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위, 젠더(gender) 정체성과 의사소통행위 : 스트라이커의 정체성이론을 중심으로
최은정 한국사회문화학회 2000 사회와 문화 Vol.12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status, gender identity, and verbal or nonverbal communication. Recent researches show that the verbalor nonverbal behaviors are associated with status or power from the expectation states theory. Status characteristics are expected to make greater contribution to communication. However, behavior in interaction is based not only on the meanings of one's status, but also the meanings held in identity. The claims of status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hould be critically evaluated as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expectation states theory. It is argued that people behave in ways that not only reflect gender as a status in interaction system, but also reaffirm who they are as males or females. From the Stryker's identity theory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It is discussed how structural position and gender meanings combine to produce verbal or nonverbal communication. Using the identity theory, it is argued that gender identity as the set of meanings, individuals attribute to themselves as males or females, is more important for explaining communication than gender as a status. The effect of gender as a social status must be mediated by the meanings that individuals internalize for gender as an identity. Therefore it is argued that gender identity can explain verbal or nonverbal behavior.
최은정,육청민 한국영미어문학회 2018 영미어문학 Vol.- No.1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use of kakaotalk in the cooperative learning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o semesters at a university located in a southern part of Korea and involved two separate experiments. The first experiment consisted of two surveys with 99 participants, and the second, translation tests and a survey with 44 participants, who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findings show that: (1) the participants preferred kakaotalk over any other applications topped on their smartphones, (2) the use of kakaotalk in a cooperative learning about English transl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ir English translation ability, and (3) they had positive attitudes toward sharing the processes and results of cooperative learning related to translation, and the positive attitudes were related to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phone and kakaotalk, such as easy accessibility, immediacy,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interactions, repeatability, and fun.
Umberto Boccioni 作品의 造形的 特性에 관한 硏究
최은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0 硏究論叢 Vol.19 No.-
Umberto Boccioni는 이탈리아 未來主義운동의 기수로서 立體主義에 맞서는 가장 力動的인 美術을 탄생시키고 反傳統의 맥락을 이루는 다다와 많은 전위적 美術경향에 영향을 준 작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U. Boccioni의 作品의 造形的 特性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未來主義의 성립배경과 이별을 검토하고 U. Boccioni의 작품들을 分析하여 造形的 特性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과 작품을 기본 도구로 하였으며 U. Boccioni 繪畵作品 20점과 彫刻作品 13점, 타 작가의 작품 7점을 目的表出하여 그造形的 特性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U. Boccioni 作品의 造形的 特性은 첫째, 재료의 다양성으로 전통적인 재료의 배제하고 새로운 복합재료의 사용을 주장, 다다의 objet에 매개체가 되었다. 둘째, 운동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대상을 계속적인 시간의 연속속에서 포착하여 그것을 한 작품의 정착시킴으로써 시간과 운동의 착각을 꾀하려고 하여 후에 시각예술인 Op art와 Kinetic art, 선구자로서 美術史的 意義를 가지고 있다.
최은정,허윤경,손태홍,박희대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2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동향브리핑 Vol.2022 No.-
지난 1월 27일 기업에서 사망사고 등 중대재해가 발생했을 때 사업주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내용을 기반으로 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됨. 이로 인해 건설업체의 ‘안전관리 능력’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음. 건설현장의 사고를 미연에 방022-지하기 위해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 기술의 적극적인 활용이 이루어져야 함. 그러나 대형 건설업체를 제외한 중소 건설업체의 경우 상대적으로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수준이 매우 낮은 상황임. - 따라서 스마트 건설기술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훈련의 마련이 필요함. 건설인적자원개발위윈회(2021)에 따르면, ‘BIM’, ‘드론’, ‘친환경 기술’, ‘지능형 건설장비 및 로봇 기술’과 관련된 교육이 가장 시급하면서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남. 현재 직업전문교육기관에서 스마트 건설기술과 관련된 교육을 실시하고 있지만 만족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 직업전문교육기관의 스마트 건설기술 교육을 이수한 자를 대상으로 도움 되었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55.6%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36.9%를 차지해 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고민을 해보아야 할 것으로 보임. - 직업전문교육기관의 스마트 건설기술 교육이 도움이 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응답자의 62.4%가 ‘현장성 없는 교육’을 1순위로 꼽았으며,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 부재’가 50.3%로 2순위를 기록함. 따라서 스마트 건설기술이 활성화되기 위해 체계적 교육훈련 계획 수립이 필요한 시점임. - 향후 직업전문교육기관의 스마트 건설기술 교육 시 보완되어야 할 부분으로 전체 응답자의 52.3%가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성’을 1순위로, 44.1%가 ‘스마트 건설기술별 교육 커리큘럼을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을 2순위로 선정함.
현대 실내공간에서 한국성 적용을 위한 혼성(Hybrid)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최은정,최상헌 중앙대학교 건설산업기술연구소 2003 건설산업기술연구소 논문집 Vol.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closely the character of hybrid in interior space, in order to examine the conception of hybrid, which is appeared by a modernistic pluralized tendency, as an expressional trend in modernistic interior space, and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the conception of hybrid as an expressional way to design Korean style space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cussion of Korean nature and the hybrid in the modernistic interior space of Korea. The hybrid to apply the nature of Korea expresses time and space, placing the meaning in history and for the existence of the past for the present, and creates a new space by reiterating the imag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a differentiated design can be created by means of making the third effect by mingling the world culture with a regional one. If the expression of the nature of Korea is applied to space from the aspect of cultural interpretation, the breath of expression can be enlarged, and the new way of design and expression can be found.
1920년대 중국소설에 나타난 남편의 ‘아내’ 읽기 ― <伤势>, <创造>, 《倪焕之》를 중심으로
최은정 한국중국소설학회 2018 中國小說論叢 Vol.56 No.-
This paper is about how male writers in the 1920s see modern women thorough Mourning the Dead, Ni Huanzhi, Creation. In these books, modern women’s husbands are embarrassed when their wives behave differently, which could be explained as follows. The first thing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ives and their husbands before the wives change their behaviors. Before they change, husbands feel empowered and superior as an enlightener who can give them value of existence. The other one is their husbands’ uncomfortable stance on changes by wives. In these works, changes in wives occur on their daily lives or associate with others. From their husbands’ prospects, zijun and feizhang who change their lives inspired by their daily lives seem regressive and xianxian who was inspired by society seem self-destructive. An important thing is a male-dominant thinking from husbands’ thoughts. For husbands, the changes in wives mean that the wives fail to comply with their husbands’ thoughts. Criticizing wives, especially wives who speak up about experiences as woman and who envolve in society with other women instead of following husbands’ opinions, is not to acknowledge them as an independent woman. Based on this gender identity, husbands assign wives negative attributes like regressiveness and self-destructiveness, Furthermore, husbands solidify their identity as a enlightener, feeling superior to their wives by giving those negative properties to their wives. But these efforts reveal imperfect male egos which were regarded as independent and fallacy of what modern man represents. 본고는 <죽음을 애도하며>, <니환즈>, <창조>를 통해 1920년대 남성작가의 시선에 비친 신여성 아내를 고찰하였다. 이들 작품은 아내의 ‘변화’를 중심축으로 하여 이를 바라보는 남편의 곤혹스러움을 반영하는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하나는 변화하기 전의 아내 및 그녀와 남편의 관계이다. 아내가 변화하기 전, 남편은 아내를 가르치고 이끄는 주체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아내는 남편에게 계몽주체로서 우월감과 존재가치를 부여하는 장이 된다. 다른 하나는 아내의 변화와 이를 바라보는 남편의 불편한 시선이다. 이들 작품에서 아내의 변화는 일상과 만나거나 사회와 조우하면서 발생하고 있다. 남편이 보기에, 즈쥔이나 페이장처럼 일상과 만난 신여성 아내는 퇴보적이며, 셴셴처럼 사회와 만난 신여성 아내는 자기 파괴적이다. 그러나, 남편의 시선에서 아내의 변화는 남편의 생각과 말을 전적으로 수용하지 않음을 뜻한다는 데 주목해야 한다. 남편의 말을 자신의 말로 수용하는 대신, 여성경험을 이야기하는 아내, 다른 여성과 연대하여 사회로 나아가는 아내를 비판하는 것은 주체로서 여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성별인식 하에서, 남편은 변화한 아내에게 퇴보나 자기파괴 같은 부정적인 속성을 부여한다. 나아가, 반(反)시대적인 부정적인 속성을 전유한 아내를 통해, 남편은 우월성을 획득하고 계몽의 주체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공고히 한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독립적이고 주체적으로 여겨진 남성자아의 불완전성을 드러낼 뿐더러, 신남성의 ‘신(新)’이 내포한 허위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최은정,장기연,공명자,이은진 대한작업치료학회 202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30 No.3
목적:본 연구는 문화적, 사회적, 환경적 특성이 반영된 초등학생들의 작업수행활동 항목을 도출하여 아동 평가 및 부모 상담 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업수행활동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문헌 조사를 통해 수집된 항목 분류 및 평가도구의 항목 중 총 645개의 활동 항목을 수집하여 최종 46개의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후 작업치료실행체계-Ⅲ(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Ⅲ; OTPF-Ⅲ의 작업 범주와 생활시간조사(2014)의 행동분류를 기준으로 기초 항목 도출 과정을 거쳐 작업치료사 16명, 초등학교 교사 16명, 작업치료학과 교수 8명, 총 4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최종 항목을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리커트 척도인 구조화된 질문과 개방형 질문이 혼합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델파이 조사를 통해 수거된 설문지의 응답을 토대로 항목의 적합성을 항목별 중요도, 안정성,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로 확인하였고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항목의 삭제, 수정 및 추가 여부를 결정하였다. 이후 OTPF-Ⅲ 작업 범주의 4개 영역, 생활시간조사 행동분류의 7개 영역에 따라 작업수행활동 29개의 항목을 추출하고 분류하였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문화적, 사회적, 환경적 배경이 반영된 국내 초등학생의 작업 수행 활동은 29개 항목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임상 작업치료사들이 의미 있는 작업 목표 선정을 위한 활동평가 도구개발에 활용하고 부모 면담 시 간편하고 유용하게 사용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