한 연구

        이현주,김미연,이희재,권소영,김민정,김민주,방은혜,이경희,김수지,이자형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04 이화간호학회지 Vol.- No.38

        Today, almost all families are quipped with computers. At the same time, we can find lots of side-effects because of computers. If young students, who tend to be unable to control their impulses once they are immersed in internet, the problem will be more serious. It could be happened that the young students can't distinguish the real from the imag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juvenile Internet addicts and their practical life, and to come up with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working out countermeasures. This study surveyed 339 high school students from three high schools in the area of Seoul. Data collection were collected from 22nd of December, 2003 to 27th of December 200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using T-test, ANA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the 333 respondents 9.61% of them were high-risk internet using group, 15.02% of them were potential-risk internet using group. 25% of then were identified as addicted group. Second, the more addicted the subjects are, the lower their level of school adjustment becomes. For the addicted group,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ir school and to have a good relationship with friend. Third, the more addicted the subjects are, the lower their level of friendship becomes. The subordinate areas of friendship have same results as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the extent of friendship. If students are addicted to Internet, it is difficult to find friends who can give them encouragement in practical life. Firth,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friendship. Through this study we have se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adjustment and friendship. As a result, the more addicted, the more difficult to adjust to school. And for the students who were addicted, it is difficult to make a friend.

      • KCI등재
      • Allylthiopyridazine 유도체 합성 및 간보호 효과

        권순경,이은방,김미경,박영남 德成女子大學校 藥學硏究所 1998 藥學論文誌 Vol.9 No.1

        Allylthio group of the sulfur compounds of garlic oil plays an important rol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ic diseases to be introduced by toxic substances or carbon tetrachloride. Thus allylthio group as a pharmacologically active group was introduced into pyridazine nucleus and a substituent such as halogen or alkoxy was also introduced into the para-posi-tion of allylthio group. Three allylthiopyridazine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nd their hepatoprotective activities were screened in rat. Under the three compounds (6, 7, 8), 7 and 8 (methoxy-, ethoxy-substituent) are hepatoprotective, but 6 (chloro-substitu-ent) is negative.

      • KCI등재
      • KCI등재

        암 병동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태도

        공성화,방찌야,서민숙,현신숙,김희정,이미애1,이미애2,유현희,허재경,김은애,박경숙 성인간호학회 2004 성인간호학회지 Vol.1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oncology ward nurses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nurses. Method: A total of 209 nurses working at the oncology ward of three hospitals in Seoul and a Gyenggi Province. The survey instrument used was the 32-item scale for evaluating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s originally developed by McCaffery and Ferrell'(1990). that was by Kim'(1997). Result: In terms of the nurses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rses scored an average of 67.8 out of 100 for phamacokinetics of opioids. 84.8 for classification of analgesics, 60.1 for pain assessment, and 70.7 for drug administration. 18.2% of the nurses hesitate to inject the narcotic agent because of concerns regarding the drug's potential side effec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in in terms of the nurses age(p=.001), position (p=.016). years of experiences(p=.002), experience of cancer pain education(p= .001). Conclusion: The also showed that nurses working at cancer ward lack knowledge. It is important to provide intensive education to nurses about cancer pain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