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가 뇌졸중환자의 보완 대체요법 이용실태

        강현숙 ( Hyun Sook Kang ),김원옥 ( Won Ock Kim ),김정화 ( Jeong Hwa Kim ),왕명자 ( Myung Ja Wang ),현경선 ( Kyung Sun Hyu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뇌졸중환자는 대부분이 편마비라는 장애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으며 퇴원 후에도 장기적인 치료와 간호가 요구되므로, 특히 현대의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보완대체 요법에 매우 관심이 높다. 본 연구결과,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 가 69.2%로 나타났다. 이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Mok 과 Cho (2004)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71.6%와 유사하며, Yang 등(2004)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60.0%, Oh (2008) 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61.3%. Jin (2009)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55.4%, 각종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Lee와 Park (1999)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51.2% 보다는 높았다. 그러나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Lee과 Son (2002)의 보완대체 요법 이용률 77.5%, Lee, Kang과 Lee (1997)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80.6%, 노인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Park 등 (2003)의 보완대체요법 이용률 94.2% 보다는 낮았다. 이와 같 이 보완대체요법 이용률이 연구자마다 차이가 있는 것은 대상 질병, 대상자의 특성, 조사시기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 되며, 무엇보다도 뇌졸중환자의 60% 이상이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은 뇌졸중 환자간호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정의, 종류, 효과 등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유무는 나이, 성별, 배우자, 교육정도, 직업, 수입에서 유의한 차 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Mok과 Cho (2004)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결과였으나, Hong 과 Park (1999)의 연구에서는 성별과 직업Yang 등(2004)의 연구에서는 성별, Jin (2009)의 연구에서는 학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는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에 있어서 복잡 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라 사료되므로 앞으로 반복연구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연구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보완대제요법의 이용 유무는 진단, 발병 후 기간, 마비유무,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교육경험 유무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물리치료 유 무, 일상생활동작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Yang 등(2004)의 연구에서는 진단과 유병기간이 보완대체요 법의 시행여부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나 Mok과 Cho (2004)의 연 구에서는 선행질환, 재활치료, 일상생활기능에 따라 유의한 차 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이것은 선행질환이 있는 경우,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경우에는 병의 정도가 중증이기 때문에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재가 뇌졸중환자와 입원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필요로 하 는 시점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앞으로 통일한 연구 도구를 이용하여 재가 뇌졸중환자와 입원중인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 현황을 비교·조사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또한 본 연구결과에서 뇌출혈보다 뇌경색이더 이용 을 많이 하였고 Yang 등(2004)의 연구에서도 뇌경색에서 이용 을 많이 하여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을 볼 때 외과적 치료중심의 뇌출혈보다 뇌경색일 경우 보완대체요법이용에 치료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보이며, 재가 뇌졸중 환자들은 발병 후 기 간이 2년 이상이고 마비가 있는 경우에 보완대체요법 이용을 유의하게 많이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뇌졸중이 뇌 조직의 특성상 일단 비가역적인 변성이 이루어진 이후의 회복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편마비 언어장애 및 치매 등의 섬 각한 후유장애를 남겨 사회적 복귀가 어렵고 치료 및 재활비용 등으로 사회경제적으로도 큰 부담이 되며(Saeki et al. 1994), 뇌졸중의 완치율이 10% 미만이어서(Lee & Park, 1999) 후유 증으로 인한 불편감을 안고 길게 투병해야하는 재가 뇌졸중 환 지들에게 계속적으로 의사에게 치료를 받고 있는 상태에서도 보조적이거나 대안적인 치료인 보완대체요법으로 관리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경험이 없는 재가 뇌졸중 환 자의 경우 보완대체요법 이용율이 높았다. 이것은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경험을 조사한 타 연구가 없어서 비교 논의할 수 는 없으나 보완대체요법에 대하여 올바른 교육을 받지 않은 상 태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뇌졸중 대상자를 위한 올바른 보완대체요법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재가 뇌졸중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 시기는 47.3%가 치료도중에 이용하여 가장 높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한 Mok과 Cho (2004)의 경우 51.1% 가 치료도중 이용하였으며,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Park (2009)의 연구에서도 62.0%가 질병 초기에 이용하였다Yang 등(2004)의 연구에서도 처음 이용 시기는 발병 후 3개월 이내가 88.9%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이 발병되고 응급치료 등이 끝나면 질병상태를 호전시커기 위해 한국인이 전통적으로 사용해왔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관련 정보를 활발히 수집하고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결과라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국민 정서에 맞는 보완대체요법을 효율적인 간호중재로 개발 하여 뇌졸중 환자의 간호에 활용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기간은 1년 이상이 41.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체요법 이용 기간이 평균 약 12개월이었다는 Oh (2008)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Mok과 Cho (2004)의 연구결과와 Jin (2009)의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 기간은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 타났으며(35.5%, 42.9%), Yang 등(2004)에서도 보완대체요 법 이용 기간은 59.3%가 3개월 이내로 본 연구 결과와 상이하였다. 이것은 급성기를 지나 재활단계에 있는 대상자가 회복에 대한 한계를 인식하고 영구적 장애에 대해 더 이상 나아질 수 없다는 생각에서 보완대체요법 이용 기간이 줄어들거나 경제 적 부담이 영향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되나, 연구의 시기가 다르고 Oh (2008)의 연구에서도 병원치료를 받고 있으면서도 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는 대상자가 45.0%임을 볼 때 장기로 요 양을 하고 있는 뇌졸중 환지를 중심으로 한 반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이유는 치료에 대한효과 기대’가 52.7%로 가장 많았다. 이 결과는 Mok과 Cho (2004)의 연구결과 43.2%가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 같아서," Yang 등 (2004)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게 된 주증상은 “ 근력약화 와 마비”가 64.1%로 제일 많았으며 Jin (2009)의 연구에서 이 용 동기는 “병용하면 좋을 것 같아서" 68.2%, “질병을 낫게 하 기 위해서가 25.8%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동일하게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뇌졸중 환자의 경우 보완대체요법의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다는 것을 말하며 특히 만성질환자의 경우는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더 절실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 법의 이용은 현대의학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훌륭한 자연친 화적 요법으로서 대부분의 경우 질병치료의 효괴를 기대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보완대체요법을 알게 된 경로는 가족 24.4%, 이웃 20.4% 순 으로 많았다. Mok과 Cho (2004)의 경우 이웃 27.3%, 가족 25.2 % 순이었고Yang 등(2004)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의 소개가 45.3%, Jin (2009)의 연구에서도 가족이나 진지가 55.4%로 보완대체요법을 알려주는 사람이 환자와 가까운 사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완대체요법의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서 환자는 물론 가족과 이웃을 함께 보완대체요법 교육에 참여시 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후 느낌은 혈액순환이 잘된다’ 20.9%, ‘심리적으로안정된다 159%순이었다. 이 결 과는 Yang 등(2004)의 연구결과에서 “증상조절에 효과가 있었다”가 95.0%, “치료효과는 없었으나 심리적 안정이 되었다” 5%로 나타난 결과, Jin (2009)의 연구결과 “증상이 좋아졌다’ 39.4%, “심리적 안정이 되었다" 36.4%와 유사하게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Mok과 Cho (2004)의 경우 ‘효과가 없다’ 30.9%, 혈액순환이 잘된다’ 28.1% 순으로 효과가 없다 는 느낌이 우세하였으므로 본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다고 본다. 이것은 보완대체요법 이용기간이 본 연구는 1년 이상이 가장 많고 Mok과 Cho (2004)는 3개월 미만이 가장 많았던 것으로 유추해 볼 때 효과를 비교하기에는 기간의 차이가 컸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이용기간을 고려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 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보완대체요법이 양방치료보다 좋은 점은 “붐에 해가 없다”가 24.4%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정서적으로 안 정감을 준다" 16.4%, “몸을 보호해 준다" 12.9% 순이였다. Mok 과 Cho (2004)의 연구에서도 “몸을 보호해준다”가 31.7%,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 25.2%로 나타났고, Lee (1999)의 연구에 서 만성질환자들은 32.3%가 “몸을 보호해준다”,25.3%가 “심리적 안정감을 준다”라고 응답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보완대체요법은 만성질환을 치료하는 수단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정통의료의 보조적인 수단으로 플러스 효과를 기대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보완대체요법 종류는 한방요법(침, 폼, 부항, 한약)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식이 및 영양, 수기요법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Mok과 Cho (2004)의 연구에서 식이 및 영양요법, 수기요법 순 이었으며, Jin (2009)의 연구결과에서도 식이 및 영양요법, 한약 및 약초요법, 수기요법 순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Hong 과 Park (1999)의 연구에서도 우황청섬환, 침, 사혈, 한약의 순 서로 보완대체요법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젓과 유사 하다. 또한 Oh (2008)의 연구에서 대체요법에 대한 신뢰에서 특히 한방에 대한 신뢰가 많아 병원에서 퇴원하게 되면 한약이나 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완대체요법의 효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재가 뇌졸중 환자들은 질병경험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더 적극적으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주로 치료도중에 사용하고 현대의학과 병행하고 있었으며, 치료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고 인제에 무해하다는 생각을 나타냈다. 또한 가 족과 같이 환자와 가까운 사람이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용자의 대부분이 올바른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용하고 있었다. 따라서 재가 뇌졸중환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기 위 해서는 보완대체요법에 관한 대상자의 요구를 파악하는 반복적 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동서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use of the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CAM) in stroke patients, in order to provide the appropriate CAM information to patients recovering from stoke. Methods: Subjects were 201 stroke patients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health care center and a welfare center. Data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collected from February to Apri1 2009 was analyzed using SPSSIWIN 12.0. Results: Subjects averaged 67.4-yr-of -age. Of the 201 subjects, 69.2% had used CAM. CAM us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agnosis, duration of post stroke, paralysis, and education about CAM. CAM was used in the mid-portion of treatment by 47.3% of the subjects, and 41.7% used it for more than a year. Of those using CAM, 52.7%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reason was the belief in the treatment`s beneficial effects. Of the subjects 89.2% reported most frequent use of oriental medicine. Conclusions: The majority of stroke patients surveyed frequently and continuously used CAM in their mid-period of treatment expecting positive effects.

      • SCOPUSKCI등재

        간호실무에서 신봉이론(Espoused theories)에 대한 탐색적 연구

        서문자,김혜숙,이은희,박영숙,조경숙,강현숙,임난영,김주현,이소우,조복희,이명하,지성애,하양숙,손영희,권성복,김희진,추진아 성인간호학회 2001 성인간호학회지 Vol.13 No.1

        As a nursing practice involves nurses' actions in a specific context of health care, this study has focused on exploring the espoused theories in nursing practice within the action science perspectives, Espoused theories are the belief, principles, and rationale expressed by the practitioner as guiding her/his actions in a situation of practice. The data were analysed qualitatively and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of nursing action were identified and clustered into 6 categories. The 25 elements of espoused theories are as follows: The clinical nurse worked in wholistic and individual nursing, focussed on the patient's needed, comfort and supportive nursing (5 theories of nursing goal) ; excellent skills, knowledge based, assessment and data collection, explaining, educating or a scientific basis(6 theories of nursing intervention): advocacy, value oriented, treatment, account- ability and commitment(4 theories of nursing ethics) ; human respect. partnership, trust(3 theories of patient-nurse relationship) : knowledgable, accumulated clinical experiences and personally lived experiences. positive perspectives(4 theories of nurse), role of intervention. rewarding peer relationship(3 theories of situations) The above mentioned espoused theories are similar to that of nursing textbooks which students learned through basic nursing education and almost the same as the Acts ofa Nurse in Korean. However, we are doubtful whether nurses actually do as they think.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review the theories-in-use in order to and any discrepancies between the espoused theories and the reality of nursing actions

      • KCI등재

        중년여성의 약물사용 실태 조사

        이영선,김은경,김경숙,강경인,김희선,신성희,김은숙,최지선,신혜숙,황선기 여성건강간호학회 2001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rug use of middle aged women. The subject consisted of 330 middle aged women who ranged in age from 40 to 60 years. They were selected in Seoul, Kyung-Ki province,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from April, 10th to 30th 2001 and analyzed by the SPSS PC+ program using qui-squa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proportion of drinking and smoking experience was 42.4%, 3.7%. The motivation of drug use was advised family and relatives(46.1%), doctor's order(39.4%), magazine and advertisement(14.5%). Most of middle aged women get the information on knowledge of drug from hospital(47.3%), magazines and advertisement(30.3%), advised family and relatives(22.4%). And 57.9% of the middle aged women didn't know side effect of the using drug and 13.9% of the middle aged women have had experienced with side effect. And the level of attitude on drug abuse in middle aged women was 43%. Most of the subjects(93.9%) didn't use alternative drugs, and they used more than 3 kinds of drugs(47%). 2. They used digestives(44.2%), applying ointments(41.8%), drinks(39.4%), analgesics(39.1%), laxatives(8.8%), anti hypertension drugs (8.8%), and anti-anemic drugs(8.8%) in their orders.

      •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제동향 분석

        강경숙,김진숙,정해진,황윤한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2

        본 연구는 세계 여러 국가의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국제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해외 9개국과 국내의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탐색하여 국제비교하여 향후 우리나라 특수교육 교육과정 수립 시 필요한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문제 및 내용, 연구방법. 연구의 제한점을 비롯한 연구의 개요를 기술하였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첫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전체 교육적인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각 국가의 교육제도 및 일반교육과정에 대한 개요를 파악하고. 둘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국가수준ㆍ지역수준ㆍ학교수준 개발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셋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운영 및 실제에 대한 실태를 분석하고, 넷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 운영에 대한 국제동향을 권역별로 비교ㆍ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처럼 전반적인 교육제도와 일반교육과정을 함께 연구한 것은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연구하는 특수교육관련 전문가만이 아니라 일반교육 교육과정 관계자와 교사들에게도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일반 교육과정과의 관계성 정립을 통해 장애학생의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토대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및 절차로는 우선, 일반교육과정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관련자료를 분석하여 동향 분석 준거를 설정한 후 외국의 한국교육원, 해외 거주 박사과정 및 해외연구원을 활용하여 국외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측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또한, 해외 현지외국인 교사 및 관리자를 통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 국내 교육과정 운영자료를 수집 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현장방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고찰을 위해 첫째, 교육과정 국제동향비교 관련 선행연구 고찰, 둘째 기존 특수교육과정의 변천 및 제7차 교육과정 고찰, 셋째 특수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다. 제3장부터는 각 장을 구성하고 있는 본 연구의 주요부분으로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제동향에 대해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 호주, 뉴질랜드, 일본, 중국, 홍콩을 중심으로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한국에 대해서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면에 대해 특정 교육청으로부터 수집한 자료와 특정 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큰 주제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이지만, 특수교육 교육과정은 그 나라의 교육제도 및 일반교육과정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고 유기적으로 개발ㆍ운영되기 때문에 교육 전반적인 맥락을 알아보기 위해 각 국가의 교육제도, 일반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 특수교육의 개관에 대해 먼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 핵심인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은 면담 및 설문자료를 토대로 했을 뿐 아니라, 사진 및 교실구조도와 같은 교실현장의 자료를 토대로 특수교육의 장면 특히, 통합장면의 교육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위 국가에서 연구된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결론에서는 권역별로 나누어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가간 비교를 하였다. 비교할 내용의 틀로는 첫째, 특수교육의 방향 및 관련법규, 특수교육 서비스전달체제와 같은 특수교육개관, 둘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측면으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결정방식, 국가ㆍ지역ㆍ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표준 및 가이드라인, 교육과정철학ㆍ목표ㆍ내용ㆍ평가 등 교육과정의 요소, 학급의 교육과정 운영 시 상위수준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여부, 교육과정 적용 절차 및 시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자율성 및 의사결정에 대한 국가간 비교를 하였다. 셋째, 특수교육 교육과정 운영 측면으로는 교사의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자율성 부여정도, 교육과정적 통합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 혹은 연계성, 개별화교육 계획과의 연계 측면, 교육방법과 교재활용과 같은 내용을 권역별로 비교하였다. 각 국가간 권역별 비교를 통해 향후 특수교육 교육과정 수립 및 일반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 및 제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거스를 수 없는 추세인 통합교육을 위해 어떻게 일반교육과정과 연계를 맺어야 하는지, 교사 간 협력을 어떻게 이뤄가야 하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시사점을 도출해내었다. 각 국가의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각국의 교육과정은 나름대로 국가수준ㆍ지역수준ㆍ학교수준의 교육과정 체제의 틀을 갖추고 있지만, 중앙 집중적이기보다는 지방 분권화되어가는 경향을 강하게 보이고 있다. 미국, 캐나다, 독일과 같은 경우는 각 주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교육과정에 따라 독창적으로 운영되고 있었다. 영국, 뉴질랜드, 중국, 일본,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가교육 과정의 틀에 따라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전달된다고 볼 수 있다. 특수학급의 경우 각국 공통적인 현상은 국가수준의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있는 경우에도, 특수학급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을 찾기 어려웠다. 특수학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은 지역수준 교육과정 지침에 의해 학급교육과정, 개별화지도계획 등으로 교사에게 일임되어 있는 상태이다. 둘째,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의 자율권을 상당부분 제공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 캐나다, 호주는 교육과정의 기준(standards)과 성취수준을 제시할 뿐 구체적인 교육내용이나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기 때문에 교사의 자율권을 상당부분 허용하고 있었으며, 독일은 주 수준에서 교육과정 내용을 제시한다 하더라도 구속력은 거의 없었다. 영국은 교사들의 교육과정 구성능력이 중시된 국가로서 교사가 스스로 개발ㆍ운영하는 데 무리가 없는 국가라고 자처하지만, 장애학생의 교육성과가 교사의 질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상황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할 부분이다. 셋째, 전 세계적인 특수교육이 분리교육에서 통합교육의 방향으로 이동해 감에 따라 일반교육과정을 근간으로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구성되어 운영되는 국가가 많았다. 캐나다, 영국, 홍콩, 호주, 뉴질랜드와 같이 유럽, 미주 지역과 그 영향권 하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전통이 강한 나라들이 그러하다. 일본, 중국, 우리나라와 같이 기본교육과정이라는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별도로 개발되어 있는 국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즉, 많은 국가에서 일반교육과정으로의 접근, 혹은 일반교육과정과 특수교육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측면을 상당부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특수교육 요구학생의 개별적인 필요에 맞게 고안된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는 개별화된 교육계획을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우리나라에서는 특수교육 요구학생의 교육과정이 IEP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제도화되어 있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학생의 학업 및 사회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IEP가 개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에서는 일반학생의 교육과정을 특수교육 요구학생의 수준에 맞게 수정ㆍ보완하거나 현저한 차이가 있는 경우,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섯째,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팀 형성 및 교사간 협력관계를 토대로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운영되는 것을 주목할 수 있었다. IEP를 구성할 때도 일반교사와 함께 논의하고, 학급운영에 있어서도 보조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사간 팀 교수를 통해 통합 장면에서의 수업이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독일의 경우, 특수학교에 적을 둔 특수교육 대상학생이 일반학급에 통합되어 특수교사가 함께 일반학급에서 수업을 지도하였다. 홍콩은 통합교육을 국가주도적인 정책 방향으로 삼아 '전체학교접근'을 시도하였는데, 이는 학교전체적인 차원에서 협력하여 통합교육을 지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 통합장면에서의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운영은 협력을 떼어서는 생각할 수 없는 주제처럼 생각된다. 이 외, 영국에서는 일반학교에 특수교사 대신 특수교육코디네이터(SENCO)를 두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최근 이러한 유형의 코디네이터를 학교에 배치할 것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교육 안에서 특수교육이 함께 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이처럼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일원화된 체제를 지향하기 위해 독일의 특수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육학 일반 및 일반교과가 특수교육 전공보다 많았으며, 홍콩과 같이 일반 교사 및 특수교사 양성체제가 이원화되어 있지 않고 일반교육을 교육받은 후 이를 토대로 특수교육을 전공하거나 연수를 통해 특수교육을 이수하게 하는 경우는 처음부터 일반교육 과정과 특수교육과정이 별개로 운영되지 않을 수 있다는 단초를 제공한다. 그리고 특수학교에서의 통합교육을 모색하고 있는 중국의 경우, 지역사회에서 특수교육적 자료를 제공 하고 상담하는 리소스센터로 거듭나기 위해 학교를 개방하고 있었는데, 통합장면만이 아닌 특수학교에서의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도 일반교육의 그것과 더불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하게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일반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해 일반교육과정의 개정 작업 시 특수교육전문가가 참여할 것을 제안하는데, 이는 경도장애학생의 경우 당초부터 특수교육 요구학생으로 낙인되지 않고 구제될 수 있도록 모든 학생을 고려한 보편적인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특수교육적 고려를 포함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의 내용 뿐 아니라 교육방법 면에서도 차별화된 교수법 등의 제안으로 일반학급에서 장애학생이 통합되어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ternational trends of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nine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establish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Chapter 1 describes the needs for and purposes of this research, research questions, research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Sections on each country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 the education system an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current practices in local schools: and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will serve professionals in both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field since it emphasized the perspective by which special education was viewed as part of the general education system. The focus was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foundation for curricular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researchers developed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international tren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Second, researchers collected data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local research assistants from the countries. Third, for the nine countries,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hapter 2 reviews existing literature on international trends of curriculum, current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lso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Korea was provided. In the following chapters, data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rom nine countries including USA, Canada, UK, Germany, Australia, New Zealand, Japan, China, and Hong Kong were analyzed. Particularly, for Korea, the description centered around the analysis of data from a District Office and case studies of local schools. Main topic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an not be discussed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 of general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Therefore, first, reviewed were education system in general an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general education system for the nine countries.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presented at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and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described based on interview data, survey responses, pictures, and case studies. In the results section, international data 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compared and contrasted by the region. The framework for the comparison include (1) special education overview including special education trends, law and policy, special education service delivery system, (2)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curriculum decision-making process,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 level curriculum, standard and guideline, curriculum philosophy, elements of curriculum such as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assessment, link to the upper level curriculum, curriculum implementation procedures, teacher autonomy in curriculum restructuring, (3)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cluding teacher autonomy in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link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link to IEP, instructional methods, and use of text books. Based on the regional comparisons among countr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drawn.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how to connect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how to encourag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curriculum in the countries had different levels of curriculum such as the national, local, and school-level curriculum, the international trends moved toward localization from centralization. Countries including USA, Canada, Germany implemented the state-developed curriculum while countries such as UK, New Zealand, China, and Korea developed curriculum within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With regard to curriculum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reviewed countries appeared to share a similar trend. That is, even in the cases that had the national-level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for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were not found. In most cases, curriculum for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classrooms was often developed by teachers based on local curricular guidelines. Second, autonomy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was provided for teachers. For example, in USA, UK, and Canada, standards and achievement objectives wer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leaving out contents and instructional methods. In Germany, even though curriculum was presented at the state level, it was not mandatory. In UK where teachers' ability of curriculum development was traditionally valued, careful considerations were needed : because outcome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solely depended on teacher quality. Third, as the international trends of special education moved toward inclusive education, more countries develop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example, countries such as Canada, UK, Hong Kong, Australia, and New Zealand did not have separat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Many countries appeared to exert their effort to integrate special education into general education. Fourth, individualized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were us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USA, UK, Canada, Australia, New Zealand, and Korea. In USA and UK,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ended to focus on academics and social function, while in UK,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as accommodated to meet the needs of students, or alternative curriculum was used in case the academic gap was too large. Fifth, it was noted that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as based o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t was observed that the collaboration was in place in the development of IEP, support of teacher aides, and co-teaching. In Germany,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were integrat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the special school taught in the general education classroom. In case of Hong Kong, a national policy called 'whole school access' was tried in which inclusion was supported at the whole school level. That is,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an not be successful without collaboration among educators. In U.K, there was a SENCo, special education needs coordinator instead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general education schools. This system was scheduled to be in place in Japanese schools. This seemed to be an effort to integrate special education into general education. Another effort could be found in Germany wher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included more general education courses than special education courses. In Hong Kong, the teacher education systems were not even separated. That is, teachers who have completed course requirements for acquiring gener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e can major special education or attend to special education in-service to b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system appeared to provide head start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system. In case of China where inclusiv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were considered, educators strongly indicated that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for students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schools should also be discuss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participate into the process of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in order to develop and manag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well-connected with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By doing this, the development of universally designed curriculum can be empowered by widening the range of audience the curriculum covers. This, in turn, will eliminate the needs for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since the universally designed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would meet these students' needs.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requires consistent efforts from all stakeholders in education.

      • 국어과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의 비교·분석 및 연계방안

        강경숙 국립특수교육원 2000 특수교육 교육과정 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제7차 국어과교육과정에 대한 특성과 동향을 살펴보고,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의 구성체제 및 내용에 있어서 두 교육과정의 특징 및 성격, 즉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대한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두 교육과정의 연계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두 교육과정을 탐색하였고, 각 장애종별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는 교육과정이 어떻게 전달되는지 현장적용 조사를 위해 실제적인 활용정도와 현장의 요구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학생을 위한 기본교육과정의 내용은 각 학생의 수준별로 재구성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 특히,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에서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지도해야 하고, 감각장애 특수학교에서도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준하여 지도하지만 수준에 따라서 기본교육과정을 도입하여 연계지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요구를 위해 두 교육과정의 활동내용 체계표가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두 교육과정이 연계된 내용을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는 내용연계표가 있으면 수업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기본교육과정의 내용체계표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 기본교육과정의 내용연계표를 말하기·듣기 과목 중심으로 예시를 제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준의 장애학생을 지도하기 위해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과의 연계방안 뿐 아니라 기본교육과정의 상·중·하 교육과정에서 유사내용에 대해 1, 2, 3권 내의 내용과도 연계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7th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subject of Korean, (b)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structures and contents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goals, objectives, contents, instructional methods, and evaluations, and (c) examine the ways to connect the two curricula for th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began with the review of the two curricula. Then,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self-contained classes and various special schools to find out how the curricula were administered and to identify the unmet needs in the field. The study found that (a)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should be restructured according to diverse special needs of each student, (b) general curriculum should be incorporated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lf-contained classes in general schools, and (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could be introduced in the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sensory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unique needs of each student through general curriculum would be primarily consider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ctivity matrix for each curriculum. Also, a combined matrix that connects the two curricula would be useful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instructions. In this study, example of these matrices was provided in the area of speaking and listening. Finally, there is a call for further research into how to connect the common components of the three levels of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at is, introductor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with the volume 1, 2, and 3 in order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 research about how to connect special and general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보조원의 실태 및 자질과 역할에 대한 인식수준

        강경숙,김용욱 국립특수교육원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우리나라에서 장애학생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2004년부터 국고지원으로 특수교육보조원이 배치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에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처음으로 특수교육 보조원에 지원한 이들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 및 지원동기, 그리고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질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0~30대의 젊은 층, 전문대졸 이상, 여성 집단이 가장 많이 특수교육보조원에 지원하였고, 초등 저학년의 통합환경에 주로 배치되어 장애학생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구비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자질로는 교수·학습지도방법에 대한 이해 및 기술이며, 역할로는 학생의 안전과 건강보호를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수교육관련인인 교사, 행정가, 부모가 요구하는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심과 봉사정신, 그리고 신변처리와 같은 지원과는 다소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특수교육보조원과 함께 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힘써야 할 특수교육관련인 집단과의 순조로운 협력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자질과 역할을 정립하고, 필요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제적이고 지속적인 연수와 교육이 필요하다. Since the year 2004, paraprofessional system in special education has been enforced in Korea. Paraprofessionals were implemented into schools by government grant. The purpose of the system was of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make this new system useful and effective, it would be necessary to collect more information about the job requirement and related perception. Thu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araprofessional system and their role and job requirement perceptions. The results of the survey presented several facts. First, almost applicants of the paraprofessional position were female adults in twenties or thirties with 2-year college degree o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most paraprofessionals were assigned to inclusive classrooms and worked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Third, when the survey asked them to indicate critical elements for the job, they answered that knowledge and skills of instructional methods were best required. Fourth, in terms of the role, they gave priority to student-safety and health. There was a good distant gap between paraprofessionals' real senses of the job and the expectations of teachers, administrators, and parents who regarded paraprofessionals as persons sacrificing themselves and rendering services to meet students' personal needs such as personal physical care. Clarification of paraprofessionals' role and qualification is very important to provide in-servic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their practical application.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paraprofessioanls and special educators including teachers, administrators, and even parents facilitates the process to clarify the paraprofessional role and requirement.

      • 남자대학생의 흡연태도와 행동에 관한 연구

        강경진,김정미,민혜영,안소진,오경숙,은경희,이현,이희선,홍주미,김수지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03 이화간호학회지 Vol.- No.37

        There have been so many researches about problems of cigarettes and relation of smoking and heath since 1950's and generally known that smoking is one of the worst factor of increasing disease and mortality. No matter what such many proofs about various problems of smoking have been researched, smoking rate of current male collage students has not been decreased. Besides, most of the researches about cigarette use and its addiction have been focused on the adolescent or adult women smokers or adult male, not male collage student.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bout smoking attitude and smoking behavior of male collage students by general features. Smoking attitude was analyzed by modifying 'Guidelines for the content of tobacco smoking surveys of the general population'(WHO, 1982). Two hundred of male collage students participated to the distributed questionnaire for one week in May. The smoking attitude was categorized into duration of smoking and number of cigarette per day(CPD), and nicotine dependency, investigated by Fagerstrom Tolerance Questionnaire(FTQ) (Fagerstorm & Schneider, 1989). All statistics were performed by procedure of SAS according to number,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moking attitude level was mean 25.73±5.15 marks, ranging from 13 to 39 marks of the total 40 marks. 2. Duration of cigarettes, number of cigarette per day, and nicotine dependency were mean 5.14±2.84 years, 12.88±6.85 pieces, and 4.78±1.69, respectively. 3. Smok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ce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such as marital state and allowance, but the significance according to marital state is not valuable because the numerical difference is so big between married one and single that they cannot be compared with each other. 4. Duration of smoking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such as age and allowance. 5. Smoking amount showed significance the factors of age only. 6. ll1ere was no significance in nicotine dependency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As a result, smoking attitude of male collage student in this study shows moderate level. Smoking attitude and duration is significant according to allowance, and smoking amount is significant according to age. Nicotine dependency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is not significant but comparing with the preceding study about adult male, male collage students in this study are respectively more nicotine-dependent than adult male smokers. In conclusion, the right allowance usage strategies and effective heath education focused on the young are needed. In addition, helpful programs and information spreading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establishing higher level of smoking attitude. At last, systemic regulations in daily living for ""anti-nico-dependent"" and perspective reforming of male university student are needed for reducing nicotine dependency.

      • 女性의 基本欲求와 衣裳價値觀間의 相關關係 硏究

        姜京子,李貞淑,秋美先 慶尙大學校 1987 論文集 Vol.26 No.2

        This was designed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asic needs and values on teh clothes of women, 358 women living in Taegu city and JinJu city were selected as sample for this study. The major findi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ings. 1. Women have stronger needs for physiology, self-actualization belongness and affection self-esteem and safety. They regards economic, sensory values most important. 2. Young women tend to regard aesthetic values such as form,color, harmony important. Older women like to wear comfortable clothes. 3. Women having higher education have lower needs for physiology and safety, and they have strong need for self-actualization, And they tend to regard aesthetic values important, but they have lower religious values on the clothes. 4. There is difference of need and clothing values of women depending on th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5. Unemployed women have stronger need for self-actualization than the employed women. Ⅱ.Correlation between basic needs and values on clothes was investigated. 1. Married women who regard aethetic values important have stronger need for self-actualization. Single women who regard economic values important have lower needs for safety and self-actualization but married women have lower needs for belongingness and self-esteem. 2.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of correltion between values and needs depending on the age and education of respondents. 3. There is a difference of correlation between values and needs depending on the monthly incomes of respon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