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골수성백혈병에서 9번 유도 염색체의 ABL-BCR 유전자 결실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경,김영리,이동순,시차자,윤성수,박선양,김병국,조한익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2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2 No.6

        배경 : 필라델피아(Philadelphia, 이하 Ph로 약함) 염색체[t(9;22)(q34;q11)] 생성시 상보적으로 9번 염색체에는 ABL-BCR융합유전자가 생성되는데 만성골수성백혈병(chronic myel-380 이영경김영리이동순 외 5인ogenous leukemia, CML) 환자 중 일부에서 이들 유전자의 결실이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CML 환자에서 9번 유도 염색체에 위치한ABL 유전자와 BCR 유전자의 결실 상태를 조사하고이들 유전자 결실이 CML 환자에서 예후 예측인자로서의 의미를분석하고자 하였다.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CML로 진단받은 79명 환자의 골수 검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9번 유도 염색체의ABL 유전자와 BCR 유전자의 결실은 간기형광동보소보합법(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으로 분석하였다.결과 : ABL 결실은 14명(17.7%)에서, BCR 결실은 8명(10.1%)에서 관찰되었다. 9번 유도 염색체의 ABL과 BCR 중 어 느하나라도 결실이 있는 환자군(15/79명, 19.0%)은 결실이 없는군에 비해, 무사고 생존기간이 유의하게 짧았다(중간값 40.0개월vs. 92.0개월)(P=0.027). 관찰 기간 동안 27명이 급성발증기로이행하였는데 ABL이나 BCR 어느 하나라도 결실이 있는 8명이결실이 없는 19명에 비해 급성발증기로의 이행기간이 유의하게짧았다(P=0.044). ABL 및 BCR 결실 양상에 따른 BCR-ABL유전자 재배열시 bcr 구역의 절단위치를 분석한 결과 b2a2 형이결실이 없는 군에 비해 ABL만 결실된 환자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34).

      • KCI등재

        맹자의 ‘孺子入井 - 惻隱之心’에 대한 조선유학자들의 윤리적 입장 - 退溪, 栗谷, 茶山, 惠岡을 중심으로 -

        이영경 한국유교학회 2018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73

        In this thesis, we study the ethical thoughts of Chosun Confucian scholars on the theory of Mencius’s the primary focus of the human’s good in-nature, ‘Ruzirujing[孺子入井] - Ceyinzhixin[惻隱之心]’, And we discuss the ethical thoughts of this issue centered on 4 eminent confucian scholars of Chosun Dynasty such as Toegye[退溪], Yulgok[栗谷], Dasan[茶山] and Haegang[惠岡]. Through this study, We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oegye, Yulgok, and Dasan showed that they concentrated on explaining the origins and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Ruzirujing – Ceyinzhixin’ discourse. Second, Yulgok and Dasan reflect the spirit of studying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the personality of the confucian norm and ethical meaningful life which is focusing on the act of moral practice. Third, Dasan was regarded ‘Ceyinzhixin’ as one of the manifestations of various minds rather than the absolute good mind that can not be changed. It can be said that was constructed in the context of criticizing the main virtue theory of Zhuzi[朱子] Fourth, Haegang criticized Mencius's innate moral theory. So we can define that his theory shows a typical example of a ethical thoughts of Silhak[實學], and his thoughts became an opportunity to open up new horizons of confucian thoughts. As a whole, The argument of the ‘Ruzirujing – Ceyinzhixin’ of Toegye, Yulgok, Dasan and Haegang was to strengthen and deepen confucianism of the Chosun Dynasty. 본 연구는 ‘孺子入井’이라는 어린 아이가 우물에 빠지는 윤리적인 문제 상황을 제시하면서, 이 상황에서 사람들은 모두 ‘惻隱之心’을 가지게 된다고 주장한 孟子의 ‘孺子入井 – 惻隱之心’의 性善論的 논의에 대해서 조선 유학자들이 어떠한 윤리적 입장을 견지해 왔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는 맹자의 ‘유자입정 – 측은지심’ 논변에 대한 조선의 주요 유학자 退溪, 栗谷, 茶山, 惠岡의 윤리적 입장을 분석함으로써 조선 유학의 윤리적 사유 양상을 해명하였다. 퇴계, 율곡, 다산은 ‘유자입정 – 측은지심’의 논의에서 측은지심의 발출 來源과 마음의 작용 문제를 초점으로 삼아 윤리적 입장을 구축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그리고 율곡과 다산이 ‘유자입정 – 측은지심’의 논의에 있어서 실천적 도덕 행위라는 측은지심의 실천 문제에 집중하여 탐구한 측면은 조선 유학의 인격 수양과 참된 삶의 도리 구현을 지향한 실천 유학의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또한 다산은 측은지심을 變易不可한 절대적인 仁의 마음으로 보기 보다는 다양한 마음의 발출가운데 하나로 보았는데, 이는 주자학이 견지하는 인성의 본체적 덕론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구축된 것이었다. 혜강은 ‘유자입정 – 측은지심’의 논의에서 맹자의 선천적 도덕성론을 비판함으로써 성선론이라는 유학사상의 근본적인 신념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려는 실학적 사유의 한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퇴계, 율곡, 다산, 혜강이 전개한 ‘유자입정 – 측은지심’에 대한 논의는 조선 유학사상을 강고화하고 심층화하는 것이었으며, 한편으로는 조선 유학사상의 실천정신과 창의적 사유의 표출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막스 셀러의 사랑의 현상학

        이영경 대동철학회 2005 大同哲學 Vol.31 No.-

        사랑의 본질을 철학의 한 주요 주제로 자리매김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에 관한 탁월한 철학적 통찰을 제시하고 있는 철학자 중 한 사람은 분명 막스 셀러이다. 이 글은 사랑의 본질에 관한 이 막스 셀러의 현상학적 통찰을 현상학적으로 고찰하려 한다. 이때 우리의 탐구 방식은 사랑의 본질에 대한 셀러의 긍정적 규정과 부정적 규정을 천착하는 것이다. 본고는 셀러가 내린 사랑에 대한 긍정적 규정의 핵심을 사랑의 창조성에서 찾는다. 곧 사랑은 사랑하는 사람과 사랑받는 사람이, 그의 고유한 ‘이상적 가치상’, 다시 말하면 진상(眞相)을 구현하도록 돕는 것이다. 그렇다고 사랑은 가치 인식이나 가치 평가도, 또 사랑받는 사람의 진상을 실현시키려는 목적도, 의욕도 아니다. 나아가 사랑은 어디까지나 사랑받는 자의 절대 가치를 감지하는데 뿌리를 내리고 있어야 한다. 여기 뿌리 내리지 있지 않은 ‘사랑’, 예컨대 권태나 자기 회피, 자기 혐오 등에서 연유하는 타자에의 헌신, 곧 ‘이타적 사랑’은 사이비 사랑에 불과하다. 여기서 우리는 진정한 타자애와 진정한 자기애가 모종의 연관 관계를 맺고 있음을 눈치 채게 된다. 나아가 셀러는 참된 사랑은 신적 차원에 오르는 것이고 신적 사랑에 동참하는 것이라 보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타자애와 자기애는 신에 대한 사랑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된다. 그러나 이 문제를 우리는 다음탐구의 과제로 남겨 둘 수밖에 없었다. Dle vorliegende Arbeit versucht, Schelers phaenomenologische Einsicht ins Wesen der Liebe phaenomenologisch darzulegen, die sich in zwei Hinsicht vollzieht: in der positiven Hinsicht und in der negativen Hinsicht. In jener Hinsicht fassen wir das Wesen der Liebe wie folgt zusammen: Die Liebe ist in dem Sinne kreativ, dass sie die Liebende und die Geliebte zum ihren wahren Selbst zurueckkehren laesst. Die Liebe bringt die hoehere und unendliche Wert-Welt ins Tage, die in der natuerlichen Weltanschaung verborgen bleibt. In dieser Hinsicht wird die Liebe wie folgt geklaert: Die Liebe ist kein Werterkenntnis. Sie allein erreicht das absolut intime Selbst des anderen. Sie ist kein Einsfuehlen. Sie richtet sich ursprunglich auf den Werttraeger. Endlich mussen wir bekennen, dass die vorliegende eine unvollendete Untersuchung ueber die Liebe bei Scheler ist. Sie haetten ins Auge bringen muessen, in welchem Zusammenhang die Selbstliebe, die Fremdeliebe, die Gottesliebe steht. Ausserdem haetten sie ‘ordo amoris’ und den Zusammenhang zwischen dem Schelers Verstaendnis ueber die Liebe und dem christlichen darlegen mussen. Diese ausser Auge gelassene Thematik wird hoffentlich in unserer naechsten Untersuchung behandelt.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심성론에서 자유의지론의 문제와 윤리적 특징

        이영경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결정론과 자유의지 문제를 다산 심성론 분석의 틀로 삼아 다산의 인간론에 함축되어 있는 윤리적 의미를 해명하고자 한다. 자유의지론은 인간의 선천적 도덕성의 확증성 문제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주자학자들의 주장에 대해서 대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논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자학적 심성론을 결정론이라고 문제 삼으면서 반박하는 다산의 자유의지론의 논거와 주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산이 주자학의 심성론을 결정론이라고 논박하는 관점과 그의 자유의지론의 특성을 밝히면서 주자학적 심성론에 대한 다산의 비판이 완결적인 논거를 갖추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다산의 자유의지론의 윤리적 특성을 해명하였다. 다산은 도덕 선천성에 대한 주자학자들의 견해를 문제 삼으면서, 주자학의 논점은 인의예지의 덕이 인성에 결정되어 있는 것이라고 간주했다. 그러나 주자학의 심성론에서 인간의 도덕적 본성이 완결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주자학적 관점의 심성론에 의하면 인간은 어떤 경우에도 반드시 선할 수밖에 없다는 해석을 한 다산의 논점은 주자의 본의와는 다르다 하겠다. 인간의 자유의지를 역설하는 다산의 논지 중 마음의 靈明, 良知, 道心, 上帝 등의 개념에는 뚜렷한 性善的 지향성이 함축되어 있으며, 주자학을 논박하면서 자주지권을 강조한 맥락에는 도덕적 책임성의 문제가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다산은 인간이 도덕적 주체가 될 수 있는 것은 도억적 책임성의 문제를 자각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다산은 인간은 상제와의 교감을 통하여 온전한 도덕적 존재가 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Dasan(Jeong yak yong) criticize the Chusi's mimd theory. Chushi insist that the human inherited 'the good nature(for instance ; benevolence, righteousness, politeness, wisdom)' just like a granule. In this point, Chusi's standpoint of mind theory is determination. Dasan assert that the Chusi's mind theory denied the responsibility in the human behavior. Dasan stressed that human don't need to cultivation of the mind according to Chusi's theory. Dasan submits free will theory that the human nature is instination of mind. Human mind inherited only the instination, so the importance of free will is stressed in the human mind. Because of having free will, human acquire the position of ethical existence. But some problem is situated in the Dasan's mind theory, those are relation to the determinism. In the strict sense, Dasan's mind theory having somewhat determinism. According to Dasan's mind theory, good nature is given to human innately. The good nature are spiritual brightness, good wisdom, innate God, righteousness mind. This good nature influence the human behavior, so we stipulate that Dasan assume somewhat the mind theory of innate good nature.

      • KCI등재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와 문화경관

        이영경 한국불교학회 2019 韓國佛敎學 Vol.91 No.-

        Currently, the paradigm of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s have shifted to conserving the values of cultural heritage in terms of areal perspective. The traditional temples in Korea, as living religious heritage, have forests with a good ecological state, valuable cultural resources, and cultural landscapes. To maintain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traditional temple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diverse values associated with religious, cultural, and natural resources in temple areas and to establish the value-based management plans. This study introduces the value-based management model of traditional temples and the assessment indicators. Also, the two kinds of value assessments were performed to find out the landscape valu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and visitor perceptions. The landscape assessment was performed in terms of space composition and access system, entry landscape, cultural landscape, stream landscape. Visitor assessment was focused on the 12 values of the Woljeong temple, the importanc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and economic assess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ndscape of the Woljeong temple area maintained the cultural identity and the harmony with nature and that visitors evaluated the 12 values highly.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Woljeong temple area should be registered as mixe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 If registered as mixed heritage and cultural landscap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value-based management plan which restores the religious value and at the same time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 other values. Also it is possible for the Woljeong temple to participate in both preparing and implementing the management plan. In order to maintain such a cultural landscape, endeavors to correspond with the identity of the Woljeong temple are needed. 근래에는 문화유산을 면(面)적 관점에서 관리하고 유산의 가치를 보존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사찰은 살아있는 종교유산으로서 생태가 양호한 산림과 문화자원이 있으며 독특한 문화경관을 창출하고 있다. 전통사찰을 바람직하게관리하기 위해서는 종교, 문화, 자연자원으로부터 창출되는 다양한 가치를 도출하고 가치중심 관리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사찰보존지의 가치중심 관리모델과 가치평가 지표를 소개하고, 월정사 보존지에 대한 경관가치 평가와 일반인의 가치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 보존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경관가치 평가는 공간구성 및 진입체계, 진입경관, 문화경관, 하천경관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방문객581명을 대상으로 12가지 가치에 대한 중요도 평가, 오대산 국립공원에서 월정사 보존지가 차지하는 중요도와 기여도 평가, 월정사 보존지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를 보면 월정사 보존지의 경관은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자연과 조화되고 있으며, 방문객들은 월정사 보존지의 다양한 가치들을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월정사 보존지의 유산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복합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등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유산이자 문화경관으로 등재되면 다양한 가치를 중심으로 관리계획을 수립하여 종교가치를 향상시키고 다른 가치들을 관리할 수 있으며 월정사가 보존지 관리에 동등한 파트너로서 참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종교유산으로서 월정사의 장소성과 정체성에 부합되는 문화경관이 유지되도록 경관적 노력이 우선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역노동시장에서 청년 대학 졸업자의 노동저활용 요인: 다층로지스틱모형의 응용

        이영경,최예술,김찬용,임업 국토연구원 2016 국토연구 Vol.91 No.-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지역노동시장권을 대상으로 청년 대졸자의 노동저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수준과 지역노동시장 수준의 요인들을 도출하고, 각 요인이 지니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실질적인 노동력 활용 정도를 반영할수 있는 노동저활용 개념을 사용하여 청년 대졸자의노동력 활용을 정의하였다. 또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청년 대졸자의 노동저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요인과 지역노동시장 특성 요인을 도출하고, 각 요인의 효과를 다층로지스틱모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개인 수준의 설명변수를구성하기 위한 자료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2012 한국직업사전’과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통합하여 지역노동시장 수준 변수를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성별, 전공 계열, 미취업 기간, 혼인 여부, 가구주 여부등 개인 수준에서 측정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뿐만아니라 각 청년 대졸자가 소속된 지역노동시장의 학력과잉 비율과 노동 수요 자급률 등 지역노동시장 수준의 고용환경 요인들 역시 노동저활용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설명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노동저활용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취업 정보와 직업훈련의 기회를 제공하는 등 개인 수준에서의 정책도 중요하지만, 지역노동시장 수준의 고용정책을 함께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단순히 지역노동시장 내 일자리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한 접근보다는 일자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용창출 정책의 수립이 중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n labor underutilization of college graduate youth in the local labor markets in Korea by employing a multilevel logistic model. We focus on the labor underutilization of college graduate youth aged between 20 to 34 and use local labor market areas (LLMAs) as spatial units of analysis. There have been a plethora of research to raise the need to account for not only those people who are traditionally unemployed, but also individuals who are underemployed and those who are hidden-unemployed worker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n labor underutilization of college graduate youth in the local labor markets in Korea, this study applies a broad employability framework to an understanding of labor underutilization which leads to the risk of underutilization as a function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impact of local labor market characteristics. The multilevel logistic analysis finds that the labor underutilization of college graduate youth is associated with a rang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ircumstances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labor markets in Korea.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policies for not only individual level such as providing occupational training or information about employment but also local labor market level like creating regional jobs to reduce the labor underutilization of college graduate y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