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실증연구를 위한 주택용 태양열 온수기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양동조,김재열,한재호,송경석,김우진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The application of solar energy, in the field of alternative energy, was on the increase tendency. In the case of advanced nations, through continuous R&D, solar hot water heater with high efficiency has been used for the house and the industrial process on business, advanced nations were reached up the experimental stage of solar generation system. But, the actual circumstance of the domestic has been not accomplished the popularization of solar hot water heater and the settlement of it which is the fundamental stage of the solar energy usage. This trouble, the domestic was flooded with small enterprise for producing solar hot water heater, was caused by the popularization and the production without verification of performance. To supply the monitoring program for evaluating solar hot water heater, this research was purpose to improve the technical development of the enterprise for producing solar-heat hot-water-boiler and served as an aid for the enlargement and the popularization on solar energy.

      • 高濃度有機排水の高溫 · 好氣處理における 力口り一/水 (C/W) 比の重要性

        梁在璟,淸水由紀子,趙敬淑,森忠洋 이화여자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1995 생명과학연구논문집 Vol.6 No.-

        The significance of Calorie/Water (C/W) ratio was investigated in the treatment of highly concentrated orgnic wastes by the Thermophilic Oxic Process (TOP). Shochu progressing wastewater was used in this study. When C/W ratio was 2.18, most of carbon in influent was converted to CO_2 and all water was evaporated. Organic matter was not completely converted to carbon dioxide (CO_2) when the C/W ratio was less than 1.85. It is because that the biologicak activity was low due to the increase of moisture. The mixture in the reator was dried when C/W ratio was 4.13 beacuse excess energy was provied.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si concluded that the optimum C.W ratio is 2.18. The thermophilic oxic process is included in the high energy combustion, in other word this process was defined as "Biocombustion".

      • KCI등재

        진공청소기 팬 모터의 진동 및 소음원인 분석을 위한 유동해석

        김재열,곽이구,안재신,양동조,송경석,박기형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13 No.4

        Recently technology resulted in highly efficient and multiple-functional electric appliances considering environmental problems. One of the environmental problems is noise of a product in respect to its function. A vacuum cleaner is an essential electric appliance in our daily lives. However, severe noise resulted from high motor speed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appliance is a nuisance for the user. This noise is caused by vibration from various parts of the appliance and fluid noise during a series of intake and exhaust processes while rotating the impeller connected to the axle at a high speed of the fan motor inside the vacuum cleaner rotating around 30,000-35,000rpm. Despite the fact that many researchers conducted studies on reducing the noise level of the fan motor in a vacuum cleaner, on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nsidering both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spects using fluid analysis by measuring vibration and noise. Moreover, there has not been a study that accurately compared major noise data obtained considering both of the aspects. In this study, both aspects were considered by considering the following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methods to verify the major causes of noise from the fan motor in a vacuum cleaner.

      • KCI등재
      • 총담관 결찰 후 집토끼 결장점막내 Enterochromaffin Cell의 미세구조 연구

        김재호,고정식,양남길,안의태,박경호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2

        이 실험은 담도가 폐쇄되었을 때 결장 점막내장크롬친화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체중 1.5Kg내외의 건강한 수토끼를 사용하였으며, 이를 정상군, 수술대조군 및 수술군(총담관결찰군)으로 나누어, 수술대조군 과 수술군은 1일, 3일, 5일, 7일 및 14일군으로 구분하였다. 수술군 동물은 ether로 흡입마취시킨후, 십이지장 초부에 개구하는 총담관을 봉합사로 이중 결찰하였으며, 수술대조군은 수술군과 같은 수술 과정을 거치되 총담관을 결찰하지 않았다. 각 실험 동물을 ether 마취하에 복부를 절개하고, 회장과 결장 이행부에서 결장 쪽으로 약 3cm 떨어진 곳에 결장 조직을 절취하였다. 절취된 조직은 2.5% glutaraldehyde- 1.5% paraformaldehyde (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에 1차 고정한 후, 1% osmium tetroxide액(0.1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에 2차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탈수 과정을 거쳐 araldite 혼합액에 포매한 다음, 60-70cm 두께의 얇은 절편을 만들었다. 각 절편은 uranyl acetate와 lead citrate로 대조염색한 후, JEM 100CX-Ⅱ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담관결찰 후 1일군부터 장크롬친화세포의 핵막 만입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로 심하였다. 수술 1일군의 경우 핵내의 미세섬유의 다발이 관찰되었다. 2. 수술군의 경우,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세포질내에 자유리보소체들이 군데군데 모여 밀집되어 있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다. 3. 미세사는 수술 3일군 이후 현저히 증가하여 수술 7일군과 14일군의 경우에는 핵 주위와 세포질내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4. 전자밀도가 다양한 액포 또는 공포가 수술 1일군부터 자주 관찰되기 시작하였으며,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더 많이 관찰되었다. 위의 여러 사실로 보아 담관이 폐쇄되면 결장 점막내 장크롬친화세포는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세포활성이 저하된다고 생각된다.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to study the morphological responses of the enterochromaffin cells in the colonic mucosa of rabbit following bile duct ligation. Adult male rabbit were divided into normal. sham operation, and experimental groups. Bile duct ligation was performed under ether anesthesia and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1, 3, 5, 7 and 14 days after operation. Mucosal specimens from the colon, were prefixed with 2.5% glutarldehyde-1.5% paraformldehyde(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7.3), post-fixed in the 1% osmium tetroxide(0.1 M Millonig's phosphate buffer, pH 7.3), and embedded within araldite mixture. The sections were cut on a LKB-V ultratome, and observed under a JEM 100CX-II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Irregularities of the nuclei of the enterochromaffin cells were noticed from the 1 day after bile duct ligation. The intranuclear filamentous inclusions were observed on the 1 day after bile duct ligation. 2. Aggregated free ribosomes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cytoplasmic matrix from the 1 day after bile duct ligation. 3. Amount of the microfilamentas in the enterochromaffin cel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orm the 3 day after bile dict ligation and they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nucleus. 4. Vacuoles of various electron dinsities in the enterochromaffin cell were increased in number from the 1 day after bile duct ligation. The above findings refer that the bile duct ligation depresses the activity of the enterochromaffin cell in rabbit colonic mucosa.

      • SCOPUSKCI등재

        단계적 온도 하강법을 이용한 췌도세포 냉동보존법

        정인경,오승훈,김병준,양태영,이병완,하창영,노정현,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6 No.1

        연구배경:최근 당뇨병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시도되고 있는 췌도이식은 충분한 췌도수의 확보와 췌도생존율을 높이기 위한 면역억제제 사용이 제한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식 전 충분한 췌도 수의 확보를 위해 분리한 췌도를 냉동보존하는 방법을 확립하고 냉동보존한 백서 췌도세포의 시험관내 그리고 생체내 기능을 조사하였다. 방법:분리한 백서의 췌장소도를 48시간 배양한 후 한 시험관당 췌도세포 1000개씩 나누었다. 냉동보존은 6개의 시험관에 DMSO를 첨가한 후 초 냉각(supercooling), 핵화(nucleation)단계를 거친 후 99% isopropanol과 액체질소가 들어있는 dewer를 이용하여-0.25℃/분의 냉각속도로 -40℃까지 단계적으로 얼린후-70℃ 액체질소 탱크에 보관했다. 해동은 냉동시킨 vial들을 액체 질소 태으에서 꺼내 37℃ 항온조에 담가 급격히 해동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각 vial에 0.75M sucrose 용액을 가한 후, 10% fetal calf serum이 함유된 RPMI 1640 media에서 배양하였다 각각 6개의 시험관에서 해동한 췌도들을 광학현미경 및 형광현미경하에서 췌도의 모양과 생존율에 대해 조사하고 인슐린 정적반응을 알아보았다. 또한 분리한 췌도를 냉동보존하지 않고 이식한 경우를 대조군(6마리)과 생체내 기능을 비교하였다. 결과:① 냉동보존후 획득한 췌도의 수와 생존율 해동후 획득한 췌도의 수는 해동시킨 당일날이 902±21, 24시간 배양 후에는 857±16, 72시간 후에는 817±18개로 점차 감소되었다. AO/PI 염색상 각 췌도의 생존율은 냉동 전을 100으로 하였을 때 해동당일, 24시간 후, 72시간 후가 각각 60±5, 80±5, 90±5%로 해동후 3일간 배양하였을 때 냉동전의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② 냉동보존후 췌도의 포도당에 대한 정적 인슐린 분비능:냉동직후 감소된 경향을 보였으나 해동후 3일간 배양한 췌도의 인슐린 분비는 냉동전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이 냉동보존 전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③ 냉동보존후 췌도의 포도당에 대한 동적 인슐린 분비능:냉동보존한 췌도를 해동후 3일째의 인슐린 동적 분비능은 냉동 전과 마찬가지로 자극 인슐린의 반응의 제1기와 2기가 잘 관찰되었다. ④ 냉동보존한 췌도세포 이식 후 혈당 변화:스트렙토조토신으로 유도된 당뇨병 쥐에 췌도이식 후 혈당은 냉동보존한 췌도이식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혈당의 조절효과가 더 오래 지속되었다. 결론:소동물에서 단계적 온도 하강법을 이용한 췌도세포 냉동보존법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기능, 구조 및 생존율에 큰 이상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장차 사람의 췌도세포 동종이식시 부족한 췌도세포수를 극복하고 면역반응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Although islet transplantation has been attempted to reverse the state of diabetes, achieving a critical number of islets and modulating the immune response limit the success of islet transplantation. Cryo-preservation of islets offers many important benefits for islet transplantation by collecting islets with a wide variety of HLA phenotypes and islet MHC expression.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cryo-preservation by using a controlled cooling method and to evaluate in vitro and in vivo functional properties of the cryo-preserved islets. Methods : Collagenase-isolated, Ficoll-purified islets were cultured for 48 hours. They were aliquoted into freezing tubes (1000 islets per tube), equilibrated with 2M dimethyl sulfoxide (DMSO) in three steps, supercooled, nucleated, and controll-cooled at rate of 0.25℃/min to - 40℃ prior to storage at - 196℃. Rapid thawing and removal of DMSO with 0.75 M sucrose preceded 48 hour of culture and the morphology, viability, glucose-induced insulin secretion, and in vivo function of rats transplanted with cryopreserved islets was reexamined. Results : ① Recovery was 90.2±0.2%, 85.7±0.1% and 81.7±0.1% immendiately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fter thawing respectively. The viability was 60±5%, 80±5%, 90±5% immediately after, 24 hours and 72 hours after thawing respectively. ② The glucose-stimulated-insulin secretion (GSIS) tended to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awing, but GSIS increase to the level of pre-cryopreservation 72 hours after thawing. ③ The in dynamic GSIS, the first and the second phase of insulin secretion were well preserved in islets cultured for 72 hours after thawing. ④ The cryopreserved islets were cultured for 3 days and transplanted into renal sub-capsular space of streptozotocin (STZ) induced diabetic rats. The duration of normoglycemia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transplanted with cryopreserved islet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of the fresh islets. Conclusion : The optimal condition of cryopreservation using the controlled cooling method was established in rat pancreatic islets. This cryopreservation method can be a feasible approach for human islet transplantation (J Kor Diabetes Asso 26:64~74, 2002).

      • 기종성 신우신염 1례

        이재욱,구정태,서정일,양창헌,이정호,이동철,이영현,이활,이경섭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7 東國論集 Vol.16 No.1

        기종성 신우신염은 주로 당뇨병환자나 폐쇄성 요로질환을 가진 환자에 발생하며 특징적으로 신실질 및 그 주위조직에 가스를 형성하면서 심한 조직괴사를 일으키는 매우 드문 급성 화농성 신감염으로 사망률이 높은 질환이다. 이 질환은 1989년 Kelly와 MacCallum에 의해 처음 보고된 이래 외국문헌에 약 90례 정도가 보고되어 있으며 국내에는 28례가 보고되어 있다. 수액 및 전해질 보충, 인슐린 투여를 통한 적절한 혈당조절 및 항생제 투여등의 내과적 치료와 절개배농 및 신적출술등의 수술적 치료 방법이 있다. 내과적 치료로 가스의 감소가 없는 경우에는 즉각적인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야하므로 이 가스변화에 대한 추적관찰이 중요하다 하겠다. 본 저자들은 당뇨병환자에서 발생한 기종성 신우신염 1례를 내과적 요법을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Emphysematous pyelonephritis is rare, life-threatening infection of the renal parenchyma and perirenal tisseue. This disease is characterized by the production of intrarenal and perirenal gas and is frequently encountered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or urinary obstruc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emphysematouse pyelonephritis in a 62 years old women with poorly controlled diabetes mellitus who had been managed with medical theraphy. So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ferenced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