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체중 또는 과체중 청소년에서 캠프 프로그램을 이용한 영양 교육효과에 관한 연구

        성미경,승정자,류화춘,박재년,박동연,최미경,조경옥,최선혜,이윤신,김유경,이은주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3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8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nutritionally imbalanced adolescents. A summer nutrition camp was held for 23 overweight and 16 underweight subjects. Its effectiveness with regard to was evaluated at the end of the camp and 6 months later.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al attitude, food behavior, nutrient intake, exercise habit and ideal body figures desired by the subject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nutrition knowledge scores at the end of the camp as compared to those obtained prior to the camp program, and these scores were maintained for at least six months. Nutrition attitude scores also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and these improved scores also lasted for 6 months. However, the food behavior scores measured 6 months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btained prior to the camp. Also, the exercise habit, the ideal body figures and the body figures desired by the subjects remained unchanged. When nutrient intakes of subjects were assessed before the program and 6 months later, the mean daily vitamin C intak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Also, the intake of iron from plant food sources increased in the overweight subjects, while less iron from animal source were consumed by the underweight subjects. Both groups tended to consume more vegetables and fruits 6 months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hich may have contribute to the higher vitamin C and plant-based iron intak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4-day nutrition education camp program sustained changes in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for 6 months. The increased intake of vegetables and fruits was also achieved through this education program. However, changes in dietary behavior in adolescents may require repeated education.

      • KCI등재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창의성간의 관계

        박유은(Park You eun),이경화(Lee Kyung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3 Global Creative Leader Vol.3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성 하위요인인 도형영역의 주제에서 인성지향형 어머니일 경우 유아의 창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 모두에게서 자녀가 남아일 경우 명령지향형적 언어통제유형을 많이 사용했고, 여아일 경우에는 인성지향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학력이 대학교 졸업미만일 경우 명령지향형이 다른 유형보다 높은 반면 학력이 대학졸업이상일 경우 지위지향형 또는 인성지향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연령이 40세 미만 집단이 언어영역, 도형영역, 창의적 성격 모두 높게 나타났다. 그 중 어머니의 연령이 40세 미만인 집단의 유아 독립심, 모험심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창의적 성격이 어머니가 미취업일 경우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창의성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도형영역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주제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부와 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봄으로서 유아교육현장에서 부모 상담 자료로 활용하고,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부모 간의 올바른 언어통제유형을 제시할 수 있는 부모교육의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were measured and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creativity (language and drawing domain of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order orientation, position orientation, personality orientation) were ident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test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Parent's verbal control type questionnaire for parents by Lee Kyung-ah (2007). The test was divided the verbal control type into order-oriented control, position-oriented control, personality-oriented control and included 25 items from commonly occurred problem situations and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by Lee Kyung-hwa (2011). As for the study method, first the verbal control typ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families for the test of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to collect in 1 or 2 weeks and the integrated creativity test was directly performed by home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hildren corresponding to sincerely prepared 100 questionnaires among the collected responses.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Chi-square test of cross tabul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post test.

      • 난치성 간질에서 Topiramate의 치료 효과

        이유경,이건수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2001 충남의대잡지 Vol.28 No.1

        It is known that 10-20% of childhood epilepsy is refractory to anticonvulsants. Recently, a few new anticonvulsants has been introduced. This study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piramate as an add-on therapy in the refractory childhood epilepsy. We have evaluated 50 cases of intractable childhood epilepsy who were trea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5 to June 2000. 1.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effect and number of anticonvulsant, duration of seizure, frequency of seizure, but there was mild re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seizures. 2. Seizures free rate was 34%(17cases). Patients of 50% or more reduction in sezure frequency were 34 cases(68%) of total patients. Percents of 50% or more reduction in sezure frequencies were 66.7%(4/6) of complex partial seizure, 66.7%(2/3) of simple partial seizure, 72.2%(13/18) of secondary geneneralized seizure, 75%(3/4) of clonic seizure, 50%(3/6) of tonic seizure, 50%(1/2) of myoclonic seizure, 100%(3/3) of atonic seizure, 75%(3/4) of Lennox-Gastaut syndrome and 50%(2/4) of infantile spasm. 10 out of 50 cases showed no changes or increased frequencies of seizure. 3. Adverse effects of topiramate were noted in 19 cases(38%). Adverse effects were somnolence, anorexia, nausea/vomiting, weight loss, lethargy, behavior problem, ataxia, dizziness, fatigue, nervousness and emotional lability, but most adverse effects were mild. We conclude that topiramate as add-on therapy is effective and well tolerated in the treatment of refractory epilepsy.

      • 특수학교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이유훈,김경진,김영미 국립특수교육원 2000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Vol.- No.2

        본 연구는 '통합된 지역사회에서의 성공적인 성인 생활'이라는 특수교육의 궁극적 목표와 관련하여 새롭게 변화된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특징적인 내용을 밝히고, 학교 현장의 실태 및 요구를 종합ㆍ분석하여 구체적인 학교 단위의 실행방안을 각각의 실정에 맞게 구안하도록 돕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지침 및 시ㆍ도 교육청 지침 등의 분석을 통하여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성격을 탐색하였고,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에 대한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여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 시사점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여건 조성 및 지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별활동의 전반적인 내용 탐색 특별활동의 전반적인 내용 탐색을 통하여 특수교육의 입장에서 특별활동의 의의와 성격, 정의와 목표를 조명해 보았으며, 그리고 그 내용, 방법, 평가, 편성ㆍ운영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시ㆍ도 교육청의 특별활동 운영지침 내용 분석 시ㆍ도 교육청의 특별활동 운영지침 국가수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지역의 형편과 특색에 맞게 구성하여 지역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도록 그 본래의 기능이 있다. 그러나 시ㆍ도 교육청의 특별활동 운영지침을 분석한 결과, 각 시ㆍ도 교육청이 제시한 대부분의 내용이 유사하였으며, 특히 시ㆍ도 단위의 특색 있는 지침이나 내용 없이 국가수준에서 명시하고 있는 내용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거나 약간의 보완 정도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적 특성을 살린 보다 구체적인 지침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몇몇 시ㆍ도 교육청의 경우 특징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 나름의 지침을 만들려고 노력하는 흔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실태 및 교사의 요구 분석 현재 특수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특별활동 편성ㆍ운영실태를 알아보고 그와 관련하여 제7차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교사들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시간배당, 학습집단 구성, 시간운영, 지도방법, 하위영역별 지도내용, 평가방법, 특별활동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자원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에서 나타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교사들이 특별활동에 대해 가장 부담을 느끼는 부분은 국가수준의 지침에 근거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하는 일이며, 이와 관련한 예시자료가 필요하다. 둘째, 특별활동 운영과 관련한 지도내용은 장애영역에 좀더 적합한 활동으로 이루어져야하므로, 각 학교 단위의 자체 노력과 정보의 공유가 필요하다. 셋째, 학습진단의 구성에 있어서 각 영역 및 활동별로 융통성 있게 학습진단을 구성해야하며, 그와 관련된 계도 및 예시가 있어야 한다. 넷째, 특수교육에 합당한 내용으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등 다양한 특별활동 평가방식이 도입되어야 한다. 다섯째,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특별활동의 운영을 위해 행ㆍ재정적인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 방안 제시 이상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각 단위학교별로 특색 있는 교육과정을 편성ㆍ운영할 수 있도록 각 항복별로 구체적인 예시자료를 제시하였다. 첫째로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여 제7차 특별활동 교육과정의 취지를 반영할 수 있게 하였으며, 둘째로 두가지 편제와 시간배당 전략을 제시하여 학교별로 중점 활동을 선정한 후 편성하는 전략, 생활연력을 고려하여 중점 영역을 설정ㆍ편성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특별활동의 영역별 지도방안을 예시자료와 함께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학교별로 추천한 하위영역별 내용을 종합ㆍ제시하여 학교 현장에서 다양하게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별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여건조성 및 지원 학교 현장에서 특별활동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편성ㆍ운영되기 위해서는 국가나 교육청 주도의 여건 조성과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장애학생만을 위한 분리된 기관이나 시설을 이용하기보다는 통합된 환경인 지역사회의 일반 시설을 자연스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적 지원, 특별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교사연수 기회의 확대, 각종 예시자료 개발ㆍ배포 및 각 학교별 특별활동 운영 우수사례의 공유책 마련, 그리고 전담 교사의 수급과 관련한 재정적 지원 등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특별활동의 효율적인 편성ㆍ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별활동의 다양한 모형을 제시하기보다는 예시자료를 제시하는 수준에 그쳤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를 가진 장애학생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모형을 제시하기보다는 예시자료를 제시하는 수준에 그쳤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를 가진 장애학생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차원의 활동자료집, 예시자료집, 우수사례집의 개발뿐만 아니라 특별활동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모형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ajor contents of newly modified curriculum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in relation to 'successful adult life in integrated-community', and to make a specific School-unit plan appropriately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its actual state and needs.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was examined through analysis of the guidelines for the 7th special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nd the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MPOE), and some implications for its plans were suggested by surveying actual state and need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According to these implication, effective plans and supports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were suggested. Overall contents investig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meaning, characteristics, definitions, and goals of extracurricular activity were investigated through overall contents inquiry of extracurricular activitym and contents, methods, evaluation, organization, implementation also were examined. Implementation guidelines & contents analysis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of the MPOE Implementation guidelines for extra activity of the MPOE have focused on the national level of curriculum which considers the school district's(area's)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operation guidelines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of the MPOE, the contents suggested by each the MPEA were generally similar(not different) without any difference or specialty. Accordingly, more specific and specialized guidelines for showing school district's charateristics were significantly required. The state of curriculum organization & implement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analysis of teachers' needs In this study,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extra activity currently used by special schools were examined and also teachers' need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7th curriculum were analyzed by time assignment, learning group arrangment, time management(operation), teaching methods, instruction by sub-areas, assessment methods, support for effective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the implications from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include: First, in order for teachers to modify national-unit(district) guidelines into school-unit(district) curriculum, illustrated data relative to this matter are required. Second, efforts of each school-unit itself and sharing of information are necessary to match instruction related to implement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with more appropriate dealing with the disability areas. Third, in order to form learning group, each area and activity should be considered flexibly. Fourth, various assessment methods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such as portfolio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contents of special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Fif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in order to operate practical and effective extracurricular activity should be also considered. Suggesting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According to the current results, this study provied specific illustrated examples by each items in order for teachers to operate characteristic curriculum by each school unit. First, the significance of the 7th extracurricular activity curriculum was revealed by showing basic steps to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Second, not only two formations and strategy for time assignment were suggested for formulating key areas by each school, but also suggested strategies for key areas by considering living age. Third, each area of guidelines and plans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were suggested with illustrated data. Last, contents of sub-areas recommended by each school were put together and used for reforence(good guide) at school settings variously. Creating an atmosphere and support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This study shows that various nation-wide supports are necessary for the curriculum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to be effective in school settings. In addition,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 inclusive enviroments, more opportunities of teacher's training relative to extracurricular activity,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various illustrated data, presentation of case studies of each school for operating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also financial support dealing with demand of classroom teacher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This study is designed to suggest an effectiv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but has limitation in that this study just shows illustrated examples rather than showing various models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Accordingly, not developing various activity resource materials, illustration materials and case stud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ve various needs, but also future research associated with effective operation for extracurricular activity are suggested.

      • SCOPUSSCIEKCI등재

        Straight Wire Appliance를 위한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치관 형태에 관한 연구

        이원유,박영철,임경수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4

        한국인에 적합한 preadjusted bracket을 개발하기 위하여 한국인 성인 정상 교합자 14명을 대상으로 crown angulation, inclination, in and out, molar offset angle을 구했다. 정상 교합자 14명의 cast를 3차원 스케닝한 후 스케닝한 모델을 대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기존의 모델을 직접 수작업으로 측정할 때 보다 정확하고 빨리 측정할 수 있었다.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각 치아의 치축 경사(angulation), 치관 경사도(inclination), in and out, molar offset angle을 구하였다. 2. 3차원 스케너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측정 할 수 있었다.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crown angulation, crown inclination, molar offset angle, and crown in and out of the Korean adults having normal occlusion. 14 subjects (7 male, 7 female) were chosen in the 80 subjects who had ideal occlusion and beautiful profile we thought. The casts were obtained from the subjects, and then they were scanned with 3-dimensional scanner machine. We analyzed them with computer program based upon Andrew`s method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We got the norm of the crown angulation, crown inclination, molar offset angle, and crown in and out in the Korean adults. 2. The analysis using 3 dimensional scanner and computer program was more fast and accurate than the manual methods.

      • 특수학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이유훈,김경진,김규선,김형일 국립특수교육원 2000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Vol.- No.1

        본 연구는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재량활동이 각 특수학교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시ㆍ도 교육청의 재량활동에 관한 지침서를 분석하였고, 전국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방안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해 나타난 요구와 시사점을 토대로 특수학교 재량활동 편성ㆍ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른 연구내용별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시ㆍ도 교육청 재량활동 지침 각 시ㆍ도 교육청에서는 특수학교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지침을 작성하여 이를 관내의 지역교육청과 각 학교에 제시하고 있었다.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편제 및 시간배당 기준은 국가수준과 동일한 배정을 하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시ㆍ도 교육청에서는 재량활동 시간확보 및 운영, 평가의 질 관리, 치료교육, 평가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그 강조점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는 시ㆍ도 교육청 지침의 내용이 국가수준에서 제시한 재량활동의 내용과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지역교육청 나름의 특성을 살린 재량활동 지침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교사요구 분석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에 대한 실태조사에서 특수학교 대부분이 재량활동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있어 애로를 느끼고 있었다. 그 이유로는 재량활동에 대한 프로그램의 부재와 재량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부족, 계획 수립 및 운영 미숙, 시설ㆍ재정적 지원의 부족을 들고 있었다. 이러한 애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재량활동에 대한 다양한 편성ㆍ운영방안과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ㆍ제공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수학교들의 재량활동 운영주체로는 학교 교육과정 운영위원회를 들고 있고, 재량활동을 편성 할 때 '학생들의 능력과 특성', 학부모 및 교사들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재배적이었다. 그리고 재량활동 시간배당에 있어서는 국가수준에서 제시한 시간만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여기고 있으며, 기본교육과정은 교과 재량활동과 창의적 재량활동 구분 없이 융통성 있게 활용하기를 원하고 있다. 재량활동의 지도주체에 대해 정신지체ㆍ정서장애학교에서는 담임으로 응답한 반면, 시각ㆍ청각ㆍ지체부자유학교 교사는 따라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장애역역에 관계없이 재량활동의 하위영역에 따라 다양한 지도주체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것은 학습진단 구성과도 연관될 수 있는데, 많은 교사들은 현재의 집단편성 방식에서 벗어나 재량활동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활동중심의 집단편성을 원하고 있었고, 특히 창의적 재량활동에서는 좀더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시간운영에 있어서는 매주 정해진 날에 실시해야 한다는 반응이 대부분이었지만, 시각ㆍ청각ㆍ지체부자유학교의 범교과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에서는 좀더 다양한 시간배정이 이루어지기를 원하고 있었다. 특히,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각 특수학교들이 특정한 정해진 날에 체험학습의 날이나 책가방 없는 날과 같이 별도계획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학교들도 있었다. 이러한 시간 운영과 관련한 지도방법에 있어서는 하위영역에 구분됨이 없이 모든 학교가 견학과 체험학습을 선호하고 있었다. 지도내용에 있어서는 기본적인 교과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시각ㆍ청각ㆍ지체부자유학교의 반응을 제외한다면, 사회생활 적응을 위한 기초생활 지도와 일상생활 적응, 그리고 현장학습과 같은 체험학습을 통한 내용을 대부분 선호하였다. 각 특수학교에서 제시한 재량활동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일부학교를 제외하고는 그 유형들이 비슷하고 영역도 특별활동이나 사회교과 영역과 크게 구분이 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량활도에 대한 평가는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방식을 선호하고 있었다. 기타 요구사항 재량활동의 활성화 방안에 있어서는 '교수ㆍ학습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학교장의 관심과 적극적인 자원', '학교의 잡무감소', '학급당 인원의 감소'등을 요구하였다. 시ㆍ도 교육청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역시 '프로그램의 개발 보급', '잡무 감소', '체험학습 활동에 대한 경비 자원', '교과전담 교사 확보' 및 '다영한 전무교사의 확보', '교사에 대한 재량활동 관련 연수기회 제공', '학교간 재량활동 운영에 관한 정보교환 및 공동 프로그램 운영지원'등을 들고 있었다. 재량활동 편성ㆍ운영방안에 있어서는 단위학교에서 재량활동을 편성할 때 기본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위영역별 사항과 이에 따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재량활동 편성ㆍ운영방안을 하위영역별로 나누어 하위영역별 편성방향, 시간배당, 지도내용, 집단구성, 지도방법, 평가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각 하위영역별 시간배당, 지도내용, 집단구성, 지도방법, 평가방안에 대한 여러가지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에서 실제로 활용하고 있는 다양한 예시자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일반학교의 재량활동 운영과 관련된 우수 연구보고서와 특수학교에서 운영히고 있는 재량활동 사례를 정리하여 부록에 제시 하여 다양한 실천 자료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aims at groping for effective application methods of optional activities for special schools. For this purpose, a close analysis was made on the guidelines for optional activities published by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MPOE), and extensive opinion on schemes for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curriculum were collected from school teachers. The data gathered in this process present requirements and suggestions for optimal designs for organizing and implementing optional activities in special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larific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s of optional activities. Through clarifying various theoretical backgrounds, we identified its related meaning of character, organization, implementation process and assessment. Guidelines of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MPOE) Each MPOE has worked out and provied schools with its own guiding principles o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a. The systems of organization and the standards of subject time alloment a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state level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ost MPOE give directions that each school should secure and implement optional activities with an emphasis on enhancing the quality of assessment management, therapy education, as well as the contents and methods of assessment. Except some areas, most directions for optional activities from MPOE of education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hat each MPOE should provide its own directions as to optional activities. Analysis of teachers' needs about effective application method of optional activity. An investigation into actual condition activities reveals that most special schools have difficulty in planning and operating the activities, because of lack of diverse programs, shortage of knowledge about the activities, unskilled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activities, insufficient facilities and financial support. The first thing to break these obstacles is to develop and provide diverse programs and device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activities. The curriculum steering committee is regared as the primary implementation body for optional activities in special schools. Optional activities should reflect each student's ability and specially as well as the opinions of his/her parents and teachers. The time allot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regarded enough for individual school's optional activities. There are two kinds of optional activities: one by subject matters and the other by creative optional activities, but basic curriculum requires flexible application of both. As to the measurement of optional activities, schools for mentally retarded or handicapped students responded their home-room teachers should take the initiative, but school for the blind, the deaf, or the crippled said that different teachers in different fields should take the lead in their respective major subjects. Regardless of handicap degrees, it is necessaty to set various teaching intiatives according to sub-areas of optional activitie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groups. Many teachers wanted to form groups geared to focus on more creative optional activities in sub-areas rather than their present groupings. Most teachers reponded that the time for the activities should be fixed on a specific weekday. Teachers also wanted that more various time should be allotted to the integrated study and self-directed study of the schools for the blind, the deaf, or the crippled. Some special schools had the opinion that self-directed study should be operated on a fixed day as the same way as the day for learning through experience or the day without schoolbag goes. As to the teaching methods, all the schools preferred the field study or learning through experience without regard to the division of sub-areas of optional activities. The contents of special school teaching were maintained to be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basic subjects, but most schools wanted optional activities to comprise learning the basic social life, getting acquainted with everyday life, and on-the-spot learning. An analysis on optional activities of special school showed that most activity types of the schools are nearly the same, and their areas of activities are not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of club activities or social science subjects desig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s for the assessment method for optional activities, the protfolio system is most preferred because it assesses each student's process of diverse activities. Other requirements In order to activate the optional activities, most schools preferred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Next comes the school principal's concern and support for the activities, diminishing teachers' sundry duties, and reducing class-size. Teachers also required that each MPOE should take active measures to develop and distribute diverse teaching programs, reduce teachers' odd jods, give more financial support for discretionary activities, secure subject teachers, provide training opportunities for optional activities, exchang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optional activities among schools, and support joint operation programs. Designs and various examples of it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With analyais of these results, we developed the designs of it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method of optional activities for special schools. First, in our designs of its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we approached the sub-activity divisions which composed of two. the first one is optional activities of subject matters which involves the in-dept and supplementary study of therapy education activities and the in-dept and supplementary study of elective-centered subject matters. the second one is creative optional which involves integrated and self-directed study. Second, we conducted to figure out various possible methods in each sub-activities about time allotment, learning group, class time management, teaching method, teaching contents, assessment method. Third, when design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optional activity, we usually use diverse optional activity examples from regular and special schools. Forth, in appendix of this book, we provided the cases of discretionary activity of regular and special schools's. So, it enables teachers to use as practice resource material, in their schools.

      • KCI등재
      •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이유훈,김경진,박정연 국립특수교육원 2000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Vol.- No.3

        본 연구는 제7차 특수학급(급) 교육과정이 특수학급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돕는 차원에서 교육과정 편성ㆍ운영과 실행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급) 편성ㆍ운영지침 및 시ㆍ도 교육청 지침 등의 분석을 통해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성격을 탐색하였고,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ㆍ운영에 대한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여 운영방안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 시사점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필요한 여건조성 및 지원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제7차 특수학급 교육과정(급)편성ㆍ운영 지침 시ㆍ도교육청 지침 분석 제7차 특수학교 교육과정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으로서,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모든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열린 교육과정임을 강조하여 순회교육 대상학생, 일반학급, 학습도움실 및 특수학급 등에 배치된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과정 편제와 시간배당 기준만을 간략히 명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대한 사항은 시ㆍ도 교육청에 위임하고 있다. 그런데 16개 시ㆍ도 교육청에서 작성ㆍ제시한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지침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지침들이 국가수준에서 명시하고 있는 내용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거나 약간의 보완정도에 그치고 있어 특수학급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운영하는 데에 있어서는 실질적인 지침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특수학급에서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편성ㆍ운영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에 대한 절차 및 운영모형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실태와 교사의 요구 분석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편성ㆍ운영방안의 기초로서 현장에서의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및 교육과정 수정의 실태와 교사의 요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전체 조사대상 가운데 최근 장애학생의 통합에 따른 교육과정 수정에 관한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숫자는 35.2%에 지나지 않고 있어, 교육과정 수정에 대한 폭넓은 정보와 지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영역은 도구교과 이외라는 응답이 72.7%로 나타나고 있어, 아직 대부분의 특수학급이 시간제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엿볼 수가 있다. 특수학급의 시간운영에 있어서는 62.1%가 통합학급 시간표에 맞추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의 입급이나 시간표 작성 및 생활지도에 문제가 있을때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가 가장 많이 협의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학습상 문제는 교사 스스로가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특수학급의 교육과정은 일반학교의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과 특수교육의 기본교육과정을 절충한다는 의견이 45.5%로 가장 많으나 교육과정과 관계없이 프로그램 학습으로 운영한다는 의견도 19.4%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실제 통합상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 수정은 주로 교수방법에 대한 수정(66.7%)과 교수ㆍ학습진단의 재편성(45.5%)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수내용에 대한 수정은 40.9%에 그쳐 장애학생이 수업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평가에 있어서도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교사 교사가 협의하여 평가하기(16.7%)보다는 담당하는 교과별로 각자가 평가(48.5%)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교사간의 협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고 교육과정 수정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은 정보 및 자료부족(59.1%)을 들고 있어 이에 대한 보다 많은 지식과 정보가 학급 현장에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그리고 특수학급 학생의 일반학급 통합을 위한 선행요건으로서 일반학급 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86.1%), 교사간 협력(83.3%), 학교 관리자의 이해(76.4%), 학생 수 감축(75%) 등을 들고 있다.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ㆍ운영방안 제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및 설문조사에 기초하여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의 다섯 가지 기본 원칙을 정하였는데, 첫째는 다양한 운영유형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 둘째는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보다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 셋째는 특수학급 교육은 교과교육 이외에도 치료교육 및 직업교육 등 관련 서비스가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 넷째는 특수학급 대상학생의 적절한 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 개별화 교육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 다섯째는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있어 일반교사와 특수교육교사간의 협력적인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특수학급 운영유형별 교육과정 편성ㆍ운영방안으로 전일제 특수학급과 시간제 및 특별지도실 특수학급의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절차를 예와 함계 제시하였다. 또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조형태에 따라 협력교수로 운영하는 방법과 특수학급 교사가 통합학급의 수업을 보조하는 형태,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가 통합수업에 들어가지 않고 교수ㆍ학급지도안만 제시하는 형태로 나누어 각각의 교수ㆍ학습지도안의 예를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장애학생의 특성 및 교과의 특성에 따라 각기 적용될 수 있다고 본다. 특수학급 교육과정 편성ㆍ운영을 위한 여건조성 및 지원 현장에서 특수학급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편성ㆍ운영되기 위해서는 여건조성 및 지원이 필요한데, 특히 교사간 협력을 위한 행정적인 지원, 일반교사와 특수교육교사의 역할, 장애학생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지원, 부모참여,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 그리고 특수학급 교사에 대한 일반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연수, 일반학급 교사에 대한 장애학생 이해를 위한 연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특수학급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편성ㆍ운영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육과정 수정의 다양한 모형을 제시하기보다는 절차와 사례를 제시하는 수준에 그쳤다. 따라서 다양한 요구를 가진 장애학생들에게 적용하기 위한 수준별ㆍ교과영역별 교수자료 및 교유과정 수정을 위한 모형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focused on searching the method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order that the 7th special school curriculum may be applied to special classes efficiently. So as to do this, through analyzing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of the 7th special school curriculum and the guideline which is made by the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MPOE), the characters of special class curriculum was explored. And through the survey about present states and teacher's needs to special clas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we clarified the meaning of the implementation designs. And on the basis of the meaning, we presented the methods of efficient special class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lso, We explored the condition and supports contents which are needed to back up them. Analysis of the Guidelines of 7th Special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ㆍImplementation and the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MPOE) As the 7th special school curriculum is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he major feature is that it emphasis the opened curriculum for all the students who need the special education. But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presente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ime allotment in simple guidelines for the disable students who anr placed itinerant education, regular-education classroom, learning assistance room, special classes and etc, in the most of cases,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entrust the concrete, guidelines about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antation to the MPOE. By the way, in results of analuyzed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guidelines of MPOE, It was appeared that many MPOE suggested a similar recommendation such as that of national leve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special classes. Therefore, it should be recommended that the MPOE have to give their own unique prodedure and guide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o special classes. Analysis of the teacher's needs and presents states of curriculum organizationㆍimplementation In the results, we can know the fact that most special classes were managed in part-time in special classes in that the area which inclusive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exception of subject appeared 72.7%, 62.1% of answeres showed that time management was implemented according to inclusive class's time schedule. And when there were a preblem for disabled students to enter to the class or to plan the time schedule and to guide about student's problem, we can infer that they resolved most of Problem to learning for themselves. because it was appeared in the most frequent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In the curriculum of special classes, the opinions were the most frequent responds The opinion that the curriculum of special classes should be blended the national level common crriculum with basic curriculum was 45.5% which is the most frequent responds in responds. But the opinion that the curriculum should be managed through program learning regardless of curriculum also reached to 19.4%. And for the most part, adaptation of curriculum which is made in actual inclusive education situation is adaptation of teaching method(66.7%) and re-organization of teaching-learning group(45.5%). Contrast to this results, adaptation of teaching contents was only 40.9%, So, from the result, we can understand that disabled students are rejected in classes. Also, in assessments, the teachers who are special and regular teachers did assessment according to subject areas respectively(48.5%), not that through the meeting(16.7%)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this results suggested that both side of teachers be needed the cooperation. And in responds of teachers, they answerede that the most difficult things were deficient of information and resource materials(59.1%). So, more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curriculum adaptation have to be given in class field. And in results of survey research, the condition of precedent which is for special class student to integrate regular class are appeared the understanding of regular class's student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86.1%), the collaboration between regular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83.3%), understanding of school manager(76.4%), decreasing of the number of student per class(75%). Suggesting efficient organizationㆍimplementation methods of curriculum in special classes In this study researcher, we suggests the basic principles on the basis of antecedent study and survey; (1)various management types have to be provided, (2)the inclu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to be highlighted, (3)the relative services including the therapy education and the vocation education etc. as well as subject education have to be give in the education of special classes, (4)the indicidualized education have to be conditioned to assure adequate education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5)in regarding organizationㆍimplementation of curriculum for special classes, the cooperative relation between regular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important. In the curriculum organizationㆍimplementation methods according to management type of special classes, we suggested the procedures of curriculum organizationㆍimplementation of self-contained special classes, part-time special classes, resource room with examples. Also according to the collaboration types between special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this study presented three kinds of the methods, first one is to manage in cooperative teaching,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 assist the lesson of inclusive class,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sents only the teaching-learning plan without attending inclusive classes. and the example of teaching-learning plan were presented according to each type. It can be applied to the characters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and subjecta, respectively. Supporting the condition and environment for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in special classes In order to perform an effectiv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school curricula, it is necessary to build up optimal conditions and supports for special education, such as administrative support for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sharing the roles of regular class teachers and special class teachers, support for social inclusion of handicapped students into regular classes, active participation of parents, continuous effort to change the attitude toward handicapped students, and in-service training for special class teachers to get more konwledge about the regular class curriculum as well as in-service training for regular class teachers to get more knowledge about the special class curriculum. As an effectiv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school curricula, this study suggests only procedures and instances of curricular modification rather than a variety of models. Therefore, fololw-uo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various models for the curricular modification as well as teaching materials by level and by subject applicable to physically/mentally challenged students with various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